직관과 의사 결정
Intuition and decision-making의사결정의 맥락에서 직관은 "비순차적 정보처리 모드"[1]로 정의된다.통찰력(더 긴 과정)과는 구별되며, 의사결정의 숙고 방식과 대조될 수 있다.직관은 감정이나 인지 둘 중 하나를 통해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그것이 두 사람을 연결시키는 수단일지도 모른다는 암시가 있었다.[1]개인들은 직관과 더 많은 숙고적 의사결정 방식을 서로 교환하여 사용하지만, 사람들이 한 가지 또는 다른 방식으로 끌리는 경향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2]기분이 좋은 사람들은 직관적인 스타일에 끌리는 반면, 기분이 나쁜 사람들은 더 숙고하는 경향이 있다.[2]직관이 의사결정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방법들은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휴리스틱스에 의해 가능하게 된 스냅판단은 때때로 직관으로 식별된다.
직관적인 의사결정은 관련 학습을 통해 습득되어 장기 기억 속에 저장되는 정보가 무의식적으로 접근하여 판단이나 결정의 기초를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3]이 정보는 이용 가능한 옵션에 대한 노출에 의해 유도된 영향이나 무의식적인 인식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직관은 의사결정자가 이용할 수 있는 암묵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예를 들어, 어릴 때 개를 소유하는 것은 개에 대한 암묵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을 연상시킨다. 이것은 화가 난 개를 둘러싸고 어떤 종류의 행동을 취하기 전에 공포나 불안의 감정으로서 의사결정 과정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직관은 이러한 암묵적 지식이 의사결정 과정의 최전선에 도달하는 메커니즘이다.의사결정의 맥락에서 직관에 대한 일부 정의는 자신의 환경에서 단서와 패턴을 인식한 후 문제 해결을 개선하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한다.[4]의사결정에서의 직관은 1) 암묵적 결정 - 이전의 결정들이 영향을 미치고 2) 명시적 결정 - 감정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5]
직관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통찰력과 구별되는데, 이것은 성숙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수학 문제를 곰곰이 생각하는 한 달은, 비록 그 이해가 어디에서 왔는지 알지 못하더라도, 답을 점진적으로 이해하게 될 수도 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직관은 처음에 수학 문제에 직면했을 때 더 즉각적이고 즉각적인 이해다.직관은 또한 직관을 알려 주지만 별개의 개념인 암묵적 지식과 학습과는 구별된다.직관은 의사결정의 한 예에서 암묵적 지식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직관적 영향의 경로
휴리스틱스
전통적인 연구는 종종 사람들이 "직관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경험적 발견의 역할을 지적한다.[6]아모스 트베르스키와 다니엘 카네만이 개발한 경험적 접근과 편견의 학파를 따르는 사람들은 직관적 판단이 궁극적으로 어떤 방법론적 계산도 포함하지 않는 "비공식적이고 구조화되지 않은 추론 방식"에서 비롯된다고 믿는다.Tversky와 Kahneman은 가용성, 대표성 및 고정/조정을 불확실한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직관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경험적 발견으로 식별한다.
휴리스틱스 앤 바이어스 접근법은 휴리스틱스와 규범적 추론 과정을 구별하기 위해 편향된 판단의 패턴을 살펴본다.이 접근법을 뒷받침하는 초기 연구들은 각 휴리스틱과 일련의 편견들을 연관시켰다.이러한 편견은 "규범적 이성론으로부터의 이탈"이었고, 근본적인 휴리스틱스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7]예를 들어, 검색된 메모리가 실제 주파수에 대한 편향된 기억일 때마다 가용성 경험적 접근법을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한다.이는 극적인 사례를 기억하는 개인의 성향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휴리스틱 프로세스는 빈도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빠른 직관적 응답이다.
영향을 주다
일부 연구자들은 직관을 인지적 조정 없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의 능력을 보여주는 순전히 감정적 현상으로 지적한다.이것은 감정이 경험되기 위해서는 의식적인 사고가 필요하지 않은 영향과 인식의 이중 처리 이론을 지지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의지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적 사고는 그들에게 긍정적인 정서적 영향을 미친다.영향과 인지도를 비교하는 연구에서, 일부 연구자들은 긍정적인 분위기는 감정적인 신호에 의존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반면 부정적인 분위기는 더 숙고적인 사고 과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2]따라서 분위기는 사람들이 수행하는 전략적 결정에서 조정자로 간주된다.저자들은 일련의 3가지 연구에서 카드 기반 도박 과제에 직면한 긍정적인 분위기의 사람들이 부정적인 기분에 빠진 사람들보다 위험도가 높은 단계에서 더 나은 성과를 내기 위해 직관을 이용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다른 이론들은 직관이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근본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인간 정보 처리 사이의 격차를 해소한다고 제안한다.[1]
다른 의사결정 스타일과 비교
직관적인 의사결정은 흔히 자신의 명시적 지식이라고 일컫는 신념, 주장, 이유와 같은 인지적 요인에 기초한 숙의적 의사결정과 대조될 수 있다.[8]직관적인 의사결정은 영향을 미치거나 무의식적인 인식을 통해 의사결정 지점에서 의식적인 정신에 전달되는 암묵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직관적인 의사결정이 마음의 병렬 처리 기능에 더 많이 의존하는 반면, 숙의적 의사결정은 순차적 처리에 더 많이 의존한다고 제안한다.
직관적인 판단과 사용 측정의 보급
비록 사람들은 직관적이고 숙의적인 의사결정 모드를 서로 교환하여 사용하지만, 개인들은 그들이 선호하는 스타일을 사용하도록 허용될 때 그들이 내리는 결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2]이러한 특정한 종류의 규제 적합성을 의사결정 적합이라고 한다.결정 후 사람들이 경험하는 감정은 결정 결과와 상관없이 선호하는 스타일을 사용할 때 더 즐거운 경향이 있다.어떤 연구들은 주체가 의사 결정 과정에 들어가는 분위기가 그들이 선택한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슬픈 사람들은 더 숙고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행복한 기분을 느끼는 사람들은 더 직관에 의존한다.[2]
2004년 Coralie Bestch가 개발한 직관 및 심의 척도에 대한 선호도는 직관성 경향을 측정한다.그 척도는 직관에 대한 선호를 인식 대신 의사 결정의 기준으로 영향을 사용하는 경향("굿-펠")으로 정의한다.마이어스-브릭스 타입 인디케이터도 가끔 사용된다.
특정 환경에서 직관적인 의사 결정
경영 및 의사결정
연구자들은 또한 조직의 관리와 같이 특정한 전문지식이 필요한 결정에서 직관적 판단의 효과와 직관 대 분석의 기능에 대한 토론에 대해 탐구해왔다.이런 맥락에서 직관은 전통적으로 순수히 휴리스틱한 대응이라기보다는 '의식 없는 전문성'으로 해석된다.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직관은 "과거 경험, 지식, 기술, 인식과 감정의 광범위한 별자리"[9]에 기초하고 있다고 한다.경영환경에서 직관적인 의사결정의 효율성은 의사결정 맥락과 의사결정자의 전문성에 크게 좌우된다.
전문지식에 기반한 직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직원이 해당 분야에서 일하고 특정 지식을 수집함으로써 조직에 대해 더 많은 경험을 얻게 될 때 증가한다.이런 맥락에서 소위 직관은 단순히 무작위적인 추측의 연속이 아니라 전문성과 노하우를 직원의 본능과 결합시키는 과정이다.[10]그러나 직관은 의사 결정의 관점에서 옳다는 것을 증명하기 어려울 수 있다.직관에 근거한 결정이 합리적 분석에 근거한 결정보다 정당화되기 어려운 것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있을 수 있다.특히 사업과 조직의 의사결정의 맥락에서 사람은 자신의 결정을 정당화할 수 있어야 하므로 순수하게 직관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할 때가 많다.[11]직관이 정확한지 여부를 놓고 논쟁이 벌어지지만 앞서 언급한 조건하에서는 그럴 수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조직은 자신의 결정을 단순한 직관적 또는 합리적인 분석에 근거해서는 안 된다.효과적인 조직들은 합리적이고 직관적인 의사결정 과정과 그것들의 조합을 필요로 한다.의사결정자 자신에 관한 한, 주로 두 가지 요소가 직관적인 의사결정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이러한 요인은 그 사람이 가진 전문지식의 양과 개인의 처리방식인 것으로 밝혀졌다.[10]
금융
런던에 있는 4대 투자 은행의 무역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금융 거래 결정에서 감정과 전문가의 직관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했다.이 연구는 더 높은 성과와 낮은 성과물 거래자들이 그들의 의사결정 전략에 직관을 어떻게 포함시키는지에 대한 차이점을 보고했고, 일부 더 높은 성과물 거래자들의 성공은 그들의 직관에 대해 비판적으로 반영하는 그들의 위대한 성향에 기인했다.직관과 그러한 직관의 근원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이러한 성향은 연구에 포함된 상위 성과 상인과 하위 성과 상인의 구별되는 요소로 작용했다.성공한 트레이더들은 이러한 비판적인 성찰에 더 개방적인 반면, 저성과 트레이더들은 그들의 결정에 대한 감정적인 영향을 더 탐구하기 보다는 그들의 감정에만 의존하는 것으로 보도되었다.전문 트레이더에 의한 감정의 기원에 대한 성찰은 특히 정보로서의 영향 모델을 고려할 때 두드러질 수 있는데, 그것은 그 감정들의 관련성이 명백하게 문제 삼을 때 감정의 행동이 감소하거나 심지어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고수하고 있다.[12]은행업계에서 직관이 의사결정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기록은 직관이 기존의 솔루션 모델과 이전의 경험과 결합하여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연구 참여자들은 또한 직관적인 결정을 나중에 분석하고 이를 변경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11]
고위험 상황
전통적인 문학은 위험 인식과 의사결정에서 판단 과정의 역할을 감정보다는 인식에 귀속시킨다.그러나 보다 최근의 연구는 고위험 환경에서 의사 결정과 관련된 감정과 인지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한다.고위험 환경에서의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는 직관적인 의사결정자로 자명한 개인이 심의 방식을 선호하는 개인보다 위험 중립성에서 더 큰 편차를 암시하는 의사결정을 더 빨리 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13]예를 들어 위험을 회피하는 직관적인 의사결정자는 심의의결자보다 위험한 사건에 더 빨리 참여하지 않는 쪽을 선택할 것이지만, 심의자보다 더 많은 경우에는 참여하지 않는 쪽을 선택할 것이다.
전략적 결정
전략적인 결정은 대개 조직 내 최고 경영진에 의해 이루어진다.통상 전략적인 결정은 조직의 미래에도 영향을 미친다.합리성은 사실에 근거하기 때문에 결정을 내리는 지침이자 정당화 된 방법이다.전략적 의사결정에 대한 직관은 덜 조사되고 예를 들어 사례에 따라 관리자 노하우, 전문성 또는 직감, 직감 등으로 묘사될 수 있다.[14]
참고 항목
원천
- ^ a b c Sinclair, M. (2005). "Intuition: Myth or a Decision-making Tool?" (PDF). Management Learning. 36 (3): 353–370. doi:10.1177/1350507605055351. hdl:10072/4512. ISSN 1350-5076.
- ^ a b c d e de Vries, Marieke; Holland, Rob W.; Witteman, Cilia L. M. (2008). "Fitting decisions: Mood and intuitive versus deliberative decision strategies". Cognition & Emotion. 22 (5): 931–943. doi:10.1080/02699930701552580. ISSN 0269-9931. S2CID 54583328.
- ^ Betsch, Cornelia (2008). Intuition in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SBN 978-0805857412.
- ^ Hodgkinson, Gerard P.; Langan-Fox, Janice; Sadler-Smith, Eugene (2008). "Intuition: A fundamental bridging construct in the behavioural science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9 (1): 1–27. doi:10.1348/000712607X216666. ISSN 0007-1269. PMID 17559716. S2CID 10208043.
- ^ Zander, Thea; Horr, Ninja K.; Bolte, Annette; Volz, Kirsten G. (January 2016). "Intuitive decision making as a gradual process: investigating semantic intuition-based and priming-based decisions with fMRI". Brain and Behavior. 6 (1): n/a. doi:10.1002/brb3.420. ISSN 2162-3279. PMC 4834943. PMID 27110441.
- ^ Kahneman, Daniel (1982). Judgment under uncertainty : heuristics and biases.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84141.
- ^ Gilovich, Thomas (2002). Heuristics and biases : the psychology of intuitive judgement. Cambridge, U.K.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92608.
- ^ Dienes, Zoltan; Perner, Josef (1999). "A theory of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2 (5): 735–808. doi:10.1017/S0140525X99002186. ISSN 0140-525X. PMID 11301570. S2CID 2181741.
- ^ Hodgkinson, Gerard (2008). The Oxford handbook of organizational decision making.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90468.
- ^ a b Salas, Eduardo; Rosen, Michael A.; DiazGranados, Deborah (2010). "Expertise-Based Intuition and Decision Making in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ment. 36 (4): 941–973. doi:10.1177/0149206309350084. S2CID 145283864.
- ^ a b Hensman, Ann; Sadler-Smith, Eugene (2011). "Intuitive decision making in banking and finance". European Management Journal. 29: 51–66. doi:10.1016/j.emj.2010.08.006.
- ^ Fenton-O'Creevy, Mark; Soane, Emma; Nicholson, Nigel; Willman, Paul (2011). "Thinking, feeling and deciding: The influence of emotions on the decision making and performance of traders" (PDF).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2 (8): 1044–1061. doi:10.1002/job.720. ISSN 0894-3796.
- ^ LastName, FirstName (2008). Intuition in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SBN 978-0805857412.
- ^ Elbanna, Said (6 April 2006).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8 (1): 1–20. doi:10.1111/j.1468-2370.2006.00118.x. ISSN 1460-8545. S2CID 144702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