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병 재활용 역사
History of bottle recycling in the United States미국에서 병재활용의 역사는 4개의 뚜렷한 단계로 특징지어져 왔다. 1단계에서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대부분의 병이 재사용되거나 반송되었다.[1] 병들이 대량 생산되자 사람들이 병을 버리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병 보증금이 도입되었다.[2]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2단계에서는 소비패턴이 바뀌고 반환불가 컨테이너가 인기를 끌면서 환경이 어지러워졌다.[2][3] 일부 주에서는 예금을 제정하는 '병자어음'을 시행하기도 했다.[3] 음료수용기 업계는 우선 민간 재활용 프로그램을 시행한 뒤 '병법안'의 대안으로 시 차원의 재활용을 추진했다.[4] 최근에는 페트병이 다른 재료들을 대체하고 있다.[5][6] PET 재활용에 있어서는 미국이 선두주자였지만 이후 유럽 국가들이 미국을 앞질렀다.[5]
초기 역사
18세기 후반 미국에서 맥주와 탄산음료용 병은 손으로 만든 것으로 채워져 비교적 비싸다.[1][3] 이는 대부분의 음료가 식당이나 술집에서 소비된다는 것을 의미했다.[3] 소비자들이 음료를 구입할 때, 그들은 병을 돌려주거나 자신의 병을 가지고 오곤 했다.[1][2] 역사적 연구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상점들이 대부분 지역 소유였고 소규모였기 때문에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19세기 초, 사람들은 여전히 여러 번 병을 재사용했고, 또한 집에서 만든 음료와 음식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했다.[1] 그러나, 세기가 끝날 무렵, 혁신은 병 블로어를 서서히 대체하는 기계들에 의해 병들이 점점 더 대량으로 생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1][3] 손님들은 집에서 술과 탄산음료를 먹기 위해 병음료를 사기 시작했고 병들은 1인분 크기로 팔렸다.[3] 대부분의 병에는 빈 병이 생기면 "이 병은 씻어서 돌려줘야 한다"는 내용의 판화가 새겨져 있었다.[2] 병들은 여전히 비싸고 제조사들은 그것들을 돌려주지 않으면 손해를 보았다. 종종, 소비자들은 병을 그냥 버리곤 했다. 특히 더 작은 음료수 병들, 그리고 많은 병들은 결국 깨지거나 쓰레기통에 버려졌다. 1910년까지 "미국의 모든 사람들을 위해 20개의 유리 용기가 생산되었다."[1] 이 문제의 해결책은 1870년대와 1880년대에 맥주와 탄산음료 유통업자들이 처음 도입해 1920년대까지 탄산음료 업계에 보편화시킨 병 보증금(보통 2센트) 도입이었다.[2] 보증금은 소비자들에게 병을 돌려줄 동기를 부여했고, "병을 돌려주지 않았을 때 병값을 디프레임했다"[1]고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공황과 "재료 부족"은 우유, 맥주, 소다수 병에 대한 예금 제도를 보편화했다.[1] 1947년까지 미국의 병 손실은 약 3~4%[1]로 줄어들었다. 병 보증금 제도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인들의 소비 패턴이 달라지기 전까지 미국에서 맥주와 탄산음료병에 흔히 사용됐다.
반환되지 않는 병의 상승
보증금 시스템과 반환 가능한 병이 반환되지 않는 용기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맥주 업계는 캔의 압력이 풀리지 않고 금속이 맛을 바꾸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어렵다는 것이 입증된 비반환용기로 가장 먼저 전환했다.[2] 캔을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도입한 회사는 1935년 뉴저지 뉴어크의 고트프리드 크루거 양조 회사였다.[2] 12온스 캔은 유리병보다 훨씬 작고 가벼웠기 때문에 포장이나 운반이 더 용이했다.[2] 하지만 병아리들은 곧 "일방" 병도 팔기 시작했다.[2] 이제 병과 캔은 더 이상 브랜드 로고가 아니라 "보증금 없음, 반품 없음"[3]이라고 적힌 판화가 붙어 있었다. 1950년대 초, 일회용 캔과 병이 포장 판매된 맥주의 30%를 차지했다.[1] 기술의 발전은 일회용 병을 더욱 널리 만들었지만 사회적, 경제적 변화 또한 중요했다.[3] 반환불가 컨테이너로 향하는 추세의 이유는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집에서 술과 오락을 즐기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미국인들의 생활과 오락 습관이 바뀌었기 때문이다.[2] 유리와 알루미늄 산업은 현대 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편의성을 홍보했고 많은 사람들이 이동 중에 마실 음료를 구입하기 시작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코카콜라와 같은 대형 전국 탄산음료 회사의 부상도 반환되지 않는 병과 캔을 사용하는 데 기여했다.[2]
대형 "셀프 서비스" 슈퍼마켓들도 소규모의 지역 상점을 대체하기 시작했다.[2] 이 새로운 지역 및 전국 식료품점들은 수익이 나지 않는 예금 제도를 다루기를 원하지 않았고 바닥과 재고 공간을 차지하였다. 게다가, 병을 예치하고 재사용하는 것은 고객과 가게 주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쇼핑 사고방식과는 맞지 않는 것 같았다.[2]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이르러, 점점 더 많은 소비자들이 반환할 수 없는 병들이 환경을 어지럽히는 것을 보고 환경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전국 고속도로와 해변을 따라 엄청난 수의 병과 깡통을 볼 수 있었다.[3] 탄산음료 업계는 1953년 소비자들에게 1회용 용기를 폐기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 "미국을 아름답게 지켜라" 캠페인을 시작했다.[2] 이 캠페인은 또한 일회용 컨테이너나 설치된 예금을 금지하고 대신 소비자를 교육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을 법제의 관심을 돌리려는 의도도 있었다.[2] 1971년, 오리건 주는 미국에서 병 보증금을 5센트로 부과하는 병 고지서를 시행한 최초의 주가 되었다.[3]
일회용 병과 캔의 부작용은 서빙 크기가 더 컸다. 1회용 병들은 처음에는 비교적 생산 비용이 많이 들었고, 이것은 양이 더 커졌다는 것을 의미했다.[2] 이것은 탄산음료가 많은 양의 설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건강 영향을 가져왔다. 1950년대에는 6-7온스 용기로부터 12온스 병까지 서빙 크기가 증가했는데, 10년 후에는 종종 서빙 크기가 가장 작아 보였다.[2]
민간 및 연방 재활용 프로그램
쓰레기 문제가 명백해지고 있던 1960년대 중반, 린든 존슨 대통령은 "시내 고체 폐기물을 위한 연방 자금 지원"을 주장했고 의회는 반환되지 않는 컨테이너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검토했다.[4] 1976년까지 포장을 금지하거나 세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려는 시도가 천 건이 넘었다.[7] 정치인들은 반환할 수 없는 병과 캔을 모아서 처리하는 데 따른 비용에 대해 걱정했다.[4] 그러나 음료수 용품 업계의 로비스트들은 대부분 이러한 금지와 병 고지서가 매출에 타격을 주고 실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이를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4][7] 대신, 청량음료와 포장 제조업체들은 재활용품을 예치 시스템의 "산업 대안"으로 제시했다.[4] 쓰레기 문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자 코카콜라나 펩시 같은 기업들은 1970년대 초 광고 캠페인(예: "미국을 아름답게 유지하라")에서 재활용 프로그램을 추진했다.[4][7] 그러나 민간 재활용 시책에 대한 공적 지원은 곧 사그라들었고 많은 재활용 공장들은 운영비를 충당할 수 없어 문을 닫아야 했다.[4]
충분한 돈을 벌지 못한 것 외에도 1970년대의 재활용 프로그램은 재활용률이 낮았다. 유리용기의 경우 1972년에 생산된 360억개의 용기 중 9억 1,200만개의 용기만이 재활용 센터로 귀결되었다.[4] 알루미늄 재활용 역시 더 성공적이지 못했다.[4]
재활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 연방정부의 자금후원이 시 재활용 프로그램에 투입되었다.[4] 이 가운데 코카콜라는 의회에 출석해 증언하고 자원보전복구법(RCRA) 등 입법을 주장했다. 이 법은 1967년에 통과되었고 연방 정부의 "지역 자원 재활용 계획"[4]에 대한 더 많은 지원을 허용했다.
1970년대 말까지 쓰레기 매립지 위기와 반환 불가 컨테이너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이 많아졌다.[7][6] 몇몇 주는 오리건 주의 예를 따랐고 예금법을 통과시켰다.[4] 하지만, 음료 업계는 법이 생산자들에게 그들이 생산한 용기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할 것이기 때문에 연석 재활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기를 원했다.[4] 국회의원들이 재활용 정책을 채택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로비스트들은 재활용은 일자리를 빼앗는 것이 아니며 세금으로 지불될 것이라고 주장했다.[4] 커브사이드 재활용 프로그램은 더 널리 퍼졌고 1992년까지 미국 전역에 4,000개 이상의 재활용 프로그램이 있었다.[4]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수익이 나지 않았고 납세자들의 돈을 지원받아야만 했다.[4]
페트병 재활용의 역사
소다병에 PET를 사용하는 것은 1973년 미국의 기계 엔지니어 겸 발명가 나다니엘 와이츠에 의해 처음 특허가 났고, 소다 회사들은 곧 음료수를 포장하기 위해 그것을 사용하기 시작했다.[6] 지난 20여 년 동안 페트병은 유리와 금속을 대체하면서 음료수를 포장하는 가장 흔한 재료가 되었다. 특히 물과 탄산음료가 페트병에 포장되기 시작하고 있었다.[5] PET는 유리나 금속 캔보다 유리하게 만드는 특정 재료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PET는 가볍고 깨지기 어렵다는 것이다.[5] 게다가, PET는 분명하고 "수분 및 산소에 대한 좋은 장벽 특성"[5]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PET는 유리병과 금속 캔을 많은 경우에 대체했고, PET 병은 에너지 드링크, 맥주, 와인, 주스에도 사용되고 있다.[5] 페트병 도입은 재사용 가능한 병이 아닌 '일방향'인 '반환불능 병'으로 바뀐 것이 마지막 단계였다.[6]
페트병이 새로운 병을 만들기 위해 재활용되기 전에, 그것들은 종종 페인트 브러시 칫솔이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다른 용도로 재활용되었다.[6] 오늘날 파타고니아와 같은 많은 회사들이 오래된 페트병으로 옷을 만든다.[6] 처음에는 소비자 후기 PET 병을 새 병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이는 PET가 처음 사용 중이나 회수 중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방법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었기 때문이다.[5] 오염은 음료 자체의 물질이 용기에 흡수될 때 또는 세척제나 화학물질과 같은 안전하지 않은 액체를 보관하기 위해 병을 재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5] 그러나 페트병이 생산되면서 병간 재활용은 점점 더 흔해졌다.[5]
PET 회수기는 플라스틱 병을 조각으로 잘게 채 썬 다음 세척한 다음 새 소다 병이나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사용할 조각이나 펠릿으로 다시 판매한다.[6] 병 대 병 재활용의 경우 미국에서 1991년 처음 시행된 '초청정 재활용 프로세스'를 도입해 병 오염을 제거해야 한다.[5] 이 공정은 "재순환된 PET 플레이크를 처녀 PET 펠릿과 유사한 오염 수준으로 세척해 음료 용기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5]
1990년경, 미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더 많은 페트병을 회수했다. 하지만, 그 이후로 많은 유럽 국가들은 PET 기억의 측면에서 미국을 따라잡거나 앞서고 있다.[5] 2009년에는 655.000톤의 PET 병이 미국에서 회수되었고, 그 중 약 55%가 중국 등 다른 나라로 수출되었다.[5] 특히 서해안의 도시들이 플라스틱을 중국으로 보내는 것이 국내 매립자들에게 보내는 것보다 종종 더 싸다.[6] 2009년 현재 PET 병의 28%가 미국에서 회수되었다.[5] 회수 제도는 연석 수거와 예금제도로 두 가지가 있는데, 2009년 미국에서는 수거병의 26%, 17%를 각각 차지했다.[5] 오늘날, 포장은 여전히 미국의 대부분의 도시 쓰레기들을 구성하고 있다.[7]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Busch, Jane (1987). "Second Time around: A Look at Bottle Reuse". Historical Archaeology. 21 (1): 67–80. doi:10.1007/BF03374080. JSTOR 25615613. S2CID 16035415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Friedel, R. (May 24, 2014). "American Bottles: The Road to No Return". Environmental History. 19 (3): 505–527. doi:10.1093/envhis/emu061. ISSN 1084-5453.
- ^ a b c d e f g h i j Jørgensen, Finn Arne (February 27, 2013). "A Pocket History of Bottle Recycling". The Atlantic. Retrieved October 13, 201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Elmore, Bartow J. (2012). "The American Beverag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Curbside Recycling Programs, 1950–2000". The Business History Review. 86 (3): 477–501. doi:10.1017/S0007680512000785. JSTOR 4172062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Welle, Frank (September 2011). "Twenty years of PET bottle to bottle recycling—An overview".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55 (11): 865–875. doi:10.1016/j.resconrec.2011.04.009. ISSN 0921-3449.
- ^ a b c d e f g h 1957-, Freinkel, Susan (2011). Plastic : a toxic love story. Boston: Houghton Mifflin Harcourt. ISBN 978-0-547-15240-0. OCLC 651911281.
{{cite book}}
: CS1 maint: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a b c d e Jaeger, Andrew Boardman (April 8, 2017). "Forging Hegemony: How Recycling Became a Popular but Inadequate Response to Accumulating Waste". Social Problems. 65 (3): 395–415. doi:10.1093/socpro/spx001. ISSN 0037-7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