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플로그룹 F-M89

Haplogroup F-M89
하플로그룹 F-M89
Haplogroup F (Y-DNA).PNG
가능한 출발 시간57,500–62,500; (Raghavan 2014)[1]
45,000–55,700 BP(Karafet 2008);[2]
43,000–56,800 BP(Hammer & Zegura 2002).[3]
가능한 원산지남아시아[4][5][6][7] 또는 동남아시아[8]
조상CF
후손1차: F1, F2, F3, GHIJK.
돌연변이 정의M89/PF2746, L132.1, M213/P137/Page38, M235/Page80, P14, P133, P134, P135, P136, P138, P139, P140, P141, P142, P145, P146, P148, P149, P151, P157, P158, P159, P160, P161, P163, P166, P187, P316

F-M89로도 알려져 있고 이전에 Happlogroup FT로도 알려져 있는 Happlogroup F는 매우 일반적인 Y-chromosome happlogroup이다. 이 성곽과 그 하위 성곽은 아프리카 바깥의 부성층의 90% 이상을 구성하고 있다.

F-M89를 가진 개별 남성의 대부분은 직계 후손인 Haplogroup GHIJK(F1329/M3658/PF2622/YSC0001299)에 속한다.[9] Happlogroup F에는 GHIJK 외에도 F1(P91/P104), F2(M427/M428), F3(M481)의 세 개의 직계 하위 계층이 있다. 이 세 개는, F* (M89*)와 함께, 파라그룹 F (xGHIJK)를 구성한다. 그것들은 주로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Happlogroup GHIJK는 이어서 G(M201/PF2957)와 HIZK(F929/M578/PF3494/S6397)의 두 직계 자손에 분점한다. HIZK는 차례로 H(L901/M2939)와 IJK(F-L15)로 갈라진다. Happlogroup IJK의 자손은 Clades I, J, K, 그리고, 궁극적으로 Happlogroup K로부터 내려온 몇 개의 주요 Happlogroups, 즉 Happlogroup M, N, O, P, Q, R, S, L, T.

오리진스

SNP M89는 38,700–55,700년 전에 나타났으며, 아마도 남아시아나 동남아시아에서[2][10] 유래되었을[11] 것으로 추정된다 F-M89는 약 43,800–5,800년 전에 아라비아 반도, 레반트 또는 북아프리카에서 처음 등장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도 이전의 연구에서 제시되었다.[3] 또한 이 혈통이 처음으로 팽창하고 유병률로 상승할 수 있는 위치는 인도 아대륙, 또는 그와 가까운 어딘가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의 후예 하위 계층과 하플로그 그룹은 남아시아 및/또는 중동동남부의 인접 지역에서 바깥쪽으로 방사된 것으로 보인다.ia.

Happlogroup F-M89에서 파생된 일부 라인은 선사시대 동안 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역이전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상의 "Back to Africa" 이주와 관련된 F-M89의 하위 표에는 F 하플로그룹 F-M89가 메로이틱, 포스트-메로이틱 [1] J, R1b, T 사이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

분배

F-M89를 운반하는 살아있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GHIJK의 하위 표지에 속해 있다. 이에 비해, 파라그룹 F(xG, H, I, J, K)의 경우 - 기저 F*(M89) 또는 1차 하위그룹 F1(P91; P104), F2(M427; M428) 및 F3(M481)은 세계적으로 상대적으로 드물다.

F(xG, H, I, J, K)

과거에 정밀하고 고해상도 시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F*, F1, F2*, F3*를 별도로 논의하기는 어렵다. ISOGG는 F(xG, H, I, J, K)가 잘 연구되지 않았으며, 남아시아, 특히 스리랑카의 현대 인구와 최고봉에서 자주 발생한다고 밝히고 있다.[9] 그것은 또한 동남아시아에도 오랫동안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잘못 식별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간주되며, 실제로 일부 경우는 잘못 식별된 Happlogroup GHIJK 하위 표지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원래 "F3"로 명명된 하위 표지의 H2(P96)의 경우, 즉, 이후 F-M481로 재지정된 이름이었다.

F(xF1,F2,F3)는 스리랑카 남성의 10%, 인도 전역 남성의 5.2%(남인도 남성의 최대 10% 포함), 파키스탄의 5%, 타망족(네팔), 이란 등의 하위 계층에서 보고됐다.

인도네시아 출신 남성들도 F(xG,H,I,J,K)-특히 F-M89*를 비교적 유의미한 수준으로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술라웨시렘바타에서는 4~5%의 비율로 보고되었다. One study, which did not comprehensively screen for other subclades of F-M89 (including some subclades of GHIJK), found that Indonesian men with the SNP P14/PF2704 (which is equivalent to M89), comprise 1.8% of men in West Timor, 1.5% of Flores 5.4% of Lembata 2.3% of Sulawesi and 0.2% in Sumatra.[12][13] F1(P91), F2(M427), F3(M481; 이전 F5)은 모두 매우 희귀하며 스리랑카, 인도, 네팔, 남중국, 태국, 버마, 베트남의 지역/민족 소수민족에게 사실상 배타적이다.

중앙아시아에서는 F(xG, H, I, J, K)의 사례가 투르크메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출신 개인들에게 보고되고 있다.[14]

쿠타난 외 연구진(2020)은 태국 매홍손성 리수 시료의 50.0%(8/16), 블랙라후 시료의 47.1%(8/17), 6.7%(1/15)에서 F*-M89를 발견했다. 태국 북서부에 있는 F*-M89의 이 로로이쉬어를 사용하는 모든 회원들은 현재 584년 전 그들의 Y-DNA의 TMRCA와 상당히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However, the aforementioned Y-chromosomes are only distantly related to instances of F*-M89 observed in samples of other populations of Thailand, including 5.6% (1/18) of a sample of Phuan from Central Thailand, 11.8% (2/17) of a sample of Soa from Northeast Thailand, and 29% (2/7) of a sample of Saek from Northeast Thailand. 북태국 로로이시 성단의 TMRCA와 중앙태국 푸안 개인의 Y-DNA는 현재까지는 1만2675년으로 추정됐다. 태국 북동부 F*-M89 클러스터의 TMRCA는 현재 6,492년 전으로 추정된다. 태국에서 온 이 모든 F*-M89 개인들의 TMRCA는 현재까지 16,006년 전으로 추정된다.[15]

또한 남아시아에서 이란, 아라비아, 북아프리카로 F(xG, H, I, J, K)의 서향 구석기적 후방 이전을 위한 증거와 함께,[16][17] Haplogroup K의 하위 계층이 남동유럽으로 이주했다는 증거도 있다.[18]

신석기시대 신석기시대부터 서남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이주한 신석기시대 농민들의 첫 물결이 기원전 4000년경부터 유럽 신석기시대 F와 G2a의 유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헤레라 외 연구진(2012년)에 따르면, 이러한 유적은 현대 유럽인보다 "현대 근동의 개인"에게 "유전적 유사성"을 더 많이 보였다.[19] F(xG, H, I, J, K)는 유럽에서 온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즉 약 7000–7,210 BP에 살았고 독일의 데렌부르크 메렌스티그 II 유적지에서 발견된 DEB 20DEB 38로 알려진 사람들일 수 있다.[20]

유럽 신석기시대 유적 가운데 GHIJK의 모든 하위 표지에 대해 검사되지 않은 3건의 덜 확실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I0411 (Troc 4), who lived 7,195–7,080 years BP, was found in the Els Trocs cave, near Bisaurri (modern Spain) – while haplogroups G, I1 (I-M450; I-S247) J, L1b2, Q1b1, Q1a2a, R1a1a1 (R-L449), R1b1a2b1a (R-M35) and T were ruled out,[20] I2a1b1 and R1b1a2 were found in other remains from the same site (Troc 5 and Troc 2). 마찬가지로 헝가리에서 온 3세트의 유해는 GHIJK: BAM 17, BAM 26(둘 다 7850–7,675년 경)과 TOLM 3(7,030–7,230 BP, Tolna-Mös에서 발견)의 모든 하위 표지에 대해 테스트되지 않았다.[20] (동유럽에서 약 37,800년 BP에 살았던 "오아제 1"이라고 학자들에게 알려진 개인은 처음에는 파라그룹 F(xGHIJK)에 속하거나 K 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18]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는 Oase 1이 K2a*에 속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1]

유럽인, 아메리카 원주민 및 태평양 섬주민의 현대 인구 사이에서 보고된 몇몇 사례는 초기 근대(16~19세기) 동안 남부 및/또는 동남아시아와의 접촉의 결과로 인한 F(xG, H, I, J, K)의 이주 및 혼용 때문일 수 있다.[9] 그러한 예는 다음과 같다.

F* (M89*)

바살 F-M89*는 인도 남성의 5.2%에서 보고되었다.[10] 치아로니 외 연구진이 지역적 붕괴를 제공했다. (2009년)[12] : 남인도 10%, 중부인도 8%, 파키스탄 북인도서인도 약 1.0%, 스리랑카 10%, 네팔 타망인 4%, 보르네오자바 2%, 동남아 술라웨시렘바타 4~5%

이란에서는 호르모즈간 주 출신의 반다리 남성의 2.3%가 기저 F-M89를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6]

Happlogorup F*는 테스트된 윈난한족 중 11.67%에서만 발견되었다.[24] 시안(1/34, Kim 2011 (),[24]

하플로그룹 F-M89도 나일강 제4백내장메로섬에서 발굴된 기독교 시대 인물 2명 가운데 북동아프리카에서도 관찰됐다.[25] 초기 상부 구석기시대부터 현재까지 교정된 45,930년에서 42,580년 사이의 바초-키로 동굴 선사시대 개인 F6-620 / AA7-738의 잔해 또한 Y 염색체 하플로그룹 F-M89의 기저 혈통을 지니고 있다.[26]

F1(P91)

이 하위 표지는 SNP P91에 의해 정의된다. 그것은 스리랑카에서 가장 흔하다.[2][27]

F2(M427)

F2 Y크로모솜은 남중국(윤난과 구이저우), 태국, 버마, 베트남 국경지대의 소수민족들, 즉 라후의 하위집단인 이족쿠콩 또는 라후시족("Yellow Lahu") 사이에서 보고되었다.[28]

F3(M481)

새롭게 정의되고 희귀한 하위 표층 F3(M481; 이전 F5)는 인도와 네팔, 타루족안드라프라데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29] F-M481은 이전에 F-M89에 따라"F3"으로 잘못 분류되었던 Happlogroup H2(L279, L281, L284, L285, L286, M282, P96)와 혼동해서는안 된다.

하플로그룹 GIJK

바살 GIJK는 살아있는 수컷이나 고대 유적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

일부 주요 집단을 포함한 하위 집단은 코카서스, 중동, 남아시아, 유럽, 동남아시아, 태평양 제도 및 아메리카 원주민의 현대 인구에서 널리 퍼져 있다.

계통유전학

Y염색체성 계통학에서 하위 표층은 하플로그룹들의 가지들이다. 이러한 하위 표지는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SNP) 또는 고유 사건 다형성(UEP)에 의해 정의되기도 한다.

계통생식수

하플로그룹 F-M89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개의 확정 및 제안된 계통생성 트리가 있다. 과학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2008년[2] 카라펫에서 발행된 Y-크로모솜 컨소시엄(YCC)이다. 신흥 과학을 보여주는 초안 트리는 텍사스 휴스턴의 제노믹 연구 센터에서 토마스 크론이 제공하고 있다. 국제유전계보학회(ISOGG)도 아마추어 나무를 제공한다.

게놈 연구 센터 초안 트리

하플로그룹 F-M89를 위한 제노믹 연구소의 초안 트리는 다음과 같다.([30]하버클라드의 처음 3단계만 보인다.)

  • F-M89 P14, M89, M213, P133, P134, P135, P136, P138, P139, P140, P141, P142, P145, P146, P148, P149, P151, P157, P158, P159, P160, P161, P163, P166, P187, P316, L132.1, L313, L498
    • F-P91 P91, P104
    • F-M427 M427, M428
    • F-P96 P96, M282, L279, L281, L284, L285, L286
      • F-L280 L280
    • G-M201 M201, P257, L116, L154, L204, L240, L269, L402, L605, L769, L770, L836, L837, L1258, U2, U3, U6, U7, U12, U17, U20, U21, U23, U33
    • H-M69 M69, M370, PAGES00049
    • IJK L15, L16

YCC/ISOG 트리

Y-크로모썸 컨소시엄(YCC)이 생산하는 공식 과학나무다. 마지막 주요 업데이트는 2008년이었다.[2] 후속 업데이트는 분기별, 2년마다 실시된다. 현재 버전은 2010 업데이트의 개정판이다.[citation needed]

  • CF
    • F(L132.1, M89/PF2746)
      • F1(P91, P104)
      • F2(M427, M428)
      • F3(M481)
      • 매크로합로그그룹 GHIJK(F1329/M3658/PF2622/YSC0001299).

계통학사

2002년 이전에는, 학술 문헌에 Y-크로모좀 계통의 명명 체계가 적어도 7개 있었다. 이로 인해 상당한 혼란이 초래되었다. 2002년 주요 연구단체들이 모여 Y-크로모썸 컨소시엄(YCC)을 결성했다. 그들은 공동 논문을 발표하여 모두 사용하기로 동의한 하나의 새로운 나무를 만들었다. 이후 인구유전학과 유전적 계보에 관심이 있는 시민과학자 그룹이 워킹그룹을 구성해 무엇보다 시기적절함을 목표로 아마추어 트리를 만들었다. 아래 표는 이 모든 작품들을 랜드마크 2002 YCC 트리의 지점에 모아 놓은 것이다. 이것은 오래된 출판된 문헌을 검토하는 연구자가 명목 사이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YCC 2002/2008(정기) (α) (β) (γ) (δ) (ε) (ζ) (η) YCC 2002(롱핸드) YCC 2005(롱핸드) YCC 2008(롱핸드) YCC 2010r(롱핸드) 아이소그 2006 아이소그 2007 ISOGG 2008 ISOGG 2009 ISOGG 2010 아이소그 2011 ISOG 2012
F-M89 2 VI 1R 20 Eu10 H4 B F* F F F F F F F F F F
F-APT/H-APT 15 VI 1R 20 Eu10 H4 B F1 H2 H2 H2 H2 H2 H2 H2 H2 H2 H2

참고 항목

유전학

백본 트리

참조

  1. ^ F가 C에서 분할된 추정 시간 = 70,000–75,000 BP, G가 HIZK에서 분할된 추정 시간 = 45,000-50,000
  2. ^ a b c d e f Karafet, Tatiana; et al. (2008). "New binary polymorphisms reshape and increase resolution of the human Y chromosomal haplogroup tree". Genome Research. 18 (5): 830–8. doi:10.1101/gr.7172008. PMC 2336805. PMID 18385274.
  3. ^ a b Hammer, M.F.; Zegura, S.L. (2002). "The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tree: Nomenclature and phylogeography of its major divisions".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31: 303–321. doi:10.1146/annurev.anthro.31.040402.085413.
  4. ^ 키비실드 외 2003, 초기 정착민들의 유전적 유산 인도 부족과 카스트 인구 모두에서 지속되다
  5. ^ Sengupta 외 2005, 인도에서 고해상도 Y-크로모솜 분포의 극성과 일시성, 토착적 팽창과 외생적 확장을 모두 식별하고 중앙아시아 목회자들의 사소한 유전적 영향을 밝혀냄
  6. ^ 2006년 상하미트라 사후 외, 인도 Y 염색체의 선사시대: 데미지 확산 시나리오 평가
  7. ^ 아룬쿠마르 외 2012
  8. ^ Hallast, Pille; Agdzhoyan, Anastasia; Balanovsky, Oleg; Xue, Yali; Tyler-Smith, Chris (2020-07-14). "A Southeast Asian origin for present-day non-African human Y chromosomes". Human Genetics. 140 (2): 299–307. doi:10.1007/s00439-020-02204-9. ISSN 1432-1203. PMC 7864842. PMID 32666166.
  9. ^ a b c d ISOG, 2015년, Y-DNA Happlogroup F 및 하위 그룹 2015(2015년 9월 8일)
  10. ^ a b Sengupta, Sanghamitra; et al. (2006). "Polarity and Temporality of High-Resolution Y-Chromosome Distributions in India Identify Both Indigenous and Exogenous Expansions and Reveal Minor Genetic Influence of Central Asian Pastoralists".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78 (2): 202–21. doi:10.1086/499411. PMC 1380230. PMID 16400607.
  11. ^ Hallast, Pille; Agdzhoyan, Anastasia; Balanovsky, Oleg; Xue, Yali; Tyler-Smith, Chris (2020-07-14). "A Southeast Asian origin for present-day non-African human Y chromosomes". Human Genetics. 140 (2): 299–307. doi:10.1007/s00439-020-02204-9. ISSN 1432-1203. PMC 7864842. PMID 32666166.
  12. ^ a b Chiaroni, Jacques; Underhill, Peter A.; Cavalli-Sforza, Luca L. (1 December 2009). "Y chromosome diversity, human expansion, drift, and cultural evolu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6 (48): 20174–9. Bibcode:2009PNAS..10620174C. doi:10.1073/pnas.0910803106. PMC 2787129. PMID 19920170.
  13. ^ Tumonggor, MK; Karafet, TM; Downey, S; Lansing, JS; Norquest, P; Sudoyo, H; Hammer, MF; Cox, MP (2014). "Isolation, contact and social behavior shaped genetic diversity in West Timor". Journal of Human Genetics. 59 (9): 494–503. doi:10.1038/jhg.2014.62. PMC 4521296. PMID 25078354.
  14. ^ 발라레스케 외 (2015), Y-크롬 강하 클러스터남성 차등 생식 성공: 젊은 혈통 확대가 아시아 목회자 유목민들을 지배한다, 보충표 2
  15. ^ 위부 쿠타난, 라스미 슈우콩데지, 메타위 스리쿰몰 등(2020년)은 "문화적 변화는 태국의 흐몽미엔과 중-티베탄 그룹의 부계 및 모계 유전자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유럽 인간 유전학 저널 https://doi.org/10.1038/s41431-020-0693-x
  16. ^ a b Grugni, V; Battaglia, V; Hooshiar Kashani, B; et al. (2012). "Ancient migratory events in the Middle East: new clues from the Y-chromosome variation of modern Iranians". PLOS ONE. 7 (7): e41252. Bibcode:2012PLoSO...741252G. doi:10.1371/journal.pone.0041252. PMC 3399854. PMID 22815981.
  17. ^ Yousif, Hisham; Eltayeb, Muntaser. "Genetic Patterns of Y-chromosome and Mitochondrial DNA Variation, with Implications to the Peopling of the Sudan" (PDF). University of Khartoum. Retrieved 17 July 2016.
  18. ^ a b Qiaomei Fu; Mateja Hajdinjak; Oana Teodora Moldovan; Silviu Constantin; Swapan Mallick; Pontus Skoglund; Nick Patterson; Nadin Rohland; Iosif Lazaridis; Birgit Nickel; Bence Viola; Kay Prüfer; Matthias Meyer; Janet Kelso; David Reich; Svante Pääbo (13 August 2015). "An early modern human from Romania with a recent Neanderthal ancestor". Nature. 524 (7564): 216–219. Bibcode:2015Natur.524..216F. doi:10.1038/nature14558. PMC 4537386. PMID 26098372.
  19. ^ Herrera, KJ; Lowery, RK; Hadden, L; et al. (March 2012). "Neolithic patrilineal signals indicate that the Armenian plateau was repopulated by agriculturalists". Eur. J. Hum. Genet. 20 (3): 313–20. doi:10.1038/ejhg.2011.192. PMC 3286660. PMID 22085901.
  20. ^ a b c 장 만코, 2016년 유럽 신석기 시대의 DNA(2016년 3월 1일)
  21. ^ G. David Poznik 외, 2016, " 세계 Y-크롬 서열 1,244번에서 추론된 인간 남성 인구통계학의 폭발" 네이처 제네틱스 48호, 페이지 593–599.
  22. ^ "Melanesian and Asian Origins of Polynesians: mtDNA and Y Chromosome Gradients Across the Pacif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5-13.
  23. ^ 필립 에드워드 멜튼, 2008년, 치브찬 스피킹 인구의 유전적 역사콜럼비아 디아스포라 이전: 분자 유전적 증거; 미시건 주 앤아버; 프로퀘스트, 페이지 29.
  24. ^ a b 김선희 2011년 국내 Y-크롬 하플로그룹 O2b-SRY465 라인업 고주파수 : 한국인에 대한 유전적 관점
  25. ^ Mohamed, Hisham Yousif Hassan. "Genetic Patterns of Y-chromosome and Mitochondrial DNA Variation, with Implications to the Peopling of the Sudan" (PDF). University of Khartoum. p. 76. Retrieved 22 August 2016.
  26. ^ 하지딘작, M, 마페소니, F, 스코프, L. 외 "유럽의 초기 상위 팔레오인 인간들은 최근 네안데르탈인의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 네이처 592, 253–257(2021). https://doi.org/10.1038/s41586-021-03335-3
  27. ^ "PhyloTree y - Minimal y tree".
  28. ^ Black, M.L.; Wise, C.A.; Wang, W.; Bittles, A.H. (June 2006). "Combining Genetics and Population History in the Study of Ethnic Diversit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uman Biology. 78 (3): 277–293. doi:10.1353/hub.2006.0041. PMID 17216801. S2CID 42002729.
  29. ^ Fornarino, S; Pala, M; Battaglia, V; et al. (2009). "Mitochondrial and Y-chromosome diversity of the Tharus (Nepal): a reservoir of genetic variation". BMC Evol. Biol. 9: 154. doi:10.1186/1471-2148-9-154. PMC 2720951. PMID 19573232.
  30.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5-26. Retrieved 2013-01-06.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