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가설이 아닌 그릿

Grit, not grass hypothesis

풀 가설이 아닌 그릿은 특히 신세계 포유류에서 고관절 치아의 진화를 설명하는 진화 가설이다. 그 가설은 의 섭취가 앞서 생각했던 처럼 풀의 실리카가 풍부한 구성이 아니라, 하이프소돈 치아발육의 일차적인 원동력이라는 것이다.[1]

전통적인 공진화 가설

하이프소돈 치아의 형태학은 좀 더 연마적인 식단에 적합하기 때문에, 하이프소돈티는 초원의 확산과 동시에 진화했다고 생각되었다. 백악기(1억4500만~6600만년 전) 대평원은 백악기 후기부터 팔레오세(6500만~5500만년 전)로 후퇴하기 시작한 서부내륙도로라는 얕은 내륙 바다로 덮여 두터운 해양 퇴적물과 비교적 평탄한 지형을 남겼다. 미오세네 시대와 플리오세 시대(2500만년) 동안 대륙성 기후는 초원의 진화에 유리해졌다. 기존의 숲 생물체는 감소했고 초원은 훨씬 더 널리 퍼졌다. 초원은 포유류에게 새로운 틈새를 제공했는데, 그 중에는 브라우징 식단에서 방목 식단으로 바뀐 많은 유조류도 포함되어 있다. 잔디에는 실리카가 풍부한 식물성 결석(아비스트리아 과립)이 함유되어 있어 치아 조직이 더 빨리 마모된다. 그래서 초원의 확산은 쟁기류에서 고관(하이프소돈) 치아의 발달과 연관되어 있었다.[citation needed]

현대 진화 가설

초기증거

2006년 스트렝베르크는 초원의 확산과 고전적으로 연계되어 있던 북아메리카의 초창기부터 중엽 미오세까지 여러 가지 비정형 라인(예: 낙타류, 정자류, 코뿔소)에서 고관절 광대치(하이프소돈티)의 독자적인 획득을 검토하였다. 그녀는 C3 풀(쿨 시즌 풀)이 지배하는 서식지가 중부 대초원에콰대에 저염소가 출현하기 최소 400만년 전인 초창기 아리카레안(약 2190만년 전)까지 정착했음을 보여주었다.[2] 2008년 멘도자와 팜크비스트는 134종의 아르티오닥틸페리스도닥틸로 구성된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여 하이포도니 개발에 있어 잔디 소비와 열린 서식지 포획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했다. 그 결과는 치아가 대표되는 고관절 치아가 식이요법 선호도가 아닌 특정 먹이 환경에 적합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3]

형태학

또한 포유류의 치아를 검사한 결과, 그것은 개방적이고 땅딸막한 서식지일 뿐 식습관의 변화와 연관된 풀 자체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3][4] 볼리비아의 후기 올리고세 살라 병상에서 나온 하이포도네이트의 치아 마이크로파 패턴을 분석한 결과, 깎는 동작은 반드시 풀이 아닌 질긴 식물이 풍부한 식습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왕관조 포유동물과 화석 기록의 치아 마모 근원의 관계가 간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으로 저염소성 발달과 연계된 남아메리카의 초원의 확산은 의문의 대상이다.[4]

신생 포유류에서 저체온증 발달에 대한 관찰은 다른 집단에서 저체온증 진화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 예를 들어 초식성 공룡의 집단인 하드로사우르스는 저지대 초목에 풀을 뜯고 전자레인지 패턴을 보면 그들의 식단에 그릿이나 실리카와 같은 연마성 물질이 들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풀은 백악기 후기에 의해 진화되었지만 특별히 흔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이 연구는 풀은 아마도 해드로사우르스의 식단에서 주요한 구성요소를 담당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5]

시간 불연속성

가장 중요한 증거는 저당류의 개발이 북미와 남미에서 번성하는 초원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초원은 1000만년 전에 퍼져있었다.[1][4]

하이프소돈티

하이포도티는 화석 기록과 현대 세계에서 모두 관찰된다. 아종급 특화뿐만 아니라 큰 (등가)의 특징이다. 를 들어, 수마트라 코뿔소자바코뿔소는 모두 브라키돈트, 로포돈트 광대 이빨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인도 코뿔소는 하이포톤 치아를 가지고 있다. 포유류는 단독적으로 어금니를 가지고 있거나 틀니가 섞여 있을 수 있다. 하이프소돈 덴티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6][7]

  • 고관치
  • 압착 및 분쇄에 맞게 변형된 거칠고 평평한 외피 표면
  • Gingival 라인 위와 아래 모두 시멘텀
  • 몸 전체 길이를 커버하고 잇몸선을 지나 뻗어나가는 에나멜
  • 시멘텀과 에나멜은 덴틴의 두꺼운 층에 스며든다.

참조

  1. ^ a b Jardine, Phillip E.; Janis, Christine M.; Sahney, Sarda; Benton, Michael J. (2012). "Grit not grass: Concordant patterns of early origin of hypsodonty in Great Plains ungulates and Glire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365–366: 1–10. Bibcode:2012PPP...365....1J. doi:10.1016/j.palaeo.2012.09.001.
  2. ^ Caroline A. E. Strömberg (2006). "Evolution of hypsodonty in equids: testing a hypothesis of adaptation" (PDF). Paleobiology. 32 (2): 236–258. doi:10.1666/0094-8373(2006)32[236:eohiet]2.0.co;2.
  3. ^ a b Mendoza, M.; Palmqvist, P. (February 2008). "Hypsodonty in ungulates: an adaptation for grass consumption or for foraging in open habitat?" (PDF). Journal of Zoology. 274 (2): 134–142. doi:10.1111/j.1469-7998.2007.00365.x.
  4. ^ a b c Billet, Blondel, and Muizon (2009), "Dental microwear analysis of notoungulates (Mammalia) from Salla (Late Oligocene, Bolivia) and discussion on their precocious hypsodonty",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74 (1–2): 114–124, Bibcode:2009PPP...274..114B, doi:10.1016/j.palaeo.2009.01.004{{citation}}: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5. ^ "Hadrosaur chowdown — grind, grind, grind", Associated Press, 2009
  6. ^ Flynn, John J.; Wyss, André R.; Charrier, Reynaldo (May 2007). "South America's Missing Mammals". Scientific American. 296 (5): 68–75. Bibcode:2007SciAm.296e..68F. doi:10.1038/scientificamerican0507-68. PMID 17500416.
  7. ^ Kwan, Paul W.L. (2007). "Digestive system I" (PDF). Tufts University. Retrieved May 2013. {{cite web}}: 날짜 값 확인: accessdate=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