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사일링
Gene silencing유전자 사일런싱은 [1][2]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막기 위해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이다.유전자 침묵은 전사 또는 번역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연구에 [1][2]자주 사용됩니다.특히 유전자를 침묵시키는 방법은 암과 감염성 질병과 신경변성 장애와 같은 다른 질병과 싸우는 치료제를 생산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전자 침묵은 종종 유전자 [3][4]녹다운과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유전자가 침묵할 때, 그들의 [3][4]발현이 감소한다.반면 유전자가 녹아웃되면 유기체의 게놈에서 완전히 지워져 아무런 [3][4]발현도 없다.RNAi, CRISPR, 또는 siRNA와 같은 유전자를 침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유전자의 발현을 최소 70%까지 감소시키지만 제거하지는 않기 때문에 유전자 소음은 유전자 녹다운 메커니즘으로 여겨진다.유전자 사일런싱을 사용하는 방법은 종종 유전자 녹아웃보다 더 나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연구자들이 동물 모델이 살아남기 위해 필요하고 제거될 수 없기 때문이다.게다가, 질병은 일반적으로 [3]발현이 감소된 유전자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질병의 발달에 대한 더 완전한 관점을 제공한다.
종류들
문자 변환
- 게놈 임프린팅
- 매개 변수
- 트랜스포존 소음(또는 히스톤 수정)
- 트랜스젠 소음
- 위치 효과
- RNA지향 DNA메틸화
번역 후
마이오틱스
- 이행
- 무쌍 DNA의 감수성 사일 것
조사 방법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티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1978년 폴 자멕닉과 메리 스티븐슨에 [5]의해 발견되었다.짧은 핵산 조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5][6]세포에 첨가될 때 상보적인 표적 mRNA 분자에 결합합니다.이러한 분자는 단일 가닥 DNA 또는 RNA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3-25개의 뉴클레오티드 [6][7]길이다.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RNase H 의존 메커니즘을 사용하거나 입체 차단 [6][7]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입니다.RNase H 의존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표적 mRNA 분자를 분해하는 반면, 스테릭 블로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mRNA [6][7]분자의 번역을 방해한다.대부분의 안티센스 약물은 RNAase H가 DNA/RNA 헤테로듀플렉스 [6][7][6]발현의 RNA 가닥을 가수분해하는 RNAase H 의존 메커니즘을 통해 기능한다.
리보자임
리보자임은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촉매 RNA 분자이다.이 분자들은 mRNA 분자를 절단함으로써 작동하며, 근본적으로 그것들을 만든 유전자를 침묵시킨다.시드니 알트먼과 토마스 체흐는 1989년에 촉매 RNA 분자, RNase P와 II족 인트론 리보자임을 처음 발견했고 그들의 [8][9]발견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다.망치머리, 머리핀, 간염 델타 바이러스, 그룹 I, 그룹 II 및 RNase P 리보자임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리보자임 모티브가 존재한다.망치머리, 머리핀 및 간염 델타 바이러스(HDV) 리보자임 모티브는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RNA에서 [8]발견됩니다.이러한 모티브는 mRNA [8]분자에서 특정 포스포디에스터 결합을 자가 제거할 수 있습니다.낮은 진핵생물들과 몇몇 박테리아들은 I군과 II군 리보자임을 [8]포함한다.이러한 모티브는 포스포디에스터 [8]결합을 끊고 결합함으로써 자가 분열될 수 있습니다.마지막 리보자임 모티브인 RNase P 리보자임은 대장균에서 발견되며 단백질 보조 [8]인자에 결합할 때 여러 tRNA 전구체의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을 분해하는 능력으로 알려져 있다.
리보자임에 의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촉매 메커니즘은 단백질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에 [10]의해 사용되는 메커니즘과 유사하다.이러한 촉매 RNA 분자는 특정 부위에 결합하고 친핵체 역할을 하는 2' 산소로 RNA 골격의 인접 인산염을 공격하여 2'3' 사이클 인산염과 5' 하이드록시 [10]말단을 가진 분해물을 형성한다.이 촉매 메커니즘은 표적 mRNA 분자의 배열 특이적 분할을 수행하기 위해 과학자들에 의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되어 왔다.게다가,[11]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침묵시키는 유전자 사일런트 치료제를 생산하기 위해 리보자임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RNA 간섭
RNA 간섭(RNAi)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 위해 세포에 의해 사용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이것은 앤드류 파이어와 크레이그 멜로에 의해 1998년에 발견되었는데,[12] 그는 2006년에 그들의 발견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다.유전자를 침묵시키는 과정은 우선 RNAi [12]경로를 촉발하는 이중 가닥 RNA 분자가 세포에 들어가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이중 가닥 분자는 다이서라고 [12]불리는 효소에 의해 작은 이중 가닥 조각으로 절단된다.작은 간섭 RNA(siRNA)와 miRNA(microRNA)를 포함하는 이 작은 조각들은 길이가 [12][13]약 21-23 뉴클레오티드이다.그 조각들은 RNAi [12][13]경로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인 아르고나이트 단백질을 포함하는 RNA 유도 소음 복합체라고 불리는 다중 서브유닛 단백질로 통합된다."가이드"라고 불리는 분자의 한 가닥은 RISC에 결합하는 반면, "승객"으로 알려진 다른 가닥은 [12][13]분해됩니다.RISC에 결합되어 있는 조각의 가이드 또는 안티센스 가닥은 표적 mRNA [13]분자의 배열 특이적 소음화를 지시합니다.유전자는 표적 mRNA 분자의 핵내 분열을 일으키는 siRNA 분자 또는 mRNA [13]분자의 번역을 억제하는 miRNA 분자에 의해 침묵될 수 있다.mRNA 분자의 분할 또는 번역 억제와 함께, 그것들을 형성하는 유전자는 본질적으로 비활성 [12]상태가 된다.RNAi는 RNA 바이러스와 같은 침입자에 대한 세포 방어 메커니즘으로 진화했거나 세포의 DNA [12]안에 있는 트랜스포존의 증식에 대항하기 위해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RNA 바이러스와 트랜스포존은 모두 이중가닥 RNA로 존재할 수 있으며 RNAi의 [12]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현재, siRNA는 특정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유전자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이 어프로치를 이용하고 있는 기업에는 Alnylam, Sanofi,[14] Arrowhead, Discerna,[15] Persomics [16]등이 있습니다.
3개의 주요 미번역 영역과 마이크로RNA
메신저 RNA(mRNA)의 세 가지 주요 미번역 영역(3'UTR)은 종종 전사 후 유전자 침묵을 유발하는 조절 서열을 포함합니다.이러한 3'-UTR은 종종 조절 단백질뿐만 아니라 마이크로RNA(miRNA)에 대한 결합 부위를 모두 포함한다.3'-UTR 내의 특정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특정 miRNA는 RNA 간섭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번역의 억제 또는 직접 전사 분해를 야기함으로써 특정 표적 mRNA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킨다(MicroRNA 참조).또한 3'-UTR은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억제 단백질과 결합하는 소음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3'-UTR에는 종종 microRNA response elements(MRE; 마이크로RNA 응답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MRE는 miRNA가 결합하고 유전자 침묵을 일으키는 배열이다.이것들은 3'-UTR 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모티브이다.3'-UTR(소음기 영역 포함) 내의 모든 규제 모티브 중 MRE는 모티브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2014년 현재, miRNA 염기서열 및 주석의 아카이브인 miRBase [17]웹사이트에는 233종의 생물종이 28,645개의 항목을 열거했다.이 중 1,881개의 miRNA가 인간의 miRNA 위치에 있었으며, miRNA는 각각 평균 약 400개의 표적 mRNA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수백개의 [18]유전자의 유전자 침묵을 유발함).Freidman et al.[18]은 인간의 mRNA 3'UTR 내에서 45,000개 이상의 miRNA 표적 부위가 백그라운드 수준 이상으로 보존되고 있으며, 인간 단백질 코드 유전자의 60% 이상이 miRNA와의 쌍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적 압력을 받고 있다고 추정했다.
직접 실험에 따르면 단일 miRNA가 수백 [19]개의 고유한 mRNA의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다른 실험들은 단일 miRNA가 수백 개의 단백질 생성을 억제할 수 있지만, 이러한 억제 효과는 종종 비교적 경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20][21]
miRNA 유전자 발현 조절 장애의 영향은 [22]암에서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예를 들어, 위장암에서 9개의 miRNA는 후생적으로 변화하고 DNA 복구 [23]효소의 하향 조절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miRNA 유전자 발현 조절 장애의 영향은 정신 분열증, 조울증, 주요 우울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폐 스펙트럼 [24][25][26]장애와 같은 신경 정신 질환에서도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적용들
의학 연구
유전자 소음 기술은 장애와 관련된 유전자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어 왔다.이러한 장애에는 암, 전염병, 호흡기 질환, 신경변성 질환 등이 포함된다.유전자 사일런싱은 또한 현재 합성 치사율, 높은 처리량 선별, 소형화된 RNAi 스크리닝과 같은 약물 발견 노력에 사용되고 있다.
암
RNA 간섭은 몇몇 암과 관련된 유전자를 침묵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만성 골수성 백혈병에 대한 시험관내 연구(CML)에서 siRNA는 결합 단백질인 BCR-ABL을 절단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약물 글리벡(이미티닙)이 암세포에 [27]결합하는 것을 막는다.융합단백질을 절단하면 [27]약물에 대한 세포의 민감도를 높여 몸 전체로 퍼지는 변형된 조혈세포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RNA 간섭은 특정 돌연변이를 목표로 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siRNA는 단일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종양 억제제 p53 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파괴할 수 있었고, 야생형 억제제는 그대로 [28]두었다.
거기서 암세포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승모판 생성 경로에 관여하는 수용체 또한 siRNA 분자의 표적이 되었다.유방암 증식과 관련된 케모카인 수용체 케모카인 수용체 4(CXCR4)는 암세포에 [29]의해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분열의 수를 감소시키는 siRNA 분자에 의해 절단되었다.연구자들은 또한 암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siRNA를 사용했다.클러스터인이나 서바이빈과 같은 항아포토시스 단백질은 종종 [30][31]암세포에서 발현된다.항아포토시스 단백질의 수를 감소시켜 화학요법에 [30][31]대한 암세포의 민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클러스터인과 생존자 표적 siRNA를 사용하였다.생체 내 연구 또한 암 치료에서 siRNA 분자의 잠재적 사용을 연구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대장 선암 세포를 이식한 쥐는 암세포의 [32]B-카테닌을 표적으로 하는 siRNA로 세포를 전처리했을 때 더 오래 생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염병
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전자와 숙주 유전자는 바이러스가 복제하거나 세포로 들어가는데 필요하거나 바이러스의 수명 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종종 항바이러스 요법의 표적이 된다.RNAi는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IV)[33][34]와 간염과 같은 여러 바이러스성 질환의 유전자를 목표로 사용되었습니다.특히, siRNA는 1차 HIV 수용체 케모카인 수용체 5(CCR5)[35]를 침묵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이는 바이러스가 인간 말초혈액 림프구와 1차 조혈모세포로 [35][36]들어가는 것을 막았다.B형 간염과 C형 간염에 감염된 세포에서 검출 가능한 바이러스의 양을 줄이기 위해 유사한 기술이 사용되었습니다.B형 간염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을 대상으로 siRNA 사일런싱이 사용되었고, 바이러스 [37]성분의 수가 감소하였다.또한 C형 간염에 사용된 siRNA 기술은 세포 내 바이러스의 양을 98%[38][39]까지 낮출 수 있었다.
RNA 간섭은 20년 이상 식물의 바이러스 질환을 제어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식물병 내성 참조).RNAi가 [40]발견되기 전인 1986-1990년에 식물 바이러스에 대한 "피복 단백질 매개 저항성"의 여러 예가 발표되었다.1993년, 담배 식각 바이러스의 연구는 숙주 유기체가 특정 바이러스나 mRNA 염기서열을 분해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했고, 이 활동은 유전자 변형 [41][42]식물에서 바이러스 저항성의 일부 예 뒤에 있는 메커니즘이라는 것을 증명했다.작은 간섭 RNA(RNA 매개 유전자 사일링의 특이성 결정인자)의 발견도 식물의 [43]바이러스 유도 전사 후 유전자 사일링을 이용했다.1994년까지 세 가지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 유전자를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스쿼시 변종이 개발되어 현재 상용화된 현장에서 검증된 멀티바이러스 내성을 가진 스쿼시 하이브리드가 제공되었습니다.감자 잎말이에 내성을 부여하는 바이러스 복제효소 서열을 나타내는 감자 라인은 NewLeaf Y와 NewLeaf Plus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었으며, 1999-2001년 맥도날드가 GM 감자를 구매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몬산토가 네이처마크 감자 사업을 [44]폐쇄할 때까지 상업 생산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유전자 사일링에 의해 매개되는 바이러스 저항성의 또 다른 예는 하와이 파파야 산업이 [45]대기업이 아닌 대학 연구자들에 의해 생산되고 허가된 바이러스 내성 GM 파파야로 구조된 파파야이다.이러한 파파야는 유전자 침묵의 의학적인 사용에서 두드러지게 덜 분명한 대중의 [46][47]항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유전자 소음 기술은 또한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그리고 툴레인 바이러스와 같은 다른 바이러스들을 목표로 사용되었습니다.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환자로부터 추출된 종양 샘플의 E6 유전자가 대상이었고 감염된 [48]세포에서 아포토시스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표적에 사용되는 플라스미드 siRNA 발현 벡터도 세포주 [49]내 바이러스의 복제를 막을 수 있었다.또 siRNA는 구조유전자와 [50]비구조유전자를 모두 겨냥해 바이러스 계열인 튤레인 바이러스의 복제를 막는 데 성공했다.NTPase 유전자를 대상으로 한 siRNA 4시간 전 감염 1회 분량은 감염 후 48시간 동안 Tulane 바이러스 복제를 제어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최대 2.6 [50]로그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툴레인 바이러스는 종에 따라 다르며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미국에서 [51]급성 위장염과 식인성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인 인간 노로바이러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인간 노로바이러스는 실험실에서 연구하기 어려운 것으로 악명이 높지만, 툴레인 바이러스는 인간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하는 임상 목표를 위해 이 바이러스군을 연구하는 모델을 제공한다.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달리 박테리아는 siRNA에 [52]의한 소음에 민감하지 않다.이것은 주로 박테리아가 어떻게 복제하는지에 기인한다.박테리아는 숙주 세포 외부에서 복제되며 RNAi가 [52]기능하는 데 필요한 기구를 포함하지 않습니다.그러나 세균 감염은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숙주 유전자를 목표로 하거나 세균의 [52][53]세포 진입을 매개하는 숙주 유전자를 목표로 함으로써 여전히 억제될 수 있다.예를 들어, siRNA는 리포다당류(LPS)[52][54]로 처리된 생쥐의 세포에서 발현되는 소염성 사이토카인의 양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었다.염증성 사이토카인 종양괴사인자α(TNFα)의 발현 감소는 LPS 치료 [54]생쥐가 느끼는 패혈성 쇼크의 감소를 야기했다.또한 caveolin-2([55]CAV2) 유전자를 쓰러뜨림으로써 siRNA를 이용하여 쥐 폐상피세포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였다.따라서 박테리아는 siRNA 메커니즘에 의해 직접 표적이 될 수 없지만, 세균 감염에 관련된 성분이 표적이 될 경우 여전히 siRNA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호흡기 질환
리보자임,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그리고 최근에는 RNAi가 [53][56]천식에 관련된 mRNA 분자를 목표로 사용되었습니다.이 실험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과 낭포성 섬유증 [53]같은 다른 호흡기 질환과 싸우기 위해 siRNA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COPD는 고블렛 세포과형성과 [57]점액과분비를 특징으로 한다.NCI-H292 인체 기도 상피세포에서 [58]TGF(Transforming Growth Factor)-α가 siRNA에 의해 표적화되었을 때 점액 분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점액 과다 분비 외에도 만성 염증과 손상된 폐 조직이 COPD와 천식의 특징이다.변환성장인자 TGF-β는 이러한 [59][60]증상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그 결과 인터페론(IFN)-γ를 사용하여 TGF-β를 쓰러뜨렸을 때 폐조직 손상 및 흉터로 인한 폐섬유화가 [61][62]개선되었다.
신경변성 장애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CAG [63]반복의 과잉을 일으키는 헌팅틴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다.그리고 나서 그 유전자는 아미노 [64]말단 근처에서 폴리글루타민 반복과 함께 돌연변이된 헌팅틴 단백질을 형성한다.이 질병은 치료 불능이며 운동,[65] 인지, 행동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연구자들은 유전자 침묵을 HD의 잠재적 치료제로 생각해 왔다.
유전자 사일런싱은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 HD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은 대립 유전자에 특정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유전자 사일런싱을 통해 표적이 되었다.이 방법에서는 HD환자가 돌연변이 헌팅틴 대립 유전자와 관련된 공통 SNP를 공유하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DNA 배열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변화인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SNPs)을 목표로 한다.HD 환자의 약 85%가 SNP 3개를 대상으로 할 때 커버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또한 생쥐에서 HD 관련 SNP를 대상으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했을 때 돌연변이 헌팅틴 [63]단백질이 50% 감소하였다.
siRNA 분자를 이용한 비알레르 특이 유전자 사일링도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을 침묵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이 접근방식을 통해 돌연변이 단백질의 SNP를 표적화하는 대신 정상 및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을 표적화한다.쥐를 대상으로 연구했을 때, siRNA는 정상 및 돌연변이 헌팅틴 수치를 75%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이 수준에서,[63] 그들은 쥐들이 대조군에 비해 향상된 운동 제어와 더 긴 생존율을 개발했다는 것을 발견했다.따라서 유전자 소음 방법은 HD 치료에 유익할 수 있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루게릭병이라고도 불리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은 뇌와 척수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 뉴런 질환이다.이 질병은 운동 뉴런을 퇴화시키고, 이는 결국 뉴런의 죽음과 근육 [66]퇴화로 이어진다.Cu/Zn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1) 유전자의 수백 개의 돌연변이가 [67]ALS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유전자 사일런싱은 [67][68]ALS의 특징인 SOD1 돌연변이를 쓰러뜨리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구체적으로, siRNA 분자는 SOD1 돌연변이 유전자를 표적화하고 대립 유전자 특이적 사일런싱을 [67][69]통해 그 발현을 감소시키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치료상의 과제
표적 세포의 전달과 특이성을 포함하여 유전자 소음 치료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신경변성장애의 치료를 위해서는 유전자 사일런트 요법을 위한 분자가 뇌에 전달되어야 한다.혈액-뇌 장벽은 혈액에 [63][64]주입되거나 흡수되는 대부분의 분자의 통과를 막음으로써 혈류를 통해 뇌로 분자를 전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따라서,[63] 연구원들은 그들이 직접 분자나 그것들을 뇌로 밀어넣는 이식 펌프들을 주입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일단 뇌 안에 들어가면, 분자는 표적 세포 안에서 움직여야 한다.세포 내에 siRNA 분자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바이러스 벡터를 [63][65]사용할 수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전달 방법도 문제가 될 수 있다.분만 외에도 특이성은 유전자 소음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siRNA 분자 모두 잠재적으로 잘못된 mRNA [63]분자에 결합할 수 있다.따라서, 연구자들은 여전히 안전하고 효과적인 특정 유전자 사일런트 치료제를 전달하고 개발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
음식.
북극 사과는 폴리페놀 산화효소(PPO)의 발현을 줄이기 위해 유전자 사일링을 사용하여 생성된 비브라우징 특성을 포함하는 상표권[70] 사과 세트입니다.이것은 [71]이 기술을 사용한 최초의 승인된 식품이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Redberry, Grace (2006). Gene silencing : new research.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ISBN 9781594548321.
- ^ a b "Gene Silencing".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Retrieved 11 November 2013.
- ^ a b c d Hood E (March 2004). "RNAi: What's all the noise about gene silencing?".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2 (4): A224–9. doi:10.1289/ehp.112-a224. PMC 1241909. PMID 15033605.
- ^ a b c Mocellin S, Provenzano M (November 2004). "RNA interference: learning gene knock-down from cell physiology".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2 (1): 39. doi:10.1186/1479-5876-2-39. PMC 534783. PMID 15555080.
- ^ a b Kole R, Krainer AR, Altman S (February 2012). "RNA therapeutics: beyond RNA interference and antisense oligonucleotides".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11 (2): 125–40. doi:10.1038/nrd3625. PMC 4743652. PMID 22262036.
- ^ a b c d e f Dias N, Stein CA (March 2002). "Antisense oligonucleotides: basic concepts and mechanisms".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1 (5): 347–55. PMID 12489851.
- ^ a b c d Kurreck J (March 2004). "Antisense and RNA interference approaches to target validation in pain research". Current Opinion in Drug Discovery & Development. 7 (2): 179–87. PMID 15603251.
- ^ a b c d e f Phylactou, L. (1 September 1998). "Ribozymes as therapeutic tools for genetic disease". Human Molecular Genetics. 7 (10): 1649–1653. doi:10.1093/hmg/7.10.1649. PMID 9735387.
- ^ Shampo MA, Kyle RA, Steensma DP (October 2012). "Sidney Altman--Nobel laureate for work with RNA". Mayo Clinic Proceedings. 87 (10): e73. doi:10.1016/j.mayocp.2012.01.022. PMC 3498233. PMID 23036683.
- ^ a b Doherty EA, Doudna JA (1 June 2001). "Ribozyme structures and mechanisms". Annual Review of Biophysics and Biomolecular Structure. 30 (1): 457–75. doi:10.1146/annurev.biophys.30.1.457. PMID 11441810.
- ^ Tollefsbol, Trygve O., ed. (2007). Biological aging methods and protocols. Totowa, N.J.: Humana Press. ISBN 9781597453615.
- ^ a b c d e f g h i "RNA Interference Fact Shee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5, 2013. Retrieved 24 November 2013.
- ^ a b c d e Wilson RC, Doudna JA (2013). "Molecular mechanisms of RNA interference". Annual Review of Biophysics. 42: 217–39. doi:10.1146/annurev-biophys-083012-130404. PMC 5895182. PMID 23654304.
- ^ "Big Pharma's Turn On RNAi Shows That New Technologies Don't Guarantee R&D Success". Forbes. Retrieved 2015-10-11.
- ^ "The Second Coming of RNAi The Scientist Magazine®". The Scientist. Retrieved 2015-10-11.
- ^ "Products Persomics". www.persomics.com. Retrieved 2015-10-11.
- ^ miRBase.org
- ^ a b Friedman RC, Farh KK, Burge CB, Bartel DP (January 2009). "Most mammalian mRNAs are conserved targets of microRNAs". Genome Research. 19 (1): 92–105. doi:10.1101/gr.082701.108. PMC 2612969. PMID 18955434.
- ^ Lim LP, Lau NC, Garrett-Engele P, Grimson A, Schelter JM, Castle J, Bartel DP, Linsley PS, Johnson JM (February 2005). "Microarray analysis shows that some microRNAs downregulate large numbers of target mRNAs". Nature. 433 (7027): 769–73. Bibcode:2005Natur.433..769L. doi:10.1038/nature03315. PMID 15685193. S2CID 4430576.
- ^ Selbach M, Schwanhäusser B, Thierfelder N, Fang Z, Khanin R, Rajewsky N (September 2008). "Widespread changes in protein synthesis induced by microRNAs". Nature. 455 (7209): 58–63. Bibcode:2008Natur.455...58S. doi:10.1038/nature07228. PMID 18668040. S2CID 4429008.
- ^ Baek D, Villén J, Shin C, Camargo FD, Gygi SP, Bartel DP (September 2008). "The impact of microRNAs on protein output". Nature. 455 (7209): 64–71. Bibcode:2008Natur.455...64B. doi:10.1038/nature07242. PMC 2745094. PMID 18668037.
- ^ Palmero EI, de Campos SG, Campos M, de Souza NC, Guerreiro ID, Carvalho AL, Marques MM (July 2011). "Mechanisms and role of microRNA deregulation in cancer onset and progression".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34 (3): 363–70. doi:10.1590/S1415-47572011000300001. PMC 3168173. PMID 21931505.
- ^ Bernstein C, Bernstein H (May 2015). "Epigenetic reduction of DNA repair in progression to gastrointestinal cancer". World Journal of Gastrointestinal Oncology. 7 (5): 30–46. doi:10.4251/wjgo.v7.i5.30. PMC 4434036. PMID 25987950.
- ^ Maffioletti E, Tardito D, Gennarelli M, Bocchio-Chiavetto L (2014). "Micro spies from the brain to the periphery: new clues from studies on microRNAs in neuropsychiatric disorders". Frontiers in Cellular Neuroscience. 8: 75. doi:10.3389/fncel.2014.00075. PMC 3949217. PMID 24653674.
- ^ Mellios N, Sur M (2012). "The Emerging Role of microRNAs in Schizophren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Frontiers in Psychiatry. 3: 39. doi:10.3389/fpsyt.2012.00039. PMC 3336189. PMID 22539927.
- ^ Geaghan M, Cairns MJ (August 2015). "MicroRNA and Posttranscriptional Dysregulation in Psychiatry". Biological Psychiatry. 78 (4): 231–9. doi:10.1016/j.biopsych.2014.12.009. PMID 25636176. S2CID 5730697.
- ^ a b Chen J, Wall NR, Kocher K, Duclos N, Fabbro D, Neuberg D, Griffin JD, Shi Y, Gilliland DG (June 2004). "Stable expression of small interfering RNA sensitizes TEL-PDGFbetaR to inhibition with imatinib or rapamycin".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3 (12): 1784–91. doi:10.1172/JCI20673. PMC 420507. PMID 15199413.
- ^ Martinez LA, Naguibneva I, Lehrmann H, Vervisch A, Tchénio T, Lozano G, Harel-Bellan A (November 2002). "Synthetic small inhibiting RNAs: efficient tools to inactivate oncogenic mutations and restore p53 pathway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9 (23): 14849–54. Bibcode:2002PNAS...9914849M. doi:10.1073/pnas.222406899. PMC 137507. PMID 12403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