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다카시아

Gandakasia
간다카시아
시간 범위: 47.8~41.2 Ma O N Lutetian
[1]
과학적 분류 edit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클래스: 젖꼭지
주문: 아티오닥틸라속
인프라스트럭처: 고래목
패밀리: 앰보세티스과
속: 간다카시아
Dehm & Oetten-Spielberg, 1958년
종류:
② G. 포텐스
이항명
간다카시아 포텐스
Dehm & Oetten-Spielberg, 1958년[2]

간다카시아에오세 시대에 살았던 파키스탄에서 멸종구급세티드의 한 속이다.그것은 아마도 강이나 개울 근처에서 먹이를 잡았을 것이다.

히말라야세투스마찬가지로 간다카시아는 하나의 턱 조각으로만 알려져 있어 다른 구급동물과 비교하기 어렵다.[3]

최초로 묘사된 구급세티드인 간다카시아는 처음에는 고래류로 [4]인식되지 않았다.

간다카시아는 아마도 파키세티드[3]비슷한 민물 틈새에 살았을 것이다.

레퍼런스

  1. ^ Thewissen, J. G. M., ed. (1998). The Emergence of Whales. doi:10.1007/978-1-4899-0159-0. ISBN 978-1-4899-0161-3. S2CID 30660655.
  2. ^ Dehm, R.; Oettingen-Spielberg, T. (1958). Die mitteleocänen Säugetiere von Ganda Kas bei Basal in Nordwest-Pakistan [The Middle Eocene mammals of Ganda Kas near Basal in northwestern Pakistan] (in German).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3. ^ a b Cooper, Lisa Noelle; Thewissen, J. G.M.; Hussain, S. T. (2009). "New middle Eocene archaeocetes (Cetacea: Mammalia) from the Kuldana Formation of northern Pakistan".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9 (4): 1289–1299. doi:10.1671/039.029.0423. S2CID 84127292.
  4. ^ Ando, Konami; Fujiwara, Shin‐Ichi (2016). "Farewell to life on land – thoracic strength as a new indicator to determine paleoecology in secondary aquatic mammals". Journal of Anatomy. 229 (6): 768–777. doi:10.1111/joa.12518. PMC 5108153. PMID 27396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