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우치 감마

Gamma Ophiuchi
γ 오피우치
Ophiuchus IAU.svg
Red circle.svg
γ 오피우치(순환)의 위치
관측 데이터
신기루 J2000.0 이쿼녹스 J2000.0
별자리 오푸치우스
우측 상승 17h 47m 53.55973s[1]
탈위임 +02° 42′ 26.2000″[1]
겉보기 크기 (V) +3.753[2]
특성.
스펙트럼형 A0 V 또는[3] A1VnkA0mA0[4]
U-B색지수 +0.040[2]
B-V색지수 +0.033[2]
아스트로메트리
방사 속도 (Rv)-7.6±0.3km[5]/s
고유 운동 (μ) RA: −24.64[1]mas/yr
Dec.: −74.42[1]mas/yr
시차 (π)31.73 ± 0.21[1] 마스
거리102.8 ± 0.7 리
(31.5 ± 0.2 pc)
절대치수 (MV)+1.26[5]
세부 사항
미사2.9[3] M
반지름1.8[6] R
루미도29[3] L
표면 중력 (log g)4.03[4] cgs
온도9,506[3] K
회전 속도 (v sin i)220km[7]/s
나이184+93
−134
[7] 마이어
기타 지정
멀리펀[8], γ 오프, 62 오피우치, 62 오피우치, BD+19° 3564, FK5 668, GC 24162, HD 161868, HIP 87108, HR 6771, SAO 122754[9]
데이터베이스 참조
심바드자료

오피우치자리(Ophiuchi)에서 라틴어로 표기된 감마 오피우치오피우치자리에 있는 규모 4의 별이다.오피우치 베타(Beta Ophiuchi)와 함께 뱀주인 오른쪽 어깨를 형성한다.[10]항성은 육안으로 볼 수 있으며, 가시 크기는 +3.75이다.[2]지구에서 볼 수 있는 연간 시차 변화량 31.73 mas를 바탕으로 태양으로부터 103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그것은 -7.6 km/s의 반지름 속도로 태양 가까이 이동하고 있다.[5]

적어도 이 이름을 가진 별 두 개가 더 알려져 있지만,[8][11] 뮬리펀으로도 알려져 있다: 감마 카니스 마조리스(흔히 뮬리핀으로 표기됨)와 감마 센타우리(흔히 무흘리핀으로 표기됨).[11]

이것은 A0 V의 별 분류를 가진 A형 주계열성이다.[3]그레이 외(2003) A1VnkA0mA0의 분류 목록에는 A0 항성의 칼슘 K선과 금속선이 있는 A1 V형임을 나타낸다.[4]약 1억[7] 8천 8백만 년 전의 것으로, 220 km/s의 예상 회전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7]오피우치 감마는 태양 질량의 거의 3배, 태양 반지름의 1.8배를 가지고 있다.[6] 별은 유효온도 9506K로 외부 대기에서 방출되고 있는 태양의 29배[3] 밝기로 빛난다.[3]그것은 과도한 적외선 방출로 주성으로부터 64AU의 궤도 반지름에 있는 먼지 입자 원반이 존재함을 암시하고 있다.[3]

참조

  1. ^ a b c d e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2. ^ a b c d Cousins, A. W. J. (1984), "Standardisation of broad band photometry of equatorial standards", South Africa Astronomical Observatory Circular, 8: 59–67, Bibcode:1984SAAOC...8...59C.
  3. ^ a b c d e f g h Wyatt, M. C.; et al. (July 2007), "Steady State Evolution of Debris Disks around A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663 (1): 365–382, arXiv:astro-ph/0703608, Bibcode:2007ApJ...663..365W, doi:10.1086/518404, S2CID 18883195
  4. ^ a b c Gray, R. O.; Corbally, C. J.; Garrison, R. F.; McFadden, M. T.; Bubar, E. J.; McGahee, C. E.; O'Donoghue, A. A.; Knox, E. R. (2006). "Contributions to the Nearby Stars (NStars) Project: Spectroscopy of Stars Earlier than M0 within 40 pc--The Southern Sample". The Astronomical Journal. 132 (1): 161–170. arXiv:astro-ph/0603770. Bibcode:2006AJ....132..161G. doi:10.1086/504637. S2CID 119476992.
  5. ^ a b c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S2CID 119257644.
  6. ^ a b Malagnini, M. L.; Morossi, C. (November 1990), "Accurate absolute luminosities, effective temperatures, radii, masses and surface gravities for a selected sample of field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85 (3): 1015–1019, Bibcode:1990A&AS...85.1015M
  7. ^ a b c d Song, Inseok; et al. (February 2001), "Ages of A-Type Vega-like Stars from uvbyβ Photometry", The Astrophysical Journal, 546 (1): 352–357, arXiv:astro-ph/0010102, Bibcode:2001ApJ...546..352S, doi:10.1086/318269, S2CID 18154947
  8. ^ a b Hinckley Allen, Richard. "LacusCurtius • Allen's Star Names — Ophiuchus". Retrieved 2017-01-03.
  9. ^ "* gam Oph".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007-01-20.
  10. ^ Ridpath, Ian (June 28, 2018), Star Tales, Lutterworth Press, p. 189, ISBN 9780718847821.
  11. ^ a b Kaler, Jim. "Muliphen". Retrieved 2017-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