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4 국가
G4 nations형성 | 2005 |
---|---|
유형 | 정치 협력 동맹 |
목적 | 안보리의 개혁 |
본사 | 국제 연합 |
회원가입 | 브라질 독일. 인도 일본. |
리더스 |
브라질, 독일, 인도, 일본으로 구성된 G4 국가들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위한 서로의 노력을 지지하는 4개국이다.공통분모가 경제와 장기적인 정치적 동기인 G7과 달리 G4의 주요 목표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다.이들 4개국은 각각 유엔 창설 이후 선출된 비상임이사국 중 하나로 꼽혀왔다.이들의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은 지난 수십 년간 크게 성장해 상임이사국과 견줄 수 있는 범위에 도달했다(P5).그러나 G4의 제안은 종종 컨센서스 연합 운동, 특히 그들의 경제적 경쟁자나 정치적 [2]경쟁자들에 의해 반대된다.
배경
유엔은 현재 안보리에서 거부권을 가진 5개 상임이사국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 –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들로 구성되어 있다.G4 국가들은 1987년부터 2010년까지 24년간 브라질과 일본이 각각 5선, 독일이 4선(서독 1선, 통일독일 3선), 인도가 4선 [3]등 각 지역 그룹에 의해 비상임이사국으로 정기적으로 선출된다.G4는 유엔 출범 이후 64년간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활동해 왔으며 각국은 [4]최소 10년간 활동해 왔다.
G4와 P5 국가 비교 | |||||||||||||
---|---|---|---|---|---|---|---|---|---|---|---|---|---|
국가 데이터 | 브라 | 채널 | FRA | 데루 | IND | 일본어 | RUS | GBR | 미국 | ||||
G4 국가 또는 P5 국가 | G4 | P5 | P5 | G4 | G4 | G4 | P5 | P5 | P5 | ||||
인구. | 2.7% 다섯 번째 | 17.9% 첫 번째 | 0.9% 22일 | 1.1% 17일 | 17.5% 두 번째 | 1.6% 11번째 | 1.9% 아홉 번째 | 0.9% 21일 | 4.2% 세 번째 | ||||
영역 | 8515 767 km2 다섯 번째 | 9 596 961 km2 넷째 | 640 679 km2 42번째 | 357 114 km2 62번째 | 3 287 263 km2 일곱 번째 | 377973km2 61번째 | 17098 246km2 첫 번째 | 242 495 km2 78번째 | 9833 517 km2 세 번째 | ||||
GDP(PPP)(미화 1조 달러) | $3.44 여덟 번째 | $27.07 첫 번째 | $3.32 아홉 번째 | $4.47 다섯 번째 | $11.25 세 번째 | $5.63 넷째 | $4.45 여섯 번째 | $3.28 10번째 | $22.94 두 번째 | ||||
GDP(공칭)(미화 1조 달러) | $1.445 12일 | $14.723 두 번째 | $2.603 일곱 번째 | $3.806 넷째 | $3.29 다섯 번째 | $5.065 세 번째 | $1.483 11번째 | $3.12 여섯 번째 | $22.675 첫 번째 | ||||
유엔의 자금 지원1 | 2.95% 여덟 번째 | 12.01% 두 번째 | 4.43% 여섯 번째 | 6.09% 넷째 | 0.83% 21일 | 8.56% 세 번째 | 2.41% 10번째 | 4.57% 다섯 번째 | 22.00% 첫 번째 | ||||
유엔 평화 유지 기금2 | 0.59% 19일 | 15.22% 두 번째 | 5.61% 여섯 번째 | 6.09% 넷째 | 0.17% 38번째 | 8.56% 세 번째 | 3.04% 여덟 번째 | 5.79% 다섯 번째 | 27.89% 첫 번째 | ||||
국제 연합 평화 유지군 | 282 47번째 | 2,531 아홉 번째 | 706 30일 | 504 37번째 | 5,353 다섯 번째 | 6 105번째 | 70 칠십 번째 | 279 48번째 | 33 78번째 | ||||
국방 예산 (10억달러) | $19.7 15일 | $252.0 두 번째 | $52.7 여덟 번째 | $52.8 일곱 번째 | $76.2 세 번째 | $49.1 아홉 번째 | $61.7 넷째 | $59.2 다섯 번째 | $778.0 첫 번째 | ||||
밀리터리(액티브) | 366,500 13일 | 2,185,000 첫 번째 | 203,250 22일 | 183,500 27일 | 1,455,550 두 번째 | 247,150 18일 | 1,014,000 다섯 번째 | 148,500 제34회 | 1,388,100 세 번째 | ||||
군사(예비) | 1,340,000 넷째 | 510,000 아홉 번째 | 36,300 50번째 | 28,250 53번째 | 1,155,000 다섯 번째 | 56,000 41번째 | 2,000,000 두 번째 | 80,000 제35회 | 844,950 일곱 번째 | ||||
액티브 스페이스 프로그램 | |||||||||||||
헬리콥터 수송 프로젝트 | |||||||||||||
항공모함 프로젝트 | |||||||||||||
핵잠수함 프로젝트 | |||||||||||||
능동형 핵무기 | 3 | ||||||||||||
1유엔 평화유지 독일을 위한 연간 유엔 예산 분담금 분담은 나토 핵무기 공유 협정에 참여한다. |
의견들
지지하다
영국과 프랑스는 G4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했다.일본은 미국과[6] [7]영국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P5 상임이사국 모두 인도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해 왔지만 중국은 인도가 일본과 [8][9][10][11]협력하지 않을 경우에만 인도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할 준비가 돼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미국은 [12]거부권은 없지만 브라질에 회원국을 지지할 용의가 있다는 강력한 징후를 보냈다.외교위원회는 미국 정부가 브라질이 안보리 [13]상임이사국으로 편입되는 것을 전적으로 지지할 것을 권고했다.브라질은 현재 상임이사국 중 3개국, [18][15]즉 프랑스,[14][15][16][17] 러시아, 영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중국과 러시아는 2019년 브릭스 정상회의 최종 문서에서 포괄적인 안보리 개혁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브라질과 인도가 보다 관련 있는 유엔의 역할에 [19]대한 열망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2020년 1월 뉴델리에서 열린 라이지나 대화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밝힌 것처럼 안보리의 주요 결점은 개발도상국의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우리는 인도와 브라질이 아프리카 후보와 함께 이사회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는 우리의 입장을 거듭 강조합니다.우리의 입장은 개도국이 유엔의 중앙기구에서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20]
반대
현재 상임이사국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국가나 그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국가들을 포함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중 저지른 전쟁 범죄에 대해 일본이 진정성 있는 보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중국,[21] 북한, 러시아, 그리고 한국으로부터 일본의 입찰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22]지도 아래 G4 국가들의 입찰에 강력히 반대하는 국가들은 주로 인근 국가의 상임이사국 지위 상승에 반대하는 지역 강대국들로 구성된 연합 운동, 즉 클럽을 결성했다.컨센서스를 위한 단결은 비상임이사국 수 확대와 거부권 행사 제한을 지지한다.이 블록은 안보리에 상임이사국을 늘리는 것은 상임이사국을 얻는 나라들에게만 이익이 된다고 주장하며 비상임이사국 확대가 안보리를 보다 유연하고 [23]민주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믿고 있다.인도는 현재 어떤 P5 국가도 반대하지 않는다.
유럽에서는 불가리아, 체코, 덴마크,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몰타,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루마니아, 세르비아, 스페인이 독일의 [citation needed]의석을 반대한다.아프리카에서도 나미비아는 독일의 [citation needed]유치에 반대하고 있다.중남미에서는 아르헨티나,[24] 볼리비아,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멕시코, 페루, 우루과이, 베네수엘라가 [citation needed]브라질에 반대한다.아시아에서 파키스탄은 인도의 입찰에 [25]반대하고 있다.
또 다른 반대안인 에줄위니 컨센서스([26]Ezulwini Consensus)는 아프리카 연합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안보리에서의 아프리카 대표권 부족에 대응하여 아프리카 국가들에 새로운 비상임이사국 5개와 새로운 상임이사국 2개를 배정할 것을 요구했다.
활동
G4는 자신들 외에 아프리카 2개국을 안보리 확대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2005년 여름 여러 회의에서 아프리카 연합은 두 가지 후보에 대해 합의하지 못했다.이집트,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모두 아프리카 안보리 [27][28]상임이사국임을 주장하고 있다.
2005년 9월 유엔 총회는 유엔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회원국은 확대된 안보리를 포함한 필요한 개혁안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그러나 협상할 수 있는 입장을 찾는 것을 꺼리는 바람에 가장 시급한 개혁도 중단되었다. 2005년 9월 총회는 [citation needed]유엔에게 차질이 빚어졌다.
G4는 4개국(아프리카 2개국 포함) 모두에 대해 안보리 상임이사국 자격을 유지한다는 목표를 유지하고 있다.2006년 1월, 일본은 G4 결의안을 다시 상정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며, 아프리카 연합이 단일 계획을 지지하기 위한 어떠한 노력도 방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한편, 일본의 G4와의 계속적인 관계는 상호 [29][30]배타적이지 않았다.G4는 2011년 2월 12일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외무장관은 이번 유엔총회에서 구체적인 [citation needed]결과를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2015년 9월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유엔 총회 결정 69/560이 합의로 채택된 후 G4 정상들을 정상회담에 초청했고,[31] 이는 처음으로 진전되었다.2017년, G4 국가들은 안보리 [32]상임이사국이 되면 거부권을 일시적으로 포기할 용의가 있다고 보도되었다.
2019년 9월 제74차 유엔총회 중 공동보도성명에서 G4 장관들은 안보리의 조속하고 포괄적인 개혁에 대한 강한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G4 장관들은 또 유엔이 2020년에 창립 75주년을 맞이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이번 총회에서 안보리의 '조기 개혁' 요구로 최종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기를 희망하며 아프리카 대표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강조했다.o 미래 [33]개혁 멤버십의 영구적 및 비영구적 범주.
G4의 현 지도자
다음은 2022년 현재 G4 회원국을 대표하는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이다.
자이르 보우소나로
총재
브라질 연방 공화국
2019년 1월 1일부터올라프 숄츠
재상
독일 연방 공화국
2021년 12월 8일 이후나렌드라 모디
의 수상
인도 공화국
2014년 5월 26일 이후
현직 각료급 지도자
멤버 | 외무대신 | 이름. | 국방부 장관 | 이름. |
---|---|---|---|---|
브라질 | 외무대신 | 카를로스 알베르토 프랑사 | 국방부 장관 | 파울로 세르지오 노게이라 데 올리베이라 |
독일. | 외무대신 | 아나레나 배르복 | 국방부 장관 | 크리스틴 람브레흐트 |
인도 | 외무대신 | 수브라만얌 자이샨카르 | 국방부 장관 | 라즈나트 싱 |
일본. | 외무대신 | 하야시 요시마사 | 방위대신 | 기시 노부오 |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Bundestag election 2021 - the Federal Returning Officer".
- ^ "Japan Says No to G4 Bid". Globalpolicy.org. 7 January 2006. Retrieved 30 May 2011.
- ^ 2010년 7월 6일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안전보장이사회 멤버십
- ^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목록
- ^ "Joint UK-France Summit Declaration". British Prime Minister’s. 27 March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September 2008. Retrieved 15 December 2008.
- ^ 미국은 기세를 꺾었지만 일본의 안보리 입찰을 지지한다, 인민일보, 2005년 4월 19일
- ^ 영국은 안보리 입찰에 대해 일본을 지원 2007년 2월 21일 센트럴 크로니클 웨이백 머신에서 2007년 1월 11일 아카이브
- ^ "China Should Back India for a Permanent UN Security Council Seat".
- ^ 중국은 인도의 안보리 이사국 진출을 지지하고 있다.
- ^ Krishnan, Ananth (16 July 2011). "China ready to support Indian bid for UNSC". The Hindu. Chennai, India.
- ^ 2015년 9월 27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안보리 개혁 프로세스가 새로운 국면을 개시함에 따라 각국이 환영하는 작업 계획"유엔 개혁 교육 센터
- ^ "Powell: Brazil Not Developing Nukes" 2011년 7월 11일 Wayback Machine News Channel에서 아카이브.2009년 6월 28일 취득.
- ^ "Global Brazil and U.S.-Brazil Relat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12. Retrieved 16 September 2019.
- ^ "프랑스와 브라질" 2008년 1월 10일 프랑스 외무성 웨이백 머신에 보관.2009년 6월 28일 취득.
- ^ a b "Joint UK-France Summit Declaration". British Prime Minister's. 27 March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September 2008. Retrieved 15 December 2008.
- ^ "Putin in Brazil" 2009년 7월 24일 브라질 웨이백 머신에 보관.2009년 6월 28일 취득.
- ^ "Foreign Minister Sergey Lavrov's remarks and answers to questions at a plenary session of the Raisina Dialogue international conference, New Delhi, January 15, 2020".
- ^ "영국은 상임이사국으로서 브라질을 지지한다", 10 다우닝, 2009년 3월 27일.2009년 6월 28일 취득.
- ^ "BRICS divulga "Declaração de Brasília"". G1. 14 November 2019.
- ^ "Foreign Minister Sergey Lavrov's remarks and answers to questions at a plenary session of the Raisina Dialogue international conference, New Delhi, January 15, 2020".
- ^ 안보리에서 일본과 동맹을 맺은 것은 인도의 '가장 큰 실수'이다.중국어 미디어
- ^ "안보리 토론 참가자와 제안", 글로벌 정책 포럼, 2005년 7월 3일.2006년 5월 14일 취득.
- ^ "'UNITING FOR CONSENSUS' GROUP OF STATES INTRODUCES TEXT ON SECURITY COUNCIL REFORM TO GENERAL ASSEMBLY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www.un.org. Retrieved 19 May 2021.
- ^ "People's Daily Online -- Argentina opposes Brazilian admission to UN Security Council". en.people.cn. Retrieved 2 March 2022.
- ^ Iqbal, Anwar (27 September 2020). "Pakistan opposes India's demand for UNSC seat". DAWN.COM. Retrieved 29 November 2021.
- ^ "African Union. Inventory of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Organizations and Regimes" (PDF).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25 October 201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5 October 2011. Retrieved 19 May 2021 – via archive.org.
- ^ 유엔 라디오, 2005년 7월 21일 안보리에서의 아프리카 권력 쟁탈전.2006년 5월 14일 취득.2005년 12월 27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 ^ 아프리카: 안보리 확대, 아프리카 포커스 회보, 2005년 4월 30일.2006년 5월 14일 취득.
- ^ 인터내셔널 리뷰, Summer, 2006년 Emily Bruemmer
- ^ 일본은 G4 입찰에 반대한다, 글로벌 정책 포럼, News24.com, 2006년 1월 7일
- ^ Sharma, Rajeev (27 September 2015). "India pushes the envelope at G4 Summit: PM Modi tells UNSC to make space for largest democracies". First Post. Retrieved 20 October 2015.
- ^ "India Offers To Temporarily Forgo Veto Power If Granted Permanent UNSC Seat". The Huffington Post. Retrieved 9 March 2017.
- ^ "Joint Press Statement". Brazil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5 Septem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