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드 앨리슨
Fred Allison프레드 C. 앨리슨 | |
---|---|
태어난 | |
죽은 | 1974년 8월 2일 | (92)
국적 | 미국인의 |
모교 | 존스 홉킨스 대학교 버지니아 대학교 |
로 알려져 있다. | 알라바미움, 처녀성을 발견했다는 근거 없고 잘못된 주장 |
과학 경력 | |
기관 | 오번 대학교 |
박사학위 자문위원 | 캐롤 M. 스패로우 |
프레드 C. 앨리슨(Fred C. Allison, 1882년 7월 4일 ~ 1974년 8월 2일)은 미국의 물리학자였다.[1][2]그는 앨리슨 자기광학법으로 알려지게 된 자기광학 분광법을 개발했다.그는 이 방법을 사용하여 두 가지 새로운 요소(더 나은 사람)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5]그는 오번 대학 물리학부에서 30년 이상 가르쳤다.[1]
알라바민과 처녀자리 발견
1914년 헨리 모슬리의 작품에서 아직 몇 가지 원소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그들의 화학적 성질은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의 빈 곳에서 추론할 수 있었다.몇몇 과학자들은 실종된 원소의 발견을 주장했다.[6]앨리슨이 앨라배마 폴리테크닉 연구소(Auburn University)에서 일하는 동안 1930년부터 패러데이 효과의 시간 의존도를 측정했다고 믿는 방법을 개발했다.[5]앨리슨은 자기광학 분광기로 잃어버린 두 원소를 발견했다고 잘못 주장했다.그는 현재 프랑슘으로 불리는 87원소를 폴루카이트와 레피돌라이트에서 발견했다고 주장했다.[7][8]그는 또한 희토류 원소와 토륨이 풍부한 광물인 모나자이트 모래에서 현재 아스타틴으로 불리는 85원소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9]그는 이 두 원소의 이름을 미국 버지니아와 앨라배마 주, 처녀성과 알라바민에서 따왔다.웬델 미첼 라티머는 1933년 같은 방법으로 삼중수소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10]
앨리슨의 주장을 검증하기 위한 몇 년과 몇 번의 시도 끝에, 자기광학 분광법은 새로운 원소의 검출에 부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11]앨리슨 자기광학 효과, 즉 단순히 앨리슨 효과는 현재 유명한 1953년 병리학 강의에서 어빙 랑무아르에 의해 논의되었다.[12]
인생
앨리슨은 1882년 7월 4일 버지니아주 글레이드 스프링에서 태어나 1904년 버지니아주 에모리 소재 에모리·헨리 칼리지에서 학위를 받았다.같은 대학에서 강의한 후, 그는 물리학 학위를 받기 위해 존스 홉킨스 대학교 볼티모어에 가기로 결정했다.거기서 몇 년 후(에모리·헨리 교수 및 격년으로 박사과정을 밟음) 버지니아 대학교로 전환하여 제시 빔과 함께 일하다가 1920년에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22년 앨리슨은 앨라배마 폴리테크닉 연구소의 물리학과를 신설하기 위해 초빙되었고, 이후 이 학과는 오번 대학이 되었다.대학원의 학장으로서, 그는 학교의 첫 박사 과정을 찾는 것을 도왔다.그는 31년 동안 폴리테크닉 연구소에서 의무 퇴직할 때까지 머물렀다.그 후 그는 3년간 과학부장으로 에모리, 헨리 칼리지로 돌아왔다.이것은 1956년부터 1968년까지 헌팅돈 대학에서 물리학을 가르친 뒤 이어졌다.이 마지막 강의 자리를 마치고 1969년 오번대학으로 돌아와 1974년 8월 2일 사망하기 한 달 전까지 연구 활동을 계속했다.오번 대학 물리학 건물은 그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1]
참조
- ^ a b c Biggs, Lindy; Knowlton, Stephen (September 2, 2008). "Fred Allison". The Encyclopedia of Alabama. Retrieved January 29, 2015.
- ^ Carr, Howard E. (January 1975). "Fred Allison". Physics Today. 28 (1): 107–108. Bibcode:1975PhT....28a.107C. doi:10.1063/1.30687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9-27. Retrieved 2013-09-25.
- ^ Allison, Fred; Murphy, Edgar J. (1930). "A Magneto-optic Method of Chemical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52 (10): 3796. doi:10.1021/ja01373a005.
- ^ Allison, Fred (1932). "Magneto-optic method of analysis as a new research tool".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Analytical Edition. 4: 9. doi:10.1021/ac50077a005.
- ^ a b "The Allison Magneto-Optic Method of Chemical Analysis". Mike Epstein, PhD (professor at Mount St. Mary's University. Retrieved 2012-11-13.
- ^ Kauffman, George B.; Adloff, Jean-Pierre (2008). "Fred Allison's Magneto-Optic Search for Elements 85 and 87". The Chemical Educator. 13 (6): 358–364. doi:10.1333/s00897082174a.
- ^ Allison, Fred; Murphy, Edgar (1930). "Evidence of the Presence of Element 87 in Samples of Pollucite and Lepidolite Ores". Physical Review. 35 (3): 285. Bibcode:1930PhRv...35..285A. doi:10.1103/PhysRev.35.285.2.
- ^ Allison, Fred; Bishop, Edna R.; Sommer, Anna L.; Christensen, J. H. (1932). "Further Research on Element 87".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54 (2): 613. doi:10.1021/ja01341a025.
- ^ Allison, Fred; Bishop, Edna R.; Sommer, Anna L. (1932). "Concentrations, Acids and Lithium Salts of Element 85".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54 (2): 616. doi:10.1021/ja01341a026.
- ^ 1953년 Langmuir의 연설 녹취록, "Allison Effect" 부분을 참조하라.
- ^ Trimble, R. F. (1975). "What happened to alabamine, virginium, and illinium?". J. Chem. Educ. 52 (9): 585. Bibcode:1975JChEd..52..585T. doi:10.1021/ed052p585.
- ^ I. Langmuir; R. N. Hall (1989). "Pathological Science". Physics Today. 42 (10): 36. Bibcode:1989PhT....42j..36L. doi:10.1063/1.8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