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semi-protected

헝가리의 국기

Flag of Hungary
헝가리
사용하다민국기
비율1:2
입양1957년[1] 5월 23일 (국기로서)
1990년[2] 6월 19일 (재확인)
설계.빨간색, 하얀색, 초록색의 가로 삼색
사용하다민국기와 간판
비율2:3
입양1957년[3] 8월 18일 (시민표지)
설계.빨강-흰-녹색의 가로 삼색
사용하다비공식 국가기[note 1]
비율1:2
입양1995년[4] 10월 10일
설계.빨간색, 흰색, 녹색의 가로 삼색으로 중앙에는 국장이 그려져 있습니다.
사용하다단위색 Small vexillological symbol or pictogram in black and white showing the different uses of the flag Small vexillological symbol or pictogram in black and white showing the different uses of the flag
비율6:7
입양1991년[5] 3월 15일
사용하다해군함정 Small vexillological symbol or pictogram in black and white showing the different uses of the flag Small vexillological symbol or pictogram in black and white showing the different uses of the flag
비율3:4
입양1991[5]

헝가리의 국기(헝가리어: Hungarian: Magyarország zászlaja)는 빨간색, 흰색, 녹색(적백색-녹색)의 가로 삼색입니다. 이 정확한 형태로, 그것은 1957년 5월 23일부터 헝가리의 공식 국기입니다. 국기의 형태는 18세기와 19세기의 국가적 공화주의 운동에서 유래한 반면 색상은 중세 시대에서 유래했습니다.[6][7] 현재 헝가리의 삼색기는 영국의 공화주의 운동기(1816년부터 사용)와 동일하며, 1790년 레오폴트 2세의 대관식 이후로 이미 사용되었으며, 1797년 이탈리아 삼색기가 처음 사용되기 전에 사용되었습니다.

커런트 플래그

헝가리의 현대 국기는 1848년 이전의 국가 자유 운동에서 비롯되었고, 이는 1848년 헝가리 혁명으로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혁명은 왕정뿐만 아니라 합스부르크 제국에 대항하는 것이었고, 독립 공화국을 형성하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헝가리 국기는 프랑스 혁명의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프랑스 국기에 기반을 둔 삼색 요소를 특징으로 하며, 빨간색, 흰색, 녹색은 15세기 중반 이후 본질적으로 같은 형태로 남아있는 역사적인 헝가리 국장에서 파생된 색상입니다. 몇몇 사소한 차이점들을 제외하고는, 헝가리의 건국 왕조인 아르파드의 무기로서 12세기 말과 13세기 초에 처음 등장한 무기들로부터 합쳐졌습니다. 이탈리아의 삼색기보다 최소 7년 이상 앞선 형태의 현수막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국기와의 혼동을 막기 위해 줄무늬는 수직이 아닌 수평이지만, 이탈리아와 달리 이탈리아인들은 1797년 이탈리아 국가의 국기로 채택했습니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헝가리 삼색기의 최근 형태는 1608년 헝가리의 마티아스 2세의 대관식과 대관식 이후에 이미 사용되었다고 합니다.[citation needed] 낭만주의 시대의 민속은 색을 미덕으로 여겼습니다: 힘을 위한 빨간색, 충실함을 위한 흰색, 희망을 위한 녹색. 또는 조국을 위해 흘린 피를 위해 빨간색을, 자유를 위해 흰색을, 헝가리의 목초지를 위해 녹색을 사용했습니다. 2012년 1월 1일에 발효된 새 헌법은 처음 언급된 사후 해석을 공식화합니다(반 공식 번역: 힘(어 ő), 충실(h ű세그), 희망(remény).

진화

헝가리 혁명 58년 전인 1790년 프레스부르크(Pozsony, 오늘날의 브라티슬라바)에서 레오폴트 2세의 헝가리 대관식을 벽에 장식한 헝가리 국기

전술한 바와 같이 1848~1849년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항하는 혁명 기간 동안 빨간색, 흰색, 초록색 삼색은 국가 주권의 표시로 분명히 나타났습니다. 헝가리의 자원봉사자들과 에미그레스는 가리발디의 깃발 아래 이탈리아 통일의 사회운동과 전쟁을 위해 싸웠습니다.[8] 헝가리의 혁명이 패배한 후, 삼색기는 오스트리아 황제에 의해 금지되었습니다. 그러나 1867년의 타협 이후 삼색기는 합법적일 뿐만 아니라 헝가리의 공식 국기가 되었습니다. 이 깃발에는 헝가리의 소위 마이너 암(코수트 문장이라고도 함)이 달려 있었고 지지자들은 대천사를 깃발의 배지로 사용했습니다. 이 구성은 1918년 합스부르크 제국이 끝날 때까지 사용되었습니다.

합스부르크 제국의 몰락 이후 1918년에서 1920년은 매우 격동적이었고 추적하기 어려운 몇 가지 사소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적녹백 삼색은 그대로였지만 배지 면에서는 작은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짧은 인터럽트와 예외는 1919년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4개월 반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그것은 빨간색 견고한 현수막을 사용했습니다.

1920년부터 1944년부터 1945년까지 삼색기는 헝가리의 작은 무기들을 전시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들이 없는 버전도 사용되었습니다.

1946년에서 1949년 사이에 왕관은 배지 역할을 하는 팔의 윗부분에서 제거되었습니다.

1949년 공산당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공산당의 붉은 별이 그려진 새로운 국장이 국장으로 국기에 올려졌습니다.

1956년 반소련 봉기 당시 혁명가들은 망치와 밀의 상징을 잘라내고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삼색을 혁명의 상징으로 사용했습니다. 몇 달 동안 새 정부는 왕관이 없는 작은 팔들을 다시 배지로 담기 위해 국기를 바꿨습니다.

1957년 소련 붉은 군대에 의해 혁명이 패배한 후 새 정부는 "새로운" 문장을 만들었지만 공식적으로 국기에 단 적은 없었습니다. 따라서 헝가리의 공식 국기는 1957년부터 순홍-백-녹 삼색이었습니다.

1989년 공산주의가 무너진 후에는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기처럼 국기를 바꿀 필요가 없었습니다.

2000년대에 상징 위원회의 권고가 있었는데, 국장은 국기의 일부가 되어야 하고, 국기는 (현상과 같이) 명확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9] 대부분의 주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기에 무기가 법적으로 허용되지만, 이는 법적으로 구현되지는 않았습니다(아래 참조).

정확한 설명과 입법부

헝가리 헌법은 국기의 너비:길이 비율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10][11][12] 1957년부터 시행된 법에 따르면 항해하는 상선은 빨간색, 흰색 및 초록색 삼색을 2:3 비율로 게양해야 합니다.[citation needed]

2000년부터 정부령에 의해, 정부 건물에 사용되는 국기의 비율(헌법에도[13] 정의되어 있지 않고 1995년이나 2000년[14] 법률에도 정의되어 있지 않음)은 1:2입니다.

요약하면, 이는 다음을 의미합니다.[13]

  • 빨강-흰-녹색 삼색. 실제로 많은 변형이 사용될 수 있지만 1995/LXXX에 따르면III §.11 (3) "(3) (1)항 및 (2)항에 명시된 경우, 무기 및 깃발은 역사적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1)에서 다음과 같이 읽힙니다. 1995/XXXⅢ §11 (1) "(1) 개인은 국가의 소속을 선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법의 제한에 따라 무기와 국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적-백-녹 삼색, 비율 1:2 (2000년부터 법령에 의해). 1995/LXXX에 따르면헝가리의 공식 국장인 III §11(4)은 배지로 달 수 있습니다.
  • 흰색 바탕에 녹색 빨간색 교대 화염병(불꽃 혀, 물결 모양의 가장자리가 있는 삼각형) 테두리가 있고, 중앙에는 문장이 있으며, 왼쪽에서 오크 가지, 오른쪽에서 올리브 가지가 감싸고 있습니다. 비율이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1995/XXX)III §8 (1)
  • 2:3 (1957년 법에 의해 정의된 ratio) 적백녹 삼색 (상선단이 있음)
  • 알 수 없거나 지정되지 않음;
  • 흰색 바탕에 녹색 빨간색 교대 삼각형 테두리, 국기의 1/3에 있는 문장, 극에 더 가깝습니다. 비율이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1995/XXX)III §8 (2))

헝가리의 국기 색상은 공식 문서 MSZ 1361:2009에 정의되어 있습니다.[16]


컬러스킴
진홍적색 하얀색 진녹색
팬톤 18-1660 TCX 토마토 사용할 수 없음 18-6320 TCX 페어웨이
CILAB 44.0, 60.0, 32.0 100.0, 128.0, 128.0 37.5, 26.0, 144.0
RGB 206, 41, 57[17] 255, 255, 255 71, 112, 80[18]
육십진법 #CE2939[17] #FFFFFF #477050[18]

갤러리

역사적 기

국가원수표준

참고 항목

메모들

  1. ^ 헝가리의 공식 국기에는 헝가리의 국장이 들어가 있지 않지만, 국장으로 장식된 변종은 엄숙한 행사 때 자주 사용됩니다.

참고문헌

  1. ^ "1957. évi II. törvény a Magyar Népköztársaság Alkotmányának módosításáról" [Act II of 1957 o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Hungarian People's Republic]. hu.wikisource.org (in Hungarian). Retrieved 23 February 2017.
  2. ^ "1990. évi XL. törvény a Magyar Köztársaság Alkotmányának módosításáról" [Act XL of 1990 o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Hungarian Republic]. Törvények és országgyűlési határozatok (in Hungarian). Retrieved 14 March 2018.
  3. ^ "51/1957. (VIII. 18.) Korm. számú rendelet a magyar tengeri kereskedelmi hajók lobogójáról" [Decree of the Government No. 51/1957. (VIII. 18.) on the Ensign of the Hungarian Maritime Merchant Vessels]. hu.wikisource.org (in Hungarian). Retrieved 23 February 2017.
  4. ^ "1995. évi LXXXIII. törvény a Magyar Köztársaság nemzeti jelképeinek és a Magyar Köztársaságra utaló elnevezésnek a használatáról" [Act LXXXIII of 1995 on the usage of the national symbols and name of the Hungarian Republic]. Törvények és országgyűlési határozatok (in Hungarian). Retrieved 14 March 2018.
  5. ^ a b "A Magyar Honvédség új felségjelzése és hadilobogói" [The new insignia and war ensigns of the Hungarian Defence Forces]. Haditechnika. 25 (3): 3–4. 1991.
  6. ^ 빨간색, 하얀색, 초록색 실크의 땋은 끈을 사용하여 도장을 헌장에 부착한 헝가리 왕국의 중세 초기 헌장의 예:
  7. ^ "왕이 가는 길, 흰 옷, 녹색 옷, 붉은 옷을 입고 탑승하며" "헝가리 왕과 왕비의 대관식에서 지켜지는 의식", 헝가리의 현황 (1687). 영국: (n.p.) Google Books에서
  8. ^ 절대주의의 약화: 이탈리아 전쟁과 헝가리 에미리트 전쟁.
  9. ^ Halasz, Ivan; Schweitzer, Gabor (16 March 2011). "National and State Symbols in the Hungarian Legal System (Excerpts)" (PDF). Legal Compass: 3.
  10. ^ "The Fundamental Law of Hungar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4-06-29. Retrieved 2016-08-07.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