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피트 길
Five-foot way5피트 길이(말레이/인도네시아어: 카키 리마)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의 상점 앞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붕이 있는 연속 산책로로서 상업 활동에도 이용될 수 있다. 명칭은 통로의 폭을 가리키지만, 5피트 길이보다 좁거나 넓을 수 있다. 거리를 따라 유럽의 아케이드처럼 보이지만, 지역 기후에 맞는 건축 특성으로, 이 지역의 도시 풍경과 도시 생활을 특징으로 한다. 그것은 태국, 대만, 중국 남부 일부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이 용어는 홉키엔어로 ngo͘-kha-ki(五脚基)로 번역될 수 있다. teng-a-kha(亭子脚)라고도 한다.[1]
"5피트"라는 용어는 덮개가 있는 보도 폭을 나타낸다.[2] 5피트 높이의 길 위에 돌출된 캐노피, 지붕 확장 또는 상층부가 햇빛과 비로부터 보행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덮개를 제공한다. 도심에 있는 대부분의 상업용 건물의 1층은 상점이나 식당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5피트 길이의 이 길은 사람들이 윈도우 쇼핑을 하거나 다과를 찾는 복도 역할도 한다. 이러한 복도는 무역업자들이 과거에 다양한 중소기업을 설립하기 위해 사용했으며, 지금도 많은 나라에서 이런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1]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5피트 길의 폭은 최소 5피트 정도일 수 있지만, 건물의 나이, 크기, 기능에 따라 5피트 길의 폭이 넓거나 좁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이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았다.
역사
도시계획의 아케이드 요건은 빠르면 1573년 스페인의 필립 2세의 왕실 조례에서 찾을 수 있다.[3]
바타비아
바타비아(현 자카르타)는 17세기 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수도가 되었다. 네덜란드 동인도기업(VOC)의 얀 피에테르순 코엔 총독이 자야카르타 항구를 점령하자마자 유럽식으로 수도 건설을 시작했다. 17세기 중반, 요한 니우호프는 두 개의 시장 건물이 중앙 갤러리들과 평행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묘사했다. 니우호프는 이 건물이 '5개의 산책로'나 '갤러리'로 나뉘었다고 더 언급했다. '5개의 산책로'는 통로의 폭보다는 공간을 가리키는 카키 리마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4]
When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EIC) ruled Dutch East Indies during the Napoleonic War, Thomas Stamford Raffles was appointed the Lieutenant-Governor of the Dutch East Indies in 1811–1815. Raffles was in Batavia in 1811–1815 as a governor during the British Java period and may have observed the verandahs, footways and continuous eaves of the B아타비아.[5] 라플레스가 바타비아의 상점 앞에 폭 5피트 정도의 산책로를 건설하라고 지시했다는 주장이 있다.[2][6]
싱가포르
1819년 라플레스는 현대적인 싱가포르를 설립했고, 5피트 길이 이 지역의 건축적 특성으로 확고히 자리잡게 된 것은 싱가포르에서였는데, 스탬포드 라플레스는 1822년 자신의 타운플랜에 이것과 다른 세부사항들을 포함시켰다.[7] 라플스는 1822년 싱가포르 계획에서 새로운 식민지가 어떻게 조직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일련의 지침을 발표했다. 그는 새로 세워진 식민지의 건물들은 균일해야 하며,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벽돌과 타일로 지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 각 주택에 일정한 깊이의 베란다(Verandah)[8]가 있어야 하고, 항상 열려 있어야 하며, 길 양쪽에 계속적이고 덮인 통로가 있어야 한다.
이것이 5피트 길이 되었고, 1840년대에 싱가포르의 상점의 이러한 특징은 싱가포르의 존 턴불 톰슨의 그림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토지 임차인은 가게와 집 앞에 일정한 폭의 공공 보행로를 제공해야 했다. 그들이 공공 보도 위에 2층을 건설하면서, 그것은 길을 따라 지붕으로 이어진 보도들을 형성했다.[9] 공공 산책로로 계획되었지만, 5피트 길이 또한 행상인들이 거래하는 장소가 될 것이고, 소매, 창고, 심지어 생활공간으로도 사용되었다. 싱가포르에서 1880년대 산책로를 방해하던 행상인들의 산책로를 치우려는 시도가 이른바 '베란다 폭동'으로 이어졌다.[10][11]
기타 해협 정착지
그런 베란다 산책로가 필요한 조례와 내규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스트레이츠 정착촌과 말라야 마을에서 제정되었는데, 예를 들어 프랭크 스웨트넘이 쿠알라룸푸르 재건에서 소개한 1884년 건물 내규는 도로 옆에 5피트 길이의 통로를 포함하도록 제공되었다.[12] 그러나 5피트 길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조례나 내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오락실, 베란다, 베란다웨이 또는 5피트 길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이 용어는 건축업자들이 산책로의 최소 폭에 대응하여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이 산책로는 말라야 반도의 이웃 영국 식민지에 있는 많은 정착촌의 필수적인 특징이 될 것이고, 19세기 후반에는 독특한 "스트레이트 정착 양식" 건물들의 특징이 될 것이다.[5] 그것은 여전히 말레이시아의 마을과 도시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원래는 식민지 시대의 특색 있는 건물이었지만, 말레이시아의 식민지 후기 시대의 많은 건물들은 아케이드 형태의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보호가 되어 있는 산책로를 통합하였다.
중국 남부, 대만, 홍콩 식민지
5피트 웨이(Five Foot Way) 또는 베란다(Verandah) 규정은 중화민국 시절인 19세기 말 대만과 20세기 초 남중국에서도 도시계획이 적용되었다.[13] 베란다는 이들 지역의 퀼루(아케이드)로 발견될 수 있다.[14] 홍콩 식민지 초기에는 공공 보행로 위에 어떠한 건설과 투영도 허용되지 않았으나, 식민지 정부는 인접한 토지 임대인이 생활 공간의 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보행로 위에 2층을 지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878년 '베란다 규정'을 공포했다.[15]
동남아
이 건축적 특징은 19세기 중반 이후 태국, 필리핀, 브루나이, 버마와 같은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도 퍼졌다. 이러한 특징은 1871년 라마 5세가 싱가포르를 방문한 후 방콕에 소개되었을지도 모르는 반면, 태국 남부의 도시들은 말라야에 근접하여 영향을 받았다.[5]
그것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현대 건축에서 두드러진 요소로 남아 있다.
커먼 카키 리마
1900년 타이완 루캉의 지붕이 있는 산책로.
인도네시아의 카키 리마
인도네시아의 카키 리마 용도는 트로토아어(프랑스어로부터 네덜란드어를 경유함: 트로투아어)와 상호 교환이 가능하며, 이는 둘 다 산책로나 인도를 지칭하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어로 페다강 카키 리마라는 구어적 용어는 종종 5피트 길이의 길을 차지하고 있는 행상인들을 가리킨다. 인도네시아의 카키 리마는 역사적으로 셔츠, 양말, 블라우스, 냄비, 팬들과 같은 상품들이 담긴 냄비를 제공했다. 요즘은 소규모 식당이나 스탠드 등에 점령당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 항목
위키미디어 커먼즈는 5피트 길과 관련된 미디어를 가지고 있다. |
참조
- ^ Jump up to: a b Naidu Ratnala Thulaja. "Five-foot-way traders". Singapore Infopedia. National Library Board.
- ^ Jump up to: a b Christopher Torchia; Lely Djuhari (2015). Indonesian Idioms and Expressions: Colloquial Indonesian at Work. Tuttle Publishing. pp. 235–236. ISBN 9781462916504.
- ^ Mai-Lin Tjoa-Bonatz (1998). "Shophouses in Colonial Penang".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LXXI Part 2 (2 (275)): 122–136. JSTOR 41493367.
- ^ Hideo Izumida (2005). "Kaki Lima as Contesting Space between European and Asian Value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f Malay Architecture as Lingua Franca.
- ^ Jump up to: a b c Lim, Jon S.H. (1993). "The Shophouse Rafflesia: An Outline of its Malaysian Pedigree and its Subsequent Diffusion in Asia".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LXVI Part 1 (1 (264)): 47–66. ISSN 0126-7353. JSTOR 41486189.
- ^ Suryatini N. Ganie (19 December 2010). "The 5 feet story of Thomas Stamford Raffles". Jakarta Post.
- ^ Gretchen Liu (2001). Singapore: A Pictorial History 1819-2000. p. 20. ISBN 9780700715848.
- ^ Charles Burton Buckley (1902). An anecdotal history of old times in Singapore. Singapore, Printed by Fraser & Neave, limited. p. 84.
- ^ Hideo Izumida (July 1990). "Singapore's Town Planning and Shop-house; Historical Study on the Colonial Cities and Architecture in Southeast Asia Part 1". Journa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Transactions of AIJ) (in Japanese): 161–175.
- ^ Jean Abshire (21 March 2011). The History of Singapore. p. 79. ISBN 9780313377433.
- ^ Brenda S.A. Yeoh (1996). "The Control of 'Public' Space: Conflicts over the Definition and Use of the Verandah". Contesting Space Power Relations and the Urban Built Environment in Colonial Singapore. pp. 243–265. doi:10.2307/j.ctv1ntj2v. ISBN 9789971697679.
- ^ Hashimah Wan Ismail (2005). Houses in Malaysia: Fusion of the East and the West. p. 28. ISBN 9789835203626.
- ^ Hideo Izumida & Huang Chun Min (April 1994). "Typology of Roofed Terraces and Covered Continuous Walkways: A study on Colonial Cities and Architecture of Southeast Asia Part 2". Journa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Transactions of AIJ) (in Japanese): 145−153.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Jun Zhang (2015). "Rise and Fall of the Qilou: Metamorphosis of Forms and Meanings in the Built Environment of Guangzhou" (PDF). Traditional Dwellings and Settlements Review. 26 (2): 26–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8 October 2015.
- ^ Hideo Izumida (May 2003). "Settlement Improvement in the Former Hong Kong Colony According to Reports by Osbert Chadwick, A Study on Colonial Cities and Architecture in Southeast Asia Part 3". Journa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Transactions of AIJ) (in Japanese): 179–189.
원천
- 1. 요한 프리드리히 가이스트, 아르카데스 건축형태의 역사, 1989년 ISBN 0-262-07082-0
- 2. 도렌 그리그 17세기와 18세기, 1987년 ISBN 90-232-2227-X
- 3. 장 겔만 테일러, 네덜란드 아시아의 바타비아 유럽과 유라시아의 사회 세계, 1983년 ISBN 0-299-09470-7
- 4. 이즈미다 히데오, 남중국해 연안지역 중국 정착촌 및 차이나타운: 이민과 식민지를 통한 아시아 도시화, 2006년 ISBN 4-7615-2383-2(일본판), ISBN 978-89-593-712-5(한국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