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가물

Equivalents
등가(1925), 스티글리츠가 찍은 많은 하늘의 사진 중 하나이다.

등가물알프레드 스티글리츠가 1925년부터 1934년까지 찍은 구름의 사진 시리즈다.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주제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것에서 해방시키기 위한 최초의 사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와 같이 최초의 완전히 추상적인 사진 예술 작품들 중 하나이다.[1]

설명

스티글리츠는 최소한 220장의 사진을 찍었는데, 이 사진들을 그는 "Equivalent" 또는 "Equivalents"라고 불렀고, 이 사진들은 모두 하늘의 구름이다.대부분 지평선, 건물 또는 다른 물체가 없는 하늘만 프레임에 나타나지만 적은 숫자로 언덕이나 나무를 포함한다.1927년의 한 시리즈는 전경에 포플러 나무들이 눈에 띄게 등장한다.

거의 모든 사진들이 매우 어둡게 인쇄되어 있어서 하늘은 종종 검은색으로 보이거나 거의 검은색으로 보인다.몇몇 지문을 제외하고는 하늘과 훨씬 밝은 구름의 대조가 두드러지고 있다.어떤 이미지들은 사진에서 뚜렷한 요소로 태양을 포함하거나 구름 뒤에서 빛을 내는 힘으로써 태양을 포함한다.

배경

Equalentents라고 불리는 다중 시리즈 Stiegliz는 그의 사진에서 두 가지 매우 중요한 측면, 즉 기술적 측면과 미적 측면을 결합했다.그는 둘 다 달인이었지만 동급생들과 함께 그의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기술적 측면에서 스티글리츠는 1887년 여름 이탈리아 코모 호수 상공에서 처음으로 구름 사진을 찍었을 때부터 구름을 촬영하는 특별한 문제에 매료되어 있었다.1920년대까지 대부분의 사진 유화는 직교색이었는데, 이는 그들이 주로 스펙트럼의 푸른 끝의 빛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했다.이것은 특별한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한 하늘이 매우 밝게 보일 것이고 구름은 그것에 대항하여 손실될 것이기 때문에 구름 사진을 찍는 것을 특히 어렵게 만들었다.[2]몇 년 동안 스티글리츠는 직교 유화법을 사용하여 구름의 사진을 반복해서 찍었지만, 그는 "내가 [구름 음성]을 발현할 때마다 항상 내가 원하는 것을 거의 얻었다고 믿으면서 너무 흥분했다. 그러나 실패했다."라고 보고했다.

1922년 스티글리츠는 월도 프랭크가 자신의 사진에 대해 쓴 논평을 읽었는데, 이 논평을 통해 월도 프랭크는 자신의 이미지의 강점이 그가 찍은 개인의 힘에 있다고 주장했다.[3]스티글리츠는 프랭크가 기껏해야 건물과 거리의 풍경을 담은 그의 많은 사진들을 무시해왔고, 최악의 경우 프랭크가 앞에 나타난 것을 단순한 녹음기라고 비난했다고 믿으며 격분했다.그는 즉시 새로운 클라우드 연구를 시작하기로 결심했다. "내 사진의 성공은 특별한 나무나 얼굴, 내부가 아닌 특별한 특권 때문에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로 했다." 그는 "사진에 대해 40년 동안 배운 것을 찾기 위해 구름 사진을 찍고 싶었다"고 말했다.내 삶의 철학을 내려놓기 위해 구름을 뚫고 – 내 목표는 점점 더 내 사진들을 사진처럼 보이게 하는 이다. 사람들이 눈을 가지고 보지 않는 한, 그들은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모든 사람들은 한 번 본 사진들을 잊지 못할 것이다."[4]

공교롭게도 이때 모든 범위의 색을 포착할 수 있는 새로운 범색 사진 에멀젼이 개발되었다.그것이 사용 가능하게 된 직후에 스티글리츠는 그의 8" x 10" 뷰 카메라를 하늘을 향해 조준하고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다음해까지 그는 "음악: 10구름 사진의 시퀀스"("10구름의 구름"이라고도 한다)라고 불리는 10개의 탑재된 사진 시리즈를 만들었다.그는 아내 조지아 오키프에게 "어니스트 블로흐(위대한 작곡가)가 볼 때 다음과 같이 외칠 시리즈를 원했다"고 말했다.음악! 음악!야, 그게 왜 음악이야!어떻게 한 거야?그리고 그는 바이올린과 플룻, 오보, 황동 등을 가리킬 것이다."[5] 그는 1923년 뉴욕의 앤더슨 갤러리에서 열린 그의 1인 쇼에서 이 시리즈를 처음 선보였고, 블로흐가 그 곳에서 그것들을 보았을 때 스티글리츠가 원했던 반응을 정확히 보였다고 보고했다.[6]

뮤직 시리즈의 성공에 고무된 그는 1923년 여름 4" x 5" 그라플렉스 카메라를 들고 수십 장의 하늘을 찍었다.그는 이 사진들 중 많은 것을 '하늘의 노래'라고 불리는 뚜렷한 시리즈로 정리했다.1924년 말 그는 앤더슨 갤러리의 싱글룸에 그의 구름 사진 61장을 전시했다.그는 전시회 카탈로그에서 "내 카메라에 의해 드러난 하늘의 노래 - 하늘의 비밀은 작은 사진이며, 하늘에 있는 한 남자의 세계를 직접 폭로하는 것 - 영원한 관계의 문서 - 어쩌면 철학일지 모른다"[7]고 썼다.이 전시회를 본 후, 당시 보스턴 미술 박물관의 큐레이터였던 아난다 쿠마라스와미는 스티글리츠를 설득하여 '하늘의 노래'의 5점 등 자신의 사진 중 일부를 박물관에 기증하도록 했다.미국의 주요 박물관이 영구 소장품의 일부로 사진을 획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티글리츠는 다음 10년 동안 구름과 하늘을 계속 촬영했다.1925년에 그는 이 사진들을 "Equalents"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 이름은 그가 그 해 이후로 찍은 모든 사진들에 사용했던 이름이다.1929년에 그는 원래의 '하늘의 노래' 중 일부를 '등가'로 개칭했고, 이 판화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두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도로시 노먼은 스티글리츠와 그의 등가물 프린트를 보고 있는 한 남자의 대화를 녹음한 적이 있다.

남자(스티글리츠 등가물을 보고 있음):이거 물 사진이야?
스티글리츠:그것이 사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M: 하지만 그건 물의 사진일까?
스티글리츠:나는 너에게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M: 음, 그렇다면, 그건 하늘의 사진이야?
스티글리츠:그것은 우연히 하늘의 그림이다.그러나 나는 왜 그것이 중요한지 이해할 수 없다.[8]

스티글리츠는 이 사진들에서 그가 성취한 것을 확실히 알고 있었다.는 하트 크레인에게 자신의 '등가물'에 대해 쓴 글에서 "나는 내가 찍은 사진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말했다.나는 내가 여태껏 해본 적이 없는 일을 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나는 또한 지금 소위 말하는 소위 추상적인 유행의 대부분의 죽은 표현보다 어떤 '표현'에는 정말 추상적인 것들이 더 많이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9]

예술적 중요성

비록 이 주장이 거의 10년 에 만들어진 앨빈 랭던 코번의 보토그래프를 볼 때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동급생들은 때때로 첫 번째 의도적으로 추상적인 사진으로 인식된다.[10]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그들을 보고 그 당시 그들이 가졌던 영향을 이해하기는 어렵다.그들이 처음 사진을 등장했을 때, 일반적으로는 15년 이상 동안 뚜렷한 예술형태로 인식되어 왔으며, 스티글리츠가 그의 클라우드 사진을 소개하기 전까지는 형태와 내용 모두에서 알아볼 수 없는 것을 촬영하는 전통이 없었다.예술평론가 힐튼 크레이머는 "동등화 작품들은 당시 스티글리츠가 특히 가깝게 느꼈던 미국의 모더니즘 회화(Doves and O'Keefe의 작품들) 덕분"이라고 말했다.그러나 그들은 1940년대와 1950년대까지 미국 그림에 들어가지 않는 일종의 서정적 추상화에 도달함으로써 이 시기의 전위적 그림을 지배했던 화보적 관례를 뚜렷이 뛰어넘는다.알버트 핑크햄 라이더의 그림에서 클라이포드 스틸의 그림까지 추적할 수 있는 대목에서, 우리가 가장 강력한 연결고리를 찾는 것은 그림 자체보다는 스티글리츠의 동격화에서 찾을 수 있다.[9]

이 사진들 중 가장 강렬하게 보이는 이유 중 하나는 어떤 기준점이 없기 때문이다.스티글리츠는 이런 지문의 많은 부분에 대해 특별한 방향성을 신경 쓰지 않았고, 원래 장착했던 방식에서 옆으로 또는 거꾸로 전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사학자 사라 그리노는 스티글리츠를 그렇게 함으로써 "자연에 대해 덜 생각하게 하기 위해 자연과의 [시청자] 관계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었다"고 지적한다.[11]그녀는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등가물들은 스티글리츠가 보통 사진에서 발견되는 실제에 대한 모든 언급을 삭제한 자신의 정체성을 양도한 형상의 사진이다.이 작품들을 제자리나 장소에서 찾을 수 있는 내부 증거가 없다.그것들은 조지 호수, 뉴욕시, 베니스, 알프스 산맥에서 만들어졌는지는 아무 것도 나타내지 않으며, 젤라틴 은 판화의 현대적인 외관을 제외하고는 사진이 발명된 이후 언제라도 만들어질 수 있었다.그리고 이 사진들에는 지평선이 없기 때문에 어느 쪽이 '위'이고 어느 쪽이 '아래'인지조차 분명하지 않다.이 사진들의 '상단'과 '하단'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의 우리의 혼란과 시간이나 장소 중 어느 곳에서나 위치를 찾을 수 없는 우리의 무능은 우리가 알고 있는 구름의 사진을 추상화된 형태의 사진으로서 읽도록 강요한다."[12]

뉴욕 타임즈 미술 평론가 앤디 그룬드버그는 "등가물 사진들은 외관 세계가 제공하는 것 이상의 현실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가장 급진적으로 증명하고 있다"고 말했다.이들은 음악과 같이 환기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것이며, 물리적 세계를 뒤로하고 싶은 욕구, 즉 지평선과 스케일의 단서가 틀 안에서 가상으로 부재하는 것으로 상징되는 욕구를 표현한다.감정은 시간과 장소의 구체적 내용이 아니라 형식에만 있는 것이라고 그들은 주장한다.[13]

사진작가 안젤 아담스는 스티글리츠의 작품이 자신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1948년 그는 자신의 첫 번째 "사진에 대한 경험"은 많은 동족상인들을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4]

시리즈 및 세트

스티글리츠는 자신이 이퀄리티라고 불렀던 사진들을 전시하거나 출판할 때 여러 개의 다른 그룹으로 배열했고, 종종 뒤에 탑재된 지문을 하나 이상의 글자로 새기면서 자신이 '세트'라고 부르는 것을 더 자세히 식별했다.이러한 그룹화는 순차적이지 않으며, 스티글리츠는 어떤 단일 시리즈나 이산형 단위로도 고려하지 않았다.개별 프린트의 일부는 두 개 이상의 시리즈나 세트에 포함되며, 동일한 프린트의 일부 복사본에는 다른 식별 정보가 새겨져 있다.일반적으로 그의 세트는 "실시간 통로가 아니라 스티글리츠의 주관적 상태의 변화와 유동성을 반영하는 완전히 인위적인 구성"[12]으로 보아야 한다.

다음은 동등 사진의 연대순 목록이다.많은 판화에는 개별 제목이 없고, 수십 장의 사진이 동일한 일반 명칭인 Equivalent로 알려져 있다.이 사진들의 가장 포괄적인 카탈로그는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에서 찾을 수 있다. 키 세트[15]이 목록의 번호는 해당 출판물에 식별된 사진을 참조한다.

  • 1923 – Songs of the Sky "W" / 등가 "W" – 두 장의 인쇄물(키 세트 #950-951)이 판화들은 원래 '하늘의 노래' 시리즈의 일부였지만 1929년에 스티글리츠는 이를 '등가'로 개칭했다.이것들은 1929년에 찍은 "Set W"에 속하는 것과 같은 인쇄물이 아니다.
  • 1923 – Songs of the Sky "XX" / 등가 "XX" – 4장 인쇄(키 세트 #952-955).이 판화들은 원래 '하늘의 노래' 시리즈의 일부였지만 1929년에 스티글리츠는 이를 '등가'로 개칭했다.이것들은 1929년에 찍은 "Set XX"에 속하는 것과 같은 인쇄물이 아니다.
  • 1923 – Songs of the Sky / Equivalent – 34장의 인쇄물(키 세트 #956-989)이 판화들은 원래 '하늘의 노래' 시리즈의 일부였지만 1929년에 스티글리츠는 이를 '등가'로 개칭했다.
  • 1925 - 45장 인쇄(키 세트 #1093-1137)
  • 1926 - 20개 인쇄(키 세트 #1159-1178)
  • 1927 - 10개 인쇄(키 세트 #1198-1207)
  • 1928 - 27장 인쇄(키 세트 #1208-1239)
  • 1929 – 세트 B: 2개의 프린트 (키 세트 #1282-1283)
  • 1929 – 세트 C2: 5개 인쇄(키 세트 #1253-1257)
  • 1929 – Set HH: 3개의 인쇄물( 세트 #1258-1260)
  • 1929 – 세트 K: 3장의 인쇄물( 세트 #1261-12633)
  • 1929 – 세트 O: 7개 인쇄(키 세트 #1264-1270)
  • 1929 – 세트 W: 5개 인쇄(키 세트 #1277-1281)
  • 1929 – 세트 XX: 9개 인쇄(키 세트 #1284-1292)
  • 1929 – 13개 인쇄물("키 세트" #1293-1305)
  • 1930 - 20개 인쇄(키 세트 #1330-1349)
  • 1931 - 인쇄물 15개(키 세트 #1412-1426)
  • 1933 – 3개의 인쇄물(1개의 음극에서 모두) (키 세트 #1512-1514)
  • 1934 – 6개의 인쇄물( 세트 #1558-15633)

메모들

  1. ^ Hirsch, Robert (2000). Seizing the Light: A History of Photography. NY: McGraw-Hill. p. 239. ISBN 0-697-14361-9.
  2. ^ "Orthochromatic Photography". Retrieved 2008-12-26.
  3. ^ Richard Whelan (1995). Alfred Stieglitz: A Biography. NY: Little, Brown. pp. 431–432. ISBN 0-316-93404-6.
  4. ^ Alfred Stieglitz (19 September 1923). "How I came to Photograph Clouds". Amateur Photographer and Photography: 255.
  5. ^ Waldo Frank, ed. (1934). America and Alfred Stieglitz: A Collective Portrait. NY: Literary Guild. p. 154.
  6. ^ Lowe, Sue Davidson (1983). Stieglitz: A Memoir/Biography. NY: Farrar Straus Giroux. p. 257. ISBN 0-374-26990-4.
  7. ^ Stieglitz, Alfred (1923). Catalog of the Third Exhibition of Photography by Alfred Stieglitz. NY: Anderson Galleries.
  8. ^ Dorothy Norman (1984). Minor White, A Living Remembrance. Aperture. p. 9.
  9. ^ a b Kramer, Hilton (1982-12-19). "Photography as High Art". New York Times. p. 1. Retrieved 2008-12-26.
  10. ^ "Alvin Langdon Coburn, Selected Photograph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Gallery of A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8-08. Retrieved 2014-08-02.
  11. ^ Greenough, Sarah (1995). Mark Greenburg (ed.). In Focus: Alfred Stieglitz; Photographs from the J. Paul Getty Museum. Los Angeles: J. Paul Getty Museum. p. 132.
  12. ^ a b Greenough, Sarah; Juan Hamilton (1983). Alfred Stieglitz: Photographs and Writings. Washington: National Gallery of Art. pp. 24–25. ISBN 0-89468-027-7.
  13. ^ Grundberg, Andy (1983-02-13). "Photography View: Stieglitz felt the pull of two cultures". New York Times. Retrieved 2008-12-26.
  14. ^ Phillips, Sandra. "Adams and Stieglitz: A Friendship". Art in America. p. 1. Retrieved 2008-12-26.[데드링크]
  15. ^ Sarah Greenough (2002). Alfred Stieglitz: The Key Set. NY: Abrams. ISBN 0-8109-3533-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