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생식물

Endophyte
콩(글리신 최대) 뿌리 결절을 통해 단면을 투과하는 전자 현미경 이미지.질소를 고정시키는 박테리아인 Bradyrhizobium japonicum은 뿌리를 감염시켜 공생을 확립합니다.이 고배율 이미지는 공생체 내에 단일 박테로이드(박테륨 유사 세포 또는 변형 박테리아 세포)가 있는 세포의 일부를 보여준다.이 이미지에서는 소포체, 골지 기구 및 세포벽도 볼 수 있습니다.

내생식물은 종종 박테리아나 균류인 내생식물로, 명백한 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식물 수명 주기의 적어도 일부 동안 살아간다.내생식물은 어디에나 존재하며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모든 종류의 식물에서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내생식물과 식물의 관계는 잘 이해되지 않는다.일부 내생식물은 숙주의 성장, 영양소 획득을 강화하고 가뭄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를 견디는 식물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곤충, 병원체 및 초식동물에 대한 식물의 내성을 강화함으로써 생물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역사

내생식물은 1809년 독일의 식물학자 요한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링크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그것들은 식물 기생 곰팡이로 생각되었고 나중에 프랑스 과학자인 베샹에 의해 "마이크로자임"이라고 불렸습니다.식물이 무균 상태에서 건강하다는 믿음이 있었고 빅터 갈리페가 1887년이 되어서야 식물 [1]조직 안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그러나 대부분의 내생학 연구는 박테리아와 균류의 상호주의적 관계를 보고하고 있지만, Das et al., (2019)는 내생학 바이러스 및 식물 방어 [2]메커니즘에서 이들의 가능한 기능에 대해 보고했다.

전송

내생식물은 수직(부모에서 자손으로 직접) 또는 수평(개인 사이에서)[3]으로 전염될 수 있다.수직으로 전달되는 균류 내생식물은 전형적으로 복제물로 간주되고 숙주의 씨앗 안에 있는 배아를 관통하는 균류통해 전달되는 반면, 무성 원추체나 성 포자를 통한 균류의 번식은 개체군이나 [4]군집의 식물들 사이에 퍼질 수 있는 수평 전염으로 이어진다.

공생

식물-내생균 상호작용 [5]
약어: 폴리히드록시알칸산염(PHA),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활성산소종(ROS), 반응성질소종(RNS), III형분비계(T3SS), VI형분비계(T6SS), 헤마글루티닌(HA), 소형 RNA(RSA), 구리-마이크로 RNA(RSMI)ssociated molecular pattern(MAMPs), 자스몬산(JA), 에틸렌(ET), 살리실산(SA).위쪽을 가리키는 화살표는 증가, 아래쪽을 가리키는 화살표는 식 수준의 감소를 나타냅니다.

대부분의 내생 식물과 식물의 관계는 여전히 잘 [6]이해되지 않는다.그러나 최근에는 내생식물이 종자를 통해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수직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7]내생식물들과 식물들은 종종 상호주의에 관여하며, 내생식물은 병원균과 질병,[8] 물 스트레스, 열 스트레스, 영양소 가용성 그리고 낮은 토양 품질, 염분, 그리고 [1]초본과 같은 문제들을 가지고 숙주 식물의 건강과 생존에 주로 도움을 준다.그 대가로 내생식물은 식물 숙주로부터 에너지를 얻기 위해 탄소를 받는다.식물과 미생물의 상호작용은 엄밀하게 상호주의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내생균은 잠재적으로 병원균이나 부생식물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식물이 스트레스를 [9]받을 때.내생식물은 특정 환경 조건 하에서 또는 숙주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노화되기 시작할 때 활성화되고 번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내생식물에 [10][11]공급되는 탄소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내생식물은 다른 병원성 또는 기생성 유기체의 군집을 방지함으로써 숙주 식물에 이득이 될 수 있다.내생식물은 식물 조직을 광범위하게 군집화하고 경쟁적으로 다른 잠재적 [12][13]병원균을 배제할 수 있다.몇몇 곰팡이 및 세균성 내생식물은 식물의 성장을 증가시키고 전반적인 식물의 [14]견고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내생균은 숙주 식물 세포와 매우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자란다.균사균은 납작하게 자라거나 식물 세포에 달라붙어 자라는 것이 목격되었다.이러한 성장 패턴은 균사균이 식물 숙주의 세포벽에 실질적으로 부착되어 있지만 식물 [15]세포를 침범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내생균 균류는 식물 [16]조직의 세포간 공간에서 숙주 잎과 같은 속도로 자라는 것으로 보인다.

숙주 체내, 잎 및 생식 구조에 특정 균류 내생식물의 존재는 숙주의 생존을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생존성의 향상은 주로 초식으로부터 보호하는 2차 대사물의 내생생성 생산과 [15]영양소의 섭취 증가에 기인한다.연구들은 또한 실험 상황에서 내생식물이 빛이 제한된 조건하에서 식물의 성장과 적합성에 크게 기여하고, 식물은 이러한 [17]조건하에서 그들의 내생식 공생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과 내생식물이 공생을 도울 수 있는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증거가 있다.예를 들어, 식물의 화학적 신호는 내생식물에서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식물-내분비온트 상호작용의 한 예는 Convolvulaceae쌍떡잎식물쇄골균류 사이에서 발생한다.균이 식물에 있을 때는 식물에서 떨어져 자랄 때보다 에르고린 알칼로이드를 더 빠르게 합성한다.이것은 내생식 2차 대사물의 [18]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식물 시그널링이 필요하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식물 거동에 미치는 영향

식물과의 내생식물 공생에서 비롯된 다양한 행동들이 연구되고 있다.균류 내생식물과의 관련성을 통해 저영양 조건에서의 Pseudotsuga menziesi(Douglas-fir) 묘목의 뿌리 및 싹 구조가 길며 전체적인 바이오매스 [19]증가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배경에서 제안된 메커니즘에는 균류에 의한 높은 무기 인산염 가용화 능력뿐만 아니라 유기 인산염 광물화, 뿌리 콜로니제이션에 의한 균근 결합의 증가, 질소와 인의 [19]흡수의 증가가 포함됩니다.특정 내생식물 종들은 또한 내생식물이 [20]있는 으로의 옥신의 플럭스를 증가시킴으로써 뿌리 성장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내생식물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한 보고서는 개선된 물 [21]관계뿐만 아니라 숙주 식물의 광합성 능력이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다.높은 CO2 농도에서는 물 사용 효율의 개선이 관찰되었고, 물 부족 [21]상태에서는 추가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또한, 다른 다양한 생리 경로가 숙주 식물과의 내생식물 상호작용에 의해 활성화되어 [21]물 관계 개선의 주요 이유인 보다 엄격한 물 제어와 추가적인 물 관리를 가능하게 했다.특히, ABA를 생성하는 내생식물이 기공 전도도와 미생물 호흡 및 식물 재활용 CO2에 영향을 [22]미친다는 증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 변화 뒤에 있는 구체적인 생화학적 메커니즘은 아직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낮은 수준의 신호 캐스케이드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게다가, 내생식물 관계의 이점은 잘 연구되어 있지만, 이러한 관계의 비용은, 특정 탄소 비용, 내생식물 관리의 체계, 그리고 적절한 식물과 내생식물 [21]관계를 촉진하는 환경 조건과 같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Miscanthus sinensis와 식물 내생식물 Herbaspirillum frisingense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사한 실험에서 H. sinensis [23]접종 후 M. sinensis에서 신선 바이오매스의 약 20% 증가가 관찰되었습니다.그러나 이 실험의 유일한 방법은 이것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되는 방식이었다.접종은 식물 뿌리의 자스몬산염에틸렌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상향 조절을 보였지만, 이에 대한 메커니즘은 아직 [23]알려지지 않았다.구체적으로 H. 프리징엔스는 에틸렌 수용체를 상향 조절하고 에틸렌 반응 인자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뿌리 [23]성장이 증가하였다.또한 H. 프리징센스인돌아세트산(IAA)[24]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AA 유전자를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나 H. [23]프리징센스에 의해 에틸렌과 IAA 사이에 복잡한 균형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다양성

내생식물은 매우 다양하다; 현존하는 내생식물의 극소수만이 특징지어졌다.[25][26]많은 내생식물이 담자균아스코미코타에 있다.내생균류는 소르다리아균류(Pyrenomycetes) 분류의 하이포코플라레스 자일라리아레스 또는 로쿨로아스코마이세테스 [27]분류에서 유래할 수 있다.균류 내생식물의 한 그룹은 다양[28]식물종과 관련된 생물영양성 사구체균을 포함하는 관절근균이다.균근균과 같은 식물과 관련된 다른 유기체들과 마찬가지로, 내생식물들은 식물 숙주와의 연관성으로부터 탄소를 얻는다.세균성 내생식물은 α-프로테오박테리아, β-프로테오박테리아, β-프로테오박테리아, Firmicutes, 악티노박테리아를 [29]포함한 광범위한 분류군에 속한다.

거의 모든 육지 [30]식물에서 하나 이상의 내생 생물이 발견된다.열대 우림과 같이 식물 다양성이 높은 지역은 새롭고 다양한 화학 대사물을 [31]가진 가장 다양한 내생 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세계에는 [31]약 100만 마리의 내생균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로지폴 소나무(Paenibacillus polymyxa)에서 분리되는 디아조영양균은 [32][33][34][35][36][37]질소를 고정시켜 숙주를 도울 수 있는 Paenibacillus polymyxa다.

분류

내생식물에는 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미생물이 포함된다.내생식물을 분류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이 있다.

시스템 및 비시스템

첫 번째 방법은 내생식물을 두 가지 범주로 나눕니다: 체계적(참)과 비체계적(과도적)입니다.이러한 범주는 내생식물의 유전학, 생물학, 그리고 숙주에서 [38]숙주로 전염되는 메커니즘에 기초합니다.전신성 내생식물은 식물 조직의 전체 수명 주기 동안 식물에 질병이나 해를 끼치지 않고 공생 관계에 참여하는 유기체로 정의된다.또한 체내 내생식물의 농도와 다양성은 환경조건이 [38]변화해도 숙주는 변하지 않는다.반면에 비체계적이거나 일시적인 내생식물은 변화하는 환경 조건 하에서 식물 숙주 내에서 수와 다양성이 다양하다.비체계적인 내생식물은 또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자원이 제한된 성장 [38]조건 하에서 숙주 식물에 병원성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의 예로는 Colletotrichum fioriniae가 있는데, 이것은 많은 온대 활엽수와 관목의 내생식물이지만 많은 과일과 일부 [39][40]잎에 병원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쇄골과 비쇄골

두 번째 방법은 균류 내생식물을 분류법과 다른 6가지 기준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눕니다: 숙주 범위, 숙주 조직 식민지화, 플랜타 생물 다양성, 전염 모드 및 적합성 이점.[41]이들 4개 그룹은 쇄골 내생식물(Class 1)과 비쇄골 내생식물(Class 2, 3, 4)로 나뉜다.

클래스 1의 내생식물은 모두 계통학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시원하고 따뜻한 계절의 풀 속에서 번식한다.그들은 전형적으로 식물의 싹을 군생시켜 조직적인 세포간 감염을 형성한다.클래스 1 내생식물은 주로 모성식물이 씨앗을 통해 자손에게 균류를 전달하는 수직 전달에 의해 숙주에서 숙주로 전염된다.클래스 1 내생식물은 타입 I, II 및 III로 더 나눌 수 있다.이 세 종류의 쇄골 내생식물 중 하나는 식물 숙주와의 다른 상호작용이다.이러한 상호작용은 병원성부터 공생성, 증상, 무증상까지 다양하다.타입 III 쇄골 내생식물은 질병의 증상을 보이거나 숙주를 해치지 않고 식물 숙주 내에서 자란다.클래스 1 내생식물은 전형적으로 식물 생물량을 개선하고 가뭄 내구성을 높이며 독성 및 동물에게 매력적이지 않은 화학 물질의 생산을 증가시켜 초식동물을 감소시키는 등의 이점을 식물 숙주에 부여한다.이러한 이점은 호스트 및 환경 [41]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비 쇄골 내생식물은 다계통성 유기체군을 나타낸다.비 쇄골 내생식물은 전형적으로 아스코미코타 균류이다.이 곰팡이의 생태학적 역할은 다양하며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이러한 내생식물 상호작용은 널리 퍼져 있으며 거의 모든 육지 식물과 [41]생태계에서 발견된다.많은 비개질 내생식물은 내생식 행동과 자유생활 생활 방식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비개질 내생식물은 2급, 3급 및 4급으로 나뉜다.Class 2 내생식물은 땅 위 및 아래 식물 조직에서 모두 자랄 수 있다.이 등급의 비섭취성 내생식물은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pH, 온도 [41]및 염도와 같은 서식지 고유의 스트레스의 결과로 식물 숙주의 적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클래스 3 내생식물은 지상 식물 조직에서 자라는 데 제한되며 식물 조직의 국소적인 영역에서 형성된다.클래스 4의 내생식물은 땅속 식물조직에 제한되며 식물조직의 훨씬 더 많은 부분을 군집화할 수 있다.이러한 종류의 비핵종 내생식물은 [41]지금까지 그렇게 광범위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적용들

내생식물은 미래 [42][43][44][45][46][47][48]농업에 잠재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내생식물의 사용은 잠재적으로 농작물 [49]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진균 접종제인 아크레모늄 코에노피알룸A.lolii에 감염된 페스투카와 롤리움 페렌느의 터프그래스 씨앗은 농약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잔디 재배에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이 풀은 소에게 독성이 있고 곤충 피해에 더 강하다.1999년 현재, 이것은 '유지보수가 적은' 품종으로 판매되는 앞서 언급한 잔디밭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그 곰팡이들은 그 풀들이 독성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도록 만든다.이 제품들은 잎사귀, 친치벌레, 소드웹웜, 가을군충, 아르헨티나줄기벌레 등 잔디밭 해충에는 높은 내성을 제공하지만, 구더기와 같은 풀뿌리 해충에는 거의 보호하지 못한다.이 내생식물은 대부분의 살충제에서 살아남을 수 있고 심지어 일부 살균제에도 내성이 있어 통합 해충 [50]관리에 매우 적합합니다.

바이오 연료

2008년 NRRL 50072라고 불리는 균류의 분리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이 균주가 "마이코 디젤"로 촉진된 연료와 유사한 탄화수소 화합물을 소량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아마도 미래에는 이것이 바이오 연료의 가능한 원천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그것은 처음에는 내생식물인 Gliocladium roseum으로 잘못 확인되었지만, 나중에 연구된 바에 따르면 사실 부생식물Ascocoryne [51][52]sarcoides로 밝혀졌다.

에콰도르에서 채취한 과즈마 울미폴리아 식물의 줄기에서 분리된 니그로그라나 맥키노니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내생균주는 테르펜과 홀수 사슬 폴리엔을 포함한 다양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곰팡이로부터 분리된 폴리엔은 가솔린 대체 바이오 [53]연료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피토레메디케이션

식물은 잠재적으로 토양 속의 미생물을 분해하거나 분리하거나 자극하여 분해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해된 생태계의 특정 유기 오염 물질과 니켈과 같은 무기 오염 물질을 분해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식물성 정화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이 내생식물은 식물이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으로 덜 해로운 형태로 바꾸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몇 가지 실험 중 하나에서 G4로 알려진 Burkholderia속 박테리아 변종에서 TOM이라고 불리는 플라스미드를 수행했는데, 이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이 인기 있는 나무의 내생식물로 옮겨지는 않았다.식물이 주입되지 않은 식물보다 이 화학물질을 더 많이 제거할 수 있도록 돕고, 식물은 공기 중으로 TCE를 덜 방출한다.또 다른 실험에서 TOM 플라스미드와 니켈 내성 유전자를 모두 가진 Burkholderia 박테리아가 노란색 루핀에 접종되었다. 이것은 식물의 뿌리 질량을 증가시켰지만 TCE의 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이러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은 향후 개선으로 [54]이어질 수 있습니다.

에콰도르 열대 우림에서 식물의 줄기로부터 분리된 두 종류의 내생균 페스타로티옵시스 마이크로스포라는 비록 많은 다른 비내생균들이 이 능력을 보여주었고, 대부분의 격리된 상태를 보여 주었지만, 실험실 실험에서 폴리우레탄 플라스틱을 혐기성 조건에서 균류의 유일한 탄소원으로 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이 실험에서 내생균류의 es는 어느 [55]정도 이것을 수행할 수 있다.

약물 발견

내생식물은 약물 [56][57]발견 시 납 화합물로 유용할 수 있는 다양한 2차 대사물을 생산한다.내생식물 생체분광은 이미 [58][59]항균,[60] 항진균, 항바이러스,[60][61] 항기생충, [58][62]세포독성,[61] 신경보호,[61] 항산화, 인슐린 모방,[61] α-글루코시드가수분해효소 [60]억제 및 면역억제[61] 특성을 가진 화합물을 산출했다.식물의 내심근의 조작은 식물의 발달, 성장, 그리고 궁극적으로 [10]식물에서 수확한 화합물의 품질과 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연구들은 내생균이 이전에는 그들의 식물 숙주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생각되었던 2차 대사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식물에서 이러한 대사물의 존재는 내생식물 생산에만 기인하거나, 내생식물에서 식물 또는 그 반대로 대응하는 [61]유전자가 전달된 후 결합된 내생식물 및 식물 생산에 기인할 수 있다.

내생균에서 유래한 화학물질의 발견의 잘 알려진 예는 태평양 주목에서 분리된 균류인 Taxomyces Andreanae에서 유래한 것이다.티안드레아나는 또한 택솔로 알려진 파클리탁셀생산한다.이 약은 암 치료에 중요하다.그 후 다른 숙주종에서도 파클리탁셀을 생산하는 다른 내생식물이 발견되었지만,[61] 현재까지 파클리탁셀의 성공적인 산업적 공급원은 없었다.

내생식물은 다양한 항종양 성질을 가지고 발견되었다.내생균은 항종양 [58]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알칼로이드, 트리터펜, 스테로이드와 같은 많은 2차 화합물을 생성한다.알칼로이드 보베리신은 곰팡이 Fusarium oxysporum에서 분리되어 종양세포 PC3, PANC-1, A549대해 세포독성을 보였다.[63][64] 두 가지 푸사루빈 유도체, 즉 안히드로푸사루빈과 푸사루빈의 메틸에테르를 내생균 Cladosporium sp.에서 분리하여 인간 백혈병에 대한 세포독성을 보였다(K-562).[58]세 개의 트리터펜이 내생식물 자일라리안 경추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세 가지 화합물 모두 종양 [64]세포에 경미한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내생균에 의해 생성된 항균성 화합물 중 일부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발달시킨 병원균에 대한 그들의 효과에 관심이 있다.후사루빈의 2차 대사물-메틸에테르를 포함Cladosporium sp.의 다른 부분들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거대 [58]바실루스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다.아스코미코타 페스타로티옵시스로부터 여러 개의 분리주.메티실린 내성 [65]황색포도상구균에도 광범위한 항균 [31]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균 Nigrospora sp.로부터의 화합물은 다제내성 마이코박테륨 [66]결핵균주에 대한 활성을 가진다.

콩고민주공화국의 열대우림에서 슈도마사리아속의 내생균이 발견되었다.이 곰팡이는 항당뇨병으로서 가능성을 보이는 대사물을 생성하는데, 인슐린 모방으로도 알려져 있다.이 화합물은 인슐린과 같은 작용을 하며 마우스 모델 실험에서 [30]혈당 수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업

내생균의 많은 유망한 응용 분야 중 하나는 내생균이 [67]없는 작물보다 더 빨리 자라고 내성이 강하고 단단한 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내생균의 농업 사용을 증가시키려는 것이다.에피클로이 내생식물은 잔디의 성능과 생물적,[68]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잔디의 풀에서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Piriformospora indica는 세바시날레스목의 흥미로운 내생균으로 뿌리를 형성하고 많은 [69]식물과 공생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내생식물은 그들의 식물 숙주 공생체의 성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내생식물은 또한 숙주에게 가뭄, 척박한 토양, 초본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높은 복원력을 제공합니다.성장 및 탄력성의 증가는 식물성 물질인 Phoma eupatora infestans[70]억제 사례와 같이 식물 영양 또는 2차 대사물 생산을 개선하는 내생식물 능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내생식물은 토양에서 인과 같은 육지의 제한된 영양소의 흡수를 증가시키고 암석인산염과 대기 질소와 같은 식물성 영양소를 보통 [42]식물들이 접근할 수 없는 형태로 잡아둠으로써 이것을 달성한다.

많은 내생식물은 초식동물에게 매력이 없거나 독성이 있는 2차 대사물을 생성함으로써 곤충과 동물로부터 식물을 보호한다.침입 곤충으로부터 귀중한 농작물을 보호하는 내생식물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내생식물-식물-곤충 상호작용의 한 예는 뉴질랜드의 초원에 있으며, 그곳에서 AR1과 AR37로 알려진 내생식물이 아르헨티나 줄기 위빌로부터 귀중한 호밀풀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지만,[71] 다른 중요한 먹이 공급원인 가축에게는 여전히 입맛이 남아 있다.

살충성을 보이는 몇몇 내생식물이 발견되었다.그러한 내생식물 중 하나는 Bontia daphnoides 식물에서 처음 수확된 Nodulisporium sp.에서 유래한다.노듈리스포르산으로 알려진 인돌 디터펜[30]복파리 유충에 대한 효과적인 살충 특성을 가진 이 내생식물에서 수확되었습니다.

농업에서 내생식물의 사용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애물이 있다.내생식물이 그들의 식물 숙주에게 줄 수 있는 많은 알려진 이점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농업 관행이 계속해서 우선시되고 있습니다.현재 농업은 살균제와 높은 수준의 화학 비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곰팡이 제거제의 사용은 내생균에 [71]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료는 식물의 내생공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춥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짐에 따라 생물 살충제와 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는 내생식물의 관심과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사람들이 합성 살충제가 환경에 끼치는 피해와 벌이나 나비 같은 유익한 곤충들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게 되면서 생물 살충제는 더욱 [30]중요해질 것이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Hardoim PR, van Overbeek LS, Berg G, Pirttilä AM, Compant S, Campisano A, et al. (September 2015). "The Hidden World within Plants: Ecological and Evolutionary Considerations for Defining Functioning of Microbial Endophytes".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79 (3): 293–320. doi:10.1128/MMBR.00050-14. PMC 4488371. PMID 26136581.
  2. ^ Das, Saurav; Barooah, Madhumita; Thakur, Nagendra (2019-04-17). "Endophytic Virome". bioRxiv: 602144. doi:10.1101/602144. S2CID 146037776.
  3. ^ Suryanarayanan TS (2013-12-01). "Endophyte research: going beyond isolation and metabolite documentation". Fungal Ecology. 6 (6): 561–568. doi:10.1016/j.funeco.2013.09.007.
  4. ^ Tadych M, Bergen MS, White JF (2014-03-01). "Epichloë spp. associated with grasses: new insights on life cycles, dissemination and evolution". Mycologia. 106 (2): 181–201. doi:10.3852/106.2.181. PMID 24877257. S2CID 24846604.
  5. ^ Pinski, 아르투르, Betekhtin, 알렉산더, Hupert-Kocurek, Katarzyna, Mur, 루이스 A.J.;Hasterok, 로버트(2019년)."그 유전자 기반 Plant–Endophytic 박테리아는 상호 작용의 정의".국제 저널 분자 과학원. 20(8):1947.doi:10.3390/ijms20081947.PMC6515357.PMID 31010043.재료는 창조적 공용 귀인 4.0국제 라이센스 하에 가능하다 이 원본에서 복사되었다.
  6. ^ Saunders M, Glenn AE, Kohn LM (September 2010). "Exploring the evolutionary ecology of fungal endophytes in agricultural systems: using functional traits to reveal mechanisms in community processes". Evolutionary Applications. 3 (5–6): 525–37. doi:10.1111/j.1752-4571.2010.00141.x. PMC 3352505. PMID 25567944.
  7. ^ Abdelfattah, Ahmed; Wisniewski, Michael; Schena, Leonardo; Tack, Ayco J. M. (2021). "Experimental evidence of microbial inheritance in plants and transmission routes from seed to phyllosphere and root". Environmental Microbiology. 23 (4): 2199–2214. doi:10.1111/1462-2920.15392. ISSN 1462-2920. PMID 33427409.
  8. ^ Matsumoto H, Fan X, Wang Y, Kusstatscher P, Duan J, Wu S, et al. (January 2021). "Bacterial seed endophyte shapes disease resistance in rice". Nature Plants. 7 (1): 60–72. doi:10.1038/s41477-020-00826-5. PMID 33398157. S2CID 230508404.
  9. ^ McCoy P (2016). Radical Mycology: A Treatise on Seeing & Working with Fungi. p. 177. ISBN 9780986399602.
  10. ^ a b Jia M, Chen L, Xin HL, Zheng CJ, Rahman K, Han T, Qin LP (2016-06-09).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Endophytic Fungi and Medicinal Plants: A Systematic Review". Frontiers in Microbiology. 7: 906. doi:10.3389/fmicb.2016.00906. PMC 4899461. PMID 27375610.
  11. ^ Rai M, Agarkar G (May 2016). "Plant-fungal interactions: What triggers the fungi to switch among lifestyles?". Critical Reviews in Microbiology. 42 (3): 428–38. doi:10.3109/1040841X.2014.958052. PMID 25383649. S2CID 37813335.
  12. ^ Kuldau G, Bacon C (2008-07-01). "Clavicipitaceous endophytes: Their ability to enhance resistance of grasses to multiple stresses". Biological Control. Special Issue: Endophytes. 46 (1): 57–71. doi:10.1016/j.biocontrol.2008.01.023.
  13. ^ Zabalgogeazcoa I (2008-02-01). "Fungal endophytes and their interaction with plant pathogens: a review". Spanish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6 (S1): 138–146. doi:10.5424/sjar/200806S1-382. ISSN 2171-9292.
  14. ^ Hardoim PR, van Overbeek LS, Elsas JD (October 2008). "Properties of bacterial endophytes and their proposed role in plant growth". Trends in Microbiology. 16 (10): 463–71. doi:10.1016/j.tim.2008.07.008. PMID 18789693.
  15. ^ a b Christensen MJ, Bennett RJ, Ansari HA, Koga H, Johnson RD, Bryan GT, et al. (February 2008). "Epichloë endophytes grow by intercalary hyphal extension in elongating grass leaves". Fungal Genetics and Biology. 45 (2): 84–93. doi:10.1016/j.fgb.2007.07.013. PMID 17919950.
  16. ^ Tan YY, Spiering MJ, Scott V, Lane GA, Christensen MJ, Schmid J (December 2001). "In planta regulation of extension of an endophytic fungus and maintenance of high metabolic rates in its mycelium in the absence of apical extension".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7 (12): 5377–83. Bibcode:2001ApEnM..67.5377T. doi:10.1128/aem.67.12.5377-5383.2001. PMC 93319. PMID 11722882.
  17. ^ Davitt AJ, Stansberry M, Rudgers JA (November 2010). "Do the costs and benefits of fungal endophyte symbiosis vary with light availability?". The New Phytologist. 188 (3): 824–34. doi:10.1111/j.1469-8137.2010.03428.x. PMID 20955417.
  18. ^ Kusari S, Hertweck C, Spiteller M (July 2012). "Chemical ecology of endophytic fungi: origins of secondary metabolites". Chemistry & Biology. 19 (7): 792–8. doi:10.1016/j.chembiol.2012.06.004. PMID 22840767.
  19. ^ a b Khan, Zareen; Kandel, Shyam L.; Ramos, Daniela N.; Ettl, Gregory J.; Kim, Soo-Hyung; Doty, Sharon L. (October 2015). "Increased Biomass of Nursery-Grown Douglas-Fir Seedlings upon Inoculation with Diazotrophic Endophytic Consortia". Forests. 6 (10): 3582–3593. doi:10.3390/f6103582.
  20. ^ Kandel, Shyam L.; Firrincieli, Andrea; Joubert, Pierre M.; Okubara, Patricia A.; Leston, Natalie D.; McGeorge, Kendra M.; Mugnozza, Giuseppe S.; Harfouche, Antoine; Kim, Soo-Hyung; Doty, Sharon L. (2017). "An In vitro Study of Bio-Control and Plant Growth Promotion Potential of Salicaceae Endophytes". Frontiers in Microbiology. 8: 386. doi:10.3389/fmicb.2017.00386. ISSN 1664-302X. PMC 5347143. PMID 28348550.
  21. ^ a b c d Rho, Hyungmin; Kim, Soo-Hyung (2017), Doty, Sharon Lafferty (ed.), "Endophyte Effects on Photosynthesis and Water Use of Plant Hosts: A Meta-Analysis", Functional Importance of the Plant Microbiome: Implications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Bioenergy,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p. 43–69, doi:10.1007/978-3-319-65897-1_4, ISBN 978-3-319-65897-1, retrieved 2021-06-10
  22. ^ Rho, Hyungmin; Van Epps, Victor; Wegley, Nicholas; Doty, Sharon L.; Kim, Soo-Hyung (2018). "Salicaceae Endophytes Modulate Stomatal Behavior and Increase Water Use Efficiency in Rice". Frontiers in Plant Science. 9: 188. doi:10.3389/fpls.2018.00188. ISSN 1664-462X. PMC 5840156. PMID 29552021.
  23. ^ a b c d Straub, Daniel; Yang, Huaiyu; Liu, Yan; Tsap, Tatsiana; Ludewig, Uwe (2013-11-01). "Root ethylene signalling is involved in Miscanthus sinensis growth promotion by the bacterial endophyte Herbaspirillum frisingense GSF30T".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4 (14): 4603–4615. doi:10.1093/jxb/ert276. ISSN 0022-0957. PMC 3808336. PMID 24043849.
  24. ^ Rothballer, Michael; Eckert, Barbara; Schmid, Michael; Fekete, Agnes; Schloter, Michael; Lehner, Angelika; Pollmann, Stephan; Hartmann, Anton (2008-10-01). "Endophytic root colonization of gramineous plants by Herbaspirillum frisingense". FEMS Microbiology Ecology. 66 (1): 85–95. doi:10.1111/j.1574-6941.2008.00582.x. ISSN 0168-6496. PMID 18761671.
  25. ^ Suman A, Yadav AN, Verma P (2016-01-01). "Endophytic Microbes in Crops: Diversity and Beneficial Impac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Singh DP, Singh HB, Prabha R (eds.). Microbial Inoculants in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vity. Springer India. pp. 117–143. doi:10.1007/978-81-322-2647-5_7. ISBN 9788132226451.
  26. ^ Rodriguez RJ, White JF, Arnold AE, Redman RS (2009). "Fungal endophytes: diversity and functional roles". The New Phytologist. 182 (2): 314–30. doi:10.1111/j.1469-8137.2009.02773.x. PMID 19236579.
  27. ^ Unterseher M (2011-01-01). "Diversity of Fungal Endophytes in Temperate Forest Trees". In Pirttilä AM, Frank AC (eds.). Endophytes of Forest Trees. Forestry Sciences. Vol. 80. Springer Netherlands. pp. 31–46. doi:10.1007/978-94-007-1599-8_2. ISBN 978-94-007-1598-1.
  28. ^ van der Heijden MG, Martin FM, Selosse MA, Sanders IR (March 2015). "Mycorrhizal ecology and evolutio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New Phytologist. 205 (4): 1406–23. doi:10.1111/nph.13288. PMID 25639293.
  29. ^ Buzaite O, Baniulis D, Stanys V (2015). "Bacterial endophytes in agricultural crops and their role in stress tolerance: a review". Zemdirbyste-Agriculture. 102 (4): 465–478. doi:10.13080/z-a.2015.102.060.
  30. ^ a b c d Strobel G, Daisy B (December 2003). "Bioprospecting for microbial endophytes and their natural products".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67 (4): 491–502. doi:10.1128/mmbr.67.4.491-502.2003. PMC 309047. PMID 14665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