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산구 양이온성 단백질

Eosinophil cationic protein
RNASE3
PDB 1dyt EBI.jpg
사용 가능한 구조
PDB휴먼 유니프로트 검색: PDBe RCSB
식별자
에일리어스RNASE3, ECP, RNS3, RAF1,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A 패밀리3
외부 IDOMIM: 131398 HomoloGene: 136763 GenCard: RNAESE3
맞춤법
종.인간마우스
엔트레즈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2935

없음

RefSeq(단백질)

NP_002926

없음

장소(UCSC)Chr 14: 20.89 ~20.89 Mb없음
PubMed 검색[2]없음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

호산구 캐티온 단백질(ECP)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3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호산구 1차 [3]매트릭스에 위치한 염기성 단백질이다.인간에서 호산구 양이온성 단백질은 RNAES3 [4]유전자에 의해 코드된다.

ECP는 호산구 탈과립 중에 방출된다.이 단백질은 염증과 천식과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체내에서 ECP의 수치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ECP에는 세 가지 글리코졸화 형태가 있으며, 따라서 ECP는 18-22kDa의 [5]분자량 범위를 가진다.

기능.

호산구 양이온성 단백질 및 배열 관련 호산구 유래 신경독신(RNAES2)은 모두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A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이다.두 단백질 모두 신경 독성, 헬민토 독성 및 리보핵 용해 활성을 가지고 있다.호산구 양이온성 단백질은 호산구의 [6]과립 매트릭스에 국재한다.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활성 및 세포독성

ECP의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활성은 세포독성에 [7]필수적이지 않다.

알려진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활성부위 잔기 2개가 비기능성 물질(위치 38에서 아르기닌으로 리신,[8] 위치 128에서 아스파르트산으로의 히스티딘)로 수정되고 야생형 ECP와 비교했을 때 돌연변이 ECP는 세포독성을 유지하지만 더 이상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활성을 가지지 않는다.실험은 두 아미노산을 비기능성 아미노산으로 변환하는 것이 ECP의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활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그러나 ECP는 항기생충 활성을 유지했다.또한 박테리아에서 ECP의 생산과 수송에도 변화가 없었다.

ECP는 기니피그 기관상피,[9] 포유류 백혈병,[10] 표피암,[9][11] 유방암 세포는 물론 기생충, 박테리아, 바이러스 [12]등 비암세포도 죽일 수 있는 강력한 세포독성 단백질이다.

성숙한 ECP는 세포 표면 헤파란 황산염 프로테오글리칸(HSPGs)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이어서 세포내구증(Endocytosis)[13]에 의해 인간 기관지 상피(BEAS-2B) 세포에 세포독성이 있다.

ECP유기성 아포토시스

TNF-α 아포토시스 시그널링에서의 rECP의 역할.rECP는 BEAS-2B 세포 TNF-α의 생산과 방출을 증가시킨다.TNF 수용체에 대한 TNF-α 결합의 방출은 수용체 내부화를 초래하고 카스파아제-8을 활성화한다.카스파아제-8유도 아포토시스는 미토콘드리아 반응을 유발하거나 카스파아제-3에 의해 직접 PARP 활성화를 유발할 수 있다.그러나 rECP 유도 아포토시스는 미토콘드리아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따라서 우리는 rECP가 미토콘드리아 비의존성 아포토시스를 [14]유도하는 것을 제안한다.

연구에 따르면 ECP는 EDN을 포함한 다른 RNases와 함께 세포에서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ECP는 카스파아제-3와 같은 [15]활성을 통해 HL-60과 Hela 세포에 세포독성을 유발했다.따라서 세포독성 RNase는 세포사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그러나 ECP 유도 아포토시스의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검증되지 않았다.최근의 연구는 호산구가 아포토시스와 [16]괴사를 통해 상피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ECP는 미토콘드리아 비의존 [14]경로를 통한 카스파아제-8 활성화에 의해 아포토시스를 유발한다.염색질 응축, 서브G1 모집단, PARP 절단 및 DNA 단편화의 증가는 ECP가 인간 기관지 상피([14]BEAS-2B) 세포에서 아포토시스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임상적 의의

호산구 과립구는 염증 부위와 특정 기생충 감염에 반응하여 많이 나타난다.이 세포질 과립들은 세포를 특징짓는 양전하를 띤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ECP는 활성화된 호산구가 과립을 감소시킬 때 주변 조직으로 들어가는 4개의 매우 염기성 단백질 중 하나이다.순환 ECP 수치는 환자마다 크게 다를 수 있지만, 일부 연구는 혈청 ECP 측정이 많은 활성 염증 [17]질환을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혈장 및 기타 체액의 ECP 농도는 활성화된 호산구에 [18]의해 특징지어지는 염증 반응 동안 증가한다.

혈청 ECP 수치는 천식 심각도에 대한 유용하고 객관적인 측정이기도 합니다.ECP 레벨의 증가는 증상 개시에 대응합니다.계절성 천식 환자의 경우 ECP 측정은 연중 [19]질병 활동의 변화를 반영했다.

천식 발작을 일으키기 위해 결합될 수 있는 메커니즘은 특정 IgE 항체, 활성화된 염증 세포, 신경유전자 메커니즘, 과민반응성 및 개별 호르몬 불균형을 포함한다.폐의 알레르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단계를 거친다.후기는 일반적으로 노출 후 몇 시간 후에 발생하며, 이 때 호산구기관지에 축적되어 기관지 과민성을 유발하는 과립 단백질을 방출합니다.ECP는 또한 뉴런, 일부 상피 세포주, 그리고 분리된 심근 [20]세포에 독성이 있다.이것이 피부 가려움증의 원인일 수 있다.

혈청 ECP 농도는 또한 아토피(AD) 활동과 관련이 있다.ECP는 AD에 대한 증상(인정, 수면 부족, 홍반, 구진, 가려움증절제)과 관련이 있으며 총 임상 [20]점수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천식 심각도 평가, 모니터링 치료 및 특정 염증 피부 조건의 심각도를 나타내기 위한 혈청 ECP 측정은 개별 조사자와 환자 평가의 광범위한 다양성으로 인해 불일치가 발생하기 쉬운 주관적 임상 측정보다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유리하다.

호산구 캐티온성 단백질 혈액검사의 정상 기준 범위는 2.3 ~ 16 µg/L이다.[21]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69397 - 앙상블, 2017년 5월
  2.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3. ^ Boix E, Carreras E, Nikolovski Z, Cuchillo CM, Nogués MV (June 200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eosinophil cationic protein by an epitope-specific antibody". J. Leukoc. Biol. 69 (6): 1027–35. PMID 11404391.
  4. ^ Mastrianni DM, Eddy RL, Rosenberg HF, Corrette SE, Shows TB, Tenen DG, Ackerman SJ (May 1992). "Localization of the human eosinophil Charcot-Leyden crystal protein (lysophospholipase) gene (CLC) to chromosome 19 and the human ribonuclease 2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and ribonuclease 3 (eosinophil cationic protein) genes (RNS2 and RNS3) to chromosome 14". Genomics. 13 (1): 240–2. doi:10.1016/0888-7543(92)90237-M. PMID 1577491.
  5. ^ Lee Bio Solutions, Inc. http://www.leebio.com/eosinophil-cationic-protein-human-P359.html
  6. ^ Hamann KJ, Ten RM, Loegering DA, Jenkins RB, Heise MT, Schad CR, Pease LR, Gleich GJ, Barker RL (August 1990). "Structure and chromosome localization of the human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genes: evidence for intronless coding sequences in the ribonuclease gene superfamily". Genomics. 7 (4): 535–46. doi:10.1016/0888-7543(90)90197-3. PMID 2387583.
  7. ^ Rosenberg HF (April 1995). "Recombinant human eosinophil cationic protein. Ribonuclease activity is not essential for cytotoxicity". J. Biol. Chem. 270 (14): 7876–81. doi:10.1074/jbc.270.14.7876. PMID 7713881.
  8. ^ Lehrer RI, Szklarek D, Barton A, Ganz T, Hamann KJ, Gleich GJ (June 1989). "Antibacterial properties of eosinophil major basic protein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Journal of Immunology. 142 (12): 4428–34. PMID 2656865.
  9. ^ a b Motojima S, Frigas E, Loegering DA, Gleich GJ (March 1989). "Toxicity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s for guinea pig tracheal epithelium in vitro". Am. Rev. Respir. Dis. 139 (3): 801–5. doi:10.1164/ajrccm/139.3.801. PMID 2923379.
  10. ^ Carreras E, Boix E, Navarro S, Rosenberg HF, Cuchillo CM, Nogués MV (April 2005). "Surface-exposed amino acid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 play a critical role in the inhibition of mammalian cell proliferation". Mol. Cell. Biochem. 272 (1–2): 1–7. doi:10.1007/s11010-005-4777-2. PMID 16010966.
  11. ^ Ali S, Kaur J, Patel KD (July 2000). "Inter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and 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Are Expressed by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and Support Eosinophil Adhesion and Activation". Am. J. Pathol. 157 (1): 313–21. doi:10.1016/S0002-9440(10)64542-7. PMC 1850201. PMID 10880401.
  12. ^ Venge P (January 2004). "Monitoring the allergic inflammation". Allergy. 59 (1): 26–32. doi:10.1046/j.1398-9995.2003.00386.x. PMID 14674929.
  13. ^ Fan TC, Chang HT, Chen IW, Wang HY, Chang MD (December 2007). "A heparan sulfate-facilitated and raft-dependent macropinocytosi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 Traffic. 8 (12): 1778–95. doi:10.1111/j.1600-0854.2007.00650.x. PMID 17944807.
  14. ^ a b c Chang KC, Lo CW, Fan TC, Chang MD, Shu CW, Chang CH, Chung CT, Fang SL, Chao CC, Tsai JJ, Lai YK (2010). "TNF-α Mediates Eosinophil Cationic Protein-induced Apoptosis in BEAS-2B Cells". BMC Cell Biol. 11: 6. doi:10.1186/1471-2121-11-6. PMC 2819994. PMID 20089176.
  15. ^ Navarro S, Aleu J, Jiménez M, Boix E, Cuchillo CM, Nogués MV (January 2008). "The cytotoxicity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ribonuclease 3 on eukaryotic cell lines takes place through its aggregation on the cell membrane". Cell. Mol. Life Sci. 65 (2): 324–37. doi:10.1007/s00018-007-7499-7. PMID 18087674.
  16. ^ Trautmann A, Schmid-Grendelmeier P, Krüger K, Crameri R, Akdis M, Akkaya A, Bröcker EB, Blaser K, Akdis CA (February 2002). "T cells and eosinophils cooperate in the induction of bronchial epithelial cell apoptosis in asthma".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09 (2): 329–37. doi:10.1067/mai.2002.121460. PMID 11842305.
  17. ^ Wardlaw AJ (August 1994). "Eosinophils in the 1990s: new perspectives on their role in health and disease". Postgrad Med J. 70 (826): 536–52. doi:10.1136/pgmj.70.826.536. PMC 2397687. PMID 7937446.
  18. ^ D'Amato G, Liccardi G, Russo M, Saggese M, D'Amato M (April 1996). "Measurement of serum level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 to monitor patients with seasonal respiratory allergy induced by Parietaria pollen (treated and untreated with specific immunotherapy)". Allergy. 51 (4): 245–50. doi:10.1111/j.1398-9995.1996.tb00075.x. PMID 8792921.
  19. ^ Tomassini M, Magrini L, De Petrillo G, Adriani E, Bonini S, Balsano F, Bonini S (June 1996). "Serum level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 in allergic diseases and natural allergen exposure".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97 (6): 1350–5. doi:10.1016/S0091-6749(96)70204-X. PMID 8648032.
  20. ^ a b Czech W, Krutmann J, Schöpf E, Kapp A (April 1992).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is a sensitive measure for disease activity in atopic dermatitis". Br. J. Dermatol. 126 (4): 351–5. doi:10.1111/j.1365-2133.1992.tb00677.x. PMID 1571256.
  21. ^ 웁살라 대학 병원(이하 "Laborationslista")의 참조 범위 목록.Artnr 40284 Sj74a.2008년 4월 22일 발행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