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 마보
Eddie Mabo에디 마보 | |
---|---|
태어난 | 에드워드 코이키 삼보 1936년 6월 29일 |
죽은 | 1992년 1월 21일 브리즈번, 퀸즐랜드, 오스트레일리아 | (55세)
배우자. | (m. 1959) |
아이들. | 10 |
에드워드 코이키 마보(Edward Koiki Mabo, 1936년 6월 29일 ~ 1992년 1월 21일)는 토레스 해협 제도 출신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남성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토지 권리를 위해 캠페인을 벌인 것으로 유명합니다.특히 영국왕실이 주권을 획득한 이후에도 토지에 대한 토착적 권리가 지속되었으며 테라 널리우스의 국제법 교리가 호주 국내법에 적용될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한 호주 고등법원의 획기적인 판결.고등법원 판사들은 마보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린 마보 퀸즈랜드(제2호) 사건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1993년 원주민 타이틀법으로 이어졌으며 호주에서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의 권리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어린시절과 가정
마보는 1936년[1] 6월 29일에 토레스 해협의 메르 섬에 위치한 라스 마을에서 에드워드 코이키 삼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그의 부모는 로버트 제소 삼보와 포이프 마보였지만, 에디는 그가 태어난 직후 그의 어머니가 사망했을 때 삼촌 베니 마보에 의해 입양되었습니다.[2][3]이 입양은 전통적인 토레스 해협 섬 주민 입양 관행의 일부였습니다.[4]
어린 시절, 마보는 섬 주민들을 위한 학교의 안도감을 주는 선생님인 로버트 '밥' 빅터 마일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마일즈는 그의 모든 학생들의 친구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는 섬의 아이들을 가르쳤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언어를 배웠고 그들이 수업시간에 그들의 언어를 사용하도록 격려했습니다.Mabo는 이러한 학생들 중 한 명이었고 Miles에게서 언어 이상을 배웠고, 또한 '본토' 문화에 대한 이해를 얻었습니다.그의 어머니가 편찮으신 동안 마일즈와 잠시 함께 살았던 마보는 나중에 그의 교육의 중요성을 되새겼습니다.그것은 그의 자신감 있는 언어 사용과 자신감 있는 대중 연설, 본토 정치에 대한 이해와 함께 1992년 마보브 퀸즈랜드라는 획기적인 사건으로 끝이 났습니다.[5]
에디는 그의 전통과 깊은 유대감을 갖고 있었습니다.그는 원주민 그림, 춤, 노래와 같은 활동을 즐겼습니다.하지만 그의 삼촌이자 이모인 베니와 마고 마보는 그에게 다른 사람들의 문화도 존중하라고 가르쳤습니다.
마보는 1959년 호주 남해 섬 주민 보니타 니하우와 결혼했습니다.이 부부는 7명의 자녀를 두었고 3명을 더 입양했습니다.[6]보니타 마보는 2018년 11월 26일 타운스빌에서 75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7][8]
딸 게일 마보(Gail Mabo, 1966년생)는 호주 전역에서 작품을 전시한 성공적인 시각 예술가입니다.[9]2000년대에 그녀의 예술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그녀는 춤, 안무, 그리고 연기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10][11] 그녀는 또한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학교들과 함께 문화 고문으로 일했고,[12] 가족의 지정 대변인 역할을 했습니다.[13]
마보의 조카는 성공회 주교 사이보 마보였습니다.[14]
그의 증손자는 NBA 운동선수 패티 밀스로 올림픽 농구 국가를 대표하는 세 번째 호주 원주민입니다.[15]
직업
마보는 배를 펄링하는 일, 지팡이 절단기 일, 철도 페틀러 [16]일을 하며 31살의 나이에 퀸즐랜드 타운스빌에 있는 제임스 쿡 대학에서 정원사가 되었습니다.
1973년 에디와 보니타 마보는 타운스빌에 흑인 커뮤니티 학교를 세웠는데, 이곳에서 토레스 해협 섬 주민 아이들은 백인 문화보다는 그들만의 문화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17]
퀸즈랜드 주립 도서관에서 마보의 결정에 대한 팟캐스트 시리즈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에디의 딸 게일 마보는 그녀의 아버지가 토레스 해협 섬 주민 아이들이 원주민이나 토레스 해협 섬 주민의 목소리나 관점을 포함하지 않은 역사의 버전을 배우는 것을 특히 반대했다고 상기했습니다.그녀는 또한 에디 마보가 그들의 문화에 대한 지식이 본토에서 자라는 토레스 해협 아이들에게 견고한 기초와 자부심을 줄 것이라고 믿었다고 말했습니다.
노엘 자로 OAM은 BCS라고도 알려진 흑인 커뮤니티 학교에 다녔습니다.그는 학교에서 아침에 영어와 수학과 같은 서양 과목을 가르쳤다는 것을 기억했습니다: 점심을 먹은 후, 학생들은 기본적인 메리엄 언어 어휘와 전통 춤을 포함한 토레스 해협 섬 주민들의 문화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노엘 자로(Noel Zaro)를 포함한 일부 학생들은 전통 춤 시연을 위해 다른 학교로 현장 학습을 갔고, 종종 부모님이나 가족들에 의해 이동되었습니다.
학교가 퀸즐랜드 교육 위원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에디 마보는 교장, 문화 강사, 스쿨버스 운전사로 무보수로 일했습니다.그는 저녁에도 제임스 쿡 대학에서 정원사로 계속 일했습니다.[18]
마보가 제임스 쿡 대학 캠퍼스에서 보낸 시간은 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1974년 제임스 쿡 대학의 역사학자 노엘 로스와 헨리 레이놀즈와 이야기를 나누었고, 로스는 다음과 같이 회상합니다.
하루는 레이놀즈 사무실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는데 코이키가 머레이 섬이나 머레이 섬에 있는 자신의 땅에 대해 막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헨리와 저는 그의 마음속에서 그가 그 땅을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했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래서 우리는 서로를 힐끗 쳐다보았고, 그에게 그 땅은 그가 소유하고 있지 않으며, 그것은 크라운 랜드라고 말해야 하는 어려운 책임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Koiki는 놀랐고, 충격을 받았고, 심지어...'말도 안돼, 이건 그들의 것이 아니라 우리의 것이야'[19]라고 말했던 것을 기억합니다.
나중에 마보가 토레스 해협의 구전 역사 프로젝트의 연구 보조원이었을 때, 레이놀즈는 다음과 같이 기록합니다.
그는 Thursday Island까지 왔고 더이상은 없습니다.그는 해협의 다른 섬에 착륙하는 것을 허락받지 못했습니다.그 당시 퀸즈랜드에서는 급진주의자라는 평판이 큰 부담이었습니다.에디에게 그 거절은 충격적이었습니다.그는 집에 갈 수 없었습니다.그는 백인의 법 앞에 땅이 없을 뿐만 아니라 망명자이기도 했습니다.[20]
대지권 옹호자
1981년 제임스 쿡 대학에서 토지 권리 회의가 열렸고 마보는 머레이 섬의 토지 상속 제도를 설명하는 연설을 했습니다.참석자 중 한 명인 변호사는 법원 제도를 통해 토지 권리를 주장하는 테스트 케이스가 있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호주 관습법 교리 측면에서 이것의 중요성을 지적했습니다.퍼스 출신의 변호사 그렉 맥킨타이어는 회의에 참석하여 이 사건을 받아들이기로 동의했습니다. 그는 이후 변호사 론 캐스탄과 브라이언 키언 코언을 영입했습니다.[21]매킨타이어는 청문회 동안 마보를 대리했습니다.[22]
10년 후 결정의 최종 결과에 대해 레이놀즈는 "10년 동안의 전투였고 정말 놀라운 전설이었습니다."[23]라고 말했습니다.
죽음과 마보 결정
1992년 1월 21일 에디 마보는 55세의 나이로 암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24]
5개월 후인 1992년 6월 3일, 고등법원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토지 권리를 인정하는 역사적인 결정을 발표했습니다.현재 호주에서 흔히 "마보"라고 불리는 이 결정은 공식적으로 마보 퀸즈랜드(2번)의 역사적인 지위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머레이 섬 사람들의 전통적인 애도 기간인 마보가 죽은 지 3년 후, 추모식이 열렸습니다.다음 날, 마보의 묘지는 그의 묘비에 스와스티카와 인종 비방을 뿌린 반달들의 공격을 받았고 청동으로 만든 그의 초상화를 제거했습니다.[25]그의 가족은 그의 시신을 머레이 섬에 다시 묻기로 결정했습니다.그의 재해석이 있던 날 밤, 섬사람들은 메리엄 왕의 매장을 위한 전통 의식을 거행했는데, 이 의식은 섬에서 80년 동안 볼 수 없었던 것입니다.
유산
1992년, 마보는 사후에 데이브 파시(Dave Passi), 샘 파시(Sam Passi), 제임스 라이스(James Rice), 셀루아 마포 살레(Celuia Mapo Salee), 바바라 호킹(Barbara Hocking)과 함께 호주 인권 위원회상을 수상했습니다.이 상은 "그들의 국민들을 위한 정의를 얻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노력한 것"과 "고주민들의 권리를 법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 것"에 대한 인정이었습니다.[26]
1993년 오스트레일리아 신문은 그의 업적을 기념하여 1992년 올해의 호주인(호주 정부가 수여하는 공식적인 올해의 호주인 상과 혼동하지 말 것)을 선정했습니다.[27]
트레버 그레이엄이 감독한 마보: 섬 남자의 삶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는 1997년에 개봉되었고 호주 영화 협회상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받았습니다.[citation needed]
에디 코이키 마보 강연 시리즈는 그를 기리기 위해 2004년 제임스 쿡 대학에서 설립되었습니다.그 이후 대부분의 해에 걸쳐 저명한 호주인들이 국가 화해 주간인 마보의 날(6월 3일)에 강연을 했습니다.[28]
2008년 5월 21일, 제임스 쿡 대학교는 타운스빌 캠퍼스 도서관을 에디 코이키 마보 도서관으로 명명했습니다.[29]
마보 데이(Mabo Day)는 토레스 샤이어의 공식 휴일로 6월 3일에 기념되며 [30]호주의 민족 화해 주간에 열립니다.[31][32]
2012년 6월 10일, 마보의 삶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인 마보가 호주 방송국(ABC)에서 방송되었습니다.[33]
2014년 6월, 매년 사회 정의를 위한 에디 마보 상(Eddie Mabo Award for Social Justice)은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에서 신설된 내셔널 원주민 인권상(National Indigenous Human Rights Awards)에서 3개 상 중 하나로 만들어졌습니다.[34]
2015년 6월 3일, 마보 결정 23주년이 되는 날, 스타 이름은 에디 코이키 마보의 이름을 따서 코이키로 정했습니다.[35][36]이 이름은 응용예술과학박물관이 지었으며, 명명식은 시드니 전망대에서 진행되었습니다.이 별은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항해에 사용되는 타가이로 알려진 거대한 토레스 해협 섬사람들의 별자리뿐만 아니라 남십자성 안에 있습니다.[37]
2015년 8월 24일, 토니 애벗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머레이 섬에 있는 마보의 묘소를 방문하여 그의 업적을 기렸습니다.[38]
2016년, 구글 두들은 그의 80번째 생일을 기념했습니다.[39]
2017년 호주 왕립 조폐국은 마보가 사망한 지 25년, 법적 결정이 내려진 지 50년, 국민투표가 끝난 지 50년을 기념하는 50센트 동전을 발행했습니다.그의 손녀 보네타 마리 마보(Boneta-Marie Mabo)가 디자인했으며 국가 화해 주간에 발표되었습니다.[40][41]
2022년 퀸즈랜드 주립 도서관에서 하이 아임 에디라는 팟캐스트를 제작했습니다.리아나 패트릭이 진행하는 팟캐스트는 마보의 삶과 고등법원 사건, 그리고 두 사람의 영원한 유산에 대해 이야기합니다.[42]
퀸즐랜드 주립 도서관은 마보 결정과 마보 가문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43]
- OM95-26 Mabo Cutting Books - 이 책들은 1990년 11월부터 1994년[44] 10월 사이의 Mabo 사건과 관련된 신문 스크랩을 포함합니다.
- 29122 1989년 Mer Island 마보 사건 관련 사진첩 - Mer (Murray Island)[45] Mabo 사건의 절차에 대한 사진 설명
- 6837 모이니한 대법관 - 결정 레 마보 사건 문서 1986년 2월 27일 - 모이니한 대법관이 준비한 에디 마보 등이 행동에서 제기한 사실 문제에 대한 호주 고등법원의 언급 결정에 관한 3권.[46]
- 32825 Mabo 가족 컬렉션 - Eddie Mabo가 착용하고 기념하는 셔츠 컬렉션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의 아내인 Bonita Mabo AO 박사가 대가족을 위해 만든 셔츠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그 밖에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마보 가문의 마보 가문이 마거릿 로리의 신화와 토레스 해협의 전설을 주석으로 단 것이 있습니다.[47][48]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Mabo: The Man – Adoption". Screen Austral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ugust 2014. Retrieved 12 May 2014.
- ^ "Eddie Koiki Mabo". Australian Institute of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Affairs.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October 2021. Retrieved 27 October 2021.
- ^ "Facts Sheet – Edward Koiki Mabo 1936–1992". Racism No W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16. Retrieved 21 July 2016.
- ^ Caldwell, Felicity (15 November 2017). "Traditional Torres Strait Islander adoption practices to be acknowledged under Labor". Brisbane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7. Retrieved 4 June 2019.
- ^
이 위키피디아 기사는 2022년 5월 27일에 액세스된 퀸즐랜드 주립 도서관의 CC BY 라이선스 하에 발행된 Miles and Mabo: 교사 및 마스터(2022년 1월 24일)의 텍스트를 통합합니다.
- ^ "It's time, says Bonita Mabo". The Sydney Morning Herald. 1 August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5. Retrieved 11 March 2015.
- ^ Higgins, Isabella (26 November 2018). "Bonita Mabo, prominent Indigenous rights activist, dies days after receiving accolade". AB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November 2018. Retrieved 27 November 2018.
- ^ Allam, Lorena (27 November 2018). "Bonita Mabo: tributes pour in for 'mother of native title'".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November 2018. Retrieved 27 November 2018.
- ^ "Gail Mabo". Indigenous Law Centr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21. Retrieved 10 December 2021.
- ^ "Gail Mabo, b. 1965". Design and Art Australia Online. 4 Ma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21. Retrieved 10 December 2021.
- ^ "Mabo Art". jcu.edu.au. 21 Ma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14.
- ^ "Social Justice and Human Rights Issues: A Global Perspective". csu.edu.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14.
- ^ "Mabo's gift". The Sydney Morning Herald. 2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September 2014.
- ^ Barraud, Anita (29 May 2012). "Mabo 20 years on". The Law Repor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April 2016. Retrieved 18 January 2020.
- ^ Stein, Marc (31 July 2020). "The Better I Got in Sports, the Worse the Racism Got".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y 2021. Retrieved 21 May 2021.
- ^ "Eddie Koiki Mabo". AIATSIS. Australian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October 2021. Retrieved 20 July 2022.
- ^ "Black Community School". Screen Australia Digital Learn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pril 2018. Retrieved 27 November 2018.
- ^ Patrick,Rhianna (23 May 2022). "Hi, I'm Eddie: Episode Three: A Better Education". "https://www.slq.qld.gov.au/discover/podcasts/hi-im-eddie" (Podcast). State Library of Queensland. Retrieved 13 September 2023.
{{cite podcast}}
:에외부 링크
(도움말)website=
- ^ Created by Thomas Rickard (2 November 2008). "We Are No Longer Shadows". First Australians. Australia. 13:45 minutes in. SBS. SB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0. 참고 항목
- ^ ID, 186쪽.
- ^ "About Bryan Keon-Coh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5. Retrieved 17 June 2015.
- ^ "You're part of the family, Mabo clan tells lawyer who led landmark case". The Sydney Morning Herald. 4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5.
- ^ "Eddie Mabo". ABC. 12 November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15. Retrieved 12 November 2015.
- ^ Noel, Loos. "Mabo, Edward Koiki (Eddie) (1936–1992)".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ISSN 1833-7538. Retrieved 10 August 2016.
- ^ Henderson, Ian (5 June 1995). "Vandalism of Mabo's grave 'a racist act'". The Canberra Times. Fairfax Limited. p.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December 2021. Retrieved 28 December 2021.
- ^ "1992 Human Rights Medal and Awards". Human Rights and Equal Opportunity Commis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07. Retrieved 11 August 2007.
- ^ "Papers of Edward Koiki Mabo – MS 8822".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ly 2005. Retrieved 23 September 2007.
- ^ "Eddie Koiki Mabo Lecture Series". JC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2022. Retrieved 5 June 2022.
- ^ "Architecture – Eddie Koiki Mabo Library Building Award – JCU". James Cook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September 2009. Retrieved 1 September 2009.
- ^ "Mabo Day". Torres Strait regional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rch 2011. Retrieved 13 March 2011.
- ^ "Commemorating Mabo Day". Reconciliation Australia. 3 June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21. Retrieved 9 October 2021.
- ^ "Reconciliation Week". Department of the Premier and Cabinet (South Australia). 16 April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21. Retrieved 9 October 2021.
귀인 3.0 오스트레일리아(CC BY 3.0 AU) 2021년 10월 5일 웨이백 머신 라이센스로 보관.
- ^ "Personal face of a public battle". The Sydney Morning herald. 31 Ma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y 2012. Retrieved 31 May 2012.
- ^ Georgatos, Gerry (14 May 2014). "Finally! National Indigenous Human Rights Awards". The String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22. Retrieved 4 March 2022.
- ^ Briscoe, Luke (3 June 2015). "A star is named: Eddie Mabo honoured in star dedication". NIT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December 2021. Retrieved 11 December 2021.
- ^ Briscoe, Luke (3 June 2015). "Eddie Mabo: It was written in the stars". NIT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December 2021. Retrieved 11 December 2021.
- ^ "Library Guides: Eddie Koiki Mabo Timeline: 2015". Library Guides at James Cook University. 19 February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December 2021. Retrieved 11 December 2021.
- ^ "Tony Abbott visits Eddie Mabo's grave on Murray Island". AB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5. Retrieved 25 August 2015.
- ^ "Edward Koiki Mabo's 80th birthd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6. Retrieved 28 June 2016.
- ^ "New coin designed by Boneta-Marie Mabo released into circulation for National Reconciliation Week". Royal Australian Mint. 24 Ma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17. Retrieved 23 October 2017.
- ^ Copp, Amanda (25 May 2017). "New 50c coin commemorates Mabo and 1967 referendum". SBS News. Special Broadcasting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17. Retrieved 23 October 2017.
- ^ "Hi I'm Eddie". State Library of Queensland. 27 May 20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22. Retrieved 27 May 2022.
- ^
이 위키피디아 기사는 퀸스랜드 주립 도서관이 2022년 5월 27일 CC BY 라이선스 하에 발행한 역사적 마보 결정 30주년(2022년 5월 5일)의 텍스트를 통합합니다.
- ^ "OM95-26 Mabo Cutting Books 1990-1994". State Library of Queensland OneSearch Catalog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2. Retrieved 27 May 2022.
- ^ "29122 Album of Photographs Relating to the Mabo Case on Mer Island 1989". State Library of Queensland OneSearch Catalgo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2. Retrieved 27 May 2022.
- ^ "6837 Justice Moynihan - Determination re Mabo Case Papers 27 Feb 1986". State Library of Queensland OneSe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2. Retrieved 27 May 2022.
- ^ "Myths and legends of Torres Strait / collected and translated by Margaret Lawrie". State Library of Queensland OneSearch Catalog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2. Retrieved 27 May 2022.
- ^ "32825 Mabo family collection". State Library of Queensland OneSe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2. Retrieved 27 May 2022.
추가열람
- "Collection of art works by Edward Koiki Mabo".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Retrieved 15 April 2018.
- 아펙 케빌레: Eddie Koiki Mabo : 섬 반대편에서 온 소년 (동영상 녹화) – "Eddie Mabo에 대하여, 그의 사람들에 대한 그의 사랑과 그의 조국에 대하여..." / Torres Strait Islander Affairs for Torres Strait Islander
- 마보: 섬사람의 삶 / 트레버 그레이엄 원작 각본 (1999, ISBN 0-86819-580-4)
외부 링크
- "Acquiring the Mabo Papers: Celebrating Edward Koiki Mab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11.
- Mabo, Gail. "Torres Strait Islands, Mer (Murray Island) and Eddie 'Koiki' Mab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rch 2012.
- "Eddie Mabo Biography". Retrieved 15 April 2018.
- 안녕하세요, 퀸즈랜드 주립 도서관의 팟캐스트 프로그램 에디입니다.2021 최고의 원주민 팟캐스트, 호주 팟캐스트 어워드 수상
- 에디 마보의 유산이 유튜브에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 1989년 머 아일랜드 마보 사건 관련 사진첩, 퀸즐랜드 주립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