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클레시아 데 에우차리스티아

Ecclesia de Eucharistia
에클레시아 데 에우차리스티아
라틴어로 '성체교에서 온 교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백과사전
Coat of arms of Pope John Paul II
서명일자2003년 4월 17일
제목교회와의 관계에 있는 성찬자
숫자교황 14명 중 14명
텍스트

에클레시아 에우차리스티아(Ecclesia de Eucharistia)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2003년 4월 17일에 발표한 백과사전이다. 그것의 제목은 관례대로 영어 번역에서 "교회는 성체로부터 그녀의 삶을 끌어낸다"로 표현되는 라틴어 버전의 본문의 첫 단어에서 따온 것인데, 라틴어의 첫 단어는 "성체로부터 교회"로 번역된다. 그는 교회의 정의와 사명에 대한 성찬의 중심성에 대해 논의하고 그의 메시지가 "수용할 수 없는 교리와 실천의 어두운 구름을 추방하는 데 효과적으로 도움이 되어 성찬이 빛나는 모든 신비에 계속 빛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그는 성직자와 성직자의 깊은 연관성을 포함하여 그의 초기 저술에서 친숙한 주제를 탐구했다. 그것은 미사를 말하는 그의 개인적인 경험에도 영향을 미쳤다.[1]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교황의 목요일에 사제들에게 연례 편지를 썼다. 교황으로서 25번째 성스러운 목요일에, 그는 대신 이 백과사전을 발표하여, 모든 가톨릭 신자들에게 이렇게 연설했다. "주교, 사제, 성직자, 성직자, 성스러운 삶에 있는 모든 남성과 여성, 그리고 모든 신실한 신자들에게" 그것은 그의 14편의 백과사전 중 마지막이었다.

텍스트

에클레시아 에우차리스티아의 본문은 서론, 6장,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는 62절로 나뉜다.

소개

서론은 '교회가 성체로부터 그녀의 삶을 이끌어낸다'는 말로 시작된다. 성찬은 '교회의 삶의 중심에 서 있다'는 점에서 '교회가 역사를 통해 갈 수 있는 여정에서 가질 수 있는 가장 소중한 소유물'이다. 존 바울은 성체 숭배는 어떤 곳에서는 "거의 완전히 버림받았다"고 후회하고, 성체 숭배자가 항상 적절하게 예우되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성체적 성격을 흐리게 하는 "단순히 우애적인 연회"나 "선포 형식"으로 전락하기도 한다. 가톨릭이 아닌 기독교인들과 교감을 표현하려는 에큐메니컬 충동이 성체를 찬양하는 교회의 규율을 위반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그는 모든 가톨릭 신자들에게 성체 본질을 강조하고 일깨워 주고 올바른 이해와 실천을 회복하기 위해 글을 쓴다. 왜냐하면 성체 성체는 모호성과 감가상각을 용인하기엔 너무 큰 선물이기 때문이다.

1. 신앙의 신비

요한 바울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주님으로부터 성찬을 선물로 받은 것이 아니라, 다른 많은 것 중에서, 선물 파의 우수성으로 받은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자신과 신성한 인간성에 있는 그의 사람의 선물이며, 그의 구원의 선물이기 때문이다." 그는 성찬의 성찬은 그리스도의 희생을 재현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희생을 다시 선물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성찬식에서 그리스도는 자신을 자양분으로 제공하는데, 이것은 "역사를 통해 여행하는 우리의 여정에 우리를 뿌리고 우리 앞에 놓인 일에 대한 일상의 헌신에서 살아 있는 희망의 씨앗을 심는다"고 한다.

2. 성찬자가 교회를 건설하다

성찬은 "성찬자는 정확히 교회를 건설함으로써 인간 공동체를 창조한다"라는 우애적 경험을 구성한다. 따라서 미사의 축하를 벗어나 성찬은 숭배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야 한다.

3. 성직자와 교회의 사도성

성체 숭배자의 축전은 사도들로부터 받은 신앙의 예탁의 중심에 있으며, 그 사도적 유산인 변하지 않아야 한다. 사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데, 사도세습의 일부인 주교로부터 서품을 받은 사제다. 따라서 개신교인들의 성찬식을 고려할 때 유지되어야 할 중요한 구별이 있는데, 여기서 "16세기 이후부터 서양에서 생겨났고 가톨릭교회와 분리되어 있는 교회 공동체"라고 언급한다. 가톨릭 신자들은 그 교회들에서 성찬식을 받아서는 안 되며, 또한 미사에 참석하는 대신 에큐메니컬 예배를 대신할 수도 없다. 성직자들은 자신의 사역을 위해서나 직업의 본보기로 미사를 매일 축하해야 한다. 성직자가 없을 때 성직자들이 하는 "찬양할 만한" 활동은 항상 일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4. 성찬과 성찬식

성찬은 그것이 완벽에 이르게 할 공동체를 전제로 한다. 그 공동체는 은총의 삶을 요구한다. 페난스의 성찬은 신자들이 죄의 양심에 대한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성찬에 대비할 수 있게 한다. 눈에 띄게 중대한 죄를 고집하는 사람에게는 성찬식을 거부해야 하며, 성찬의 참된 신앙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세례자만이 성찬식을 이용할 수 있다. 성체를 찬양하는 공동체는 주교와 교황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일요 미사는 우리의 공동체 표현에 근본적 중요성이 있다. 다음 규범은 성체교자와 교회에 대한 사랑을 보여준다. 이러한 모든 이유들로 인해, 성찬식이 특정 상황에서 비 가톨릭 신자들에게 행해질 수도 있지만, 성찬식이 그의 초기 백과사전인 Ut Unum Sint를 인용한 사람들에게도, 이러한 성찬을 받기를 간절히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전혀 용납될 수 없다.병자의 ng), 자유롭게 요청하고 가톨릭 교회가 공언한 신앙을 표명한다. 이것들은 "허가가 내려질 수 없는" 규범이다.

5. 성체 축제의 존엄성

성체를 축하하기 위해서는 그 내적, 정신적 의의에 부합하는 '외향적 형식'이 필요하다. 존 폴은 건축, "제단과 성막, 그리고 음악의 디자인"을 인용한다. '고대 기독교 유산의 땅'에서 예술로 전향한 존 폴은 '성적'이라고 알려진 다른 문화에 적응하는 작업에 대해 논한다. 그는 그 가치를 강조하고, 그것이 항상 성체 신비의 불가사의에 부합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유능한 교회당국의 일부, 특히 교황청의 신중한 검토"를 충고한다. 그는 "잘못된 창의성"과 "완전히 부적절한 인가받지 않은 혁신"을 비난한다. 그는 성체 축하를 위한 규범에 관한 문서가 곧 나올 것이라고 약속한다.

6. 성모학교에서 "성모 마리아여"

존 바울은 성체와의 마리아의 관계를 생각하며 그녀의 역할을 성체 신앙의 모범으로 여긴다.

결론

응답

성공회는 이 문서가 성공회 로마 가톨릭 국제위원회(ARCIC)와 국제 가톨릭 통합선교위원회(IARCCUM)가 '완전한 성체 나눔'[2]의 길을 모색하면서 추가 연구의 근거로 환영했다. 프랑스 개신교 연합의 에큐메니컬 관계 책임자인 길레스 다우데 목사는 "성체교 신자가 마땅히 받아야 할 경배를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존 폴의 두려움이 가톨릭과 개신교 사이의 성체적 환대에 대한 진전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훈련받은 것"과 사역은 차치하고 "우리를 분열시키는 것 보다 우리를 통합하는 것이 더 많다"[3]고 말했다.

의미로서의 성찬에서, 조셉 C. 곤자가 대학의 머드는 이 백과사전에서 요한 바오로 2세가 "객관적 현실에서 우리의 마음과는 별개로, 빵과 포도주는 성체화 이후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는 바오로 6세의 진술을 인용하면서 "성체주의적 존재에 대한 순진한 현실주의적 이해"를 채택했다고 썼다. 머드는 "마음 없이 얻을 수 있는" 객관성의 개념을 의심하고 있었다. [원래 강조][4]

가톨릭교회와 복음주의자들의 관계에 대한 에클레시아의 영향을 고려해 볼 때, 모두 성경에 대한 의존을 환영하겠지만, 기념으로 성찬식보다는 실제 존재에 대한 생각을 고수하는 개신교인들에게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고 마크놀은 썼다. 그는 심지어 그의 전이 논의까지 포함하여, "요한 바오로 2세가 16세기에 그들이 비난했던 것보다 개신교 개혁자들[루더, 멜랑크통]이 스스로 주창했던 것에 더 가까운 성체교 교리를 가르치는 것은 명백하다"고 믿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음주의자들이 어떤 인간적인 제도도 허용하지 않는 근본적 기독교 현실을 규정하는 데 있어 가톨릭 교회의 제도적 삶이 두드러지는 것은 분명하다"고 결론지었다.[1]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Noll, Mark A. (2007). "Ecclesia de Eucharistia: Locus of Doctrine, Way of Life". In Perry, Tim (ed.). The Legacy of John Paul II: An Evangelical Assessment. Downers Grove, Illinois: InterVarsity Press. pp. 118ff., esp. 118–9, 136–7. Retrieved 11 May 2018.
  2. ^ "Initial Response to the Papal Encyclical, Ecclesia de Eucharistia, issued on Maundy Thursday, 17 Apr". Anglican Communion News Service. 23 April 2003. Retrieved 11 May 2018.
  3. ^ Seguier, Étienne (17 April 2003). "Ecclesia de Eucharistia: l'encyclique sur "le cœur du mystère de l'Église"". La Vie (in French). Retrieved 11 May 2018.
  4. ^ Mudd, Joseph C. (2014). Eucharist as Meaning: Critical Metaphysics and Contemporary Sacramental Theology. Collegeville, Minnesota: Liturgical Press. p. 171. Retrieved 11 May 2018.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