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H. 가이거
David H. Geiger데이비드 H. 가이거(David H. Geiger, 1935년 ~ 1989년 10월 3일)는 사망 당시 전 세계 거의 절반의 돔구장에서 사용되고 있던 공기 지원 천장 지붕 시스템을 발명한 미국인 엔지니어였다.[1]
가이거는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으며, 드렉셀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1]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컬럼비아[1] 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가이거 씨는 컬럼비아대 겸임교수로 재직하면서 일본 오사카의 엑스포 70에서 미국관을 위한 인클로저를 설계했다.그는 건축회사 데이비스 브로디가 그 건물의 디자인 공모전에서 우승한 후 도청당했다.데이비스 브로디의 우승 디자인은 정자 꼭대기에 "펌프킨"을 가득 채운 30층 높이의 공기로, 그들은 그것을 구현할 전문지식을 갖춘 엔지니어가 필요했다.가이거는 의회가 예상 예산의 절반만 승인했을 때 일본의 지진과 태풍에도 견딜 수 있도록 미국관을 설계하고 있었다.새로운 예산을 수용하기 위해, 그는 제안된 높이를 대폭 줄이고 케이블이 제한되는 낮은 프로필의 공기 지지 지붕을 사용했으며, 주변부에 천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초엘리틱한 주변압축 링과 대각선 모양의 케이블 패턴을 사용했다.[2]가이거의 직물 공기 지지 지붕 발명은 당시의 가장 큰 고정 돔 구조인 아스트로돔보다 훨씬 저렴했다.[2]
이어 엔지니어 호르스트 버거와 함께 가이거 버거 어소시에이츠를 결성하고, 이들은 서울 올림픽체조경기장(R의 작업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최초의 텐세그리티형 돔)을 비롯한 일련의 저비용 공기지원 구조물 디자인을 제작했다. 버크민스터 풀러[3](Buckminster Fuller),[4] 캐나다 앨버타 주 캘거리 린제이 파크 스포츠 센터에 있는 최초의 반투명 단열 직물 지붕, 미시간 주 폰티악의 실버돔에 있는 경기장을 덮을 "영구적인" 저단열 직물 지붕.
1983년[5] 버거와의 제휴가 해체되고 가이거가 가이거 어소시에이츠를 결성하여 1986년 KKBNA에 인수되었다.1988년 가이거 어소시에이트의 전 동료들과 제휴하여 가이거 엔지니어를 찾았다.[6]
가이거는 1988년 올림픽을 위해 3개의 장소를 설계했던 서울을 여행하던 중 1989년에 사망했다.
주목할 만한 돔
- 실버돔, 폰티악, 미시건 (1975)
- 스티븐 C. 오코넬 센터 (1980)
- 휴버트 H.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험프리 메트로돔(1982)
- BC 플레이스, 밴쿠버, 브리티시 콜롬비아, 캐나다 (1983)
- 린제이 파크 스포츠 센터, 캘거리, 앨버타 (1983년)
-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의 RCA 돔 (1984)
- 도쿄돔 (1988)
- 레드버드 아레나 (1988)
-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지
- 트로피카나 필드 (1989)
참조
- ^ a b c d "David Geiger, Engineer, 54, Dies - New York Times". Nytimes.com. 1989-10-04. Retrieved 2017-09-27.
- ^ a b "A Stadium with a "Lid"". Columbia.edu. Retrieved 2011-05-27.
- ^ "Seoul: Structural Gymnastics". Columbia.edu. Retrieved 2010-12-14.
- ^ "Structurae". Ernst & Sohn. Retrieved 2014-09-29.
- ^ "Horst Berger". Structurema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19. Retrieved 2010-12-14.
- ^ "Geiger Engineers". Geiger Engineers. Retrieved 201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