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나팔로시스목
Cnaphalocrocis medinalis콩나팔로시스목 |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
망울: | |
클래스: | |
순서: | |
패밀리: | |
속: | |
종: | C.메디날리스 |
이항식 이름 | |
콩나팔로시스목 (게네, 1854년) | |
동의어 | |
|
벼잎굴개미(Cnaphalocrocis medinalis)는 크램바과과의 나방의 일종이다. 그것은 홍콩, 스리랑카, 대만, 태국과 대부분의 호주를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된다.
날개 폭은 약하다. 16밀리미터(5⁄8 인치).
이 유충은 오리자 사티바, 제아 메이즈, 트리티쿰, 사카룸, 소룸 종에서 해충으로 간주된다.
나방은 매우 활동적이고, 밝은 노란색이나 빨대 색상으로 앞날개에 두 개의 뚜렷한 물결선이 있고, 뒷날개에 한 개의 물결 모양의 뚜렷한 선이 있다. 날개 길이는 15 밀리미터(19⁄32 인치)이다. 알은 단독으로 또는 잎의 밑면에 세로줄로 배열된 무리지어 놓는데, 색깔은 비늘처럼 희다. 다산은 약 56개의 달걀이다. 잠복기는 4~8일. 5~6일 정도의 유충 분자를 찾았고, 유충 기간은 약 22~23일 입니다. 그것은 6-7일 동안 들끓는 잎사귀 접이에서 번데기한다. 다 자란 애벌레는 녹색이며, 길이는 16.5 밀리미터(212 ½인치)이다. 총 수명 주기는 약 5주 만에 완료되었다.
농작물의 모든 단계가 이 해충의 공격을 받는다. 새로 부화한 애벌레는 부화하면서 잎 가장자리를 잘라 잎을 접는다. 어린 묘목이 공격을 받으면 3-4개의 인접한 식물 잎을 접고 녹색 물질을 긁어 들끓는 잎이 하얗게 보이도록 한다. 애벌레 한 마리가 여러 잎을 손상시킨다. 공격받은 식물이 말라붙어 식물의 활력이 떨어진다. 결국 수확량이 줄어든다. 수익률 손실은 최대 10~50%까지 달라질 수 있다. 그것은 부츠 리프 단계에서 더 문제가 있다.
피쳐 설명
벼 잎사귀의 알은 타원형의 납작한 모양에 가깝고, 길이가 약 1밀리미터(½8인치) 정도 되며, 첫 출산은 흰 우유빛을 띠다가 황갈색이 되면 부화하기 전에 검은 점이 생긴다.
라바는 일반적으로 5개의 인스타를 가지고 있으며, 성숙한 단계의 유충 몸 길이는 약 15–18 밀리미터(½–23/332인치)이다. 라바는 갈색 머리를 가지고 있고, 흉부와 복부는 처음에는 초록색이었다가 노랑색-녹색이 되었고, 성숙할 때는 적갈색이었다. 앞흉부 테르굼의 뒤쪽 여백에는 나선형 모양의 검은 선이 두 개 있었고, 중후흉부 테르굼에는 8개의 뚜렷한 작은 검은 원이 있었으며, 그 중 앞쪽 가장자리가 여섯 개, 뒤끝이 두 개였다.[1]
번데기는 길이 약 9밀리미터(2364인치)로, 가장자리 부근의 복부 5~7구획에 암갈색 미세, 꼬리 끝 1줄, 8개의 철조망, 흰색의 얇은 고치 등이 있다.
성인은 대략 7–9 밀리미터(9⁄32–23⁄64 인치), 날개 길이는 약 13–18 밀리미터(1⁄2–23⁄32 인치)이며, 플라센은 표시되며, 프로알라는 비교적 굵은 쇼트 중에서 3개의 갈색 가로 벨트를 가지고 있다. 수나방 프로알라의 앞쪽 가장자리 중앙에는 반짝이고 오목한 눈주머니가 있고, 암나방 프로알라는 눈주머니가 없다.
페스트 임팩트
볏잎롤러는 애벌레 단계에서 해롭다. 유충 한 마리는 약 25 제곱 센티미터(4 in2)의 잎 조직을 소비할 수 있으며, 이는 보통 쌀 잎의 40% 미만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1계절 유충은 심장잎이나 근처의 잎 껍질 속으로 기어들어갔고, 2계절 유충은 잎 끝에서 비단을 돌리기 시작하더니 3계절 이후부터는 작은 곤충봉오리로 변하기 시작했다. 유충의 전체 식품 섭취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4~5차분 식품 섭취량. 비록, 다른 세대들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2]
쌀(Oriza sativa L.)은 인도를 포함한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먹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주식이다. 인도에서는 약 4,185만 헥타르(1억 3,340만 에이커)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생산량은 1억 2천만 미터톤(1억 1,200만 단톤)이다. 해충은 쌀에 평균 21%~51%의 수확량 손실을 입히는데, 이는 인도의 농작물 생산성이 떨어지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이어진다. 잎 폴더 침입은 잎 손상의 50% 이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상당한 수율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3]
병해충 방제 방법
문화 통제
경작제와 경작 제도를 개혁하고, 합리적 수정을 하며, 벼의 조기 생육, 늦숙화를 피한다. 또 쌀잎롤러의 피해도 초·중·후반 혼합 자르기를 피함으로써 줄일 수 있었다. 다양한 배치로 병해충의 피해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고, 밭을 가둬 죽이는 것도 가능하며, 적용면적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잎롤러의 성장률에 따라 이른 벼를 수확한 뒤 깊은 물에서 유충과 번데기를 일부 죽이는 것도 가능해 다음 세대의 출산율을 낮출 수 있다.[4]
물리적 및 기계적 제어
쌀잎롤러는 광축이 있어 금속 할로겐 램프의 성향이 강하며, 농가는 빛을 이용해 해충을 유인해 죽일 수 있다. 미끼 곤충등은 빠르고 효과적이며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의료보험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5]
생물학적 제어
화학 살충제를 바르면 드래그 저항과 해충 재발로 이어지며, 해충의 천적을 죽이기도 한다. 하지만 천적은 해충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6] 쌀잎롤러의 천적은 130여 명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쌀 병해충 관리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천적 보호와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7][8]
케미컬 컨트롤
bt 작물은 효험이 있다.[9] 세대별로 보면 쌀잎롤러의 저항을 막기 위해 살충제 사용을 합리적으로 정리하고 교대로 사용해야 한다.[10]
참조
- ^ Horváth, Gábor (1989). "Description of the Birch Leaf Roller's Incisions for Different Leaves". Bulletin of Mathematical Biology. 51 (4): 433–447. doi:10.1016/S0092-8240(89)80088-6.
- ^ Gurr, Geoff M; Donna, M. Y.; Read, Josie Lynn A.; Jiuan, Chen; Jian, Liu; Kong Luen, Heong (2012). "Parasitoids of the Rice Leaf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and Prospects for Enhancing Biological Control with Nectar Plants". Agricultural and Forest Entomology. 14 (1): 1–12. doi:10.1111/j.1461-9563.2011.00550.x. S2CID 83653296.
- ^ Muthayya, Sumithra; Sugimoto, Jonathan D.; Montgomery, Scott; Maberly, Glen F (2014).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3241 (1): 7–14.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Litsinger, J. A; Libetario, E. M; Barrion, A. T (2003). "Early Planting and Overseeding in the Cultural Control of Rice Seedling Maggot Atherigona Oryzae Malloch in the Philipp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Pest Management. 49 (1): 57–69. doi:10.1080/713867838. S2CID 85210743.
- ^ Shiwen, Huang; Ling, Wang; Lianmeng, Liu; Qian, Fu; Defeng, Zhu (2014). "Nonchemical Pest Control in China Rice: A Review" (PDF). Agr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34 (2): 275–291. doi:10.1007/s13593-013-0199-9. S2CID 17502895.
- ^ Gnanamanickam, S. S (2009). Biological Control of Rice Diseases. Dordrecht: London: Springer. ISBN 9789048124657.
- ^ Pickett, C. H.; Bugg; Lyman, Robert (1998). Enhancing Biological Control : Habitat Management to Promote Natural Enemies of Agricultural Pests. Berkeley, Calif: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13623.
- ^ Gurr, Geoff M.; Catindig, Josie Lynn A.; Read, Donna M. Y.; Jiuan, Cheng; Jian, Liu; La Pham; Kong Luen, Heong (2012). "Parasitoids of the Rice Leaf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and Prospects for Enhancing Biological Control with Nectar Plants". Agricultural and Forest Entomology. 14 (1): 1–12. doi:10.1111/j.1461-9563.2011.00550.x. S2CID 83653296.
- ^ Jouzani, Gholamreza; Valijanian, Salehi; Sharafi, Elena (2017). "Bacillus Thuringiensis : A Successful Insecticide with New Environmental Features and Tiding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01 (7): 2691–2711. doi:10.1007/s00253-017-8175-y. PMID 28235989. S2CID 15338700.
- ^ Mariyono, Joko (2008).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on Pesticide Use: A Case of Rice Agriculture in Java, Indonesia". Pest Management Science. 64 (10): 1069–1073. doi:10.1002/ps.1602. PMID 1849392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