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

Chinese yam
참치
Dioscorea polystachya (batatas).jpg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모노코츠
순서: 디오스코레아목
패밀리: 디오스코레아과
속: 디오스코레아속
종:
D. 폴리스타치야
이항식 이름
디오스코레아폴리스타치야
동의어[1]

디오스코레아 폴리스타치야 또는 중국 참마(간체 중국어: 山药; 전통 중국어: 山藥)는 계피-바인이라고도 하며,[2] 참나무과에 속하는 꽃식물의 일종이다. 그것은 때때로 중국 감자 또는 한국 이름으로 불린다.[3][2]

그것은 중국과 동아시아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 덩굴이다.[3][4] 식용 튜브는 주로 아시아에서 재배되며 때로는 대체의학에도 사용된다. 이 종류의 야마는 튜브를 날것으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독특하다.[5][6]

범위

중국에서 발원한 이 식물은 현재 동아시아(일본, 한국, 쿠릴열도, 필리핀, 베트남) 전역에서 자란다.[7] 17세기 또는 그 이전에 일본에 소개된 것으로 추정된다.[8] 19세기 초에 요리 및 문화용으로 미국에 소개된 이 식물은 현재 침습적인 식물 종으로 간주되고 있다.[7][9][10][11] 이 식물은 19세기 유럽 감자 실패유럽에 소개된 것으로, 아시아 식품 시장을 위해 오늘날까지 재배가 계속되고 있다.[12]

분류학

식물명디오스코레아 반대편디오스코레아 반대편인 이 식물명칭은 중국 야마에서 지속적으로 잘못 적용되어 왔다.[2][5][11] D. expectita라는 이름은 이제 D. expectifolia동의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3] 이 오류를 지적하는 식물학에서는 예를 들어 D. polystachya의 동의어로 Dioscorea agreta.를 열거할 수 있다.[2] 더욱이 D반대편도 이전의 D반대편도 북미에서 자라는 것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국이나 동아시아에서는 역사적 범위가 없으며, 이 집단은 인도의 아대륙에서만 자생하고 있으므로 디오스코레아 폴리스타키아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5]

설명

디오스코레아 폴리스타치야, 중국어 yam

Dioscorea polystachya 넝쿨은 일반적으로 3~5미터 길이로 자란다. 그러나 더 길어질 수 있다. 그들은 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잎은 길이가 11cm에 이르고 폭이 넓다. 그들은 밑바닥에 깔려있으며, 큰 것들은 가장자리가 베인 것일 수 있다. 배치는 가변적이다. 배치는 번갈아 배열하거나 반대로 배열하거나 또는 wholl로 부담할 수 있다. 잎의 액슬은 길이가 2cm 이하인 사마귀가 둥근 전구처럼 보인다. 구근은 때때로 비공식적으로 "얌베리" 또는 "얌베리"라고 불린다.[14][15]

새 식물은 구근이나 그 일부에서 싹을 틔운다.

중국 야마의 꽃은 계피 이 난다.

그 공장은 하나 이상의 스핀들 모양의[5] 튜브나[11] 원통형 튜브를 생산한다. 가장 큰 것은 10파운드의 무게로 지하 1미터에서 자랄 수 있다.[11] 디오스코레아 폴리스타치야는 다른 얌들에 비해 서리와 서늘한 기후에 내성이 강하며, 이는 많은 대륙에서 성공적으로 도입되고 확립된 데 기인한다.

공용명

덩치가 큰 지하 튜브 외에도, 중국산 yam은 잎이 줄기와 결합하는 작은 구근(연골 튜브)을 생산한다. 이것들은 또한 먹을 수 있지만 입맛에 맞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취향을 새로운 감자의 그것과 비교한다.[15]

중국어에서는 샤냐오(간체 중국어: 山药; 전통 중국어: 山藥; 점등)로 알려져 있다. '산의학'), 후아이산(後山; 懷山 또는 淮山)[16] 또는 후아이샤야오(後ish山; 懷山藥; 淮山藥; 淮山藥; ai山 from; ai山 from; ai山 from; 화이로부터 산약; 화이칭푸(;; 懷俯) 지역. 드물게 shy( (; 薯蕷)이라고도 한다. 참나무 구근은 샨야오 두(山山; 山藥豆; 山藥豆; '얌콩') 또는 샨야오 단(山药; 山山; 山藥蛋; '얌알')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경작 중인 이 종의 세 집단이 인정되고 있다. 흔히 긴 원통형의 활자는 나가이모( nag芋, '긴 야마')로 알려져 있다. 이치모( ich ich芋, '긴고잎참마')는 납작한 야자수 모양을 하고 있으며, 츠쿠네 이모(つくくね) '맛볼참마'둥글거나 구상형이다.[17][18] 야마토모(大山母, '야마토[도] 야마토] 야마토')라는 용어는 시장에서 특히 이치모에 대해 간토 지방에서 많이 쓰지만,[19] 전통적으로 야마토모도 츠쿠나이모를 언급해 왔기 때문에, 특히 야마토 성(현 나라 현)에서 생산되는 경우에는 이것이 혼란스럽다.[20] 이 종의 경운기(야마토모 같은 것)는 토착 다이오스코레아 자포니카에 대해 적절히 유보해야 하지만, 때로는 "일본산 참마"[21]라고 불린다.[8]

한국에서는 ma(한국어:), sanu(한국어: 산우; 한자: 山芋), seoye(서어: 山芋) 또는 sanyak(산악)으로 불린다.

신할라의 스리랑카에서는 왈 알라(Wal ala, වැ් අල)라고 불린다. 이것은 때때로 한국의 yam이라고 불린다.

베트남에서는 야마를 củ mai 또는 khoai mai라고 부른다. 이 야마가 약으로 가공될 때, 야마는 호에이선(hoai sơn) 또는 티기시(tỳgiải)라고 불린다.

필리핀 북부 일로카노에서는 투게라고 불린다.

중남미 국가에서는 백색 이름 또는 백색 뇨로 알려져 있다.

마니푸리에서는 "하"라고 부른다.

대체의학에서

관련 디오스코레아 빌로사(Dioscorea villosa)에서 만든 크림과 식이보충제는 인간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으며, 암 예방 크론병 치료, 백일해 치료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약으로 홍보된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 협회에 따르면, 이러한 주장은 거짓이며 이러한 물질들이 안전하거나 효과적이라는 것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고 한다.[22] 화이산은 중국 전통의학에도 쓰였다.[23]

침습종으로서

디오스코레아 폴리스타키아(Dioscorea polystachya)는 1800년대 장식용 또는 식량 작물로 심었을 때 미국에 소개되었다. 그것과 다른 소개된 야마 종들은 이제 그곳에서 야생으로 자란다. 그 범위가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그레이트 스모키 산맥 국립공원에서 그것은 골칫거리다.[11] 습한 서식지에서 가장 널리 퍼져있다. 그것은 다른 얌들보다 서리에 더 내성이 있으며 뉴욕만큼 북쪽의 온대 기후에서 발생할 수 있다.[11][24]

사용하다

그라데이션 디오스코레아 폴리스타치야 (일본식 토로로)

D. polystachya의 튜버는 날것으로 먹을 수 있고(갈이 또는 얇게[25] 썰어 먹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다른 얌은 먹기 전에 조리되어야 한다(원시 상태의 유해물질로 인해).[17]

먼저 껍질을 벗겨서(혹은 단단한 벽돌로 된 브러시를 사용하여 긁어내서) 피부를 제거해야 한다.[26][27] 이는 손에 약간의 자극을 줄 수 있으며 라텍스 글러브를 착용하는 것이 좋지만 가려움이 생기면 레몬즙이나 식초를 바를 수도 있다.[27][25]

껍질이 벗겨진 은 잠시 식초-물 용액에 담가 피부에서 발견되는 자극성 옥살레이트 결정을 중화시키고 [17]변색을 방지한다.[26] 생채소는 녹초가 되어 싱겁고, 썰거나 갈면 점액질이 있으며,[28][25] 반찬으로 담백하게 먹거나, 국수 등에 곁들여 먹을 수 있다.

일식 요리

Tororo blackbean udon from Tamba (丹波の黒豆とろろうどん)

일식 요리는 중국산 참치 재배와 일본산 참치(흔히 야생 포경)가 번갈아 가며 쓰인다. 차이점은 나가이모가 더 묽은 경향이 있는 반면, 토종 일본산 얌은 점성이 더 강하다는 것이다.[29]

토로로[ja]는 중국계 야마(나가모, 이치모, 츠쿠네모)[17] 또는 토종 일본계 야마를 갈아서 만든 점액화 푸레이다.[30] 일본 전통 요리 기법은 도기 모르타르수리바치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대고 야마를 갈아서 가는 것이다.[31] 또는 야마는 우선 오로시건 그레이터를 사용하여 조잡하게 갈고, 그 후에 나무 페스틀을 사용하여 수리바치의 부드러운 반죽으로 만들어진다.[32]

토로로에는 일반적으로 쓰유 국물(소스다시), 때로는 와사비를 포함하는 다른 재료들과 섞여서 [33][34]밥이나 무가메시[]에 얹어 먹는다.[17][35][29]

정육면체 모양으로 썬 생참치(마구로) 위에 붓는 토로로를 야마카케라고 하며, 간장, 와사비와 함께 먹는다.[33]

토로로 우동/소바를 만들기 위해 국수 위에 토로로도 부을 수 있다.[29] 그 위에 갈은 야마가 있는 국수를 야마카케라고도 한다.[26]

갈은 야마는 오코노미야키 타자의 결합제로도 쓰인다.[29]

때로는 갈은 야마가 만주 과자의 피부를 만드는 첨가제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 경우 제품을 조요만주( (蕷蕷饅) '얌만주'라고 부른다.[36][37] 야마는 규슈 지방의 특산품인 카루칸이라는 지역 과자를 만드는 데도 쓰인다.[29]

중국 요리

한자는 중국어로 샤냐오(;; 山藥)라고 하며, 덩굴은 날것으로 먹거나 찌거나 튀겨서 먹는다. 고소한 국물에 첨가하거나, 베리 소스로 달랠 수도 있다.

한식 요리

한국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의 중국 야마가 있다. 이 직선의 튜브모양의 변종은 장마(장마; 점등)라고 불린다.ma), 반면에 단마(한국어: 단마; 점등, 짧은 ma)는 이 변종을 가리키는데, 이 변종은 더 짧고 군집처럼 생긴 관을 성장시킨다.[38] 둘 다 요리에 사용되며 튜빙은 다양한 방식으로 준비된다. 그것들은 가장 흔하게 날것으로 소비되는데, 껍질이 벗겨진 뿌리가 물, 우유 또는 요구르트와 섞여서 마족(마주스) 또는 "마주스"(마주스)라고 알려진 영양 음료를 만든 후에 말이다. 대신, 껍질을 벗긴 튜브를 조각으로 잘라 양념장과 함께 날것으로, 요리하거나, 찌거나, 튀긴 후에 제공된다.

자라나는 중국계 참새우

중국 야마의 재배 주기는 약 1년이며, 겨울과 봄 사이에 심어야 한다.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작은 튜브를 사용하거나, 큰 튜브의 윗부분을 자르거나, 나뭇가지를 자르는 것이 있다. 처음 두 가지 방법은 20cm(7.8인치) 길이의 튜버 이상을 생산할 수 있다. 후자는 10cm 또는 4인치 크기의 소형 튜브를 생산하는데, 이 튜브는 보통 다음 해에 교체된다.

중국 참돔을 심은 지 7~9개월이 지나면 잎이 마르기 시작한다(곰팡이를 키우는 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실). 이는 참돔이 수확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낸다. 가정 정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소비될 것만 수확되고 나머지는 솥에 습한 흙 속에 남겨진다.[39]

참고 항목

참조

인용구
  1. ^ "Dioscorea polystachya".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WCSP). Royal Botanic Gardens, Kew. Retrieved 1 February 2014.
  2. ^ a b c d "Dioscorea polystachya".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Retrieved 17 December 2017.
  3. ^ a b Wiersema, John H.; León, Blanca (2016). World Economic Plants: A Standard Reference, Second Edition. CRC Press. p. 837. ISBN 9781466576810.
  4. ^ Xu, Zhenghao; Chang, Le (2017).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Common Weeds. 3. Zhejiang University Press / Springer. p. 899. ISBN 9789811054037.
  5. ^ a b c d Raz, Lauren (2002). "Dioscorea polystachya". In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FNA). 26. New York and Oxford – via eFloras.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6. ^ Ting, Chih-chi; Gilbert, Michael G. "Dioscorea polystachya". Flora of China. 24 – via eFloras.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7. ^ a b 생명백과사전 "차이나 야마"
  8. ^ a b Tsuyuzaki, Shiro 露崎四朗. "Dioscorea polystachya Turczaninow". (TSUYUZAKI Shiro. Hokkaido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y 2015. Retrieved 1 February 2016.
  9. ^ "Forest Invasive Plants of the Northeastern Area - Chinese Yam or Cinnamon Vine". na.fs.fed.us. Retrieved 2016-02-01.
  10. ^ 미국의 침습 플랜트 아틀라스, 디오스코레아 폴리스타치야 입국
  11. ^ a b c d e f Gucker, Corey L. (2009). "Dioscorea spp". Fire Effects Information System (FEI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Forest Service (USFS),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Fire Sciences Laboratory – via https://www.feis-crs.org/feis/.
  12. ^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www.onlyfoods.net. Retrieved 2016-02-01.
  13. ^ "Dioscorea oppositifolia".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WCSP). Royal Botanic Gardens, Kew. Retrieved 12 August 2014.
  14. ^ Christopher, Thomas, ed. (2011), The New American Landscape: Leading Voices on the Future of Sustainable Gardening, Timber Press, p. 121, ISBN 978-1604691863
  15. ^ a b Toensmeier, Eric; Bates, Jonathan (2013), Paradise Lot: Two Plant Geeks, One-Tenth of an Acre, and the Making of an Edible Garden Oasis in the City, Chelsea Green Publishing, pp. 185–188, ISBN 978-1603583992
  16. ^ 자오조오(子iaouo)에서 유래하였으며, 종래는 "후이칭후(後ai qing)"로 알려져 있다.
  17. ^ a b c d e Thompson, Anthony Keith (2014). "Chinese yam". Fruit and Vegetables: Harvesting, Handling and Storage. John Wiley & Sons. p. 1429. ISBN 9781118654019.
  18. ^ 바빌(2013), 페이지 101.
  19. ^ Takahashi, Nobuyuki 高橋伸幸 (2014). "Yamatoimo no tentō ni okeru shōhisha no sentaku yōin" ヤマトイモの店頭における消費者の選択要因. Gunma-ken nōgyō sentā kenkyū hōkoku (in Japanese) (11): 85–86.
  20. ^ Miyaoi, Yasuo 宮負定雄; Kawana, Noboru 川名登 (1979), Nōgyōyōsgū hoka 農業要集・他 (in Japanese), p. 23
  21. ^ Satomi, Shinzo (2016). Sushi Chef: Sukiyabashi Jiro. Kodansha USA. pp. 9–22. ISBN 9781942993285.
  22. ^ "Wild Yam". American Cancer Society. November 2008. Retrieved 21 September 2013.
  23. ^ 쉬, 2004년 한의학 피부과
  24. ^ "Dioscorea polystachya". County-level distribution map from the North American Plant Atlas (NAPA).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BONAP). 2014.
  25. ^ a b c Andoh, Elizabeth (2012b). Washoku: Recipes from the Japanese Home Kitchen. Berkeley: Ten Speed Press. p. 64. ISBN 9780307813558.
  26. ^ a b c Andoh, Elizabeth (2012a). Kansha: Celebrating Japan's Vegan and Vegetarian Traditions. Berkeley: Ten Speed Press. p. 69. ISBN 9781607743965.
  27. ^ a b Watanabe, Maki (2019). Asian Salads: 72 Inspired Recipes from Vietnam, China, Korea, Thailand and India. Tuttle. p. 97. ISBN 9781462920839.
  28. ^ Hu, Shiu-ying (2005). "Yams (Shan-yao 山藥, Shu-yu 薯類)". Food Plants of China. Chinese University Press. p. 144. ISBN 9789629962296.
  29. ^ a b c d e Itoh, Makiko (2015-07-15). "'Yamaimo': Japan's slimy mountain yam". The Japan Times. Retrieved 2019-06-07.
  30. ^ Davidson, Alan (2016). "Yam". Oxford Companion to Food. p. 883. ISBN 9780199677337.
  31. ^ 안도(2012b), 페이지 276.
  32. ^ Takahashi (1990). "The Taste of Japan: The Story of Grated Yam Dishes". The East. 26 (5): 48–49.
  33. ^ a b Miyaoi, 야스오 관방 장관 宮負定雄, 가와나, 노보루 川名登(1985년), 니혼 ryōrihiden shūsei:gentengendaigoyaku 日本料理秘伝集成:原典現代語訳(일본어로), 19페이지의 주 88;"yamatoimo, nagaimo, tsukuneimo 등과 갈은 껍질을 벗겨서와dashi 소스 간장, 미린, 소금을 사용하는 것을 곁들였다. 등과 추가합니다"yamakake로 tororo과 조각 위, 먹는 위에 쏟아지고 있maguro 인하 tororo을 정의합니다.와사비 간장 sauce".
  34. ^ Hara, Luiz (2018). The Japanese Larder: Bringing Japanese Ingredients into Your Everyday Cooking. quarto Publishing Group. p. 186. ISBN 9781911127628.
  35. ^ Belleme, John (1993). Cooking with Japanese Foods: A Guide to the Traditional Natural Foods of Japan. Avery Publishing Group. p. 133. ISBN 9780895295835.
  36. ^ Sasaki, Sanmi (2011). Chado the Way of Tea: A Japanese Tea Master's Almanac. Translated by McCabe, Shaun; Iwasaki Satoko. Tuttle. p. 28. ISBN 9781462900367.
  37. ^ Tatsuki, Kitsu 田附きつ; Tsukanaka, Kazue 塚中和恵 (1985). "Jōyo manjū no kawa no reōrojī-teki seishitsu" 薯蕷饅頭の皮のレオロジー的性質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Skin of Bean-Jam Buns Using Yamano-imo]. Gunma-ken nōgyō sentā kenkyū hōkoku (in Japanese). 36 (2): 93–101.
  38. ^ 지식백과, Naver. "마". Retrieved 11 June 2019.
  39. ^ Takeguma, Massahiro. "Growing Nagaimo". Retrieved 26 July 2013.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