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Central African Republic Civil War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현재 군사 상황(현재 군사 상황에 대한 자세한 지도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 ||||||||||
| ||||||||||
호전성 | ||||||||||
| 마이너스카 (2014년 이후) MISCA (2013–2014) 프랑스. | 주 저항군 (2014년 이후) 남수단 자위대(UPC와의 국경 교전)[8] | ||||||||
지휘관과 지도자 | ||||||||||
프랑수아 보지제(2020년 이후, 주장) | 파우스틴아칸지투아데라 EUFOR RCA:
마이크로팩스:
| 막심 모컴 | ||||||||
힘 | ||||||||||
6만(CPC, 2021년)[17] 3000명(셀레카 청구, 2015년)[18] 1,000–2000(기타 추정치, 2014)[19] | 8,200 (2021)[20] 마이너스카: 13,000[21] 2,000[22] 200[23] ECCAS: 3,500명 이상의 평화유지군[18][22] 콩고 민주 공화국: 1,000 콩고 공화국: 769년[24] 모리타니아: 140 겐다르메스[25] 포르투갈: 180 (주로 패러트로퍼)[26] 조지아: 140[27] 아프리카 연합: 6000[22] | 50,000[28]–72,000[29] (c. 2014–2016) | ||||||||
사상자 및 손실 | ||||||||||
500명 이상의 반란군 사상자(방귀만, 남아프리카공화국 주장) | 알 수 없는 수가 죽거나 캡처됨 경찰관 1명 사망 전사자[30] 15명 전사자 3명 전사자[31] 2명 전사자 3명 전사자 1명 | 53 |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CAR)에서 정부와 셀레카 연합군의 반란군, 반 발라카 민병대가 참여하는 내전이다.[36]
앞선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부시 전쟁(2004~2007)에서 프랑수아 보지제 대통령 정부는 2007년 평화협정 때까지 반군과 싸웠다.현재의 갈등은 셀레카라고 알려진 다양한 반란 단체들의 새로운 연합이 정부가 평화 협정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비난하면서 2012년에 많은 도시를 점령하고 2013년에 수도를 점령하면서 일어났다.[36][37]보지제는 국외로 도망쳤고,[38] 반군 지도자 미셸 조토디아는 스스로 대통령을 선언했다.[39]셀레카와 이에 반대하는 민병대 사이에 반발라카라는 새로운 싸움이 시작되었다.[40]2013년 9월 조토디아 대통령은 집권 후 단합성을 잃었던 셀레카 연합군을 해체하고 2014년 사임했다.[41][42]캐서린 삼바판자로 교체됐지만 갈등은 계속됐다.[43][44]2014년 7월 셀레카 전 파벌과 반발라카 대표가 정전협정에 서명했다.[45]2014년 말까지 반 발라카가 남부와 서부를 지배하고, 대부분의 이슬람교도들이 대피한 곳과 북부와 동부를 지배하던 옛 셀레카 단체들로 사실상 분단되었다.[46]2016년 대통령에 당선된 파우스틴-아칸지 투아데라는 보지제 전 대통령이 조정한 '변화를 위한 애국자 연합'이라는 선거에 반대하는 연대를 결성하게 만든 2020년 선거에 출마해 당선됐다.[47]평화유지군이 주로 ECCAS에서 아프리카연합으로 넘어간 것은 MISCA를 이끌고 UN을 이끄는 MEXCA로, 프랑스 평화유지군 임무는 산가리스 작전으로 알려졌다.
긴장 국면의 상당 부분은 무슬림 셀레카 투사와 기독교 반발라카 간의 종교적 정체성과 전 셀레카 파벌 간의 민족적 차이, 주로 반발라카로 구성된 농경주의자와 대부분의 셀레카 투사를 구성하는 유목민 집단 간의 역사적 대립에 관한 것이다.[48]다른 기여 요인으로는 자원 부국에서의 다이아몬드 및 기타 자원의 통제와 차드, 수단, 르완다와 같은 지역 강대국들과 프랑스, 러시아 같은 국제 강대국들 간의 영향력을 위한 투쟁을 들 수 있다.지금까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약 5백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나라에서 110만 명 이상이 집을 떠났다.[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