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한 관계에서의 배려
Caring in intimate relationships친밀한 관계에서 보살피는 것은 친밀한 관계 파트너에게 보살핌과 지원을 제공하는 행위입니다.돌봄 행동은 파트너의 고통을 줄이고 위협 또는 도전 상황에서 파트너의 대처 노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돌봄에는 정서적 지원(돌봄, 애정, 동정 및 격려의 표현) 및/또는 도구적 지원(정보, 조언 및 유형적 [1]자원의 제공)이 포함될 수 있다.효과적인 간병 행동은 간병인과 간병인 [2]사이의 관계의 질뿐만 아니라 간병인의 심리적 행복을 향상시킨다.그러나 최적이 아닌 특정 돌봄 전략은 효과적이지 않거나 대처에 [3]해로울 수 있다.
돌봄 행동 시스템
진화 기원
친밀한 관계와 성격 발달에 대한 연구를 위한 영향력 있는 이론적 틀인 애착 이론은 모든 인간은 [4][5]다른 사람들을 가까이 하기 위해 보호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보살핌 행동에 관여하는 능력과 동기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한다.이러한 행동들은 취약한 자손들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영장류 진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믿어지는 간병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선천적인 행동 체계에 의해 조직된다.그것은 인간을 포함한 많은 영장류 종들의 유아들은 고도로 고산성이기 때문에(즉, 태어날 때 발달적으로 미성숙하고 무력함), 그들은 보호자의 지원과 [4][6]보호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다.애착 이론은 이러한 진화적 압력이 위협이나 필요 [2][4][7][8]시 보호, 편안함 및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취약한 의존자를 위해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돌봄 행동 시스템의 출현을 선호한다고 제안한다.이 시스템은 처음에 자녀-부모 결합에서 개념화되었지만, 그 이후 성인의 친밀한 관계에서 운영이 이루어졌으며, 두 파트너 모두 [2][7][9][10]간병인 역할을 맡을 수 있다.
돌봄 시스템의 기능
애착 이론에 따르면, 돌봄 행동 시스템의 두 가지 목표는 가까운 사람을 위해로부터 보호하고 위협의 시간 동안 그들의 고통을 줄이는 것과 가까운 사람들의 개인적인 성장과 탐색적 [1][4][9][10]행동을 촉진하는 것이다.애착 이론가들은 돌봄 행동의 전자를 "안전한 안식처 제공"이라고 부르고 후자를 "안전한 기반 제공"이라고 부른다.따라서 돌봄 시스템은 가까운 관계 파트너가 위험이나 고통을 겪고 있다고 개인이 인식하거나 파트너가 새로운 기술을 탐색, 학습 또는 습득할 기회가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으며, 기회를 추구할 때 또는 그의 성취를 축하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nts 및 골 스트라이프.[1]
부착 시스템과의 상호 관계
애착 이론은 또한 모든 인간이 위협이나 [4]필요 시 간병인에게 가까이 다가가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선천적인 애착 행동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합니다.그러므로 보살핌 행동은 애착 행동을 보완한다.더욱이 애착 이론은 시행된 돌봄 행동의 효과가 간병인과 돌봄 받는 사람 사이의 애착 유대감을 결정하며, 사회적 [11]지원에 대한 돌봄 받는 사람의 일반적인 기대를 형성한다고 주장한다.이 모델에서는 친밀한 타인(어린 시절 부모든, 성년기의 로맨틱한 파트너든)으로부터 효과적인 케어를 받은 이력이 애착의 안정감을 촉진한다.즉, 타인의 지원에 의지할 수 있는 기대와 그 후의 친밀감이나 정서적 친밀감을 특징으로 하는 대인 지향이다.ss. 이와는 대조적으로, 냉증이나 간병인과의 상호작용의 이력은 애착 기피 – 친밀감에 대한 불편함, 타인에게 의지하는 것을 꺼리는 것, 그리고 감정적인 고통을 억제하는 경향으로 특징지어지는 대인 지향성-을 촉진한다.일관성이 없거나 거슬리는 보살핌은 애착 불안을 조장한다고 믿으며, 애착 불안을 조장하는 것은 친밀한 관계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자신의 감정적 [9][11]고통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효과적인 돌봄
주요 개념
효과적인 보살핌의 중심 요소는 배슨(1991)이 다른 사람의 고통이나 필요에 [1][9]대해 공감하는 입장을[12] 취하는 것이다.이것은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서 상대방의 고통을 줄이거나 도전적인 상황에서 개인의 성장과 발전 목표를 추구하도록 돕기 위해 상대방의 관점을 채택하거나 "자신을 입장이 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공감하는 입장은 두 가지 핵심 요소인 민감성과 반응성으로 특징지어집니다(단, 이러한 용어는 간병인과 사회 지원 [1][10][13]문헌에서 서로 바꿔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민감도는 파트너의 고통, 걱정 또는 니즈의 신호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해석하여 파트너의 요구와 니즈에 잘 맞는 지원의 유형과 양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특정 상황의 특정 특성에 맞게 관리 노력을 조정하는 것은 효과적인 [14]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대응력은 파트너에게 이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으로 지원을 제공하는 능력이다(즉, 간병인이 화자의 문제, 요구 및 감정을 정확하게 포착하고 검증). (즉, 간병인은 간병인이 소중한 개인이며 상황에서의 자신의 감정과 반응이 합리적임을 확인한다.)(즉, 간병인은 애정과 [1][15][16]관심을 전달해야 한다.)이러한 두 가지 요소가 결여된 돌봄은 효과적이지 않거나 심지어 돌봄을 받는 사람의 [1][3][10]행복에 해가 될 수 있다.예를 들어 유방암 환자의 조정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이 여성들은 원하는 지원 유형이 다양했으며, 원하는 지원 유형과 받는 지원 유형 간의 불일치(즉, 파트너 고유의 지원 요구에 대한 낮은 민감도)는 [17]더 심한 조정을 예측했다.사회적 지원에 도움이 되지 않는 시도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최소화(예를 들어 문제를 경시하거나 부정함), 최대화(예를 들어 재앙화, 문제를 다루기 어려워 보이거나 해결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함), 파트너의 불행을 비난하거나 비난하거나 죄책감이나 부채의 감정을 유발하거나 과잉 관여(예를 들어 지나치게 보호하거나 하는 것).상대방이 독립적으로 [1][18][19][20][21]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문제에 끼어들어 간병인이 무능하다고 느끼는 경우).
보이지 않는 서포트
선의의 지원일지라도 부적절하거나 [3]과도한 경우, 또는 치료수혜자가 스트레스 요인을 [22]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기술이나 자원이 없다는 사실을 부주의로 강조할 경우,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치료수혜자의 심리적 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그 결과, Niall Bolger와 동료들은 지원이 보이지 않거나 치료 대상자의 직접적인 [23]인식 범위 밖에서 작동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생각을 제시했습니다.연구진은 이 제안을 조사하기 위해 뉴욕주 변호사 시험을 준비하는 법대생 중 한 명이 부부인 부부를 모집해 두 사람이 매일 일기장을 작성하도록 했다.그들은 법대생들이 지원을 받는다고 신고한 날에는 우울증 수치가 더 높아졌지만, 상대방이 지원한다고 신고한 날에는 우울증 수치가 더 낮아졌다는 것을 발견했다.즉, 이 연구의 참가자들은 그들이 명시적으로 인지하지 못한 지원으로부터 대부분의 심리적 혜택을 얻었다.그러나 [24]다른 연구자들은 지원의 가시성보다 제정된 지원의 대응성이 더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해왔다.감정과 관계의 행복에 대한 가시적이고 보이지 않는 지지의 영향을 조사하는 한 연구는 반응이 높을 때 가시적인 지지가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결과와 연결되고,[24] 반응이 낮을 때 보이지 않는 지지가 부정적인 결과와 연결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즉, 눈에 보이는 서포트가 항상 부정적인 것은 아니며 눈에 보이지 않는 서포트가 항상 긍정적인 것은 아닙니다.다만, 양쪽의 서포트의 유효성은, 응답성에 달려 있습니다.
돌봄의 안전한 기본 기능
정의 및 함수
괴로워하는 동안 지원과 안심을 제공하는 것 외에, 친밀한 관계에서 돌봄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관계 파트너의 개인적인 성장, 탐색 및 목표 [4][5][25][26][27]달성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애착이론에서 이러한 종류의 지원은 안전한 기반 제공이라고 불리며 애착관계를 [4][5][11]벗어난 환경에 대한 관계 파트너의 자신감 있고 자율적인 탐구를 장려하기 위해 가정된다.이 현상은 원래 어린 아이들에게서 관찰되었다; 부모가 더 많은 침입성을 보이는 아이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11]놀이와 탐험에 참여할 가능성이 적었다.
시큐어 베이스의 컴포넌트
Feeney and Thrush(2010)는 안전한 기반 관리 서비스의 [26]세 가지 주요 기능 구성 요소를 식별했다.첫째, 개인은 지원이 필요한 경우 지원함으로써 관계 파트너의 탐색적이고 자율적인 행동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여기에는 파트너의 목표 달성에 대한 장애물을 제거하는 행위(예를 들어 파트너가 새로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집안일을 대신하는 행위), 파트너의 고통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에 민감하고 신속하게 대처하는 행위, 지원이 필요할 경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준비 상태를 전달하는 행위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둘째, 효과적인 보살핌은 탐구를 불필요하게 방해하지 않는다.즉, 효과적인 간병인은 불필요하거나 원하지 않거나 활동을 인수 또는 통제하거나 파트너의 목표 달성을 방해할 때 지원을 제공하지 않습니다.셋째, 파트너는 탐색에 대한 격려와 수용을 전달해야 합니다(즉, 탐색이 가치가 없거나 관계를 해칠 수 있음을 시사하기보다는 추구에 대한 열정을 전달해야 합니다).파트너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개인은 도전적인 활동을 보다 끈질기게 수행하는 반면, 파트너가 활동 중에 더 많은 간섭을 보이는 개인은 업무에 대한 끈기가 떨어지고, 더 낮은 성과, 도전에 대한 열의, 파트너에 대한 더 큰 부정성/적대성이 나타납니다.그리고 자존감이 떨어집니다.파트너의 열정적인 의사소통은 더 나은 성과, 더 높은 열정, 더 나은 기분, 상태 자존감의 증가, 향상된 자기 인식, 더 큰 즐거움, 그리고 파트너에 대한 더 많은 긍정적인 감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의존성 역설
모든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고 싶은 근본적이고 진화적으로 뿌리 깊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28][29]동시에, 사람들은 독립심과 [29]자급자족감을 유지하려는 욕구인 "자율성"에 대한 욕구도 가지고 있다.이 두 가지 심리적 욕구가 처음에는 모순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즉, 사람들이 사회적 연결의 욕구와 독립의 욕구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심리 연구는 지원을 위해 그들의 친밀한 파트너에 더 의존하는 개인들이 실제로 더 많은 자율성을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의존성 역설'[30]이라는 라벨이 붙은 현상)이 아니라.예를 들어, Feeney(2007)는 로맨틱한 파트너가 자신에게 의지하는 것에 더 익숙해진 개인이 (파트너의 직접적인 [30]도움 없이) 6개월 동안 독립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추구하여 달성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이러한 연구는 개인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지원 유형(예: 도전의 수용, 새로운 것의 시도, 탐색)은 단순히 가용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수반하는 지원이며, 자신의 목표가 달성될 경우 의지할 수 있는 안전한 기반이 있다고 생각하는 개인과 일치한다.ts가 잘못될 경우 [25][26]보안 기반에서 실제로 오버랩될 가능성은 낮아집니다.
대문자로 표시
심리학에서 자본화는 다른 사람들과 공유함으로써 [31]긍정적인 사건으로부터 추가적인 이익(예: 기분 좋은 증가)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말한다.연구에 따르면,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뉴스를 가까운 사람들과 공유하고 그 사람으로부터 지원 응답을 받는 사람들은 긍정적인 감정과 개인적인 행복이 긍정적인 사건 그 [32][33]자체에서 주어지는 상승 이상의 증가를 보인다는 것을 보여준다.또한, 긍정적인 이벤트 공유에 대한 지원은 관계의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구체적으로, 그러한 지원을 받는 것은 신뢰감을 증가시키고 친사회적 성향에 대한 지지를 증가시킨다(즉, 자신의 관계 [34]파트너와 관련된 불쾌하거나 갈등하는 상황에서 기꺼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것).또한, 긍정적인 이벤트 공유에 대한 지원은 [35]부정적인 이벤트에 대한 논의 중에 확장된 지원보다 더 높은 수준의 관계 품질과 미래에 헤어질 가능성이 낮은 것과 더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게이블과 동료들은[32] 관계 파트너가 자신들과 긍정적인 사건을 공유할 때 개인이 보일 수 있는 네 가지 기본 유형의 반응을 설명했습니다.능동-건설적 대응은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열정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수동-건설적 대응은 조용하고 절제된 방식으로 지지를 표현하며, 능동-파괴적 대응은 이벤트와 파트너의 열정을 짓누르고(예: 긍정적인 사건의 잠재적인 단면을 지적함으로써), 수동-파괴적 대응은 무시하고/또는 사건에 무관심함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적극적이고 건설적인 반응만이 감정과 관계의 [32][33][35]행복과 관련이 있다.
돌봄의 변동성
친밀한 사람을 배려하는 경향은 [4]보편적이지만 개인이 행하는 [36][37][38]돌봄의 질과 양에는 큰 차이가 있다.이러한 변동성은 간병인, 간병인, 간병인, [39][40]관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간병인의 특성
동기
효과적인 돌봄은 인지적, 감정적, 유형적 자원의 지출뿐만 아니라 많은 책임을 수반하기 때문에, 간병인은 그들의 관계 [36][41]파트너에게 즉각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즉, 도움을 줄 충분한 동기가 없는 사람은 파트너의 요구에 적합한 치료를 제공하는 데 있어 효과가 떨어집니다.게다가,[41] 개인들은 도움을 주기 위해 이타적인 동기와 이기적인 동기의 정도를 가질 수 있다.이기적인 동기는 중요한 타인의 복지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욕구에 집중되는 반면, 이기적인 동기는 자신을 위해 이익을 얻으려는 욕구, 또는 자신을 돕지 않는 것 및/[42]또는 다른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제재를 피하려는 욕구에 집중됩니다.돌봄에 대한 더 이타적이고 덜 이기적인 동기는 돌봄 받는 사람의 더 나은 결과 및 향상된 관계 [41]질과 연결된다.
또 다른 관련 연구 조사 라인은 로맨틱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그들의 파트너를 위해 희생하는 것에 대한 접근 또는 회피 동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특정한 유형의 동기는 개인의 복지와 관계의 [43][44]질에 영향을 미친다.접근 동기 부여는 친밀감 증가나 파트너의 행복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회피 동기는 갈등이나 파트너의 관계에서 흥미를 잃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는 데 있습니다.접근 동기에 대한 희생은 두 파트너 모두에게 더 많은 긍정적인 감정과 더 큰 인생 및 관계 만족도와 더 적은 관계 갈등과 관련이 있습니다.대조적으로, 회피 동기를 위한 희생은 두 파트너 모두의 삶과 관계 만족도를 낮추고, 희생을 하는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과 갈등, 희생을 받는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줄이고,[43] 헤어질 가능성을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스킬, 능력, 자원
효과적인 보살핌은 충분한 인지적,[7][9][36] 자기 규제적 자원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예를 들어,[9] 간병인은 고통받는 다른 사람을 목격함으로써 야기되는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이러한 정서적 규제의 실패는 간병인이 개인적인 고통에 의해 극복되고 간병인이 아닌 필요한 사람의 역할을 채택하거나 [9][12]그 고통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그 또는 그녀 자신을 파트너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연구는 특히 심각하거나 만성적인 스트레스 요인이 간병인을 압도하고 파트너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예를 들어, Bolger, Foster, Vinokur 및 Ng(1996)는 진단 직후 가장 높은 수준의 고통을 경험한 유방암 환자들이 다음 6개월 동안 [37]남편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다른 관련 기술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확하게 추론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공감 정확도라고 불립니다(Ikes, 1993, 페이지 588).[45]예를 들어, 공감 정확도가 높은 간병인은 배우자에게 [46]더 많은 수단적 지원을 제공하고 덜 부정적인 지원(예: 비난 또는 비판)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첨부 파일 스타일
애착 이론은 개인이 받는 보살핌의 질이 보살핌을 제정하는 데 필요한 많은 기술과 동기를 형성한다고 가정한다.[9]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개인적 애착 스타일(즉 애착 보안 수준 대 애착 회피 또는 불안)은 의존적인 [9][10]타인에게 치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믿음과 전략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애착 회피는 친밀감이 불편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파트너가 [10][36][47]더 높은 수준의 고통을 겪고 있을 때 도움이 필요한 파트너와 거리를 두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기피하는 사람들이 지원을 제공할 때,[36] 그들은 더 통제력을 갖는 경향이 있다.애착 불안은 통제, 과잉 참여, 방해 및 강박적 보살핌(예:[10][47] 파트너가 적절한 보살핌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파트너가 그들을 떠날 것이라는 두려움에 사로잡히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예를 들면, 애착을 가지는 사람은, 스트레스가 많은 실험 업무에 임하려고 하는 파트너에게 보다 높은 레벨의 서포트를 제공하지만,[36] 이 서포트는 파트너가 나타내는 요구 레벨에 대응하지 않는다.애타게 애착을 보이는 사람들은 비난과 [2]같은 부정적인 지원 행동도 보입니다.안전한 애착은 보다 효과적인 형태의 케어(즉, 지나치게 [36]관여하지 않고 반응하는 케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요양수급자 특성
돌봄과 돌봄은 상호의존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개인은 더 높은 수준의 고통이나 필요를 [2][36][39]경험하고 표현할 때 파트너로부터 돌봄 노력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보다 일반적으로, 도움에 대한 심리학 연구는 도움을 주는 행동의 가장 강력한 결정 요소 중 하나가 상황의 구조라는 것을 암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48] 잠재적인 도움들이 도움의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는 정도이다.로맨틱한 관계에서, 연구자들은 돌봄을 시행하기 위해, 개인들은 그들의 파트너가 [49]보살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해왔다.따라서 간병 행동에 대한 하나의 잠재적인 장애물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50]간병인에게 적극적으로 지원을 요청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2][51]애매한 간접 전략(예: 암시, 삐침, 한숨)을 통해 지원의 필요성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필요성의 보다 큰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2]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반면, 과도한 안심 추구와 같은 행동(이러한 안심을 이미 제공한 후에도 개인이 계속 지원과 안심을 구하는 행동 패턴)은 관계를 긴장시키고 [52]도움을 저해할 수 있다.
관계의 특성
연구자들은 파트너가 서로 애착을 느끼고 헌신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은 그들의 [15]파트너에게 즉각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더 많은 동기를 입증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실제로 자신의 관계 만족감과[53] 상호의존성[36](간병인이 상대방에게 친밀감을 느끼고 헌신하는 정도)은 자신이 제공하는 지원의 양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예를 들어, 돌봄에 대한 일일 일지 연구는 개인이 자신의 관계에 대해 더 만족감을 느끼는 날에 파트너에게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그러나 돌봄이 관계 만족도를 증가시킨다는 [39]역해석도 가능하다).또한, 그들의 관계에 더 만족하는 간병인들은 [41]지원을 제공하는 더 이타적인 동기를 보고한다.
돌봄의 이점
사회적 지지의 수령 또는 사회적 지지가 필요할 때 즉시 이용할 수 있다는 인식은 기분과 [2][27]자존감의 개선을 포함한 많은 혜택과 관련이 있다.효과적인 케어의 제공은 또한 간병인에게도 이득이 될 수 있는데, 이는 간병인이 자신의 가치와 효능에 대한 감정을 함양하고, 대인관계에 대한 자신감을 형성하며, 자신이 도덕적인 사람이라는 자기 견해를 증진시키고, 사랑과 사회적 [9]유대감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연구는 또한 친밀한 관계 내에서 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치료 대상자와 [2][27][54]간병인의 관계 만족도를 높이는 것과 연결시켰다.예를 들어, 신혼부부의 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2년 [55]후 관계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관계 [47]만족을 위해 특히 중요한 것은 반응성 관리입니다.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Collins, N. L.; Guichard, A.C.; Ford, M.B.; Feeney, B.C. (2006). "An attachment-theoretical approach to caregiving in romantic relationships". In Mikulincer, M.; Goodman, G. S. (eds.). Dynamics of romantic love: Attachment, caregiving, and sex. New York: Guilford Press. pp. 149–189.
- ^ a b c d e f g h i Collins, N. L.; Feeney, B. C. (2000). "A safe haven: An attachment theory perspective on support-seeking and caregiving in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6): 1053–1073. doi:10.1037/0022-3514.78.6.1053. PMID 10870908.
- ^ a b c Coyne, J. C.; Shaver, P. R. (1988). "The other side of support: Emotional overinvolvement and miscarried helping". In Gottlieb, B. (ed.). Advances in personal relationships. Thousand Oaks, CA: Sage. pp. 305–330.
- ^ a b c d e f g h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ISBN 978-0-465-00543-7.
- ^ a b c Bowlby, J (1988). A secure base. New York: Basic Books. ISBN 978-0-422-62230-1.
- ^ Panksepp, J. (1998). Affective neuroscience: The foundations of human and animal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7805-0.
- ^ a b c Collins, N. L.; Ford, M. B. (2010). "Responding to the needs of others: The caregiving behavioral system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7 (2): 235–244. doi:10.1177/0265407509360907.
- ^ Mikulincer, M.; Shaver, P. R. (2009). "An attachment and behavioral systems perspective on social suppor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6: 7–19. doi:10.1177/0265407509105518.
- ^ a b c d e f g h i j Mikulincer, M.; Shaver, P R (2007). Attachment in adulthood: Structure, dynamics,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ISBN 978-1606236109.
- ^ a b c d e f g Kunce, L. J.; Shaver, P. R. (1994). "An attachment-theoretical approach to caregiving in romantic relationships". In Bartholomew, L.; Perlman, D. (eds.). Advances in personal relationships. London: Jessica Kingsley. pp. 205–237.
- ^ a b c d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s, E.;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SBN 978-0898594614.
- ^ a b Batson, C.D. (1991). The altruism question: Toward a social-psychological answer. Hillsdale, NJ: Erlbaum. ISBN 978-0805802450.
- ^ Neff, L. A.; Karney, B. R. (2005).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 question of skill or respons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 (1): 79–90. doi:10.1037/0022-3514.88.1.79. PMID 15631576.
- ^ Cutrona, C.E. (1990). "Stress and social support - in search of optimal match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 (1): 3–14. doi:10.1521/jscp.1990.9.1.3.
- ^ a b Cutrona, C.E. (1996). Social support in couples: Marriage as a resource in times of stress. Thousand Oaks, CA: Sage. ISBN 978-0803948846.
- ^ Reis, H. T.; Shaver, P. R. (1988). "Intimacy as an interpersonal process". In Duck, S. (ed.). Handbook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ster, England: Wiley. pp. 367–389.
- ^ Reynolds, J. S.; Perrin, N. A. (2004). "Mismatches in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o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4 (4): 425–430. doi:10.1037/0278-6133.23.4.425. PMID 15264980.
- ^ Lehman, D. R.; Hemphill, K. J. (1990). "Recipients' perceptions of support attempts and attributions for support attempts that fail".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87 (4): 563–574. doi:10.1177/0265407590074012.
- ^ Lehman, D. R.; Ellard, J. H.; Wortman, C. B. (1986). "Social support for the bereaved - Recipients' and providers' perspectives on what is helpfu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 (4): 438–446. doi:10.1037/0022-006x.54.4.438.
- ^ Dakof, G. A.; Taylor, S. E. (1990). "Victim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What is helpful from who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0–89. doi:10.1037/0022-3514.58.1.80.
- ^ Wishnie, H.A.; Hackett, T.P.; Cassem, N. H. (1971). "Psychological hazards of convalescence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JAMA. 215 (8): 1292–1296. doi:10.1001/jama.1971.03180210038007.
- ^ Fisher, J.D.; Nadler, A.; Whitchler-Alagna, S. (1982). "Recipient reactions to stress". Psychological Bulletin. 91: 27–54. doi:10.1037/0033-2909.91.1.27.
- ^ Bolger, N.; Zuckerman, A.; Kessler, R. C. (2000). "Invisible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 (6): 953–961. CiteSeerX 10.1.1.488.333. doi:10.1037/0022-3514.79.6.953.
- ^ a b Maisel, N. C.; Gable, S. L. (2009). "The paradox of re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Science. 20 (8): 928–932. doi:10.1111/j.1467-9280.2009.02388.x. PMID 19549083.
- ^ a b Feeney, B. C. (2004). "A secure base: Responsive support of goal strivings and exploration in adult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7 (5): 631–648. doi:10.1037/0022-3514.87.5.631. PMID 15535776.
- ^ a b c Feeney, B. C.; Thrush, R. L. (2010). "Relationship influences on exploration in adulthoo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a secure bas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8 (1): 57–76. doi:10.1037/a0016961. PMC 2805473. PMID 20053031.
- ^ a b c Brunstein, J. C.; Dangelmayer, G.; Schultheiss, O. C. (1996). "Personal Goals and Social Support in Close Relationships: Effects on Relationship Mood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5): 1006–1019. doi:10.1037/0022-3514.71.5.1006.
- ^ Baumeister, R. F.; Leary, M. R. (1995).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7 (3): 497–529. doi:10.1037/0033-2909.117.3.497. PMID 7777651.
- ^ a b Ryan, R. M.;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CiteSeerX 10.1.1.529.4370. doi:10.1037/0003-066x.55.1.68.
- ^ a b Feeney, B. C. (2007). "The dependency paradox in close relationships: Accepting dependence promotes indepen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2): 268–285. doi:10.1037/0022-3514.92.2.268. PMID 17279849.
- ^ Langston, C. A. (1994). "Capitalizing on and coping with daily-life events: Expressive responses to positive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 (6): 1112–1125. doi:10.1037/0022-3514.67.6.1112.
- ^ a b c Gable, S. L.; Reis, H. T.; Impett, E.; Asher, E. R. (2004). "What do you do when things go right? The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benefits of sharing positive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7 (2): 228–245. doi:10.1037/0022-3514.87.2.228. PMID 15301629.
- ^ a b Lambert, N. M.; Gwinn, A. M.; Baumeister, R. F.; Fincham, F. D.; Gable, S. L.; Strachman, A.; Washburn, I. J. (2004). "A boost of positive affect: The perks of sharing positive and grateful experienc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0: 24–43. doi:10.1177/0265407512449400.
- ^ Reis, H. T.; Smith, S. M.; Carmichael, C. L.; Caprariello, P. A.; Tsai, F.; Rodrigues, A.; Maniaci, M. R. (2010). "Are you happy for me? How sharing positive events with others provides personal and interpersonal benefi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9 (2): 311–329. doi:10.1037/a0018344. PMID 20658846.
- ^ a b Gable, S. L.; Gonzaga, G. C.; Strachman, A. (2006). "Will you be there for me when things go right? Supportive responses to positive event disclo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 (5): 904–917. CiteSeerX 10.1.1.586.5657. doi:10.1037/0022-3514.91.5.904. PMID 17059309.
- ^ a b c d e f g h i Feeney, B. C.; Collins, N. L. (2001). "Predictors of caregiving in adult intimate relationships: An attachment 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6): 972–994. doi:10.1037/0022-3514.80.6.972.
- ^ a b Bolger, N.; Foster, M.; Vinokur, A. D.; Ng, R. (1996). "Close relationships and adjustment to a life crisis: The case of breast canc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2): 283–294. doi:10.1037/0022-3514.70.2.283.
- ^ Rini, C.; Dunkel Schetter, C.; Hobel, C. J.; Glynn, L. M.; Sandman, C. A. (1996). "Close relationships and adjustment to a life crisis: The case of breast canc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2): 283–294. doi:10.1037/0022-3514.70.2.283.
- ^ a b c Iida, M.; Seidman, G.; Shrout, P. E.; Fujita, K.; Bolger, N. (2008). "Modeling Support Provis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4 (3): 460–478. CiteSeerX 10.1.1.387.525. doi:10.1037/0022-3514.94.3.460. PMID 18284292.
- ^ Dunkel Schetter, C.; Skokan, L. A. (1990). "Determinants of social support provision in pers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7 (4): 437–450. doi:10.1177/0265407590074002.
- ^ a b c d Feeney, B. C.; Collins, N. L. (2003). "Motivations for caregiving in adult intimate relationships: Influences on caregiving behavior and relationship function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 (8): 950–968. CiteSeerX 10.1.1.1022.6586. doi:10.1177/0146167203252807. PMID 15189615.
- ^ Batson, C. D.; Shaw, L. L. (1991). "Evidence for altruism: Toward a pluralism of prosocial motives". Psychological Inquiry. 2 (2): 107–122. doi:10.1207/s15327965pli0202_1.
- ^ a b Impett, E. A.; Gable, S. L.; Peplau, L. A. (2005). "Giving up and giving in: The costs and benefits of daily sacrifice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 (3): 327–344. doi:10.1037/0022-3514.89.3.327. PMID 16248717.
- ^ Impett, E. A.; Gordon, A. M.; Kogan, A.; Oveis, C.; Gable, S. L.; Keltner, D. (2010). "Moving toward more perfect unions: Daily and long-term consequences of approach and avoidance goals in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9 (6): 948–963. CiteSeerX 10.1.1.306.9571. doi:10.1037/a0020271. PMID 20658838.
- ^ Ickes, W. (1993). "Empathic accuracy". Journal of Personality. 61 (4): 587–610. doi:10.1111/j.1467-6494.1993.tb00783.x.
- ^ Verhofstadt, L. L.; Buysse, A.; Ickes, W.; Davis, M.; Devoldre, I. (2008). "Support Provision in Marriage: The Role of Emotional Similarity and Empathic Accuracy". Emotion. 8 (6): 792–802. doi:10.1037/a0013976. PMID 19102590.
- ^ a b c Feeney, J. A. (1996). "Attachment, caregiving, and marital satisfaction". Personal Relationships. 3 (4): 401–416. doi:10.1111/j.1475-6811.1996.tb00124.x.
- ^ Darley, J. M.; Latane, B. (1970). The unresponsive bystander: why doesn't he help?. New York: Appleton Century Crofts.
- ^ Pearlin, L. I.; McCall, M. E. (1990). "Occupational stress and marital support: A description of microprocesses". In Eckenrode, J.; Gore, S. (eds.). Stress between work and family. New York: Plenum Press. pp. 39–60.
- ^ Pierce, G. R.; Lakey, B.; Sarason, I. G.; Sarason, B. R.; Joseph, H. (1997).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A conceptual over-view". In Lakey, B.; Sarason, I. G.; Sarason, B. R. (eds.). Sourcebook of social support and personality. New York: Plenum Press. pp. 3–18.
- ^ Barbee, A. P.; Rowatt, T. L.; Cunningham, R. R. (1998). "When a friend is in need: Feelings about seeking, giving, and receiving social support". In Anderson, P. A.; Gierrero, L. K. (eds.). Handbook of communication and emotion. San Diego: Academic Press. pp. 281–301.
- ^ Joiner, T. E.; Metalsky, G. I.; Katz, J.; Beach, S. R. H. (1999). "Depression and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Psychological Inquiry. 10 (3): 269–278. doi:10.1207/s15327965pli1004_1.
- ^ Acitelli, L. K. (1996). "The neglected links between marit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Pierce, G. R.; Sarason, B. R.; Sarason, I. G. (eds.). Handbook of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New York: Plenum Press. pp. 83–103.
- ^ Kane, H. S.; Jaremka, L. M.; Guichard, A. C.; Ford, M. B.; Collins, N. L.; Feeney, B. C. (2007). "Feeling supported and feeling satisfied: How one partner's attachment style predicts the other partner's relationship experienc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4 (4): 535–555. doi:10.1177/0265407507079245.
- ^ Pasch, L. A.; Bradbury, T. N. (1998). "Social Support, Conflict, and the Development of Marital Dysfunc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 (2): 219–230. doi:10.1037/0022-006x.66.2.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