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샘종

Canalicular adenoma

관샘종인간의 침샘에서 발생하는 성장의 한 종류입니다. 그것은 상피 세포에서 발생하는 양성 성장이며, 일반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코드를 형성하는 세포 기둥에 배열됩니다. 관선종은 매우 드문 양성 신생물로 전체 타액선 종양의 약 1%, 전체 양성 타액선 종양의 약 4%를 차지합니다.[1][2]

다초점을 보이는 관샘종의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슬라이드

발표

관선종은 70세에서 80세 사이의 환자에서 가장 흔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약 4배 더 자주 영향을 받습니다. 대부분의 성장은 윗입술에 존재하며, 일부는 천천히 팽창하는 종괴로서 구개 또는 협측(볼) 조직에 존재하는 소수에서도 발생합니다.[3] 성장은 임상적으로 침습적이거나 악성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여러 곳에서 동시에 발생하거나 여러 노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4]

진단.

관선종의 성장은 보통 발견 당시에 작고, 평균 크기는 약 1.6 cm입니다.[1] 그들의 역사적인 모습은 매우 뚜렷하며, 끈과 리본 사이에 수로와 같은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패턴은 "진주의 끈"을 닮은 것으로 묘사되어 왔습니다.

큰 캐뉼라를 보이는 캐뉼라 선종의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 슬라이드
출혈 소견을 보이는 관샘종의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 슬라이드

종종 포함된 성장은 종종 작은 경편평구 또는 결절입니다. 그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히알루론산콘드로이틴 황산이 풍부한 섬유질 기질인 잘 발달된 지지 조직을 포함합니다.[1] 어떤 경우에는 성장에 작은 칼슘 침전물이나 미세석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거의 필요하지 않지만, 병리학자면역조직화학 연구를 통해 관샘종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데, 세포는 pancyokeratin, S100 단백질 및 SOX10과 반응하고, 주변부는 섬세한 GFAP 반응을 보입니다.[5][1][6][7] 양성종양이지만 기저세포선종, 다형성선종, 선양낭성암, 다형성선암 등 다른 질환의 존재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관형선종의 양성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

관선종의 대부분의 경우 보존적 수술로 치료합니다.[1]

참고문헌

  1. ^ a b c d e f Thompson LD, Bauer JL, Chiosea S, McHugh JB, Seethala RR, Miettinen M, Müller S (Jun 2015). "Canalicular adenoma: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67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Head Neck Pathol. 9 (2): 181–195. doi:10.1007/s12105-014-0560-6. PMC 4424207. PMID 25141970.
  2. ^ Nelson JF, Jacoway JR (Jun 1973). "Monomorphic adenoma (canalicular type). Report of 29 cases". Cancer. 31 (6): 1511–1513. doi:10.1002/1097-0142(197306)31:6<1511::aid-cncr2820310630>3.0.co;2-o. PMID 4709966. S2CID 71093824.
  3. ^ Suarez P, Hammond HL, Luna MA, Stimson PG (Aug 1998). "Palatal canalicular adenoma: report of 12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nn Diagn Pathol. 2 (4): 224–228. doi:10.1016/s1092-9134(98)80011-7. PMID 9845742.
  4. ^ Penner CR, Thompson LD (Mar 2005). "Canalicular adenoma". Ear Nose Throat J. 84 (3): 132. doi:10.1177/014556130508400306. PMID 15871577.
  5. ^ Ferreiro JA (Dec 1994).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salivary gland canalicular aden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8 (6): 761–765. doi:10.1016/0030-4220(94)90093-0. PMID 7534898.
  6. ^ Huebner TA, Almubarak H, Drachenberg CB, Papadimitriou JC (Apr 2014). "Canalicular adenoma--search for the cell of origin: ultrastructural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7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Ultrastruct Pathol. 38 (2): 74–82. doi:10.3109/01913123.2013.833564. PMID 24144157. S2CID 40082155.
  7. ^ Curran AE, Allen CM, Beck FM, Damm DD, Murrah VA (Sep 2007). "Distinctive pattern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immunoreactivity useful in distinguishing fragmented pleomorphic adenoma, canalicular adenoma and polymorphous low grade adenocarcinoma of minor salivary glands". Head Neck Pathol. 1 (1): 27–32. doi:10.1007/s12105-007-0003-8. PMC 2807497. PMID 20614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