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지(덴티티)

Bridge (dentistry)
브리지(덴티티)
ICD-9-CM23.42-23.43
메슈D003829
치과 기술자가 만든 금속교(PFM)에 융합한 3개의 유닛 자기.
치아가 3번과 4번 사이에 반정밀 부착, 4번에는 모티스가 있다. 사진에서 언어 버튼이 #2(왼쪽)에서 위로, #4에서 아래로 확장되는 것을 참고하십시오. 이것들은 지혈로 관을 잡고 다루기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시험 중 과도한 양의 보유가 있을 경우 왕관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들은 최종 시멘트에 앞서 절단된다.
아크릴 수지의 추가 보존을 위한 실험용 그루브를 보여주는 프리 솔더 인덱스 교대부 및 폰틱의 근위부 표면
땜납 지수에서 아크릴 수지와 결합하고 오래된 버(코핑의 외피 표면을 가로로 가로로)로 보강한 교대 및 폰틱.

교량은 인공치아를 인접치나 치아 임플란트에 확실하게 접합시켜 하나 이상의 빠진 치아를 교체하는 고정치과복원(고정치과 보형물)이다.

정의들

고정 브리지: 자연 치아에 확실하게 부착되어 있고 빠진 치아를 대체하는 치아 보형물.[1]

교대: 치아 보형물을 지지하고 유지하는 치아.[2]

폰틱: 사라진 자연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 치아.[2]

고정자: 보형물 보관을 위해 교대에 부착된 구성 요소. 고정자는 중대하거나 경미할 수 있다.[3]

단위: 폰티컬과 교대 치아를 단위라고 한다. 교량의 총 단위 수는 교대 치아의 수를 더한 것과 같다.[1]

안장: 치아가 하나 이상 없어진 것을 복구해야 하는 치아가 있는 치경 산등성이의 영역.[3]

커넥터: 고정기 또는 고정기 두 개를 함께 연결하십시오. 커넥터는 고정되거나 이동할 수 있다.[3]

스판: 다리가 놓일 자연 치아 사이의 치골 융기 길이.[3]

교대: 치아 보형물을 지지하고 유지하는 치아 또는 임플란트.[3]

수지 접합 교량: 준비되지 않았거나 최소한으로 준비된 자연 치아의 표면에 연못이 연결되는 치아 보형물.[4]

치아교체의 장단점

이점 단점들
미학 복원(특히 전근교 영역에 중요) 치아 조직 손실(교대 준비에는 상당한 치아 준비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복원 기능(마이스팅, 음성) 풀팔 손상(토스 제제는 입안의 박테리아와 펄프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 틀니 관절을 연다. 심층적인 준비는 맥팔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밀폐 안정성( 인접/반대되는 치아의 기울어짐, 표류, 회전 및 과몰입 방지) 2차 캐리(왕관 여유도 주변, 디본드 고정 날개 아래)
환자 선호도

[3]

교량의 종류

재래식 교량

VM9 vita 도자기로 제작되고 광택 페이스트로 얼룩진 높은 반투명 지르코늄 고정 브리지. 상위 1차 전극은 연못으로 간주되고 준비된 치아는 교대로 간주된다.

기존 교량은 교대 톱니에 풀 커버리지 크라운, 3/4 크라운, 레테인드 크라운, 온레이, 인레이즈로 지지되는 교량이다. 이러한 유형의 교량에서는 교대 치아는 보형물을 지지하기 위해 준비와 축소가 필요하다. 기존 교량은 고정기에 연못(거짓니)을 부착하는 방식에 따라 이름이 붙는다.[5]

고정형교량

고정고정교란 삽입 경로가 하나만 있는 공간 양쪽에 고정기에 부착된 연못을 말한다. 이러한 유형의 설계는 교대와 폰틱을 연결하는 각 끝단에 견고한 커넥터가 있다. 교대는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교대 치아의 근위부 표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3]

칸틸레버

캔틸레버는 한쪽 면에만 연못이 붙어 있는 다리를 말한다. 교대 치아는 연못과 중간 또는 원위일 수 있다.[3]

스프링 캔틸레버에서, 연못과 리테이너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금속 막대로 연결되어 있다. 보통 빠진 앞니가 교체되고 뒷니가 받쳐진다. 이 교량의 설계는 이미 대체되었다.[3]

고정 이동 가능

폰틱은 스팬의 한쪽 끝(주요 고정기)에 고정기에 단단히 부착되고 다른 쪽 끝(최소 고정기)에 있는 이동식 접합부를 통해 부착된다.

이러한 유형의 교량의 주요 이점은 이동 접합부가 교대 톱니의 각도 차이를 긴 축으로 수용할 수 있어 교대 톱니의 정렬과 무관하게 삽입 경로가 가능하다는 것이다.[5] 이것은 교대들이 하나와 다른 것들과 평행하게 준비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 보수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적으로 강체 커넥터는 폰틱을 더 원위부 교대에 부착해야 한다. 이동 가능한 커넥터는 이 부속 치아가 수직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중간 교대에 폰틱을 부착한다.[3]

접착교

전통적인 다리의 대안으로는 접착식 다리(메릴랜드 다리라고도 한다)가 있다. 접착식 다리는 이를 교대 톱니에 부착하는 폰틱 측면의 "윙"을 사용한다. 교대 치아는 경미하거나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것들은 교대 치아가 전체적이고 건전할 때 가장 자주 사용된다(즉, 크라운이나 주요 충진 없음).[4]

조합 설계

다양한 기존 교량 설계의 요소 통합. 대중적인 조합 디자인은 캔틸레버와 함께 고정 고정된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이다.[3]

하이브리드 설계

기존 교량 설계와 접착식 교량 설계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교량.[3]

기존 교량 설계의 장단점

이점 단점들
고정고정
  1. 최대 강도
  2. 매우 반복적이다.
  3. 더 긴 스팬에 가장 많이 채택된 디자인
  4. 건설은 비교적 간단하다.
  1. 광범위한 치아 준비가 필요할 수 있는 준비는 병행되어야 한다. 치아를 약하게 하고 펄프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2. 병행 준비를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언더컷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교대는 광범위한 준비가 필요한 주요 고정 장치임
  4. 어려울 수 있는 하나의 유닛으로 시멘팅
고정 이동 가능
  1. 광범위한 치아 준비를 방지하는 비병렬 교대를 사용할 수 있다.
  2. 경미한 고정기를 사용하므로 치아 조직의 준비가 보다 보수적임
  3. 작은 톱니 이동 가능
  4. 구성부품을 따로 시멘팅할 수 있어 시멘팅이 더 간단하다.
  1. 장기적 범위에 적합하지 않음
  2. 실험실이 건설할 수 있는 복잡한 설계
  3. 임시 다리는 만들기 복잡하다.
칸틸레버
  1. 단 하나의 교대만 필요하므로 보수적
  2. 파괴적인 병렬 준비가 필요하지 않음
  3. 인테리어를 교체할 때 가장 적절한 설계
  4. 유지보수와 구강위생이 환자에게 더 용이하다.
  1. 교대에 대한 레버리지로 인해 스팬 길이가 1개의 폰틱으로 제한됨
  2. 변형 방지를 위한 견고한 설계
  3. 밀폐력에 의한 교대 치아의 기울기

[3]

수지결합교 설계의 장단점

이점 단점들
고정고정
  1. 보존 상태가 좋은 넓은 표면적
  2. 실험실에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
  1. 고장 난 윙 아래에서 보조 캐리어를 개발할 수 있는 디본딩
  2. 기울어진 교대는 평행성과 충분한 유지력을 얻기 위해 광범위한 준비가 필요할 수 있다.
  3. 이상적으로 교대는 성취하기 어려운 똑같이 감응적이어야 하며, 특히 후방으로 고정자가 어금니 및 전극일 때 더욱 그러해야 한다.
고정 이동 가능
  1. 교대 치아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2. 두 고정자의 보유가 같을 필요는 없다.
  3. 경미한 고정기는 최소의 반복성을 가질 수 있음
  4. 후방 교대 기울기 중지
  1. 전방의 교량에 대해서는 설계가 권장되지 않음
  2. 장기적 범위에 적합하지 않은 설계
  3. 실험실에서 구축하기 더 복잡함
칸틸레버
  1. 하나의 교대에만 필요한 최소한의 준비(있는 경우)로서 치아 조직의 가장 보수적인 것.
  2. 단일 안테리어 교체를 위한 선택 설계
  3. 짧은 후경간에도 사용할 수 있음
  4. 실험실에서 쉽게 구성할 수 있음
  5. 청소가 용이하여 구강위생 관리가 잘 된다.
  1. 표면적이 작아 보존이 제한됨
  2. 토킹력으로 인한 디본딩 위험
  3. 시멘트의 적절한 위치는 복잡할 수 있다.

[3]

사례 선택 및 치료 계획

사례 선택

고정교량의 제공을 고려할 때 적절한 사례 선정이 중요하다. 환자 기대치에 대해 논의하고 철저한 환자 이력을 확보해야 한다. 고정된 교량 구조로 치아를 교체하는 것이 항상 표시되지는 않을 수 있으며 고정 교량 구조 제공이 적절한지 결정하기 전에 복원 요소와 함께 환자 요인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6] 교량의 생존율은 교량의 필요경간, 교량의 제안된 위치, 계획교대 치아의 크기, 형태, 개수 및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7] 또한 캐리 또는 치주 질환을 포함한 모든 활성 질병은 적절한 구강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 환자가 준수할 수 있도록 치료하고 유지 기간을 따라야 한다.[8][9]

안면부 기록을 사용하여 반조절형 관절로 장착된 스터디 모델은 고정 보형물 제공에 앞서 폐색 연구를 하는 데 유용한 도움이 된다. 그것들은 계획된 치아 준비 연습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최종 보형물을 시각화하고 실리콘 색인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단 왁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지수는 임시 보형물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3][10]

교대 치아의 선택 및 평가

여러 요인이 적절한 교대 치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는 치주 상태가 안정적인 치아를 사용하고, 치주 상태가 양호한 치아를 사용하며, 유지하기에 유리한 표면적이 증가된 큰 치아의 잠재적 치아의 크기가 포함된다.[1][11]

교량공사의 성공을 위해서는 신중한 교대 선정이 중요하다. 보형물은 일반적으로 누락된 치아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충치 하중이 받는 밀폐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힘은 보형물을 통해 교대로 전달된다.[3]

교량 교대용으로 내과적으로 치료하는 치아를 선호한다. 내과적으로 치료된 치아는 많은 양의 치아 구조가 손실되어 치아 구조가 약해지고 추가적인 충치 하중을 견디지 못하게 되었다. 일부 연구에서 포스트 크라운이 고장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

수지 접합 교량의 경우 교대 치아는 이상적으로 불안정해야 하며 금속 날개 고정기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에나멜이 있어야 한다. 또한 최소 커넥터 폭 0.7mm 및 2mm 커넥터 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건전하다면 작은 복합재배치로 교대를 최소한으로 복원할 수 있다. 산화층을 통해 최적의 결합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시멘트화 전에 오래된 복합재배열을 교체하는 것이 좋다.[4]

카리에나 치주질환과 같은 활성질환을 가진 치아는 질병이 안정될 때까지 보조제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일단 안정적이고 치주적으로 손상된 치아를 아래에 설명된 왕관 대 뿌리 비율에 따라 교대로 사용할 수 있다.[3]

교대 치아의 뿌리는 교량으로 교체된 치아의 누락된 뿌리 구조보다 더 많은 3차원의 치주 표면적을 가져야 한다는 안테의 법칙은 교량 설계에 사용된다. 이 법은 임상적 증거의 뒷받침이라는 측면에서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4]

왕관 대 뿌리 비율은 치아의 정맥/치골 표면에서 치골 내 뿌리 길이에 대한 치골 볏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크라운 대 루트의 최소 비율은 1:1로 간주되지만, 가장 유리한 것은 2:3의 크라운:루트(crown: 뼈로 지탱되는 치아의 비율이 줄어들수록 레버 효과는 커진다.[3][4]

교대를 선택할 때는 루트 구성을 고려해야 한다. 포스터의 다양한 뿌리는 수렴, 융접 또는 원뿔형 뿌리에 비해 높은 지지를 제공한다. 곡선을 그리는 뿌리는 끝이 고정된 뿌리에 비해 지지도가 높아진다.[4]

필요한 교대 횟수는 교체할 치아의 위치와 스팬 길이 모두에 따라 달라진다. 하나의 교대를 이용하는 칸틸레버 디자인은 하나의 치아를 전방으로 교체하기 위한 선택 설계로, 또한 후방으로 사용될 수 있다.[3]

반대편 치아와 연못의 폐색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이것은 어떤 설계 유형이 가장 적합한지, 따라서 얼마나 많은 교대가 필요한지 결정할 수 있다.[3] 수지 접합 교량의 경우, 폰틱은 인터커스팔 위치(ICP)에서 가벼운 접촉이 있어야 하며 측면 이탈 시 접촉이 없어야 한다.[4][10]

생체역학적 고려사항

토킹력은 폰틱이 레버 암 역할을 하면서 폰틱이 교대간 축선 밖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여러 개의 안테리어를 대체하는 장경간 교량에 특히 적용된다.[4]

편향은 길이의 정육면체에 따라 직접적으로 달라지며, 반대로 폰틱의 혼성 두께의 정육면체에 따라 다르다. 스팬이 길수록 처짐이 더 많이 발생한다. 편향량은 스팬 길이가 2개 폰티컬로 늘어날 때 8배, 폰티컬 3개로 단일 폰티컬에 비해 27배까지 늘어난다. 스팬 길이가 증가하면 교대에는 토킹력이 증가하게 된다. 폰틱이 얇을수록 처짐이 더 많이 발생한다. 폰틱 두께가 50% 감소하면 편향률이 8배 증가한다. 배합성이 강화된 폰티컬을 선택하고 항복 강도가 높은 합금을 사용하여 보형물을 구성하는 것은 편향 현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4]

사용지침

  1. 하나의 치아 또는 작은 스패닝 공간의 교체.
  2. 좋은 구강 건강 상태와 환자의 구강 건강 유지 동기.[10]
  3.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남아있는 의치의 치주 상태.[10]
  4. 최소한의 복원력으로 양질의 교대 치아와 접착을 위한 충분한 표면적 및 에나멜이 존재함.[11]
  5. 치주 손상을 입은 치아를 쪼개어 충치의 안정성과 편안함을 향상시키고 이동성을 감소시킨다. (치주 손상을 입은 치아도 절제된다.)[11]
  6. 치과 교정 치료 또는 추출 후 고정된 보관 방법.[11]
  7. 임플란트에 적합하지 않은 환자. 이는 부적절한 뼈 수준, 비용 또는 임플란트를 받고 싶지 않은 환자 때문일 수 있다.[11]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1. 안장 면적의 크기가 너무 길다.[12]
  2. 부조화증 환자(예: 브루스증)[12]
  3. 치아 이동성은 디본딩의 위험을 증가시킨다.[11]
  4. 치아 정렬이 잘못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일반적인 삽입 경로가 형성됨.[11]
  5. 예를 들어 부적절한 교대 치아의 품질은 표면적이 감소하거나 에나멜이 감소하거나 심하게 회복될 수 있다.[11]
  6. 교량 공사 주변의 구강 위생 유지에 어려움이 가중되어 캐리의 위험 증가.[11]
  7. 활력 상실의 위험 증가.
  8. 염기 금속 합금에 대한 알레르기(예: 니켈)
  9. 환자의 동기부여가 좋지 않다. 활성 치아 질환(카리, 치주 질환) 및 구강 위생 불량.[4]

인공 플라스틱 치아의 종류

인조 플라스틱 치아의 종류(업계에서는 폰틱스로 알려져 있다)

  1. 세척용[13] 폰틱(위생용 또는 위생용 폰틱이라고도 함)[3]
  2. 돔 폰틱(총탄 또는 어뢰 형태라고도 함)[13]
  3. 리지 랩 폰틱(Full Saddle Pontic이라고도 함)[13]
  4. 수정 리지-랩 폰틱[13]
  5. 오바테 폰틱[13]

폰틱은 미학을 복원하고, 고립된 안정을 주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3]

위생용 폰틱은 밑의 치골능선과 접촉하지 않아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다. 이 디자인의 미학 때문에 하악 어금니를 대체하는 것이 가장 흔하다.[3]

총알 연못은 치경부 능선의 한 지점에만 닿는 등 구강위생을 잘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두 번째로 유리하다.[3]

능선 랩과 수정된 능선 랩 폰티컬은 앞에서 설명한 설계보다 우수한 미학을 가지고 있으며, 근골/부칼 표면은 근골 가장자리에서 Gingival 여백까지 자연 치아의 외관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조직의 커버리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양호한 구강위생 유지를 위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폰틱의 언어/팔상 부분을 줄인다. 수정된 능선 무릎 설계의 경우, 폰틱은 치경 능선의 부칼 측면에만 접촉한다.[3]

난산염 폰틱은 밑의 연조직과 접촉하여 경압을 가하여 근위부 능선의 결함을 감춘다.[14] 치아추출 후 가설교량에서 흔히 사용되어 출현 프로파일을 개선하고 향후 고정 보형물을 중심으로 기니바 형성을 돕는다.[15]

내구성별 교량의 종류

브리지는 임시(임시/중간) 또는 영구(영구)일 수 있다. 가설교는 준비로 약해진 치아를 보호하고, 최종복원이 조립될 때까지 치과 조직을 안정시키는 과도기적 복원이며, 더욱이 향후 영구복원의 미학과 외관상까지 길을 터 최종복원의 수용을 도울 수 있다.le.[16] 임시 복원술은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직접(의자 측) 또는 간접적으로(치과 실험실에서) 제작될 수 있다. 보통 몇 차례 시도해서 잘 맞는지 확인하고, 여백이 치아 표면과 기니바에 잘 적응하는지 확인하면 다시 붙이거나 몇 번 조절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17] 임시 다리는 아크릴 레진이나 금속으로 만들 수 있다. 레진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다른 레진에는 폴리-R 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이것들은 물질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에틸 또는 이소부틸 물질을 첨가한 메타크릴레이트들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진에는 BisGMA 기반 디메타크릴레이트, 가시광선 우레탄 디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된다.[17][18] 디메타크릴레이트 기반 재료가 휨 강도 및 경도 면에서 일시적 복원용 모노메타크릴레이트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19][20]

재료에 따른 교량의 종류

  1. 금속 기반, 금과 같은 고귀한 기반 금속 또는 니켈 크롬과 같은 염기 금속 합금.
  2. 비금속 기반. 그것들은 합성수지 베니어, 섬유 보강 복합체, 금속과 융합된 도자기 또는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 중 하나인 도자기일 수 있다.[16]

아크릴 수지 및 자기와 금속(PFM) 융합

금속복원에 융합된 자기 속의 금속의 미관적 표시

아크릴 수지는 왕관과 교량의 미관을 회복하기 위해 처음 사용된 베니어링 재료로 금속 왕관/교량의 실험면에 부착하여 천연 치아와 유사한 색상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었지만, 수지 베니어드 치아 보철물은 안정성과 마모 저항성이 부족했다.[16] 그리고 나서 금속(PFM)에 융합된 도자기가 도입되었다. 도자기는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자기는 금속 하부 구조를 덮기 위해 불투명하고 에나멜 착각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반투명하다. 여전히 몇몇 연구자들은 PFM이 10년 동안 95%의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PFM의 성공과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유형의 모든 세라믹 복원물을 PFM 크라운/브릿지에 비교하는 것이 보통이다.[21] 단, PFM 복원은 치아의 경추 여백에서 금속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회색을 보일 수 있다.

IPs 에맥스

IPs Emax 세라믹스는 높은 미적 특성을 제공하는데, 그래서 그 사용이 점점 더 인기를 끌고 있지만, 다리에서의 Emax의 수명을 결정할 증거가 불충분하다; 일부 보고서는 공정한 단기 생존이 가능하지만, 불리한 중간 생존을 발견하였다.[22] 회복의 실패는 후치 부위에서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IPs Emax는 프레스 주괴 또는 IPs Emax CAD-CAM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23] 브룩시즘을 겪는 환자에게는 크라운이나 브릿지에서 에맥스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24]

지르코니아

지르코니아는 앞쪽과 뒤쪽의 고정교량, 임플란트에도 사용된다. 지르코니아는 치과용 CAD-CAM 기술을 이용해 제작됐다.[25] 기계적 강도가 높고 모든 세라믹 소재에 비해 높은 밀폐력을 견딜 수 있다.[26] 또한 코어 재료의 균열 증식에 저항할 수 있지만, 치아 지지 교량 또는 임플란트 지지 교량의 균열을 초래하는 베니어 재료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27][28] 보고서에 따르면 지르코니아 교량의 3×3mm 설계 커넥터는 골절에 저항하는 강도를 20% [29][30]증가시켰다.

세라믹 기반 고정 보형물의 사용이 실제와 같은 고미학적 외관을 달성하면서 인기를 끌었지만, 코크란 리뷰에서는 금속 세라믹보다 고정 보형물 치료에 대한 세라믹 소재의 효과를 지지하거나 반박할 만한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발견했다.[31]

교량공사의 임상단계

  1. 평가: 교량 작업에 대한 환자의 적합성에 대한 임상 평가. 상세 이력(의학 이력을 포함),[3][10] 환자의 구강 환경의 적합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폐쇄, 캐리 위험, 치주 위험, 방사선 검사, 감성 검사 포함), 환자 목적 및 동기 평가, 교대 치아 선택 및 교량 설계.
  2. 일차적 인상: 일차적 인상은 연구 깁스를 만들기 위해 알긴산염으로 취할 수 있다. 또한 보철물을[4][10] 제공하기 전에 폐색 여부를 연구할 수 있도록 안면부 기록도 작성해야 한다.
  3. 진단 왁스업: 이를 통해 환자는 최종 보형물이 어떻게 보일지 시각화할 수 있다. 왁스 업은 또한 퍼티 매트릭스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후에 임시 복원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3][4][10]
  4. 복원 교체: 접착식 교량의 예후가 의심스러운 교대 치아의 복원 또는 접착식 교량의 오래된 합성수지 복원물을 교체해야 한다.[4]
  5. 치아 준비: 이는 치료 계획 중에 얻은 방사선 촬영 및 연구 캐스트에 대한 참조로 완료되어야 한다. 기존 교량의 경우, 치아 준비는 치아 조직을 보존하고, 삽입 경로를 병렬로 보장하며, 폐색에서 간극을 확보하고, 잘 정의된 준비 여백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10] 교대 치아의 각 준비의 테이퍼는 동일해야 한다. 이것은 교대들 사이에서 평행이라고 알려져 있고 교대 톱니에 다리가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접착식 다리는 최소한의 준비가 필요하다.
  6. 마스터 인상: 준비된 치아에 반대 아치의 인상과 함께 정확한 인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스터 깁스는 실험실에 폐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형물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10]
  7. 기밀 등록: 서로 반대되는 깁스가 정확하게 연관될 수 있도록 광범위한 교량공사를 제공할 때 폐쇄적인 등록이 필요하다. 이는 소수의 치아만 복원된다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10]
  8. 임시 복원: 가능한 경우 최종 복원될 때까지 준비된 치아를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임시 복원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10]
  9. 시멘트를 확실히 굳히기 전에 임상적 수용 가능성을 확인하십시오. 마스터 캐스트의 보형물을 평가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원인을 식별하십시오. 확정적 배치에 앞서 임상 수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시 시멘트의 기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10]
  10. 최종 배치: 보형물이 임상적으로 허용될 경우, 브릿지를 시멘트로 고정하고 접합하십시오.[10]
  11. 검토: 교량 작업을 평가하고 수술 후 문제를 관리하십시오.[10]

복원 제작

WorkNC Dental CAD/CA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체 치과 교량 가공.

단일 단위 크라운과 마찬가지로 복원이 복수 단위 FGC 또는 PFM일 경우 손실-왁스 기법을 사용하여 교량을 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제작 기법은 CAD/CA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다리를 기계로 가공하는 것이다.[32] 상술한 바와 같이 복원에서 둘 이상의 교대 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복수단위복원을 준비할 때 특별한 고려사항이 있다. 즉, 교량이 여백에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적절한 병렬이 있어야 한다.

때로는 다리가 자리를 잡지 않지만, 교대 사이의 공간적 관계가 잘못되어 있는 것인지, 교대가 실제로 준비물에 맞지 않는 것인지 치과의사는 확신하지 못한다. 이것을 결정하는 유일한 방법은 다리를 절개하고 교대 하나하나를 스스로 시험해 보는 것이다. 각각 개별적으로 맞으면 공간관계가 틀렸으며, 새로 확인된 공간관계에 따라 이제 연못에서 갈라진 교대를 연못에 다시 붙여야 한다. 이것은 땜납 지수로 완성된다.

단면 유닛의 근위부 표면(즉, 절단 시 금속의 인접 표면)은 거칠어지고, GC America사의 PATNATE REZINE™과 같이 양면을 지탱할 재료로 관계를 보존한다.[33] 교대 2개 교대를 준비된 교대 톱니 위에 개별적으로 앉힌 후, 교대 위치에 레진을 발라 교대 2개 교대 사이의 적절한 공간적 관계를 재구축한다. 그리고 나서 이것은 실험실로 보내질 수 있고, 그곳에서 두 조각이 납땜되고, 또 다른 시험이나 최종 시멘트를 위해 반환될 수 있다.

교량의 장점

치과 교량은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그것들은 보통 두 번의 치과 예약으로 완성될 수 있다. 치아를 완전히 씹는 기능으로 되돌릴 수 있고, 청소에 주기적인 제거가 필요하지 않으며, 수명이 길고 미적으로 만족스럽다.[34]

교량 고장

교량 고장의 일반적인 이유

  1. 구강 위생 불량: 교량을 포함한 고정 보형물과 마찬가지로 교량 주변에 플라그 형성을 막기 위한 구강위생 유지도 관건이다. 이렇게 하면 성능이 오래 유지된다. 삽입 후 14일 - 6개월 후 고정교량 주변의 깅기벌 상태를 조사한 결과, 동일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 단일 크라운과 달리 교량 제작 재료에 관계 없이 깅기벌 염증을 유발하는 플라크가 더 많이 발생하여 고정교량 주변의 깅기벌 상태를 조사하였다.[35][36]
  2. 기계적 고장: 이러한 고장은 부적절한 시멘트 제조, 시공 또는 준비로 인한 교량 유지 손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37][38]

금속 코팅 또는 폰틱의 파단도 기계적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 Gingival 측 교량의 커넥터 파단은 대부분의 전체 세람교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39]

  1. 생물학적 고장: 이는 치아의 캐리(왕관 및 교량 고장의[9]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 또는 맥박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치아 골절, 2차 캐리, 치주질환 등 교대치아의 문제는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고 주변 연조직에 압력을 가해 교량의 생물학적 기능 상실도 유발할 수 있다.
  2. 심미적 장애: 이러한 현상은 시멘트 제조 시 발생할 수 있으며, 색상 불일치, 여백의 거칠기 또는 부적절한 치아 윤곽을 포함한다.

미학적 실패는 또한 치아의 마모, 징기벌적 불황 또는 치아의 표류 등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다.

  1. 교대치아의 문제: 2차 캐리, 활력 상실 또는 치주질환의 영향을 받는 교대치아는 모두 교량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37]

교량 고장의 구강 징후

교량 장애는 임상적 합병증을 유발하며 환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다.

  1. 구강 통증
  2. 잇몸의 민감성, 출혈 및 염증
  3. 입냄새 및 미각 장애

교량고장관리

교량고장의 관리는 교량고장의 정도와 유형에 따라 다르며, 교량고장 후 매우 양호한 구강위생 유지의 중요성을 정기적으로 강조함은 물론 환자와 철저한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예방할 수 있다. 고정된 복원 주변의 플라그 제어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치간 세척 보조 기구의 사용을 통한 연못 밑 청소의 중요성도 강화되어야 한다.[9]

관리 옵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교량의 관찰/검토 유지
  2. 고장 수리, 교체 또는 제거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Mitchell DA, Mitchell L, McCaul L (2014). Oxford Handbook of Clinical Dentistry (Six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268.
  2. ^ a b "The Glossary of Prosthodontic Terms: Ninth Edition".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117 (5S): e1–e105. May 2017. doi:10.1016/j.prosdent.2016.12.001. hdl:2027/mdp.39015007410742. PMID 28418832.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Planning and making crowns", Planning and Making Crowns and Bridges, Fourth Edition, CRC Press, 2006-10-05, pp. 105–121, doi:10.3109/9780203090633-7, ISBN 9780415398503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A., Shillingburg, Herbert T. Sather, David (2014-08-02). Fundamentals of fixed prosthodontics. ISBN 9780867155174. OCLC 885208898.
  5. ^ a b Bartlett D, Ricketts D (2013). Advanced operative dentistry : a practical approach. Edinburgh: Elsevier Churchill Lvgst. ISBN 978-0-7020-5538-6.
  6. ^ Hemmings K, Harrington Z (April 2004). "Replacement of missing teeth with fixed prostheses". Dental Update. 31 (3): 137–41. doi:10.12968/denu.2004.31.3.137. PMID 15116483.
  7. ^ Bishop K, Addy L, Knox J (2007). "Modern restorativ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ngenitally missing teeth: 3. Conventional restorative options and considerations". Dental Update. 34 (1): 30–2, 34, 37–8. doi:10.12968/denu.2007.34.1.30. PMID 17348556.
  8. ^ Maglad AS, Wassell RW, Barclay SC, Walls AW (August 2010). "Risk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e. Part 3. Crowns and bridges". British Dental Journal. 209 (3): 115–22. doi:10.1038/sj.bdj.2010.675. PMID 20706245. S2CID 205664319.
  9. ^ a b c d Briggs P, Ray-Chaudhuri A, Shah K (March 2012). "Avoiding and managing the failure of conventional crowns and bridges". Dental Update. 39 (2): 78–80, 82–4. doi:10.12968/denu.2012.39.2.78. PMID 22482265.
  10.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Ibbetson R, Hemmings K, Harris I (May 2017). "Guidelines for Crowns, Fixed Bridges and Implants". Dental Update. 44 (5): 374–6, 378–80, 382–4, 386. doi:10.12968/denu.2017.44.5.374. PMID 29188690.
  11. ^ a b c d e f g h i j Gulati JS, Tabiat-Pour S, Watkins S, Banerjee A (2016). "Resin-Bonded Bridges – the Problem or the Solution? Part 1- Assessment and Design". Dental Update. 43 (6): 506–8, 510–2, 515–8, 521. doi:10.12968/denu.2016.43.6.506. PMID 29148644.
  12. ^ a b Dayanik S (April 2016). "Resin-Bonded Bridges--Can We Cement Them 'High'?". Dental Update. 43 (3): 243–4, 247–50, 253. doi:10.12968/denu.2016.43.3.243. PMID 27439271.
  13. ^ a b c d e Gopakumar A, Boyle EL (September 2013). "'A bridge too far'--the negative impact of a bridge prosthesis on gingival health and its conservative management". British Dental Journal. 215 (6): 273–6. doi:10.1038/sj.bdj.2013.877. PMID 24072295.
  14. ^ Reddy K, Hegde V, Aparna IN, Dhanasekar B (2009). "Incorporating modified ovate pontic design for anterior tooth replacement: A report of two cases". Journal of Indian Prosthodontic Society. 9 (2): 100–4. doi:10.4103/0972-4052.55254.
  15. ^ network, MEFANET, Czech and Slovak medical faculties. "Division of pontics according to shape and relation to the mucosa. - WikiLectures". www.wikilectures.eu. Retrieved 2018-06-14.
  16. ^ a b c Rosenstiel SF, Land MF, Junhei F (2006). Contemporary fixed prosthodontics (4th ed.). St. Louis: Mosby. ISBN 978-0-323-02874-5.[페이지 필요]
  17. ^ a b Smith BG (1998). Planning and Making Crowns and Bridges (3rd ed.). London: Taylor & Francis, A Martin Dunitz Book. ISBN 978-0-203-41955-7.[페이지 필요]
  18. ^ Nallaswamy D (2003). Textbook of prosthodontics (1st ed.). New Delhi: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ISBN 9788180611995.[페이지 필요]
  19. ^ Kim SH, Watts DC (January 2004).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temporary crown and bridge materials". Dental Materials. 20 (1): 88–9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