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질바 슈미나

Basil bar Shumna

바실바 슈메나(Basil Bar Shumna[a], 1169년/1171년 사망)는 114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에데사시리아크 정교회 대도시 대주교였다.그는 1118년부터 죽을 때까지의 세월을 다룬 시리아크 연대기를 썼는데, 현재는 분실되어 있으나 마이클 대왕1234년 크로니클의 익명의 저자에 의해 출처로 사용되었다.

인생

바질은 비록 에데사의 교구를 인수할 때 노인으로 묘사되지만,[11] 아마도 12세기 초에 태어났을 것이다.[12]그의 형 마이클 바 슈만은 조셀린 2세 백작 휘하의 에데사 시의 행정부를 이끌었다.[b]1120년대 초, 바질은 비잔틴 황제 요한 2세의 레티누에 가담했다.1122년 베로이아 전투에서 페체네그스가 패배한 것을 목격했다.[16]1129년까지 바질은 카이순(카이순)의 서품된 사제 겸 주교였다.[11][17]총대주교 요한 11세는 당시 카이순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영구 거주지로 만드는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18]교회 정치에 환멸을 느끼면서 바질은 카이순에서 수도원으로 물러났다.[19]

1143년,[8] 조셀린은 바질을 카이수엔 교구에서 에데사로 옮겼다.[4]그는 조셀린 2세가 시리아크 주교들을 이양할 권한이 없고 아타나시우스 7세 총대주교도 모르게 행동한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에, 불법적으로 그 공석을 획득했다는 혐의를 받았다.[7][10]바질은 총대주교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 혐의를 부인했다.[10]조셀린과 족장은 나중에 화해했다.[7]

1144년 11월 에데사 공성전이 시작될 때 바질은 가톨릭과 아르메니아의 상대인 주교 , 존과 함께 도시의 방어를 조직하기 위해 합류했다.[c]휴를 설득하여 휴를 설득하여 휴를 휴전을 꾀했으나, 그 제의는 포위하고 있는 터키군 사령관 젠기에게는 이르지 못했다.[20]12월 24일 성벽을 부수고 난 후 이틀 동안 약탈과 대학살 동안 바질은 자신이 벌거벗고 수염을 깎은 채 밧줄을 타고 돌아다녔다.젠기는 이틀이 지나 성 안으로 들어갔을 때 그와 마주쳤다.[12][20]젠기의 장막에서 바질은 아랍어로 겸손과 용기, 유창함으로 지휘관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젠기는 그에게 옷을 입게 하고 두 사람은 도시 재건을 의논했다.마이클 대왕에 따르면, "젠기가 에데사에서 통치하는 한 [...] 이 존경받는 주교는 매우 영향력이 있었다."[12]바질은 그 도시를 다시 채울 책임이 있었다.[12]

1146년 젠기가 죽은 후, 조셀린은 바질에게 도시를 탈환하려는 그의 노력을 돕도록 강요했다.[10]이것이 실패하고 도시가 누르 알딘에게 함락되자 바질은 사모사타로 달아났다.[21]젠기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에데세네스족에게 반역죄로 고발당한 그는 조셀린에 의해 흐롬글라에 수감되었다.[10][21]그는 3년 동안 감옥에 있었다.[22]그가 그 도시의 역사를 쓰기 시작한 것은 이 시기였다.[9]1150년 조셀린이 터키인들에게 붙잡혔을 때, 그의 마지막 고백을 들은 사람은 바질이었다.그는 9년 후에 감금되어 죽었다.[23]

바질은 1169년[8][9][11] 또는 1171년에 죽었다.[5][17][24][25]

바질은 그가 쓴 많은 사건들의 목격자였다.그의 작품의 목적은 경건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이었다.그는 일생 동안 에데사에 닥친 재난에 대해 신의 계획과 일치하는 설명을 제공하려고 했다.[9]그는 에데사를 칼데스의 성서 우르와 동일시하여 시리아크 이름인 우르헤이를 도시(Ur)와 찰데스(Hay)를 뜻하는 단어들의 조합으로 읽었다.[26]

마이클 대왕은 1118년에서 1143년까지 바질을 사용한다.[1]1234년 연대기의 익명의 저자는 1144년 이후 그 기간 동안 바질을 자주 인용한다.에데사에 관한 그의 자료의 대부분은 바질에서 유래한다.[27][25]그는 그가 바질의 긴 설명을 요약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그는 또한 바질이 자신의 양떼를 날카롭게 비난한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28]

아프람 바숨은 바질이 1122년 페체네그스에 대한 비잔틴의 승리에 대해 별도의 작품을 썼다고 가설을 세웠다.이것은 마이클 대왕에게서 발견된 추출물에 근거한 것이다.비록 어울리지 않는 것 같지만, 바질의 에데세네 연대기에서 그 정보가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바질은 페체넥스 쿠만을 부른다.[29]Cumans에 대한 논문의 존재는 가상으로 남아있다.[11]

1144년 에데사가 멸망한 것에 대한 세 편의 도데카실라비시(dodessa)가 바질에게 귀속되었다.[8]

메모들

주석
  1. ^ 그의 성은 자음 철자로만 알려져 있어 모음이 불확실하다.[1]It may also be spelled BarShumno,[1] BarShumono,[1] bar Shumono,[2] bar Shumana,[3] bar Shūmana,[4] BarŠummānā,[1] bar Shūmmānā,[5] BarŠumnā,[6] Bar Soumana,[7] bar Shumnā,[8] bar Sumno,[9] bar Šūmōnō[10] or bar Šmūnō.[10]그의 이름은 바실리우스[7] 또는 바실리우스라고 쓰일 수 있다.[5]In Syriac he is ܚܣܝܐ ܒܐܣܝܠܝܘܣ ܕܐܘܪܗܝ, ḥasyā Bāsīlyūs d-ʾūrhāy, Saint Basil of Edessa.[11]
  2. ^ 1234년의 크로니클에 따르면, 마이클은 1129년에 메다베라나라는 직책을 맡았고, 아마도 이 도시에서는 백작에 버금갔을 것이다.[13]그는 아타나시우스 7세가 아미드 왕에게 억류되자 석방을 추진하였다.그는 심지어 습격으로 국왕을 위협했을지도 모른다.[14]1138년, 프랑크 기사 등 사모사타에 군대를 집결시켜 에데사를 터키의 압박에서 구해냈으나 매복해 포로로 잡혀 노예로 감금되었다.[15]
  3. ^ 이것은 시리아크 소식통에 따르면.[10]알프테킨은 휴가 다른 주교들의 도움을 받는 전반적인 지휘에 있다고 본다.[3]
인용구
  1. ^ a b c d e 위타코프스키 2008, 페이지 257.
  2. ^ 힐켄스 2014 페이지 2
  3. ^ a b 알프테킨 1972, 페이지 109.
  4. ^ a b 아무룩스-무라드 1988.
  5. ^ a b c 1992년 콘래드 페이지 325.
  6. ^ Witakowski 2008, 페이지 2525n.
  7. ^ a b c d 니콜슨 1973 페이지 5
  8. ^ a b c d 라이트 1894 페이지 244.
  9. ^ a b c d Welteke 2009, 페이지 120.
  10. ^ a b c d e f g 웰텍 2003, 페이지 71.
  11. ^ a b c d e f 반 누펠렌 2013-2017.
  12. ^ a b c d 바버 2012, 페이지 180.
  13. ^ 맥에빗 2007, 페이지 93.
  14. ^ 웰텍 2003, 페이지 65.
  15. ^ Welteke 2003, 페이지 70–71.
  16. ^ Lau 2018, 페이지 169.
  17. ^ a b 맥에빗 2007, 페이지 52.
  18. ^ 맥에빗 2007, 페이지 109.
  19. ^ MacEvitt 2007, 페이지 211 n36.
  20. ^ a b 알프테킨 1972, 페이지 110.
  21. ^ a b 바버 2012, 페이지 195.
  22. ^ Welteke 2003, 페이지 71n.
  23. ^ 맥에빗 2007, 페이지 97.
  24. ^ Witakowski 2008, 페이지 261.
  25. ^ a b 위타코프스키 2011.
  26. ^ 맥에빗 2007, 페이지 50.
  27. ^ Witakowski 2008, 페이지 259.
  28. ^ Welteke 2009, 페이지 123.
  29. ^ 힐켄스 2014, 페이지 389n.

참고 문헌 목록

  • Alptekin, Coşkun (1972). The Reign of Zengi (521–541/1127–1146) (PDF)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ndon.
  • Amouroux-Mourad, Monique (1988). Le comté d'Edesse, 1098–1150. Paul Guethner.
  • Barber, Malcolm (2012). The Crusader States. Yale University Press.
  • Barsoum, Ignatius Aphram (2003). The Scattered Pearls: A History of Syriac Literature and Sciences. Translated by Matti Moosa (2nd revised ed.). Gorgias Press.
  • Conrad, Lawrence I. (1992). "The Conquest of Arwad: A Source-Critical Study in the Historiography of the Early Medieval Near East". In L. I. Conrad; A. Cameron (eds.). The Byzantine and Early Islamic Near East: I. Problems in the Literary Source Material. Darwin Press. pp. 317–401.
  • Hilkens, Andy (2014). The Anonymous Syriac Chronicle up to the Year 1234 and its Sources (PhD dissertation). Ghent University.
  • Lau, Maximilian (2018). "The Dream Come True? Matthew of Edessa and the Return of the Roman Emperor". In B. Neil; E. Anagnostou-Laoutides (eds.). Dreams, Memory and Imagination in Byzantium. pp. 160–179. doi:10.1163/9789004375710.
  • MacEvitt, Christopher (2007). The Crusades and the Christian World of the East: Rough Toleran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Nicholson, Robert Lawrence (1973). Joscelyn III and the Fall of the Crusader States, 1134–1199. E. J. Brill.
  • Van Nuffelen, Peter, ed. (2013–2017). "Basilius, bishop of Edessa". Clavis Historicorum Tardae Antiquitatis. Universiteit Gent. Retrieved 14 July 2020.
  • Weltecke, Dorothea (2003). "Contacts Between Syriac Orthodox and Latin Military Orders" (PDF). In Krijna Nelly Ciggaar; Herman G. B. Teule (eds.). East and West in the Crusader States: Context, Contacts, Confrontations III. Peeters. pp. 53–77.
  • Weltecke, Dorothea (2009). "Les trois grandes chroniques syro-orthodoxes des XIIe et XIIIe siècles". In Muriel Debié (ed.). L'historiographie syriaque. Paul Guethner. pp. 107–135.
  • Witakowski, Witold (2008). "Syriac Historiographical Sources". In Mary Whitby (ed.). Byzantines and Crusaders in Non-Greek Sources, 1025–1204. Oxford University Press. pp. 253–282.
  • Witakowski, Witold (2011). "Historiography, Syriac". In Sebastian P. Brock; Aaron M. Butts; George A. Kiraz; Lucas Van Rompay (eds.).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of the Syriac Heritage. Gorgias Press.
  • Wright, William (1894). A Short History of Syriac Literature (PDF). Adam and Charles Bl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