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와 대량살상무기

Australia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호주는 과거 핵무기, 생물무기, 화학무기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에 참여했지만 대량살상무기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

호주는 화학 및 생물학 무기 확산의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비공식 국가 그룹인 호주 그룹을 이끌고 있다.호주그룹에 참여하는 모든 국가는 화학무기협약생물무기협약의 당사국이며, 이 협약에 따라 세계의 화학무기 [1]및 생물무기를 제거하는 노력을 강력히 지지한다.화학무기와 생물무기와 마찬가지로 호주는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핵무기를 개발하려는 노력도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물 무기

호주는 면역학, 미생물학, 유전공학 분야의 선진 연구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 사용 및 [2]수출용 백신을 제공하는 산업을 지원하고 있다.또한 광범위한 와인 산업이 있으며 농업, 식품 기술, 양조업 등 다른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 규모의 미생물을 생산하고 있습니다.이 시설들의 이중 사용 특성은 호주가 생명공학 산업이 발달한 여느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생물 전쟁 에이전트를 쉽게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빅토리아 주 질롱에 있는 호주 질병 대비 센터는 에볼라 [3]바이러스를 연구하고 있다.호주 미생물 자원 연구 네트워크에는 37개의 배양물 컬렉션이 나열되어 있으며, 그 중 상당수는 합법적인 [4]연구 목적으로 병원성 유기체의 샘플을 보유하고 있다.

역사

제2차 세계대전일본이 동남아시아를 통해 진격하자 호주 국방부 장관 F.G. 셰든은 1946년 12월 24일 맥팔레인 버넷에게 편지를 보내 생물전에 [5]대해 논의하기 위해 그를 군 고위 간부 회의에 초대했다.

1947년 9월, 버넷은 신무기 및 장비 개발 위원회의 화학 및 생물전 소위원회에 초대되어 "생물학적 각도에서 전쟁에 관한 메모"[6]라는 비밀 보고서를 작성하였다.1951년 소위원회는 "화학 및 생물전 소위원회에 보고하는 패널이 동남아시아와 인도네시아의 현지 식량 공급에 대해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는 생물학적 약물의 공격 가능성에 대해 보고할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5]고 권고했다.

로버트 멘지스 총리핵무기 [5]획득에 더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화학 및 생물전 소위원회의 활동은 곧 축소되었다.호주는 1972년 4월 10일 생물무기협약에 서명하고 1977년 [7]10월 5일 비준증명서를 기탁했다.

화학 무기

1943년 뉴사우스웨일스 싱글턴에서 가스 무기 실험 후 불발된 25파운드 가스 포탄을 조사하는 관찰자.

호주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화학 무기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다.호주는 화학무기를 생산한 적이 없지만 미국과 [8]영국으로부터 공급받은 화학무기를 비축했다.비축된 것으로 알려진 화학 무기는 겨자 가스, 포스젠, 루이사이트, 아담사이트, CN 가스 이다.

박격포와 포탄, 공중폭탄, 벌크 에이전트 의 형태로 비축된 무기 중 일부는 일본의 터널 [8]단지에 대한 잠재적 사용을 위해 뉴기니로 보내졌다.비록 '실제' 화학 무기를 사용한 많은 실험들이 있었지만, 무기의 실제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화학 무기는 불에 타거나, (포스진을 위해) 배출하거나, 바다에 버리는 방식으로 폐기되었다.약 21,030톤의 화학 무기가 브리즈번, 시드니, 멜버른 근처 호주 앞바다에 버려졌다.이것은 Geoff Plunkett에 의한 국방 보고서에서 다루어졌다.[1] 호주의 화학 무기 개입에 대한 완전한 역사(호주 화학 전쟁)는 2013년 육군 역사 부대(국방부)에 의해 책 형태로 출판되었다(2nd Edn) [2] [3] 다시 Geoff Plunkett[4]에 의해 집필되었다.

1970년 파푸아 엠비 비행장에서 1000파운드의 포스젠 폭탄이 발견돼 호주군 병력에 의해 폐기됐으며 1990년까지도 실험된 [8]덤불에서 겨자가스 드럼통이 발견됐다.1989년 [5]퀸즐랜드 주 맥스웰턴에서 또 다른 화학무기 비축량이 발견되었다.호주는 1993년 1월 화학무기협약을 체결하고 1994년 [8]화학무기(금지)법으로 비준했다.

핵무기

허리케인 작전, 25kt 핵실험, 호주 몬테 벨로 제도

호주는 현재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자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비록 몇몇 연방정부가 이 아이디어를 조사하고 이 [9]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지만 말이다.호주는 1956년 아톨 타운리 공군장관이 필립 맥브라이드 국방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영국의 전기 캔버라 폭격기와 CAC 사브르 [10][11][12]전투기를 무장시키기 위한 전술핵무기를 획득할 것을 권고했을 때 영국이나 미국으로부터 전술핵무기를 획득하는 것을 검토했다.

프레드릭 셔거 공군총장아톨 타운리 공군장관은 국제적 위상과 군비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핵무기 획득을 지지했다.셔거의 영국과 미국 정부는 고무적인 반면 맥밀런아이젠하워 정부는 그렇지 않았다.로버트 멘지스 총리 정부는 비용과 국제 [13]정치 때문에 국내 생산이 너무 어려울 것이라고 결정했다.

호주는 1952년부터 1963년 사이에 몬테 벨로 제도(허리케인 작전), 에무 필드, 마를린가 에서 영국의 핵실험을 실시했다.Maralinga는 공동 자금 조달 계약을 [14]통해 공동 시설로 개발되었습니다.1950년대에 호주는 핵탄두 운반을 목적으로 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인 블루스트릭 미사일 개발에 참여했다.

시드니 루카스 하이츠의 호주 HIFAR 원자로는 1958년부터 2006년까지 가동됐으며 2006년 OPAL 원자로로 대체됐다.새로운 원자로는 저농축 우라늄 연료와 오픈풀 경수 [15]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호주에는 전 세계 우라늄 [16]매장량의 30%를 차지하는 상당한 양의 우라늄이 매장되어 있다.1996년까지 정부의 정책은 우라늄 광상의 개발을 세 개의 확립된 광산으로 제한했다.Four Mile 우라늄 광산의 네 번째 [17]부지는 2009년 7월에 승인되었다.현재의 정책은 핵 확산을 [18]막기 위해 고안된 엄격한 국제 협약에 따라 우라늄의 채굴과 수출을 허용함으로써 호주 우라늄 산업의 수출 잠재력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RAAF는 1960년대에도 [13]핵무기 획득을 계속 조사했지만 호주는 1970년 2월 27일 핵확산금지조약을 체결하고 1973년 [19]1월 23일 조약을 비준했다.필립 백스터 경은 호주 원자력위원회(AAEC)의 첫 번째 수장, 현재 호주 원자력과학기술기구(ANSTO)와 뉴사우스웨일스 대학의 첫 번째 부총리로서 호주가 무기급 플루토늄 비축과 핵무기를 [20]획득하는 것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ANSTO 과학자들은 당시 상업적인 URENCO 원심분리 기술에 필적한다고 주장하는 원심분리 농축 기술을 개발했다.그러한 기술이 산업적 규모로 배치되었다면, 원칙적으로 핵무기용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할 수 있었을 것이다.그 연구는 1980년대 [21]중반에 정부 자금을 잃었다.

상업용 농축 시설은 또한 핵무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충분한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호주의 한 기업이 우라늄 농축에 대한 새로운 공정인 레이저 들뜸에 의한 동위원소 분리(SILEX)[22]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호주 총리 존 하워드는 2006년 호주의 우라늄 사용량 [23]증가를 둘러싼 문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연구 주제 중에는 국내 또는 국외 원자력 발전소에 저농축 연료를 공급하는 국내 우라늄 농축 공장이 있었다.

호주는 핵문턱 [24]국가로 간주된다.

2019년, 군사 전략가인 화이트는 호주가 핵무기를 [25][26][27][28]보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공 플랫폼

호주제 F-111기

사실상 다른 모든 선진국과 가장 큰 개발도상국들처럼, 호주는 핵무기가 [29]개발된다면 이웃 국가들에게 핵무기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무기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호주 공군71대의 F/A-18 호넷 타격기와 24대의 F/A-18F 슈퍼 호넷 타격기를 보유하고 있다.

호주는 앞서 이론적으로 핵무기를 운반할 수 있는 더글러스 A-4 스카이호크 지상공격기와 영국 전기 캔버라, 제너럴 다이내믹스 F-111C 폭격기, 미 공군의 FB-111A 전략폭격기에서 개조F-111G 전술폭격기를 운용했다.F-111C가 인도되기 전 호주는 미국 공군으로부터 임대받은 맥도넬 더글러스 F-4E잠시 운용했다.

1950년대 폭격기에 대한 공군참모요건(작전요건/공군) 36의 일환으로, 호주 공군은 "공격적 전술 타격 능력"과 "호주 전략 방어 능력"에 대한 요구사항을 "크라 반도만큼 북쪽" 목표물로 지정했다.이 폭격기는 사거리가 7,400km(4,000해리) 이상이어야 하며 최소 20,000파운드(9,100kg)의 재래식 폭탄이나 블루 다뉴브 핵무기 1개를 탑재할 수 있어야 했다(1956년 [30]10월 11일 말링가에 공중 투하되었다).Avro Vulcan 또는 Handley Page Victor 핵폭격기의 현지 제조 버전이 검토된 옵션 중 일부였다.

폴링

2010년 Lowy Institute의 여론조사에서 호주의 이웃 국가일부가 핵무기 개발을 시작한다면 당신은 개인적으로 호주도 핵무기 개발에 찬성할 것인가, 반대할 것인가?

이 조사에서는 4%가 강하게, 12%가 약간, 16%(전체적으로 찬성), 63%가 강하게, 21%[31]가 약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레퍼런스

  1. ^ "The Australia Group : An Introduction". The Australia Gro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February 2006. Retrieved 18 April 2006.
  2. ^ "Biotechnology capability overview". Austra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ugust 2006. Retrieved 23 April 2006.
  3. ^ "Ebola virus research". www.csiro.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19. Retrieved 12 January 2022.
  4. ^ "Culture Collections". Australian Microbial Resources Research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07. Retrieved 19 April 2006.
  5. ^ a b c d Bromage, David (2002). "Australia: Biological weapons".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06. Retrieved 18 April 2006.
  6. ^ Nicholson, Brendan (10 March 2002). "Burnet's solution: The plan to poison S-E Asia". Melbourne: The 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pril 2006. Retrieved 18 April 2006.
  7. ^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Development, Production and Stockpiling of Bacteriological (biological) and Toxin Weapons and on their Destruction".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Retrieved 18 April 2006.
  8. ^ a b c d "Australia: Chemical weapons".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 September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06. Retrieved 24 June 2006.
  9. ^ Broinowski, Richard (2003). Fact or Fission?. Scribe Publications. ISBN 1-920769-03-X.
  10. ^ 호주 국방부 국립문서보관소; A5954 1400/15 RAAF 폭격기와 전투기의 원자무기 재장비, 1956년
  11. ^ 호주 국방부 국립문서보관소; A1209 1957/4067 호주군 핵무기, 1956-1958
  12. ^ 호주 총리부 국립문서보관소; A1945 186/5/3 호주군을 위한 핵무기 조달, 1957년
  13. ^ a b Lax, Mark (2010). From Controversy to Cutting Edge: A History of the F-111 in Australian Service. Canberra, Australia: Air Power Development Centre, Department of Defence (Australia). pp. 11–12. ISBN 9781920800543.
  14. ^ "British nuclear tests at Maraling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February 2006. Retrieved 8 May 2006.
  15. ^ "ANSTO" (PDF). Australia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s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8 May 2006. Retrieved 18 April 2006.
  16. ^ "Australia's Uranium". Uranium Information Cent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06. Retrieved 19 April 2006.
  17. ^ Grattan, Michelle; Fitzgerald, Barry (15 July 2009). "Garrett gives nod to uranium mine". The Age. Melbourne. Retrieved 13 March 2011.
  18. ^ "Uranium mining-Key text". Australian Academy of Sci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06. Retrieved 19 April 2006.
  19. ^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PDF).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April 2010. Retrieved 19 April 2006.
  20. ^ Hymans, Jacques E.C. "Isotopes and Identity: Australia and the Nuclear Weapons Option, 1949–1999" (PDF).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5 July 2004. Retrieved 24 June 2006.
  21. ^ Andrew Fowler; Renata Gombac (15 June 2007). "Uranium enrichment program revived after 20 years" (program transcript). The 7.30 Repor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7 July 2007.
  22. ^ "Sile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y 2006. Retrieved 18 April 2006.
  23. ^ "Australia in nuclear power review". BBC. 6 June 2006. Retrieved 24 June 2006.
  24. ^ "Nuclear Weapons Archive, 7.5 nuclear capable states".
  25. ^ "Hugh White calls for rekindling of nuclear weapons debate". ABC Radio. 2 July 2019. Retrieved 9 July 2019.
  26. ^ Alexander, Harriet (1 July 2019). "Nuclear arsenal must be on Australia's agenda, argues defence expert".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9 July 2019.
  27. ^ https://www.theaustralian.com.au/business/media/reconsider-nuclear-weapon-stance-urges-hugh-white-on-qa/news-story/6958a823c75805cc6626031479c08d35[베어 URL]
  28. ^ "Analyst flags the prospect of a nuclear-armed Australia as China's rise continues". ABC News. July 2019.
  29. ^ "50th Anniversary of the ANZUS Treaty". United States Australian Embass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06. Retrieved 24 June 2006.
  30. ^ 호주 국방부 국립문서보관소; A1945 1/501/694 제1부 호주 공군.항공 스태프 요건(운영 요건/Air 36).폭격기, 1954년 ~ 1958년
  31. ^ "Nuclear weapons in Australia".

추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