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오 제노베시
Antonio Genovesi안토니오 제노베시(Antonio Genovesi, 1713년 11월 1일 ~ 1769년 9월 22일)는 철학과 정치 경제에 관한 이탈리아의 작가였다.
전기
구두장이인 살바토레 제노베세(Salvatore Genovese)와 산망고의 아드리아나 알피니토(Adriana Alfinito)의 아들 안토니오 제노베시는 1713년 살레르노[1] 인근 카스티글리오네에서 태어났다.[2] 그는 아버지의 지시로 일찍부터 공부를 시작했고, 14세에 친척이자 나폴리에서 온 젊은 의사인 니콜로 제노베시 밑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그는 안토니오 페리파테틱스 철학을 2년간 가르쳤고, 또 1년 동안 카르테스 철학을 가르쳤다. 그가 18살이었을 때, 신학 공부를 하는 동안, 그는 카스티글리오네 출신의 소녀 안젤라 드라곤과 사랑에 빠졌다. 그의 아버지는 그 부부를 인정하지 않았고, 그의 아들을 그의 친척들 중 일부가 있는 부치노에 있는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승들의 수녀원으로 보냈다. 여기서 그는 라틴어와 그리스어에 관심을 집중시키면서 조반니 압바몬테 신부 밑에서 신학적, 철학적인 연구를 계속했다.
독단주의 신학에서 시험에 합격한 후, 1736년 12월 22일 살레르노 대성당에서 살레르노 대주교 파브리치오 디 카푸아(Fabrizio di Capua)가 참석한 가운데 집사 서품을 받았다. 1738년 안토니오 제노베시는 25세의 나이로 사제 서품을 받았다.[3]
몇 달 후, 그는 나폴리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지암바티스타 비코와 만나 친구가 되었다. 1741년, 그는 나폴리 대학에서 형이상학(나중에 윤리학 의장과 함께)의 강좌를 수여받았다. 이 명문대학에서 그는 경제학 석좌도 수여받았는데, 1755년 이탈리아에서 이런 종류의 석좌(이름은 원래 "상업과 역학"이라는 이름)가 처음이었다. 이 시기에 그는 "상업에서의 레슨스"를 출판했는데, 이 책에서 그는 더 날카로운 자유 무역 정책에 우호적이라고 선언했다. 그의 제자들 중에는 주세페 팔미에리와 프란체스코 마리오 파가노가 있었다.
그는 고전 문학, 신학, 형이상학 분야의 학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년에 그는 자신의 낡은 이론 문화를 점차 실용적 목적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 대체하면서 경멸하기 시작했다. 비코 사상의 추종자, 그리고 적어도 로크의 철학에 관해서는 제노베이는 타란토 대주교, 셀레스티노 갈리아니, 교황 베네딕토 14세 자신의 개입으로 겨우 목사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1769년 9월 22일 나폴리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시신은 산세베로의 왕자인 친구 라이몬도 디 상로 덕분에 산테라모 누오보 수도원 교회에 안장되었다. 그는 단지 지하실에 있었고, 따라서 우리는 특별한 무덤을 가지고 있지 않다. 1930년대 초의 보수공사로 인해 지하묘지(및 제노베시의 유적)에 담긴 유해가 산테라모 베키오 교회로 옮겨졌다.
철학적 사상
그 시절은 반개혁의 정신과 도덕에 대한 최초의 반대운동이었다. 반제국주의적이고 반예수트적인 정서, 교회의 어떤 간섭에 대한 국가의 자율성을 위한 투쟁의 보복, 계몽된 군주제와 온정주의 정권 이론의 제1요인, 새로운 시적이고 보다 개방적이고 용기 있는 비평가들이 모두 이 시기에 존재하는 요소들이다.
그것은 사실 18세기 후반 계몽주의에 의해 달성된 진정한 문화혁명의 시작이었으며, 모든 발현에 있어서 안시엔 레기메의 부담을 완전히 변형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문화 분위기 속에서 필랑기에리의 정치적 사상은 결정적으로 개혁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는데, 그것은 사폴리아 계몽주의에서 흄의 영향력에 관한 그녀의 작품에서 파올라 자나르디로부터 "프랑스 옷 아래의 앵글로피어리"라고 불린 것이었다.
그의 작품에서 제노베시는 이상주의와 경험주의 사이에서 타협하여 기독교 철학의 본질적인 종교적 가치를 살리려고 노력한다.
경제사상
안토니오 제노베시는 새로운 이탈리아 문화 지형에 영향을 받았고, 연구와 실험을 통해 공공 행복의 개념을 설명하려고 노력했는데, 이는 인류를 "불완전한" 상태에서 해방시켜 얻어낼 것이다. 그는 문화·물적·정신적 퇴폐의 상태, 신파 황금기의 여파를 이해하고, 예전의 예술·상업·농업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개입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실천적 재고는 윤리와 철학에 대한 연구를 버리고 경제로 눈을 돌리게 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경제는 정부의 부와 국가의 힘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정치경제학 학장은 바르톨로메오 인티에리 교수에 의해 나폴리 대학에서 특별히 그를 위해 제정되었다. 인티에리의 마사콰노 궁전은 오랜 시간 동안 그가 그의 작품 일부를 쓴 지적인 피난처였던 것이다.
그의 경제사상의 핵심은 1765년에 출판된 경제학의 첫 과학논문 중 하나인 《레지오니 디 콤메르시오》에서 찾을 수 있다. 제노베시는 이 작업을 통해 교육, 농업(주로 큰 부동산), 상업과 산업에 대한 정부의 보호주의 등 일부 핵심 분야에서 개혁의 길을 보여주려 했다.
문어체
그는 그의 가르침으로 이탈리아어를 선택했는데, 그것은 그가 그의 수업 중에 라틴어를 사용하지 않은 최초의 교수였고, 이탈리아어로 형이상학과 논리에 관한 논문을 쓴 것으로 기억되기 때문이다. 그의 목표는 경제학을 사람들 사이에 전파하는 것이었는데, 이상적으로는 이러한 것들을 문명에 대한 수단으로 고려하는 데 있어서 다른 휴머니스트들에게 계속되었다.
참조
- ^ 주의: 이 지역의 또 다른 마을인 카스티글리오네 디 라벨로와 혼동하지 않는 출생지.
- ^ Ivo Goldstein (main Croatian editor); Kristina Milković (Croatian edition: book 12); Enrico Craveto (Original Italian edition), eds. (n.d.) [2008]. Povijest 12: kolonijalizam i građanske revolucije (in Croatian). Translated by Ana Bedurina. Zagreb (Croatia): Europapress holding (Croatian edition) (original publisher: Instituto Geografico De Agostini S.p.A. & UTET S.p.A. & Editoriale Metropoli S.p.A.). p. 17-18. ISBN 978-953-300-046-6.
- ^ "Antonio Genovesi – Italian philosopher and economist". Encyclopædia Britannica.
- Chisholm, Hugh, ed.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11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6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