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 파보니스

Alpha Pavonis
α 파보니스
Pavo constellation map.svg
Red circle.svg
α Pavonis 위치(원형)
관찰 데이터
Epoch J2000 Equinox J2000
콘스텔레이션 파보
적경 20h 25m 38.85705s[1]
적위 -56°44°06.3230°[1]
겉보기 등급(V) 1.94[2]
특성.
스펙트럼형 B3 V[3]
U-B 색지수 −0.71[2]
B-V 색지수 - 0.20[2]
아스트로메트리
반지름 속도(Rv)+2.0[4] km/s
고유운동(μ) RA: 6.90[1] mas/
Dec.: - 86.02[1] mas/
시차())18.24 ± 0.52 mas[1]
거리179 ± 5
(55 ± 2 pc)
절대 등급(MV)- 1.762[5]
세부 사항
덩어리5.91[6] M
반지름4.83[7] R
광도2,200[7] L
표면 중력(log g)3.94[6] 킬로그램
온도17,711[6] K
회전 속도(v sin i)16[6] km/s
나이48[6] 미르
기타 명칭
Peacock, CD-57°9674, FK5 764, HD 193924, HIP 100751, HR 7790, SAO 246574.[8]
데이터베이스 참조
심바디데이터.

공작자리 알파 파보니스(Alpha Pavonis, 약칭 알파 파브, α Pav)는 남쪽 파보자리에 있는 쌍성이다.

명명법

알파 파보니스(라틴어알파 파보니스)는 이 별의 바이어 명칭이다.

역사적인 이름인 피콕은 1930년대 후반 영국 공군의 항해 달력인 에어 연감을 만들 때 영국 여왕의 항해 연감 사무소에 의해 지정되었다.새로운 연감에 포함된 57개의 별 중 두 개는 고전적인 이름이 없었다.알파 파보니스와 엡실론 용골아과.영국 공군은 모든 별에 이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그래서 새로운 이름이 발명되었다.알파 파보니스는 "피코크" ("pavo"는 라틴어로 "피코크"를 의미함)라고 이름 지어졌고, 엡실론 카리아나는 "Avior"[9]라고 불렸다.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별의 고유 명칭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작업 [10]그룹을 조직했다.2016년 7월[11] WGSN의 첫 번째 회보는 WGSN이 승인한 첫 번째 두 개의 이름 묶음 표를 포함했으며, 이 표에는 이 별에 대한 피콕과 용골자리 [12]엡실론별에 대한 아비올이 포함되어 있다.

유럽 남반구 별자리가 중국 체계에 적응하면서 생겨난 중국어공작자리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 α파보니스로 이루어진 별자리를 말한다.따라서 α 파보니스 자체는 is))(K))))), 영어: 공작의 11번째 별)로 알려져 있다.[13]

특성.

겉보기 등급은 1.[2]94로 파보에서 가장 밝은 별입니다.시차 측정치에 따르면 이 별은 [1]지구에서 약 179광년(55파섹) 떨어져 있다.질량은 태양의 6배, 반지름은 6배로 추정되지만 밝기는 태양의 2,[7]200배입니다.광구유효 온도는 17,700 K로, 이 별은 청백색을 [14]띠고 있습니다.B3 V 등급의 항성 [3]분류를 가지고 있지만, 오래된 연구들은 종종 준거성 광도 [15]등급을 부여해 왔다.밝은[16]목록에는 B2.5 IV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파보니스 알파 질량의 별들은 표면 근처에 대류대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따라서 외부 대기에서 발견되는 물질은 노심에서 발생하는 핵융합에 의해 처리되지 않는다.즉, 원소의 표면 풍부도는 원소가 원래 형성된 물질을 나타내야 합니다.특히, 중수소의 표면 풍부함은 별의 주계열 수명 동안 변하지 않아야 한다.이 별에서 측정된 수소 대 중수소의 비율은 5 × 10−6 미만으로, 이는 이 별이 중수소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적은 영역에서 형성되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중수소가 어떤 방법으로 소비되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후자의 가능한 시나리오는 알파 파보니스가 주계열성 이전[17]별일 때 중수소가 연소되었다는 것이다.

이 계는 [5]우주에서 공통 운동을 공유하는 투카나-호로지움 협회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높다.이 연대의 추정 나이는 4500만 [5]년이다.α 파보니스 별은 [18]이웃별에 비해 초속 13km의−1 특이속도를 가지고 있다.

동반자

알파 파보니스의 시각적 동반성으로 9등급 별 2개가 약 4분,[19][3] 12등급 F5 주계열성이 약 1분이다.9등급 동반자 2명은 [19]불과 17초 거리에 있다.

파보니스 A는 11.753일의 주기로 서로를 [17]공전하는 한 쌍의 별들로 이루어진 분광 쌍성이다.그러나 부분적으로 두 별이 개별적으로 분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동반성은 최소 0.26의 질량을 가지고 있다는 것 외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M스펙트럼 타입 B0.5와 B2의 복합 스펙트럼 추정 구성 요소와 1.3 [21]등급의 두 구성 요소 간의 밝기 차이를 갖는 한 번의 모델링 시도.[20]

레퍼런스

  1. ^ a b c d e f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2. ^ a b c d 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1–49, Bibcode:1978A&AS...34....1N
  3. ^ a b c Gahm, G. F.; Ahlin, P.; Lindroos, K. P. (1983). "A study of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 type primaries. I - Spectroscopic resul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51: 143. Bibcode:1983A&AS...51..143G.
  4. ^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5. ^ a b c Bell, Cameron P. M.; Mamajek, Eric E.; Naylor, Tim (2015). "A self-consistent, absolute isochronal age scale for young moving groups in the solar neighbourhoo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54 (1): 593–614. arXiv:1508.05955. Bibcode:2015MNRAS.454..593B. doi:10.1093/mnras/stv1981. S2CID 55297862.
  6. ^ a b c d e David, Trevor J.; Hillenbrand, Lynne A. (2015). "The Ages of Early-type Stars: Strömgren Photometric Methods Calibrated, Validated, Tested, and Applied to Hosts and Prospective Hosts of Directly Imaged Exoplan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804 (2): 146. arXiv:1501.03154. Bibcode:2015ApJ...804..146D. doi:10.1088/0004-637X/804/2/146. S2CID 33401607.
  7. ^ a b c Jerzykiewicz, M.; Molenda-Zakowicz, J. (September 2000), "Empirical Luminosities and Radii of Early-Type Stars after Hipparcos", Acta Astronomica, 50: 369–380, Bibcode:2000AcA....50..369J
  8. ^ "PEACOCK -- Spectroscopic binary",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011-12-23
  9. ^ Sadler, D. H. (1993), A Personal History of H.M. Nautical Almanac Office (PDF), Edited and privately published by Wilkins, G. A., p. 48
  10.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Retrieved 22 May 2016.
  11.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Retrieved 28 July 2016.
  12. ^ "IAU Catalog of Star Names". Retrieved 28 July 2016.
  13. ^ (중국어) AEEA (천문학 전시회 및 교육 활동)2006년 7월 30일
  14.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December 21,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2, 2012, retrieved 2012-01-16
  15. ^ Skiff, B. A. (2014).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s (Skiff, 2009-2016)". VizieR On-line Data Catalog: B/Mk. Originally Published in: Lowell Observatory (October 2014). 1. Bibcode:2014yCat....1.2023S.
  16. ^ Hoffleit, D.; Jaschek, C. (1991). The Bright star catalogue. New Haven: Yale University Observatory. Bibcode:1991bsc..book.....H.
  17. ^ a b Vidal-Madjar, A.; et al. (August 1988), "Deuterium in early-type stars - The case of Alpha-Pavon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201 (2): 273–275, Bibcode:1988A&A...201..273V
  18. ^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S2CID 118629873
  19. ^ a b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20. ^ Bonavita, M.; Desidera, S.; Thalmann, C.; Janson, M.; Vigan, A.; Chauvin, G.; Lannier, J. (2016). "SPOTS: The Search for Planets Orbiting Two Stars. II. First constraints on the frequency of sub-stellar companions on wide circumbinary orbits". Astronomy & Astrophysics. 593: A38. arXiv:1605.03962. Bibcode:2016A&A...593A..38B. doi:10.1051/0004-6361/201628231. S2CID 55950739.
  21. ^ Beavers, W. I.; Cook, D. B. (1980). "Scanner studies of composite spectra. I - Dwarf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44: 489. Bibcode:1980ApJS...44..489B. doi:10.1086/19070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