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미도

Aljamiado
16세기 만세보아레발로의 알자미도 문자.[1]
시아 데 유수프

알자미도(스페인어: [alxaˈmjaðo]; 포르투갈어: [aɫʒɐmiˈaðu]; 아랍어: :َجمِ trans trans trans transs. ʿajamiyah [ʕaʒaˈmij.ja] 또는 Aljamia 텍스트는 유럽 언어, 특히 모짜라비어, 아라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또는 라디노어 등의 로망스어를 필사하는 데 아랍어 대본을 사용하는 원고다.

Anwar G에 따르면. 체즈네,[2] 알자미아도, 알자미야는 "아랍어 aajamiya(이 경우는 외국어를 의미함)의 부패이며, 일반적으로 아랍어 표현 ʿajam과 그 파생어 ʿajamiyah는 아라비아어 출신자가 아닌 민족에게 적용된다"고 한다. 아랍이 페르시아를 정복하는 동안 이 용어는 인종적 경멸이 되었다.[3] 언어적 용어로 알자미아로망스어를 번역하기 위해 아라비아 알파벳을 사용하는 것이다. 알-안달루스의 일부 지역에서 일부 사람들에 의해 일상적 통신수단으로 사용되었고,[citation needed] 아랍어는 과학, 고등문화, 종교의 언어로 보존되었다.

아랍어 대본에 로망스어 텍스트의 체계적 쓰기는 15세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연대를 알 수 있는 그런 텍스트의 압도적 다수는 16세기에 속한다.[4] 핵심 알자미도 텍스트는 1462년 세고비아의 편집본 《수마로스 교장선생》무프티(Muvediamentos de nuestra santa ley y sunna.[5]

이후 모리스코스는 아랍어를 종교어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이슬람교 주제에 대해 스페인어로 썼다. 하지에 내레이션을 하는 코플라스알히칸테푸에 몬손이나 [6]성서 요셉에 관한 시아 유수프(아라고어로 쓰여 있음)[7]가 그 예다.

스페인 무슬림 박해 당시 모리스코인들의 사용법

알자미도 문자

알자미아도는 카스티야아라곤의 모리스코스의 생활에서 이슬람어와 아랍어를 보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citation needed] 했다; 발렌시아인과 그라나단 모리스코스는 안달루시 아랍어로 말하고 썼다. 이베리아 반도의 마지막 무슬림 왕국이 멸망한 후 모리스코스(그라나다의 안달루시 무슬림 등)는 기독교로 개종하거나 반도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기독교 풍습과 전통을 채택하고 일요일에는 교회 예배에 참석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리스코인들 중 일부는 알자미도 사용을 통해 자신들의 이슬람 신앙과 전통을 비밀리에 지켰다.

1567년 스페인의 필립 2세는 스페인에서 칙령을 내려 모리스코스가 형식과 비공식, 말하기와 쓰기 등 모든 경우에 아랍어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 아랍어를 어떤 의미에서도 사용하는 것은 범죄로 간주될 것이다. 그들은 기독교 스페인어의 언어를 배우는데 3년이 주어졌고, 그 후에는 아랍어 문자의 모든 자료를 없애야만 했다. 카스티야아라곤의 모리스코스는 모든 기도와 그들의 예언자 모하메드의 말을 알자미도어 필사본으로 번역하면서 모든 쿠라니어 구절을 원래 아랍어로 유지했다. 모리스코스 사이에 알자미도 두루마리들이 나돌았다. 역사가들은 19세기 초에야 알자미도 문학에 대해 알게 되었다. 알자미도 두루마리 중 일부는 마드리드의 스페인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기타 용도

히브리 문자에서 유대인들이 스페인어, 아라곤어, 카탈루냐어 등의 로망스어를 쓰는 관행을 알자미도라고도 한다.[8]

알자미도라는 단어는 아랍어로 쓰여진 다른 비유대어에도 가끔 사용된다.

  • 오스만 시대 아랍어 문자로 쓰인 보스니아어와 알바니아어 문자는 알자미도(aljamiado)라고 일컬어 왔다. 그러나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 용어를 로망스어로 한정하는 대신 아레비카를 사용하여 보스니아어와 같은 슬라브어를 위한 아랍어 대본의 사용을 언급하는 것을 선호한다.
  • 알자미도라는 단어는 아랍어/오토만 문자로 쓰여진 그리스어를 가리키는 데에도 쓰인다.[9]
  • 알자미도라는 단어는 오늘날 스페인 이슬람교도들카탈로니아[10] 발렌시아어로 쓰는데 아랍어/마그레비 문자를 최근에 사용한 것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11]

참고 항목

참조 및 참고 사항

  1. ^ 이 글은 스페인 모리스코스나 크립토-무슬림인들이 법적 금지에도 불구하고 계속 이슬람의 처방을 이행해 위장하고 기독교 신앙에 대한 대중의 유대를 보여주며 보호받도록 지시된 초대장이다.
  2. ^ A.G. (1993년) 체즈네: 역사학에스파냐 무술마나 카테드라 편집국. 스페인 마드리드. 원래 다음과 같이 게시됨: A.G. (1974년) 체즈네: 무슬림 스페인: 그것의 역사와 문화.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미국 미니애폴리스
  3. ^ Frye, Richard Nelson; Zarrinkoub, Abdolhosein (1975). "Section on The Arab Conquest of Iran". Cambridge History of Iran. London. 4: 46.
  4. ^ L.P. 하비. 영국 중동학회의 모리스코스와 하지 회보, 14.1(1987:11-24) 페이지 15.
  5. ^ "주요 계명과 우리 성법과 해나의 금기 사항" (Harvey 1987)
  6. ^ 스페인어와 알자미도 1994년 226페이지의 이슬람 문학 제라드 알버트 위거스.
  7. ^ 메넨데즈 피달, 라몬, 시아유수프: 마테레스 파라에스투디오, 그라나다, 우니베르시다드 그라나다, (1952) 페이지 62-63
  8. ^ "Unveiling Judeo-Spanish Texts: A Hebrew Aljamiado Workshop".
  9. ^ Balim-Harding, Çigdem; Imber, Colin, eds. (2010-11-20). The Balance of Truth. Gorgias Press. doi:10.31826/9781463231576. ISBN 978-1-4632-3157-6.
  10. ^ 추상적: Aquest document es un text en català que he seleccionat d'internet i que després lo he transcrit en grafía àrabo-magribina; es tracte d'una traducció d'un menut fragment de la cèlebre obre "Qawa'id Al-Islam" (Fonaments de l'Islam) de lo Qadi 'Iyad de Ceuta (1083–1149, rahimahullah), qui fou un famós alfaquí (juriste) de l'Escola de Jurisprudencia 말리키 데 리슬람 순니타. Lo 파편 fou traduit en lengue catalana per l'antigiacio catalana d'Estudis islahmics. La senyera de l'Antiga Corona d'Aragó amb l'estrelle Rub' Al-Hizb incrustade l'he inclos en memoria de les Aljames (comunitats) Islàmiques de lo que fou la Corona d'Aragó, especialment, i per lo que toca en aquest text, les Aljames de lo que llavors ere lo Principat de Catalunya. [1] - Mahomat Abrahim Bosch Ramon ([2]) - 2021년 4월 9일 액세스
  11. ^ 추상: 에스테 문서 es una edicio que haig pet jo mateix de la Sura Al-Fatiha (sura de l'Obertura), 프리메라 수라 (capiol) de l'Alcora, que Musulma les in Salawta (pregaries) diries. L'edició inclou, primer, el text en Árab al-Fuṣḥá (clássic) i que inclou un manuscrit d'eixa mateixa Sura en escriptura Magrebí procedent de l'Antic Califat de Sokoto en lo que hui és Nigeria; després la traducció en Catalá occidental i Valenciá 'Aljamiat' (escrit en carácters Arábics) que haig preparat jo mateix; finalisant ab lo text Catalá occi치과 의사 이 발렌시아 '알라티나트'(에스크리트인 카라크터스 라틴스) En la part esquerre de la primera fulla represente la Senyera ("Sinyal" en Aragonés) de l'Antiga Corona d'Aragó ab l'estrella Rubʿ al-ḥizb ("la quarta part" en Arábic), aixina com l'Ax-Xahāda (Professió de Fe de l'Islam) en lo seu interior; açó ho haig fet en memória dels 'Moros' i 'Moriscos' (Musulmans i Cripto-Musulmans, respectivament) de tota L'Antiga Corona d'Arago(레네즈 드 발레냐 이 아라고, Principat de Catalunya))는 1609-1610년에 체결된 최종 결정체다. L'edicio del text Aljamiat ha sigut는 una taula dalfabet Aljamiat Morisc Castella del seleg 16세가 haig a final del text. [3] - Mahomat Abrahim Bosch Ramon ([4]) - 2021년 4월 9일 액세스

추가 읽기

  • 2007년 알무자라, 세비야 (스페인어) 알무자라가 출판한 사비에르 카사사스 카날스의 Los Siete Alhaiales y otras Plegarias de mudéjares y moriscos. (스페인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