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와키 아키라

Akira Miyawaki
미야와키 아키라
宮脇 昭
Akira Miyawaki in 2019.jpg
2019년 미야와키 아키라
태어난(1928-01-29)29 1928년 1월
죽은2021년 7월 16일(2021-07-16) (93)
국적일본인입니다
모교히로시마 대학
직업식물학자
수상 아사히상(1990)
골데네 블룸 폰 리히드 상, 독일 (1990년)
보라색 리본 메달, 일본 정부(1992년)
라인홀트 t센상, 독일 (1995년)
닛케이 글로벌 환경 기술 어워드(1996)
일본 정부 금은별 성보훈장(2000년)
일본 문화생활상(2002)
일본 생태학회의 공로상(2003)
블루 플래닛상(2006)[1]

미야와키 아키라(山和歌, 미야와키 아키라, 1928년 1월 29일 ~ 2021년[2] 7월 16일)는 일본의 식물학자식물생태 전문가로 종자와 자연산림을 전문으로 했다. 그는 퇴화된 땅의 자연초목 복원 전문가로서 전세계적으로 활동했다.

1993년부터 요코하마 국립대 명예교수, 일본 생태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그는 2006년에 블루 플래닛 상을 받았다.[3][4]

논문

1970년대부터 미야와키는 자연림과 복원해야 한다는 절박한 필요성을 주장하였다.[5] 1992년 그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지구 정상회의가 토종 삼림의 보호를 강조하지 못했으며, 그 대부분은 계속 감소했다고 믿었다.[6]

효고시 사사야마 신토 사당 주변의 나무

미야와키는 일본의 사찰, 신궁, 묘지 주변에서 전통적으로 자라는 나무들을 관찰했는데, 일본의 푸른 오크나무, 카스타놉시스 쿠시다타, 대나무오크나무, 일본의 밤나무, 마칠루스 툰베르기이다. 그는 그것들이 1차 숲의 유물이라고 믿었다. 한편, 그는 일본 토착인 것으로 추정되는 삼나무, 편백나무, 황송나무와 같은 나무들이 수세기 동안 삼림꾼들에 의해 일본에 유입되어 목재를 생산해 왔다고 언급했다. 미야와키는 본래의 자연식생에서 달라진 대부분의 일본 산림의 구성과 구조가 변화한 결과를 반성했다.[7]

그는 현대 일본 숲의 0.06%만이 토착 숲이라고 계산했다. 임업원리에 따라 조성된 현대의 숲은 기후변화를 다루기에 가장 적합한 후보지도, 일본의 지리적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가장 탄력적인 식생도 아니라고 그는 생각한다.

미야와키는 잠재적 자연식물의 개념을 이용하여 오늘날 미야와키법으로 알려진 생태공학의 방법을 개발, 시험, 다듬어 삼림파괴와 무반복된 매우 퇴화된 토양의 토양의 토종나무 종자로부터 토종 삼림을 복원시켰다. 그의 실험의 결과로, 그는 일본과 다양한 열대 국가들, 특히 태평양 지역의[8] 1,300개 이상의 지역에 있는 보호림들을 도시, 항구, 공업 지역을 포함한 피난처 벨트와 삼림지대, 목초지의 형태로 복원했다. 미야와키는 고밀도 식재되어 몰코르시자를 제공받은 개척자와 2차 토착종을 선택함으로써 숲의 덮개와 토양의 신속한 복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6]

미야와키는 지역의 식물 생태학을 연구하여 일반 나무 공동체에서 핵심적이고 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종을 이용했다.

커리큘럼

미야와키는 주로 식물 생태학과와 씨앗을 전문으로 하는 식물학자히로시마 대학 생물학과에서 이 주제에 관한 논문을 썼다. 요코하마 국립대학에서 연구 조교로 근무하면서 일본 각지에서 현장연구를 실시했고, 도쿄대학에서 학업을 계속했다.[9]

연방 식물 지도 연구소를 수장으로 있던 라인홀드 튀센(1899~1980)이 그를 독일로 초청했다. 미야와키는 1956년부터 1958년까지 그와 함께 잠재적인 자연식물을 연구했다.

미야와키는 1960년 일본으로 돌아와 잠재적 자연 식물의 지도를 그리는 방법을 적용했다. 는 사원과 사당 근처에 여전히 남아 있는 고대 숲의 유물을 발견했다. 그는 일본 전역에 걸쳐 1만개가 넘는 부지를 개척했으며, 산악지역, 강둑, 농촌마을, 도시지역 등 다양한 종류의 인간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잠재적 동식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그는 현존하는 식물의 지도와 잠재적인 자연 식물의 지도를 만들었다.[10] 그의 지도는 여전히 과학적 연구와 영향 연구의 기초로서, 토지 이용, 진단, 생물학적 경로 지도 제작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재적 자연 식물의 지도는 퇴화된 서식지와 고유 식물 환경을 복원하는 모델 역할을 한다.[11]

1980년부터 1990년까지, 식물 생태학 및 대학 연구소와 협력하여, 미야와키는 식물과 식물 생태학의 재고를 이끌고 일본 전역의 식생을 지도화하여, 10권, 6,000페이지 분량의 연구로 정리했다.[7]

「미야와키법」의 기원

미야와키는 자연적인 일본 온대숲주로 낙엽수로 이루어져 있어야 하며, 실제로는 침엽수가 지배하는 경우가 많다고 결론지었다. 무덤과 사원 주변에는 아직도 낙엽수가 남아 있는데, 그곳은 종교적, 문화적 이유로 착취로부터 보호되어 왔다.

미야와키는 일본의 현재 산림초목(전국 64% 이상에 35억 입방미터, 2410만 헥타르)이 유입된 종으로 인해 잠재적 자연초목에서 멀어진 것을 발견했다. 그는 많은 숲에서 지배하게 된 착향기는 실제로 도입된 종이며 높은 고도와 산등성이나 가파른 비탈길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만 자연적으로 존재했다고 언급했다. 그들은 더 많은 목재를 생산하기 위해 수 세기 동안 그곳에 심어져 있었고, 적응했다.

첫 번째 실험

미야와키의 1차 현장 실험에서는 인간의 활동이 없을 때 존재할 수 있는 것에 더 가까운 구성과 구조에서 식재된 숲이 빠르게 자라고 일반적으로 좋은 생태 복원력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는 큰 종자은행을 만들었다(지리적 기원과 토양에 따라 1,000만 개 이상의 씨앗이 확인되고 분류되었다). 그 씨앗들은 주로 진주노모리 전통적 믿음 때문에 절과 묘지 주변에 대대로 보존된 자연 숲의 잔재에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숲들을 방해하는 것은 불운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 장소들은 선사시대 숲에서 내려오는 수천 종의 작은 자연종과 나무 유전자의 보존을 허락했다.

미야와키는 이 전통의 원리를 사용하였고, 자연재해에 대한 환경 보호, 물 보존, 보호를 위해 토종 삼림을 복원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그의 제안은 처음에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지 못했으나 1970년대 초 오이타 제철소 주변 제방에 숲을 심고자 했던 신일본제철공사가 종전의 재래식 플랜테이션이 사망한 후 그의 업무에 관심을 갖고 첫 수술을 맡겼다.[12]

미야와키는 이 지역의 잠재적인 자연식물을 파악하고, 근처의 두 무덤(우사와 유수하라)을 둘러싼 숲을 연구했다. 기판 위에서 시험한 여러 종의 나무를 골라 수림을 하고, 식물이 섞여 있는 탁아소를 만들어 그 자리에 심었다. 철강공사는 결과에 만족해 나고야, 사카이, 가마이시, 푸투, 히카리, 무로란, 야와타 등의 제철소에 숲을 심었다.[1]

이후 미야와키와 그의 동료와 파트너들은 모두 토종으로 구성된 다층 보호림으로 1,300여 곳의 현장을 취재했다. 이 방법은 거의 모든 일본, 때로는 해안의 쓰나미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플랜테이션이나 요코하마 항구의 태풍, 황무지, 인공섬, 도로 건설 후 무너지는 슬로프를 고치고 다이너마이트 t로 갓 깎은 절벽 위에 숲을 조성하는 등 어려운 기질에 성공적으로 실험되어 왔다.o는 후쿠이 현몬주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한다.[1]

국제 응용 프로그램

미야와키는 보르네오, 아마조니아,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 1,400개 이상의 부지를 포함하여 전세계 1,700개 이상의 지역에 모종을 지시하였다.[1] 그는 국제 산림 재생에 기여하기 위해 기업, 시민과 함께 4천만 그 이상의 토종 나무를 심는 일에 관여했다. 미야와키는 1978년부터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의 식생 조사에 기여했다.[1]

1970~80년대 그가 삼림지 관리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도 '작은 숲'이라는 개념의 기초를 형성했는데, 이 개념은 전 세계의 작은 도시 플롯에 많은 다양한 지역종의 나무가 빽빽하게 심어져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다양한 삼림 서식지를 재도입할 수 있다.[13]

말레이시아

1990년에 미야와키는 심하게 퇴화된 열대우림을 복원하는 일을 했다. 잠재적인 자연식물로 부터 201종의 나무은행(주로 딥테로카르파스태)이 매년 현장에서 심는 화분에 60만 그루의 묘목을 생산해 낸 종자은행(주)을 후원자들이 제공했다. 2005년에 1991년부터 생존한 식물들은 높이가 20미터가 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어린 열대우림의 퇴적적인 은 토양을 보호하며 재구성하고 있었고, 동물군은 점차 다시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탈리아

미야와키 방식은 2000년 이탈리아 사르디니아의 지중해 생태계에서 전통적 개간방식이 실패한 지역에서 처음으로 시험됐다.[14] 원래의 방법은 이론적 원리를 유지하면서 수정되었다. 식재 후 2년, 11년 만에 얻은 결과는 양성으로, 식물의 다양성이 높았고, 새로운 생균증은 더 이상의 운영적 지원 없이도 개선될 수 있었다.[15]

프랑스.

미야와키 방식은 2018년 프랑스 파리의 boomforest.org팀이 도시 주변의 통제된 이중궤도 순환도로인 대로 페리페리케의 포르테 드 몽트뢰일 인근 400㎡ 면적을 복원하기 위해 시행했다.[16] 2021년 보르도 생제 철도역 인근 주택가 주차장이었던 180㎡ 면적이 도시 최초의 미니 숲으로 개조됐다. [17]

인도

2013년 인도 동북부 우미암 바라파니 공업지대에 미야와키 방식이 적용됐다.[18]

2014년 방갈로르의 세이 트리가 미야와키 방식으로 전환했다.

구자라트주 아메다바드에 본사를 둔 아카시아에코는 2016년부터 미야와키 방식을 이용해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20년 11월 현재 인도 전역 57개 프로젝트에 35만 그 이상의 나무를 심었다.

그린야트라(GreenYatra)는 2019년 뭄바이 주 조게스화리(Jogeshwari)의 CRWC 철도 부지에 미야와키(Miyawaki) 방식으로 3000여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그린야트라(GreenYatra)는 이 방법을 이용해 인도 전역에 1년 안에 100만 그루의 나무를 더 심었다.

세계 환경의 날인 2019년 6월 5일 160㎡ 면적에 40여종의 토종 나무 550그루를 이 기법으로 심었다. 이 숲의 이름은 시크교 창시자인 구루 나낙 데브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같은 날 이후 아나그야 재단은 북방갈로르의 농촌 지역에 미야와키 숲을 조성했다. 아나르기야 재단은 내년 안에 카르나타카 전역에 미이와키 방식으로 라흐 나무를 심어 미니 숲을 조성할 예정이다.[19][failed verification]

안나프라도크샤나 자선신탁은 2019년 12월 폰디체리빌리아누르에 있는 논안쿠팜 정부 고등 중등학교와 비베카난다 정부 소년 고등 중등학교의 미야와키 제도를 도입하여 관립학교의 미사용 공간을 미니 숲으로 만들었다.[20]

영국

영국에서는 환경 자선단체인 어스워치 유럽이 2023년까지 전국적으로 100개의 도시 프로젝트를 개발한다는 목표로 미야와키의 '티니 숲' 방식을 채택했다.[13]

미국

메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는 캠브리지 공공사업부가 살기 좋은 기후와 자연도시 숲을 위한 생물다양성과 손잡고 2021년 9월 다네히 공원에 미야와키 숲을 조성했다. 캠브리지의 미야와키 숲은 미국 북동부에 있는 최초의 숲이다.[citation needed]

스리랑카

스리랑카에서는 투루팀이 2021년 미야와키 방식을 이용해 스리랑카 고유 식물 44종을 심는 도시 임업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파키스탄

UNDP 장교 출신인 마수드 로하르는 2021년 1월 카라치클리프턴 어반 숲을 조성했는데, 해안선 매립지에서 200에이커 이상을 운영하고 미야와키의 기법을 따랐다.[21] 11월에 카라치 시에서는 미야와키 산림 300개 재배 계획을 발표했다.[22]

2021년 6월, 라호르의 민간주거사회인 파크 애비뉴 하우징 소사이어티가 미야와키 방식을 이용한 세계 최대 민간 도시숲을 80카날 땅으로 확산시켰다. [23]

2021년 8월, 임란파키스탄 총리가 새기안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시 미야와키 산림사업을 시작했다. 고(故) 일본의 식물학자 미야와키 아키라가 개척한 기술을 이용해 12.5에이커에 달하는 이 숲에는 16만5000여 그 이상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 [24]

성공을 위한 방법 및 조건

이 방법은 '토착목에 의한 토착림'을 재구성하면 20~30년 후 풍요롭고 밀도가 높으며 효율적인 보호선구림이 만들어지는데, 자연계승은 온대일본에서는 200년, 열대에서는 300~500년 정도가 필요할 것이다. 성공하려면 다음 단계를 준수해야 한다.

  • 엄격한 초기 현장 조사 및 잠재적 자연 식물의 연구
  • 지역적 또는 인근 지역적, 비교 가능한 지역적 맥락에서 많은 수의 다양한 토종 종자를 식별하고 수집
  • 유아원에서의 발아(예를 들어 특정 동물의 소화관을 지나야만 발아하는 종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정비가 필요하며, 특정 공생 균이 필요하거나, 냉기가 유발한 기숙사 단계가 필요하다)
  • 유기물이나 멀치를 첨가하는 등 기질이 매우 저하된 경우 기질을 준비하고, 비가 많이 오거나 집중호우가 심한 지역에서는 토양 표면이 잘 드레이닝되어야 하는 taproot 종을 위한 말뚝을 심는다. 언덕 비탈에는 삼나무, 편백나무, 소나무와 같은 좀 더 다양한 종류의 표면 뿌리를 심을 수 있다.
  • 자연 숲의 모델에서 영감을 받은 생물 다양성을 존중하는 농장들. 매우 어린 묘목(그러나 이미 성숙된 뿌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 공생 박테리아와 곰팡이가 존재하는 것)의 밀집한 재배지를 추천한다. 밀도는 자연에서 일어날 일에 가까운 생물종 간 경쟁식물 생태학적 관계의 시작을 목표로 한다(온대지역에서는 평방미터당 3~5개의 식물, 보르네오에서는 평방미터당 5개 또는 10개의 묘목까지).
  • 식물이 행이나 엇갈림이 아닌 공터나 자연림 가장자리에 분포하는 방식으로 공간에 무작위로 분포하는 식재

결과.

미국의 프레데릭 클레멘츠에 의해 시작된 고전적인 계승 이론에 따르면 다층 공동체를 가진 젊은 원주민 숲은 일본의 맨땅에서 자신을 회복하는 데 150년에서 200년이 필요하며, 동남아의 열대지방에서도 같은 것을 하는 데는 적어도 300년이 걸릴 것이다.

미야와키는 태국의 건조한 열대지방의 삼림해충지대와 브라질 아마존의 충적대열대림, 칠레의 콘셉시온의 옛 노토파거스 산림지대에서 이 방법을 광범위하게 실험했다.

만리장성을 따라 심은 숲

1998년 미야와키는 만리장성을 따라 퀘르쿠스 몽고리카가 지배하는 산림개조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진행하였고, 아온환경재단과 베이징시의 지원을 받아 4,000명의 인구를 모아 40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중국인과 일본인 그룹이 숲이 사라진 지 오래 된 지역에 심은 첫 번째 나무는 2004년에 3m 이상 자랐으며, 한 부분을 제외하고 2007년에도 계속해서 번성했다.

미야와키는 푸둥(福東), 칭다오(靑島), 닝보(寧寶), 마안산(馬安山) 등지에 정부와 중국인이 대규모 개간에도 기여했다.

미야와키는 환경보존으로 2006년 블루 플래닛상을 받았다.[3]

그의 방법은 1992년 지구정상회의 준비보고서에서[25] 모범적인 것으로 여겨졌고, 1994년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생물전달주의 회의에서 모범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1991년 본대학교 심포지엄과 국제생태학회, 국제식물학회, 국제식물학회, 국제식물학회 등에서도 이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 회의에서는 성장과 자연 서식지, 탄소 고정 추정치 등의 새로운 측면이 포함되었다..

비판

미야와키 방식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나무 1세대가 모두 동갑이어서 다소 단조로운 시각적 외관을 연출한다는 점이다. 이런 비판은 일반적으로 10년, 20년 후에 찍은 사진을 바탕으로 한다. 미야와키는 토착 서식지의 식물 공동체의 복잡성과 반랜덤성을 모방하고 싶었고, 식물 경쟁, 자연 선택, 식물 연합을 촉진했다. 그는 더 빨리 자라는 나무, 부러진 나무, 초식동물의 공격을 받는 나무들이 빨리 새싹을 만들어내 저층과 중층층으로 이어진다고 믿었다.

다른 비판은 1단계(간식, 토양 준비, 조밀한 심기)에 드는 높은 비용이다. 몇몇은 사이클론에서 잎의 대부분을 잃었지만, 그들은 저항하고 그들이 심어진 건물을 보호하는 것을 도왔다.[26][27]

전기

2007년 타나베 기이에서 식재 감독
  • 1928: 오카야마에서 1월 29일[1] 태어남
  • 1952: 히로시마 대학[1] 생물학 졸업장
  • 1958–1960: 독일[1] 스톨제나우의 라인홀트 투센 산하의 방문 연구원
  • 1961: 히로시마 대학[1] 과학 박사
  • 1961-1962: 요코하마 국립대학교[1] 연구원
  • 1962-1973: 요코하마 국립 대학교[1] 부교수
  • 1973-1993: 요코하마 국립대학교[1] 환경과학기술원 설립 교수
  • 1985-1993: 요코하마 국립대학교[1] 환경과학기술원 원장
  • 1993–: 요코하마 국립대학교[1] 명예교수
  • 1993–: 일본 생태[1] 국제 연구 센터장

는 국제 식생 과학 협회(1997년)의 명예 회원이었다.[28]

출판물

영어에서

  • 미야와키 A(1992년). 태평양 지역의 상록수 잎이 넓은 숲의 복원. 인: M.K. 왈리(에드). 생태계재활 2. 생태계 분석과 종합 헤이그 SPB 학술출판
  • 미야와키 A, K. 후지와라 & E.O. 박스(1987년). 일본과 다른 나라의 조화로운 녹색 도시 환경을 향해. 황소. 인스트. 환경. Sci. Technol.. 요코하마 나틀. 유니브 14: 요코하마.
  • 미야와키 A&S 오쿠다(1991) 일본의 식생 삽화. 시분도, 도쿄(일본어)
  • 미야와키 A 외 연구진(1983년). 도쿄도 시분도 일본식 식생 안내서
  • 미야와키 A(1980~1989) 일본의 식생. 제1권-10호
  • 미야와키 A(1985) 태국의 맹그로브 숲에 관한 식물생태학적 연구 환경. Sci. Technol. 요코하마 나틀. 요코하마시 유니브
  • 미야와키 A, 보겐라이더, S. 오쿠다 & 나. 흰색(1987년). 식생 생태와 새로운 환경의 창조. 국제감동의 진행. 도쿄와 중앙일본을 통한 피토지리학여행. 토카이 유니브. 프레스, 도쿄
  • 미야와키 A, & E. O. 박스(1996년). 숲의 치유력 - 토목과의 지구 균형 회복의 철학. 286 페이지 코세이 출판사. 도쿄
  • 미야와키 A, 식물과 인간(NHK 북스)
  • 미야와키 A, 인간의 마지막 날 (치쿠마쇼보)
  • 미야와키 A, 녹색식물 증언 (도쿄쇼세키)
  • 미야와키 A, 녹색 환경 복원 처방 (아사히 신분샤)
  • 미야와키 A, 진주노모리(원목의 자생림) (신초샤).

일본어로

  • 日本語語語('lit.일본 식물학 저널') 판 日本文學, 2000년, ISBN978-4-7843-0040-2.
  • 植物と人間('lit.꽃과 남자')판, NHK판
  • 緑回の処箋('lit.녹색 재런치 처방전')
  • 鎮守森('lit.신들의 숲'), 신시오저널(新sh日本)
  • いのちを守るドングリの森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2006 Blue Planet Prize" (PDF). Blue Planet Priz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5 September 2020. Retrieved 1 December 2020.
  2. ^ 熱帯林再生など指導 宮脇昭さん死去 93歳 横浜国立大名誉教授 Archived 2 August 2021 at the Wayback Machine (in Japanese)
  3. ^ a b Ghosh, Nirmal (21 August 2008). "The tree guru". ST Blogs. Singapore Press Holdings Ltd. C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2. Retrieved 3 January 2014.
  4. ^ "Blue Planet Prize". Japan: The Asahi Glass Foundation.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December 2016. Retrieved 3 January 2014.
  5. ^ Miyawaki, A.; E. O. Box (1996). The Healing Power of Forests – The Philosophy behind Restoring Earth's Balance with Native Trees. 286 pp. Tokyo: Kosei Publishing Co.
  6. ^ a b Lawaju, Hasana (16 July 2017). "2,200 trees planted in Changunarayan forest". The Himalayan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ugust 2021. Retrieved 4 August 2021.
  7. ^ a b Miyawaki, A. (1980–1989). Vegetation of Japan. vol. 1–10.
  8. ^ Miyawaki, A. (1992).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Pacific Region. In: M. K. Wali (ed.). Ecosystem Rehabilitation. 2. Ecosystem Analysis and synthesis. The Hague: SPB Academic Publishing. pp. 233–245.
  9. ^ "Plant Native Trees, Recreate Forests to Protect the Future: Respected Ecosystem Scientist Akira Miyawaki|JFS Japan for Sustainability". JFS Japan for Sustainability. Retrieved 4 August 2021.
  10. ^ Miyawaki, A. (1983). ex :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872 p. (names in Japanese and Latin), with maps of plant communities in Japan (168 p). Tokyo: Shibundo.
  11. ^ "Archived copy"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6 August 2021. Retrieved 4 August 2021.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12. ^ NIPPON STEEL CORPORATION. ""Creation of a Hometown Forest" that Harmonizes with Local". www.nipponsteel.com. NIPPON STEEL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21. Retrieved 3 June 2021.
  13. ^ a b Morris S (2 February 2021). "Tennis-court sized scrap of Bristol to become 'tiny forest'".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21.
  14. ^ "Restoring Mediterranean forests with the Miyawaki method" (PDF). DG Environment News Alert Service. European Union. 14 April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1 May 2012. Retrieved 6 January 2014.
  15. ^ Bartolomeo Schirone; Antonello Salis; Federico Vessella (January 2011). "Effectiveness of the Miyawaki method in Mediterranean forest restoration programs".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7 (1): 81–92. doi:10.1007/s11355-010-0117-0. S2CID 25256096.
  16. ^ "Boomforest use Akira Miyawaki plantation technique". France: Boomforest Agency. 21 March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18. Retrieved 21 March 2018.
  17. ^ "This used to be a parking lot: Bordeaux's first Miyawaki mini-forest is taking root". France: Invisible Bordeaux. 20 August 2021. Retrieved 24 August 2021.
  18. ^ "RNB Cements adopt Akira Miyawaki model of plantation elaborates how to plant a 'dense forest'". India: SP News Agency. 25 June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August 2019. Retrieved 3 January 2014.
  19. ^ "Afforestation". Anarghyaa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19. Retrieved 17 July 2019.
  20. ^ "Unused space in Puducherry government schools to turn into mini-forests". The Hin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pril 2020. Retrieved 12 April 2020.
  21. ^ Hasan, Shazia (19 February 2021). "200-acre urban forest being developed by city's seashore". Dawn. Retrieved 6 January 2022.
  22. ^ Samar, Azeem (7 November 2021). "Karachi municipality to grow 300 Miyawaki forests". Gulf News. Retrieved 6 January 2022.
  23. ^ 그린 파크 애비뉴. 파크 애비뉴 주택 계획 (2021년 9월 9일). https://parkavenue.com.pk/green-park-avenue/에서 2021년 11월 20일 검색
  24. ^ PM은 세계에서 가장 큰 미야와키 도시 숲을 개장한다. 익스프레스 트리뷴. (2021년 8월 9일). https://tribune.com.pk/story/2314702/pm-inaugurates-worlds-biggest-miyawaki-urban-forest에서 2021년 11월 20일 검색
  25. ^ "Changing Course".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 1992.
  26. ^ Lela Nargi (24 July 2019). "The Miyawaki Method: A Better Way to Build Forests?". JSTOR Dai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ly 2021. Retrieved 4 August 2021.
  27. ^ Kaushik, Tushar. "Miyawaki forests are no substitute for natural ones: Experts". The Economic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ne 2021. Retrieved 4 August 2021.
  28.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20. Retrieved 1 March 2019.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