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기사최종편집일 2025-02-10 22:47
스포츠

중국이 '중국' 했나…쇼트트랙 린샤오쥔, 500m 우승 '밀어주기' 논란 [하얼빈 현장]

기사입력 2025.02.09 05:34 / 기사수정 2025.02.09 18:38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 3위에 자리한 중국의 쑨룽이 2위로 달리고 있는 대표팀 동료 린샤오쥔을 뒤에서 밀어주는 듯한 모습이 포착됐다. 린샤오쥔은 이 상황서 역전에 성공하며 금메달을 따냈다. 쇼트트랙 중계 화면 캡처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 3위에 자리한 중국의 쑨룽이 2위로 달리고 있는 대표팀 동료 린샤오쥔을 뒤에서 밀어주는 듯한 모습이 포착됐다. 린샤오쥔은 이 상황서 역전에 성공하며 금메달을 따냈다. 쇼트트랙 중계 화면 캡처


(엑스포츠뉴스 하얼빈, 최원영 기자) 석연치 않은 장면이 포착됐다.

중국 쇼트트랙 남자 국가대표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은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우승을 거머쥐었다. 중국으로 귀화 후 처음으로 출전한 국제종합대회에서 첫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런데 '밀어주기 의혹'이 제기됐다.

이날 500m 결승에는 중국의 린샤오쥔, 쑨룽과 한국의 박지원, 장성우, 김태성이 이름을 올렸다. 선수 간 충돌로 두 차례 경기가 중단 후 다시 시작됐고 그 과정에서 김태성이 페널티를 받아 실격당했다. 총 4명의 선수가 결승 레이스를 치렀다.

마지막 2바퀴가량을 남긴 시점, 한국의 에이스 박지원이 직선 주로에서 인코스를 파고들어 3위에서 1위로 올라섰다. 선두로 내달렸다. 이후 곡선 주로에서 중국 대표팀의 주축인 린샤오쥔이 급격히 속도를 높여 아웃코스로 치고 나왔고 역전에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 대표팀 동료인 쑨룽이 뒤에서 오른손으로 린샤오쥔의 엉덩이를 밀어주는 듯한 모습이 중계 화면에 잡혔다. 린샤오쥔을 밀어준 후 쑨룽은 가장 뒤로 밀려났다.

수월하게 선두에 오른 린샤오쥔은 41초150을 기록하며 제일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박지원은 41초398로 은메달을 품었다. 쑨룽은 42초676으로 4위에 머물렀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시상식에서 금메달을 따낸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시상대에 오르며 손가락으로 숫자 1을 만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시상식에서 금메달을 따낸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시상대에 오르며 손가락으로 숫자 1을 만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쇼트트랙 계주 종목에선 선수를 교체할 때 먼저 달리던 주자가 다음 주자를 뒤에서 두 손으로 강하게 밀어줘 바통 터치를 한다. 가속도가 붙은 다음 주자는 힘차게 앞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나 개인 종목에서 이 같은 행위는 명백한 위법이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의 규정 295조 2항에 따르면 쇼트트랙 선수들은 개인 종목 경기 도중 동료로부터 '밀어주기' 도움을 받을 수 없게 돼 있다. 이런 행위를 저지를 경우 해당 선수들은 제재를 받아야 한다.

이날 심판진은 쑨룽과 린샤오쥔이 빚은 이 장면에 관해 특별한 조처를 하지 않았다. 린샤오쥔은 무사히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규정상 심판 판정에 관해 15분 이내에 문제를 제기해야 하는데, 한국 대표팀은 중국의 반칙 플레이를 15분이 지난 뒤 알게 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쇼트트랙에 금메달 5개가 걸린 이날 린샤오쥔의 금메달로 겨우 창피를 면했다.

첫 번째 금메달이 걸린 혼성 2000m 계주에선 최민정~김길리~김태성~박지원 순으로 출격한 한국이 우승을 장식했다. 2분41초534로 이번 대회 한국 선수단의 첫 금메달을 품었다.

혼성계주 강국으로 이름을 날렸던 중국은 판커신~궁리~류 샤오앙~린샤오쥔 순으로 최정예 멤버를 꾸렸음에도 우승에 실패했다. 레이스 막바지까지 선두였으나 마지막 주자 린샤오쥔이 혼자 넘어져 전부 물거품이 됐다. 카자흐스탄, 일본에도 밀려 4위에 머물렀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코치진과 기쁨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코치진과 기쁨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남자 1500m에선 박지원이 2분16초927로 우승했다. 린샤오쥔은 2분16초956으로 은메달에 그쳤고, 동메달은 2분17초057의 장성우가 챙겼다. 여자 1500m서도 김길리가 2분23초781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중국은 궁리의 은메달(2분23초884), 장이제의 동메달(2분23초965)에 만족해야 했다.

심지어 여자 500m에선 이변이 일어났다. 중국은 강세, 한국은 약세를 보이던 종목이다. 한국의 최민정, 김길리, 이소연과 중국의 왕신란, 일본의 시마다 리나가 격돌했다. 중국의 장추통, 판커신은 준결승서 탈락해 결승 무대를 밟지 못했다. 결과는 한국 선수들의 메달 싹쓸이였다. 최민정이 43초016으로 1위, 김길리가 43초105로 2위, 이소연이 43초203으로 3위에 올랐다.

자존심을 제대로 구긴 중국은 남자 500m 우승으로 위안을 삼았다. 특히 린샤오쥔은 현재 중국 대표팀 내에서 에이스로 활약하며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선수다. 경기장에서도 린샤오쥔의 이름을 외치는 목소리만 크게 울려 퍼질 정도다. 하지만 쑨룽과의 접촉 장면을 보면 논란이 커질 수밖에 없다. 중국의 금메달은 깨끗하지 않아 보인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코치진과 기쁨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코치진과 기쁨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시상식에서 금메달을 따낸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 가운데), 은메달을 획득한 박지원(왼쪽). 동메달을 차지한 장성우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500m 시상식에서 금메달을 따낸 중국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 가운데), 은메달을 획득한 박지원(왼쪽). 동메달을 차지한 장성우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의 만행은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다. 3년 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대표적이다. 안방에서 대회를 개최한 중국은 혼성 2000m 계주서 물의를 일으켰다. 당시 준결승 2조에 속했던 중국 선수들은 주자 교체를 위한 터치를 하지 않고 넘어갔다. 실격당해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심판진은 오히려 미국에 페널티를 줬다. 편파 판정이었다. 중국은 끝내 이 종목서 금메달을 수확했다.

베이징 대회 남자 1000m에서는 한국의 황대헌, 이준서가 편파 판정으로 페널티를 받아 탈락하기도 했다.

중국 여자대표팀의 베테랑 판커신은 악명이 높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한국 박승희(은퇴)의 몸을 잡는 노골적인 손동작 등 수많은 반칙 행위로 도마 위에 올랐다. 오죽하면 별명이 '반칙왕'이다.

중국은 2025년 하얼빈에서 또 하나의 논란을 낳았다.


사진=연합뉴스

최원영 기자 yeong@xportsnews.com

ⓒ 엑스포츠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

주간 인기 기사

연예
스포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