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o:abstract
|
- The Dangbaekjeon (Hangul: 당백전, Hanja: 當百錢) refers to a series of cash coins that were used during late Joseon period of Korean history, it was first issued in November of the year 1866 (Gojong 3) by the order of Heungseon Daewongun. The hanja is inscribed on both sides of the coin. Words inscribed on the front side is (Hangul: 상평통보, Hanja: 常平通寶), and on the back side, Hoe Dae Dang Baek (Hangul: 호대당백, Hanja: 戶大當百). Hoe (호, 戶) stands for HoeJeo (호조, 戶曹), Joseon's ministry of revenue. Dae (대, 大) is a modifier which may be interpreted as 'the great'. Dang Baek (당백, 當百) means 'this coin worth 100 coins' in reference to the coins of 1 mun. As inscribed, it was worth 100 mun, which values it 100 times more than ordinary yeopjeon, and it would soon cause fatal inflation in the Joseon economy. It was lapsed in April 1867, after only 6 months of use. (en)
- 당백전(當百錢)은 조선 말기인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을 목적으로 부족한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주조한 화폐다. 화폐의 앞면에는 한자로 상평통보(常平通寶)라는 글자가 있으며, 뒷면에는 호조에서 발행한 상평통보 100개의 가치가 있는 화폐라는 뜻의 호대당백(户大當百)이라는 글자가 있다. 1866년 11월부터 1867년 4월까지 금위영에서 주조했다. 당백전의 법정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당일전)의 100배에 해당하였으나, 실제 가치는 5~6배에 불과하였다. 경복궁을 중수하는 데는 당시로 많은 경비가 소요되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김병학 등의 건의로 주조에 들어가 그해 11월부터 사용하였다. 그러나 당시 화폐가치가 20% 이상 떨어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자 이듬해 주조를 중단했다. 총 1,784,038개가 주조됐다고 알려졌다. (ko)
|
rdfs:comment
|
- 당백전(當百錢)은 조선 말기인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을 목적으로 부족한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주조한 화폐다. 화폐의 앞면에는 한자로 상평통보(常平通寶)라는 글자가 있으며, 뒷면에는 호조에서 발행한 상평통보 100개의 가치가 있는 화폐라는 뜻의 호대당백(户大當百)이라는 글자가 있다. 1866년 11월부터 1867년 4월까지 금위영에서 주조했다. 당백전의 법정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당일전)의 100배에 해당하였으나, 실제 가치는 5~6배에 불과하였다. 경복궁을 중수하는 데는 당시로 많은 경비가 소요되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김병학 등의 건의로 주조에 들어가 그해 11월부터 사용하였다. 그러나 당시 화폐가치가 20% 이상 떨어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자 이듬해 주조를 중단했다. 총 1,784,038개가 주조됐다고 알려졌다. (ko)
- The Dangbaekjeon (Hangul: 당백전, Hanja: 當百錢) refers to a series of cash coins that were used during late Joseon period of Korean history, it was first issued in November of the year 1866 (Gojong 3) by the order of Heungseon Daewongun. As inscribed, it was worth 100 mun, which values it 100 times more than ordinary yeopjeon, and it would soon cause fatal inflation in the Joseon economy. It was lapsed in April 1867, after only 6 months of use. (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