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WO2023113114A1 -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13114A1
WO2023113114A1 PCT/KR2022/006678 KR2022006678W WO2023113114A1 WO 2023113114 A1 WO2023113114 A1 WO 2023113114A1 KR 2022006678 W KR2022006678 W KR 2022006678W WO 2023113114 A1 WO2023113114 A1 WO 20231131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hiazolo
quinazoline
dihydro
oxo
thiox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6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철승
안진희
조희지
배은정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441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89517A/ko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WO20231131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131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
  • BK Ca channels are widely expressed in various types of excitable and nonexcitable cells, and are involved in neurotransmitter release (Raffaelli et al. 2006) and smooth muscle contraction (Brenner et al. 2000; Herrera et al. al. 2000), and circadian behavioral rhythms (Meredith et al. 2006).
  • Dysfunction of the BKCa channel is associated with epilepsy (Lorenz et al. 2007; Du et al. 2005), erectile dysfunction (Werner et al. 2005) and overactive bladder (OAB) (Meredith et al. 2004) is known to cause several diseases.
  • overactive bladder is the abs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 and other overt disease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inary incontinence. It is a disease that is accompanied by frequent urination and nocturia. Irritable bladder syndrome mainly appears in the elderly, but recently it is known to occur a lot in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under a lot of stress.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includes behavioral therapy and drug therapy, and if it does not respond to treatment, magnetic field therapy, bladder hypertension, hard alcohol injection, denervation surgery, bladder augmentation, urinary diversion, and neuromodulation may be performed. do.
  • Treatments convention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include antimuscarinic agents, beta-3 agonists, complex agents, and the like.
  • Antimuscarinic drugs have a direct sedative effect on smooth muscle by competitively inhibiting the action of acetylcholine, a neurotransmitter, on muscarinic receptors. As a result, it increases the bladder volume and the amount of residual urine and inhibits bladder contraction, so i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but side effects such as dry mouth, drowsiness, constipation, dizziness, and dry eyes may be induced.
  • Beta-3 agonists relax the bladder by stimulating beta-3 sympathetic receptors in the bladder, so they are used for the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but side effects such as urinary retention, urinary tract infection, and high blood pressure may be induc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 containing a novel quinazoline-based compoun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BK Ca channel activator, a quinazoline-based compound.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 stereo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X is methyl, isopropyl, 2-chlorobenzyl, 4-methylbenzyl, 3-methoxybenzyl, 4-methoxybenzyl, cyclopentyl, (tetrahydrofuran-2-yl)meth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ic phenyl, and Y is hydrogen or piperidine formed by linking with X;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methyl, halogen, methoxy or methoxycarbonyl, or R 1 and R 2 are 1,3-dioxolane formed by linking each other).
  • the substituted phenyl is phenyl, 2-methylphenyl, 3-methylphenyl, 4-methylphenyl, 2,4-dimethylphenyl, 5-chloro-2-methylphenyl, 2-ethylphenyl, 4-ethylphenyl , 2-methoxyphenyl, 3-methoxyphenyl, 2,5-dimethoxyphenyl, 2-ethoxyphenyl, 3-ethoxyphenyl, 4-(ethoxycarbonyl)phenyl, 3-fluorophenyl, 2 ,4-difluorophenyl, 4-bromo-2-fluorophenyl, 2-chlorophenyl, 3-chlorophenyl, 3-(trifluoromethyl)phenyl, 3-(trifluoromethoxy)phenyl or 3 ,5-bis (trifluoromethyl) phenyl,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
  • X is methyl, isopropyl, 2-chlorobenzyl, 4-methylbenzyl, 3-methoxybenzyl, 4-methoxybenzyl, cyclopentyl, (tetrahydrofuran-2-yl)meth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ic phenyl, and Y is hydrogen or piperidine formed by linking with X;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methyl, halogen, methoxy or methoxycarbonyl, or R 1 and R 2 are 1,3-dioxolane formed by linking each other).
  • the substituted phenyl of 5 is phenyl, 2-methylphenyl, 3-methylphenyl, 4-methylphenyl, 2,4-dimethylphenyl, 5-chloro-2-methylphenyl, 2-ethylphenyl, 4-ethylphenyl, 2-methoxyphenyl, 3-methoxyphenyl, 2,5-dimethoxyphenyl, 2-ethoxyphenyl, 3-ethoxyphenyl, 4-(ethoxycarbonyl)phenyl, 3-fluorophenyl, 2, 4-difluorophenyl, 4-bromo-2-fluorophenyl, 2-chlorophenyl, 3-chlorophenyl, 3-(trifluoromethyl)phenyl, 3-(trifluoromethoxy)phenyl or 3, 5-bis(trifluoromethyl)phenylin,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urination function.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methyl, or halogen
  • R 3 , R 4 , R 5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methyl, hydroxy, methoxy, halogen, trifluoro romethyl or trifluoromethoxy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according to 9 above is any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mpounds, a stereo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or overactive bladder containing a quinazoline-based compound.
  • the quinazoline-based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relaxation of bladder smooth muscle and prevent excessive periodic contraction by activating the BK Ca channel, and thus can be used to prevent or treat overactive bladder.
  • the quinazoline-based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ctivity, selectivity and in vivo stability, and has low toxicity.
  • Figure 1 shows a representative structure and in vitro activity of the quinazoline-based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ctivates the BK Ca channel.
  • each compound was described according to its activating effect on the BK Ca channel in a cell-based assay.
  • Compounds were tested at 5 ⁇ M, positive control was LDD175 and negative control was vehicle (DMSO).
  • the compounds were grouped into 5 subgroups (ae). All compounds from TTQC-1 to TTQC-34 contain a common quinazoline ring.
  • A shows the structure of TTQC-1, a quinazoline-based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ottlerin, NS11021, kurarinone, and LDD175, which are BK Ca channel activators.
  • B shows raw RFU signal after treatment of BK Ca expressing cells with different BK Ca activators and TTQC-1 at 3 ⁇ M.
  • A shows the raw RFU signal when BK Ca -expressing cells were treated with 0.6-10 ⁇ M TTQC-1.
  • the positive control was 5 ⁇ M NS11021, and the negative control was vehicle (DMSO).
  • B shows RFU change ( ⁇ RFU) for 80 s after channel stimulation was normalized to vehicle (DMSO) treatment
  • C raw RFU was 0.6–10 ⁇ M TTQC-1 and iberiotoxin (0.1 ⁇ M, a specific blocker of BK Ca channels) ) and shows the signal after processing.
  • D ⁇ RFU for 80 seconds after channel stimulation was normalized to ⁇ RFU of vehicle treatment.
  • ++ p ⁇ 0.01, ++ p ⁇ 0.001 compared to the iberiotoxin (0.1 ⁇ M) treated group (n 4).
  • A shows the relative BK Ca channel current during continuous perfusion and removal of TTQC-1 outside the cell membrane obtained from Xenopus oocytes.
  • the ion current was generated every second by +100 mV pulses for 50 ms and the holding potential was -100 mV.
  • TTQC-1 was perfused at 10 ⁇ M (60-260 sec) and washed with bath solution perfusion (260-510 sec).
  • the intracellular solution contains 3 ⁇ M of Ca 2+ .
  • Arrows indicate time points of representative current traces.
  • B shows representative current traces at each time point (indicated by arrows ad in A).
  • ionic current of the BK Ca channel was evoked by a step pulse voltage change from ⁇ 80 to +200 mV at 10 mV intervals.
  • the step pulse was maintained for 100 ms and the holding potential was -100 mV in the presence of 3 ⁇ M intracellular Ca 2+ .
  • TTQC-1 was perfused outside the cell membrane at concentrations of 0, 0.1, 3, 10, and 30 ⁇ M.
  • A shows representative current traces from ⁇ 80 to +180 mV during perfusion of TTQC-1.
  • the gray line is the ionic current at +140 mV.
  • Conductance-voltage (GV) curves of the BK Ca channels in B were normalized to the maximum conductance (G 0 max ) of vehicle (DMSO) treatment.
  • GV curves were fitted by the Boltzmann equation.
  • y ⁇ (G max - G min ) / (1 + exp[(V 1/2 - x) / k ]) ⁇ + G min
  • k RT/zF
  • R the gas constant
  • T the temperature
  • F the Faraday constant
  • z the gating charge.
  • the maximum conductivity at C was normalized to G 0 max .
  • D the shifted half-maximum voltage (V 1/2 ) was normalized to the voltage of the vehicle treatment.
  • ⁇ V 1/2 was fitted by the Hill equation.
  • y ⁇ V 1/2 ,max x ⁇ n / (EC 50 ⁇ n + x ⁇ n), where n is the Hill coefficient and the EC 50 values are each half the maximum effective concentration.
  • A represents the initial outward current of the BK Ca channel at 150 mV when 10 ⁇ M TTQC-1 was perfused outside the cell membrane.
  • the current trace at B was fitted by an exponential equation.
  • y(t) A exp(- t / ⁇ ) + C channel activation time constant ( ⁇ activation).
  • C is the tail current of the BKCa channel after a 150 mV pulse upon perfusion with 10 ⁇ M TTQC-1.
  • FIG. 7 shows the ionic currents of BK Ca channels co-expressed with the ⁇ 1 subunit.
  • TTQC-1 was perfused outside the cell membrane at 10 ⁇ M and the intracellular Ca 2+ concentration was 3 ⁇ M.
  • A shows representative current traces of BK Ca channels co-expressed with the ⁇ 1 subunit from ⁇ 80 to +180 mV upon perfusion of TTQC-1.
  • the gray line is the ion current at 140 mV.
  • B is the conductance-voltage (GV) curve of the BK Ca channel normalized to the maximum conductance (G 0 max ) of vehicle (DMSO) treatment.
  • GV conductance-voltage
  • the time constant for channel activation ( ⁇ activation) at C was fitted to the initial outward current using an exponential equation.
  • y A exp(- x / ⁇ ) + C.
  • TTQC-1 shows that the activation effect of TTQC-1 depends on the co-expression of the ⁇ 4 subunit. Ion currents of BK Ca channels co-expressed with the ⁇ 4 subunit are shown. TTQC-1 was perfused outside the cell membrane at 10 ⁇ M and the intracellular Ca 2+ concentration was 3 ⁇ M. A shows representative current traces of BK Ca channels co-expressed with the ⁇ 4 subunit from -80 to +180 mV upon perfusion of TTQC-1. The gray line is the ion current at 140 mV.
  • Conductance-voltage (GV) curves of BKCa channels in B were normalized to the maximum conductance (G 0 max ) of vehicle (DMSO) treatment. GV curves were fitted by the Boltzmann equation.
  • A is the number of urination in normal rats (WKY) and hypertensive rats (SHR) for 3 hour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TQC-1 (10 or 50 mg/kg) or solifenacin succinate (5 mg/kg) as a positive control. Indicates the measured result.
  • Negative controls were vehicle (DMSO, PEG400 and distilled water).
  • B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urine volume of normal rats and hypertensive rats orally administered with TTQC-1 (10 or 50 mg/kg) or solifenacin succinate (5 mg/kg) as a positive control for 3 hours.
  • Negative controls were vehicle (DMSO, PEG400 and distilled water).
  • ** p ⁇ 0.01 compared with SHR vehicle treatment group (n 5).
  • A shows the raw RFU signal upon treatment with 2 ⁇ M TTQC-1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xillin and iberiotoxin. Negative controls were vehicle, DMSO.
  • Figure 11 shows the toxicity test results of TTQC-1 through MTT analysis.
  • A is the cell viability when AD293 cells expressing hyperactive BK Ca channels were treated with 0.1 to 25 ⁇ M TTQC-1 for 17 hours.
  • B is the cell viability when HEK 293T cells were treated with 0.1 to 25 ⁇ M TTQC-1 for 17 hours.
  • C is the cell viability when Hep G2 cells were treated with 0.1 to 25 ⁇ M of TTQC-1 for 17 hours.
  • * p ⁇ 0.05, ** p ⁇ 0.01, *** p ⁇ 0.001 compared with vehicle (1% DMSO) treated group (n 3-4).
  • the initial rate of channel activation was obtained during the first 4 seconds after BK Ca channel stimulation.
  • Each compound was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6 ⁇ M.
  • 14 and 15 show the dose-dependent activating effect of compound 208 on BK Ca channels.
  • 14 shows RFU after treatment in the 0.2-6 ⁇ M concentration range.
  • NS11021 (5 ⁇ M)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 Figure 15 shows the initial rate of channel activation upon Compound 208 treatment at each concentration range over the first 4 seconds. Student t-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p ⁇ 0.05, **p ⁇ 0.01, ***p ⁇ 0.001 compared with vehicle treatment group.
  • FIG. 16 shows the activation effect of compound 208 on macroscopic currents of BK Ca channels. Currents were recorded in an outside-out configuration with 3 ⁇ M intracellular Ca 2+ concentration. Ion currents were induced with 100 ms voltage step pulses from 80 mV to 200 mV in 10 mV increments. The holding voltage was 100 mV. Each trace corresponds to a voltage step.
  • A shows a representative current trace after treatment with 10 ⁇ M Compound 208.
  • B shows the conductivity (G)-voltage (V) relationship curve after treatment with 10 ⁇ M Compound 208. G was obtained from the average outward current for 5 ms after saturation. Values were normalized to the maximum conductivity of the vehicle group by the Boltzmann function.
  • G/G max ⁇ (G max -G min )/(1 + exp[(V 1/2 - V)/ k ]) ⁇ + G min , where k is a constant.
  • C shows the change in V 1/2 (voltage at half activation) upon treatment with 10 ⁇ M of Compound 208.
  • D represents G max /G o max upon treatment with 10 ⁇ M of Compound 208.
  • a student t-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p ⁇ 0.05, **p ⁇ 0.01, ***p ⁇ 0.001 compared with vehicle treatment group.
  • A shows a representative current trace after treatment with 10 ⁇ M 208 at 170 mV pulse stimulation.
  • B represents the activation time constant ( ⁇ activation) according to the voltage.
  • C represents the deactivation time constant ( ⁇ deactivation) according to the voltage.
  • Post-peak tail currents were analyzed for ⁇ deactivation after the end of the voltage pulse.
  • Urination frequency was measured 3 hours after oral administration in WKY and SHR.
  • the vehicle consisted of DMSO:PEG400:distilled water (v/v, 5:40:55). *p ⁇ 0.05, **p ⁇ 0.01, ***p ⁇ 0.001 compared to vehicle group of SHR; +p ⁇ 0.05, ++p ⁇ 0.01, +++p ⁇ 0.001 compared to WKY vehicle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 stereo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X is methyl, isopropyl, 2-chlorobenzyl, 4-methylbenzyl, 3-methoxybenzyl, 4-methoxybenzyl, cyclopentyl, (tetrahydrofuran-2-yl)methyl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 and Y may be hydrogen.
  • X and Y may be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piperidine together with the nitrogen atom to which they are bonded.
  • Piperidine formed by connecting X and Y to each other has the same structure as compound b in FIG. 1B, for example.
  • the substituted phenyl is 2-methylphenyl, 3-methylphenyl, 4-methylphenyl, 2,4-dimethylphenyl, 5-chloro-2-methylphenyl, 2-ethylphenyl, 4-ethylphenyl, 2-methoxyphenyl, 3- Methoxyphenyl, 2,5-dimethoxyphenyl, 2-ethoxyphenyl, 3-ethoxyphenyl, 4-(ethoxycarbonyl)phenyl, 3-fluorophenyl, 2,4-difluorophenyl, 4 -bromo-2-fluorophenyl, 2-chlorophenyl, 3-chlorophenyl, 3-(trifluoromethyl)phenyl, 3-(trifluoromethoxy)phenyl or 3,5-bis(trifluoromethyl) ) phenyl.
  • R 1 and R 2 may each independently be hydrogen, methyl, halogen, methoxy, or methoxycarbonyl.
  • R 1 and R 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1,3-dioxolane.
  • R 1 and R 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1,3-dioxolane.
  • it is the same structure as compound d in FIG. 1B.
  • R 1 may be hydrogen and R 2 may be Br.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mpounds:
  • N-(5-chloro-2-m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1,3]dioxolo[4,5-g]thiazolo[3, 4-a] quinazoline -3-carboxamide N- (5-chloro-2-methylphenyl) -5-oxo-1-thioxo-4,5-dihydro-1H- [1,3] dioxolo [4, 5-g] 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2);
  • N-(2-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1,3]dioxolo[4,5-g]thiazolo[3,4-a ]quinazoline-3-carboxamide N-(2-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1,3]dioxolo[4,5-g]thiazolo[3 ,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9);
  • N-(2-meth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1,3]dioxolo[4,5-g]thiazolo[3,4- a] quinazoline-3-carboxamide N- (2-methoxyphenyl) -5-oxo-1-thioxo-4,5-dihydro-1H- [1,3] dioxolo [4,5-g] thiazolo [ 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4);
  • N-(2,4-dimethylphenyl)-7-meth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 Mid N-(2,4-dimethylphenyl)-7-meth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31) ;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more specifical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mpounds: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more specifical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mpounds:
  •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TTQC-1 to TTQC-34 are as follows:
  • the overactive bladder is a urinary urgency (urinary urgency)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inary urinary incontinence (a symptom of urinary incontinence when there is a strong and sudden urge to urinate) without urinary tract infection and without other obvious diseases. It is a disease accompanied by frequent urination and nocturia.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can activate the BK Ca channel to induce bladder smooth muscle relaxation and prevent excessive periodic contraction of bladder smooth muscle, so it can be use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monly used in formulation, an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gum,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silicic aci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alcium,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t is no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lubricants, wetting agent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preservativ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agents are described in detail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 the suitabl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patient's age, weight, sex, severity of disease symptoms,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action sensitivity, However, the ordinarily skilled physician can readily determine and prescribe effective dosages for the desired treatment.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0.01-2000 mg/kg (body weight) per d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n the case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etc. may be administer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on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or excipient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Or it can be prepared by incorporating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an oil or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powder, granule, tablet or capsule, and may additionally contain a dispersing agent or stabiliz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urination function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stereoisomer thereof: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as described above.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activates the BK Ca channel to induce bladder smooth muscle relaxation and prevent excessive periodic contraction of bladder smooth muscle, thereby improving urination func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contain normal food additives, and the suitability as a food additiv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eneral rules of the Food Additive Code and general test method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judged by criteria.
  • Items listed in the Food Additives Codex include, for example, chemical compounds such as ketones, glycine, calc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persimmon pigment,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kaoliang pigment, and guar gum;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ixed preparations such as sodium L-glutamate preparations, alkali additives for noodles, preservative preparations, and tar color preparations.
  • chemical compounds such as ketones, glycine, calc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 natural additives such as persimmon pigment,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kaoliang pigment, and guar gum
  •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a tablet is a mixture obtained by mixing the extract with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and other additives, granulated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then compression-molded by adding a lubricant or the like, or the mixture can be directly compressed. there i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a tablet may contain a flavoring agent and the like as needed.
  • hard capsules can be prepared by filling a mixture of the extract mixed with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in a normal hard capsule
  • soft capsules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 extract with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in gelatin. It can be prepared by filling in a capsule base such as The soft capsule may contain a plasticizer such as glycerin or sorbitol, a colora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if necessary.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a pill may be prepared by molding a mixture of the extract, excipient, binder, disintegrant, etc., by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and, if necessary, may be coated with sucrose or other coating agent, or starch Alternatively, the surface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such as talc.
  •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granules can be prepared in granular form by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of mixing the extract with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etc., and may contain flavoring agents, flavoring agents, etc., if necessary.
  • Health functional foods include beverages, meat, chocolate, foods, and confectionery. It may be pizza, ramen, other noodles, chewing gum, candy, ice cream, alcoholic beverages,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applied orally for the purpose of nutritional supplements, and the application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daily intake is preferably 5000 mg or less, more preferably 2000 mg or less, and most preferably 1000 mg or less.
  • one tablet can be administered with water once a da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a stereoisomer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1 and R 2 may each independently be hydrogen, methyl, or halogen, and more specifically, R 1 may be hydrogen and R 2 may be Br.
  • R 3 , R 4 , R 5 and R 6 may each independently be hydrogen, methyl, hydroxy, methoxy, halogen, trifluoromethyl or trifluoromethoxy.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mpounds: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mpounds:
  • Reagents and conditions (a) thiophosgene, triethylamine, THF, 0°C to 25°C, 1 h; (b) methyl 2-cyanoacetate, sulfur, triethylamine, DMF, 50°C, 1 h; (c) NaOH, THF, HO, 25° C., 12 h; (d) 7M NH3 in MeOH, HATU, 1-Hydroxybenzotriazole, DIPEA, DMF, 25° C., 24 h; (e) benzylamine, EDCI, 1-Hydroxybenzotriazole, DIPEA, CH2Cl2, 25°C, 18 h.
  • Step 1) A solution obtained by mixing methyl 2-amino-5-bromobenzoate (1.27g, 8.40mmol) and triethylamine (2.34mL, 16.80mmol) in tetrahydrofuran (THF) was cooled to 0°C and then It was treated dropwise with pure thiophosgene (0.68 mL, 8.82 mmol). The ice bath was removed and the reaction stirred at ambient temperature for 1 hour.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reaction mixture was evaporated. The reaction mixture was treated with aqueous NaHCO 3 solution and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 THF tetrahydrofuran
  • Step 2 To a solution in which methyl 2-isothiocyanatobenzoate (Compound 2) (1.6g, 8.28mmol) was stirred in DMF, methyl 2-cyanoacetate (820mg, 8.28mmol), sulfur (265mg, 8.28mmol) ) and trimethylamine (1.722 mL, 12.42 mmol) were mixed.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50 °C for 1 hour. The reaction mixture was allowed to reach ambient temperature, diluted with ice water, and acidified with acetic acid (3% v/v solution).
  • Reagents and conditions (a) EDCI, 1-Hydroxybenzotriazole, DIPEA, CH 2 Cl 2 , 25° C., 18 h; (b) thiophosgene, triethylamine, THF, 0°C to 25°C, 1 h; (c) sulfur, triethylamine, DMF, 50°C, 1 h.
  • Step 1) A mixed solution obtained by mixing tetrahydrofuran with aniline (Compound 9a-9g) and triethylamine (2.0 equivalent) was cooled to 0° C., and then pure thiophosgene (1.05 equivalent) was added dropwise for treatment. The ice bath was removed and the reaction stirred at ambient temperature for 1 hour. The reaction was monitored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resulting mixture was diluted with water and saturated aqueous sodium bicarbonate. The resulting mixture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The combined organic layer was dried over sodium sulfate,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isothiocyanatobenzene (Compound 10), which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 Compound 10 isothiocyanatobenzene
  • Step 2 A mixture of compound 10 and its corresponding cyanoacetamide (compound 8) (1.0 equiv.), sulfur (1.0 equiv.) and trimethylamine (1.5 equiv.) in DMF was heated to 50 °C and stirred for 1 hour. The reaction mixture was allowed to reach ambient temperature, diluted with ice water, and acidified with acetic acid (3% v/v solution). The obtained solid was collected by filtration and washed with ethanol to obtain the compound.
  • compound 8 1.0 equiv.
  • sulfur 1.0 equiv.
  • trimethylamine 1.5 equiv.
  • a chemical library (9,938 compounds) targeting G-protein coupled receptors was provided by the KRICT Compound Bank (Chemical Bank of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aejeon, Republic of Korea).
  • Dimethyl sulfoxide (DMSO) ( ⁇ 99.7%) was purchased from Sigma Aldrich (St. Louis, Missouri, USA) and solifenacin succinate ( ⁇ 98%) was purchased from Merck (Darmstadt, Hessen, Germany).
  • PEG 400 polyethylene glycol 400 was purchased from Samcheon Chemical (Seoul, Korea).
  • TTQC-1 for use in in vivo studies was synthesized in the laboratory of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ag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urchased from Sigma Aldrich, TCI (Tokyo, Japan) and Alfa Aesar (Haverhill, MA, USA) and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Thin layer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using a glass plate pre-coated with silica gel (silica gel 60, F-254, 0.25 nm) purchased from Merck. Identification of the material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was confirmed using a UV lamp (254 nm, 365 nm). The column was packed with silica gel grade 9385 (230-400 mesh; Merck) for purification of the reactants. To confirm the structure of the synthesized compound, 1H NMR spectrum was performed on a JEOL JNM-ECS400 spectrometer at 400 MHz.
  • AD 293 cells which are derivatives of the commonly used HEK 293 cell line and stably express hyperactive mutant BK Ca channels (hSlo G803D/N806K) and sensitively detect effects (Lee et al., 2013), were injected into 10% bovine embryos. They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 Logan, Utah, UK) supplemented with serum (Hyclone) and selected with 1 mg/mL geneticin (Gibco, Amarillo, TX, USA). 20,000 cells per well were seeded on a 96-well clear-bottom black plate (Corning, New York, NY, USA) coated with poly-D-lysine (Gibco).
  • BKCa channe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FluxOR Potassium Ion Channel Assay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 a cell-based fluorescence assay. The experimental procedure followed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Cells were treated with test compounds dissolved in assay buffer for 15 minutes. Fluorescence was measured using a FlexStation3 multimode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ilicon Valley, CA, USA) and a SoftMax Pro (Molecular Devices). Excitation and emission wavelengths were set to 485 nm and 528 nm, respectively. Fluorescence signals were acquired every 2 seconds for 120 seconds and normalized to relative fluorescence units (RFU). The change in RFU ( ⁇ RFU) 80 seconds after channel stimula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potency of the channel activator.
  • RFU ⁇ RFU
  • CDS The complete coding sequence (CDS) of rat KCNMA (rSlo ⁇ ) (GenBank AF135265.1), KCNMB1 (rSlo ⁇ 1) (GenBank FJ154955.1), and KCNMB4 (rSlo ⁇ 4) (GenBank AY028605) was converted to pNBC2.0 or pNBC2.0. subcloned. These vectors were designed to be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Ha, TS, Lim, HH, Lee, GE, Kim, YC, & Park, CS (2006).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enzofuroindole-induced potentiation of large-conductance Ca2+-activated K+ channels.
  • RNA complementary RNA
  • Xenopus laevis KXRCR000001 was obtained from the Korea Xenopus Resource Center for Research (Chuncheon, Gangwon-do, Korea).
  • V-VI oocytes were surgically extracted from the ovarian lobe of X. laevis .
  • the follicular cell layer was removed by incubating for 1.5 hours at room temperature in Ca 2+ -free oocyte Ringer' medium containing collagenase (86 mM NaCl, 1.5 mM KCl, 2 mM MgCl2 and 10 mM HEPES, pH 7.6). Oocytes without follicle layer were washed with ND-96 medium (96 mM NaCl, 2 mM KCl, 1.8 mM CaCl 2 , 1 mM MgCl 2 , 5 mM HEPES, 50 g/mL gentamicin, pH 7.6). Prepared oocytes were stabilized overnight at 18°C.
  • cRNA was injected into each oocyte (50 ng per oocyte) using a micro dispenser (Drummond Scientific, Broomall, PA, USA).
  • a micro dispenser Dermat Scientific, Broomall, PA, USA.
  • cRNA was mixed at a molar ratio of 1:12 ( ⁇ : ⁇ ) to induce sufficient co-assembly of the ⁇ subunit.
  • oocytes were cultured in ND-96 medium at 18°C for 1-3 days. Before recording macroscopic currents, the yolk sac of the oocyte was completely removed using fine forceps.
  • BK Ca channels were activated by repeated voltage clamp at +100 mV or voltage clamp pulses ranging from -80 to +200 mV in 10 mV increments. The resting potential was kept at -100 mV.
  • the recording solution contained 116 mM KOH, 4 mM KCl, 10 mM HEPES and 5 mM EGTA (pH 7.2).
  • the intracellular solution contained 3 ⁇ M Ca 2+ in recording solution (pH 7.0).
  • the MaxChelator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Ca 2+ to be added to the intracellular solution to obtain free Ca 2+ at a concentration of 3 ⁇ M.
  • ⁇ V 1/2,max is a constant.
  • EC 50 is half the apparent maximum effective concentration and n is the Hill coefficient.
  • K D was obtained by EC 50 ⁇ n.
  • Spontaneous hypertensive rats were used as an animal model for OAB because they urinat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than the normotensive control Wistar-Kyoto rats (WKY).
  • a library of compounds was screened for activating effects on BK Ca channels using a cell-based fluorescence assay.
  • a group of compounds with similar structures have been identified that have significant activating effects on BK Ca channels. These compounds increased the fluorescence 1.2-4.1 fold at 5 ⁇ M compared to vehicle (p ⁇ 0.05) (Fig. 1A).
  • the previously reported BKCa channel activator LDD175 (Gormemis, AE, Ha, TS, Im, I., Jung, KY, Lee, JY, Park, CS, & Kim, YC (2005). Benzofuroindole analogues as potent BK(Ca ) channel openers. Chembiochem, 6(10), 1745-1748.) were included as positive controls in this assay.
  • Table 1 below has information on each substituent in the compound structure of FIG. 1B.
  • TTQC-1 the activation effect of TTQC-1 at a single concentration was compared with several well-known BK Ca channel activators such as rottlerin, NS11021, kurarinone and LDD175 (Fig. 2A). Although these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activating effects on BK Ca channels, TTQC-1 showed the most potent effect at 3 ⁇ M in the in vitro assay.
  • the BK Ca channel activating effect of TTQC-1 was 1.6-fold greater than that of LDD175 (Fig. 2 B and C).
  • TTQC-1 To determine if the increase in fluorescence mediated by TTQC-1 is due to Tl + flux through BK Ca channel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TQC-1 in the presence of two BK Ca channel blockers, paxillin and iberiotoxin. did. The fluorescence increase induced by 2 ⁇ M TTQC-1 was abolished by 1 ⁇ M paxillin and 0.1 ⁇ M iberiotoxin (FIG. 10). Next, the activation effect of TTQC-1 was investiga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with or without 0.1 ⁇ M iberiotoxin. TTQC-1 concentration-dependently increased Tl + flux and effect saturated at 6 ⁇ M in vitro assay (Fig. 3 A and B).
  • TTQC-1 The effect of TTQC-1 was 4.98 ⁇ 0.05 times greater than that of vehicle at 6 ⁇ M. Iberiotoxin abolished the effect of TTQC-1 activation at concentrations below 2 ⁇ M, but concentrations above 4 ⁇ M TTQC-1 activated BK Ca channels in the presence of 0.1 ⁇ M iberiotoxin (Fig. 3 C and 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otentiation effect of TTQC-1 is non-competitively inhibited by iberiotoxin and therefore TTQC-1 and iberiotoxin do not compete for the same binding site on the channel.
  • TTQC-1 was injected into the cell exterior of the BK Ca channel and ion currents were measured upon voltage stimulation. Perfusion of 10 ⁇ M TTQC-1 rapidly increased the current, and perfusion of bath solution abolished the effect of TTQC-1 (Fig. 4A).
  • the association time constant ( ⁇ association) which is the time to reach approximately 63.2% of activated channels, was fit with a single exponential equation and was estimated to be 11.7 ⁇ 1.77 seconds.
  • TTQC-1 increased the curren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shifted the GV curve to a negative potential (Fig. 5 A and B).
  • 30 ⁇ M TTQC-1 increased the maximum conductance (G max ) by 1.4 ⁇ 0.11 fold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channel (G o max ) (FIG. 5C). This result indicates that more channels are open at the same voltage stimulation in the presence of TTQC-1.
  • TTQC-1 reduced the half-activation voltage (V 1/2 ) to 37.9 ⁇ 7.50 mV (Fig. 5D), indicating that the channel opened at a lower voltage in the presence of TTQC-1.
  • V 1/2 shift was fitted by the Hill equation and an apparent EC 50 value was calculated as 2.8 ⁇ M.
  • the Hill coefficient n is 2.0, indicating that positive cooperativity occurred during TTQC-1 binding to the channel.
  • Channel open time and channel close time were analyzed by fitting the outward current and tail current to an exponential equation, respectively.
  • the channel activation time constant ( ⁇ activation) is a time for reaching about 63% of the maximum outward current
  • the channel deactivation time constant ( ⁇ deactivation) is a time for about 63% of the maximum tail current to disappear.
  • BK Ca channels started to open at pulses as low as 100 mV. When BK Ca channels were perfused with 10 ⁇ M TTQC-1, ⁇ activ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the voltage range tested (Fig. 6 A and B). However, ⁇ deactiv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150 mV, up to 5.3 times at +200 mV (Fig. 6 C and 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TQC-1 did not affect channel opening but delayed channel closure.
  • BK Ca channels are expressed and bound together with auxiliary subunits such as the ⁇ subunit.
  • auxiliary subunits such as the ⁇ subunit.
  • the four subtypes of the ⁇ subunit can alter the macroscopic dynamics and apparent calcium and voltage sensitivity of the channel in different ways.
  • TTQC-1 The in vivo efficacy of TTQC-1 was confirmed using an animal model of OAB. Spontaneous hypertensive rats (SHR) urinate frequently, which is a typical symptom of OAB. Compounds were administered orally and urination behavior was recorded for 3 hours. Wistar Kyoto rats (WKY), which normally urinate, were used as controls. The in vivo efficacy of TTQC-1 was compared with solifenacin succinate, a marketed OAB drug that targets the M3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urinated 2.1 times more frequently than Wistar Kyoto rats (WKY).
  • TTQC-1 administered 10 mg/kg to SHR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voiding events from 8.2 to 3.0, similar to the number observed in WKY.
  • the synthesized compound was evaluated for its BK Ca channel activating effect using a cell-based fluorescence assay.
  • Compounds 4, 5 and 101 were synthesized and evaluated for BKCa potency (channel activ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an electron-donating group such as the methyl group (Compound 102) at position 8 of the phenyl ring
  • EWG electron-withdrawing group
  • Compound 107 the BK Ca channel activating effect of the compound in which methyl (Compound 105), chloro (Compound 106), and bromo (Compound 107) groups were introduced at position 7 was evaluated.
  • the maximum conductance (G max ) increased by 1.5 ⁇ 0.11 times compared to the vehicle treatment group, which means an increase in the possibility of channel opening or single channel conductance (FIG. 16 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KCa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신규한 퀴나졸린 계열 화합물 및 이의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BKCa 채널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어, BKCa 채널 비활성화 또는 활성 저하에 따라 발생하는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BKCa 채널은 다양한 타입의 흥분성 세포(excitable cell) 및 비흥분성 세포(nonexcitable cell)에서 널리 발현되며, 신경전달물질 방출(Raffaelli et al. 2006), 평활근의 수축(Brenner et al. 2000; Herrera et al. 2000), 및 주기성 행동 리듬(Meredith et al. 2006)을 포함하는 몇몇 중요한 생리학적 과정의 조절에 관계된다. BKCa 채널의 기능장애는 간질(epilepsy)(Lorenz et al. 2007; Du et al. 2005), 발기 부전(erectile dysfunction)(Werner et al. 2005) 및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Meredith et al. 2004)과 같은 몇몇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국제 요실금학회 정의에 의하면 과민성 방광은 요로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질환이 없으면서 절박성 요실금(소변이 마려우면 참지 못하고 지리는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요절박(urinary urgency,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이 있으면서 빈뇨와 야간뇨가 동반되는 질환이다. 과민성 방광 증후군은 주로 고령층에게 많이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많은 20~30대 연령층에게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방치하게 되면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 우울증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과민성 방광 치료에는 행동치료, 약물치료 방법 등이 있으며,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자기장치료, 방광과팽창술, 경질 알코올 주사, 탈신경화 수술, 방광 확대 성형술, 요로 전환술, 신경 조정술 등을 시행하기도 한다.
종래 과민성 방광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제로는 항무스카린제, 베타-3 효능제, 복합 작용제 등이 있다. 항무스카린제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무스카린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을 경쟁적으로 억제하여 평활근에 직접 진정 작용을 한다. 이로 인해 방광 용적과 잔뇨량을 증가시키고, 방광 수축을 억제하여 과민성 방광의 치료에 사용되나 입마름, 졸림, 변비, 어지러움, 안구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다. 베타-3효능제는 방광에 있는 베타-3 교감 수용체를 자극함으로써 방광을 이완시키므로 과민성 방광 치료에 사용되나 요폐, 요도 감염, 고혈압과 같은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기존 약물들의 부작용과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과민성 방광 치료제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퀴나졸린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BKCa 채널 활성 인자인 퀴나졸린 계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1
(식 중, X는 메틸, 아이소프로필, 2-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3-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사이클로펜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고 Y는 수소 또는 X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피페리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할로겐, 메톡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이거나 R1 및 R2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1,3-디옥솔란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페닐은 페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5-클로로-2-메틸페닐, 2-에틸페닐, 4-에틸페닐, 2-메톡시페닐, 3-메톡시페닐, 2,5-디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3-에톡시페닐, 4-(에톡시카보닐)페닐, 3-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또는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이고 상기 R2는 Br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m-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메틸 3-((3-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
에틸 4-(8-클로로-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복사미도)벤조에이트;
8-클로로-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아이소프로필-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메틸 3-((2-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
7-클로로-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 -3-카르복사미드;
메틸 3-((2,4-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
7-브로모-N-(4-메틸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4,5-디하이드로-1H-[1,3]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7,8-디메톡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5-디메톡시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8-디메톡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사이클로펜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4-브로모-2-플루오로페닐)-8-클로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에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3-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3-(피페리딘-1-카르보닐)-1-싸이옥소-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5(4H)-온;
N-(2,4-디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4-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4-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p-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플루오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하는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2
(식 중, X는 메틸, 아이소프로필, 2-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3-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사이클로펜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고 Y는 수소 또는 X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피페리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할로겐, 메톡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이거나 R1 및 R2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1,3-디옥솔란임).
6. 5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페닐은 페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5-클로로-2-메틸페닐, 2-에틸페닐, 4-에틸페닐, 2-메톡시페닐, 3-메톡시페닐, 2,5-디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3-에톡시페닐, 4-(에톡시카보닐)페닐, 3-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또는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인,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위 5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이고 상기 R2는 Br인,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위5에 있어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m-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메틸 3-((3-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
에틸 4-(8-클로로-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복사미도)벤조에이트;
8-클로로-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아이소프로필-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메틸 3-((2-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
7-클로로-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 -3-카르복사미드;
메틸 3-((2,4-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
7-브로모-N-(4-메틸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4,5-디하이드로-1H-[1,3]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7,8-디메톡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5-디메톡시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8-디메톡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사이클로펜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4-브로모-2-플루오로페닐)-8-클로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에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3-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3-(피페리딘-1-카르보닐)-1-싸이옥소-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5(4H)-온;
N-(2,4-디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4-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4-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p-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플루오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9.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2]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3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할로겐이고,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하이드록시, 메톡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임).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이고 R2는 Br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1. 위 9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본 발명은 퀴나졸린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요실금 또는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퀴나졸린 계열 화합물은 BKCa 채널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방광 평활근의 이완을 유도하고 과도한 주기적 수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퀴나졸린 계열 화합물은 활성, 선택성 및 생체 내 안정성이 우수하며, 낮은 독성을 갖고 있다.
도 1은 BKCa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본 발명의 퀴나졸린 계열 화합물의 대표적인 구조 및 시험관 내 활성을 나타낸다. A에서 각 화합물들은 세포 기반 분석에서 BKCa 채널에 대한 활성화 효과에 따라 기재되었다. 화합물은 5μM에서 테스트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은 LDD175이고 음성 대조군은 vehicle(DMSO)이다. 상대 형광 단위(RFU) 변화(ΔRFU)는 LDD175의 활성으로 정규화되었다. 모든 화합물은 vehicle 처리군(n = 3)과 비교하여 유의한 p값 < 0.05를 보였다. B에서 화합물은 5개의 하위 그룹(a-e)으로 그룹화되었다. TTQC-1 내지 TTQC-34 모든 화합물은 공통의 퀴나졸린 고리를 포함한다.
도 2에서 A는 본 발명의 퀴나졸린 계열 화합물인 TTQC-1을 비롯하여 BKCa 채널 활성제인 rottlerin, NS11021, kurarinone 및 LDD175의 구조를 나타낸다. B는 BKCa 발현 세포를 3 μM에서 여러 BKCa 활성화제 및 TTQC-1로 처리한 후 원시 RFU 신호를 나타낸다. C는 채널 자극이 vehicle(DMSO) 처리된 셀로 정규화된 후 80초 동안 RFU 변화(ΔRFU)를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 p < 0.001 vehicle 처리군과 비교(n = 4).
도 3에서 A는 0.6-10 μM TTQC-1를 BKCa-발현 세포에 처리했을 때 원시 RFU 신호를 나타낸다. 양성 대조군은 5 μM NS11021, 음성 대조군은 vehicle(DMSO)이었다. B는 채널 자극이 vehicle(DMSO) 처리로 정규화된 후 80초 동안 RFU 변화(ΔRFU)를 나타낸다 C는 원시 RFU는 0.6-10 μM TTQC-1 및 BKCa 채널의 특정 차단제인 이베리오톡신(0.1 μM)으로 처리한 후 신호를 나타낸다. D는 채널 자극 후 80초 동안의 ΔRFU는 vehicle 처리의 ΔRFU로 정상화되었다. vehicle 처리군과 비교하여 ** p < 0.05, ** p < 0.01, ** p < 0.001. 이베리오톡신(0.1 μM) 처리군과 비교하여 ++ p < 0.01, ++ p < 0.001 (n = 4).
도 4에서 A는 Xenopus oocytes에서 얻은 세포막 외부의 TTQC-1의 지속적인 관류 및 제거 시 상대적인 BKCa 채널 전류를 나타낸다. 이온 전류는 50ms 동안 + 100mV 펄스에 의해 1초마다 발생했으며 유지 전위는 -100mV였다. TTQC-1을 10μM(60-260초)에서 관류하고 bath solution의 관류(260-510초)로 세척했다. 세포 내 용액에는 3μM의 Ca2+가 포함되어 있다. 화살표는 대표적인 전류 트레이스(current trace)의 시점을 나타낸다. B는 각 시점의 대표적인 전류 트레이스를 나타낸다(A에서 화살표 a-d로 표시).
도 5에서 BKCa 채널의 이온 전류는 10mV 간격으로 -80에서 +200mV로 단계 펄스 전압 변화에 의해 유발되었다. 단계 펄스는 100ms 동안 유지되었고 유지 전위는 3μM의 세포 내 Ca2+가 있는 상태에서 -100mV였다. TTQC-1은 세포막 외부에 0, 0.1, 3, 10, 30μM 농도로 관류시켰다. A는 TTQC-1의 관류 시 -80에서 +180 mV까지의 대표적인 전류 트레이스를 나타낸다. 회색 선은 + 140mV에서의 이온 전류이다. B에서 BKCa 채널의 전도도-전압(G-V) 곡선은 vehicle(DMSO) 처리의 최대 전도도(G0 max)로 정규화되었다. G-V 곡선은 Boltzmann 방정식에 의해 피팅되었다. y = {(Gmax - Gmin) / (1 + exp[(V1/2 - x) / k])} + Gmin 여기서 k는 RT/zF, 여기서 R은 기체 상수, T는 온도, F는 패러데이 상수이고 z는 게이팅 전하이다. C에서 최대 전도도는 G0 max로 정규화되었다. D에서 shifted half-maximum voltage(V1/2)은 vehicle 처리의 전압으로 정규화되었다. ΔV1/2는 Hill 방정식에 의해 피팅되었다. y = ΔV1/2 ,max x^n / (EC50^n + x^n), 여기서 n은 힐 계수이고 EC50 값은 각각 최대 유효 농도의 절반 값이다. vehicle 처리군과 비교하여 * p < 0.05, ** p < 0.01, *** p < 0.001 (vehicle 및 TTQC-1 0.1-10 μM에서 n = 5; NS11021 및 TTQC-1 30 μM에서 n = 3).
도 6에서 A는 세포막 외부에 10μM TTQC-1 관류 시 150mV에서 BKCa 채널의 초기 외향전류(outward current)를 나타낸다. B에서 전류 트레이스(current trace)는 지수 방정식에 의해 피팅되었다. y(t) = A exp(- t /τ) + C 채널 활성화 시간 상수(τ activation). C는 10μM TTQC-1 관류 시 150mV 펄스 후 BKCa 채널의 (tail current). D에서 current trace는 채널 비활성화(τ deactivation)의 시간 상수에 대한 지수 방정식으로 피팅되었다. * p < 0.05, ** p < 0.01, *** p < 0.001 vehicle 처리군과 비교(n = 3-4).
도 7은 β1 소단위체와 함께 발현되는 BKCa 채널의 이온 전류를 나타낸다. TTQC-1은 세포막 외부에 10μM로 관류되었고 세포내 Ca2+ 농도는 3μM이었다. A는 TTQC-1의 관류 시 -80에서 +180 mV까지의 β1 소단위체와 공동 발현되는 BKCa 채널의 대표적인 current trace를 나타낸다. 회색 선은 140mV에서의 이온 전류이다. B는 BKCa 채널의 전도도-전압(G-V) 곡선은 vehicle(DMSO) 처리의 최대 전도도(G0 max)로 정규화되었다. G-V 곡선은 Boltzmann 방정식, y = {(Gmax - Gmin) / (1 + exp[(V1/2 - x) / k])} + Gmin에 의해 피팅되었으며, k는 RT/zF이고 R은 기체 상수, T는 온도, F는 패러데이 상수, z는 게이팅 전하이다. C에서 채널 활성화(τ activation)에 대한 시간 상수는 지수 방정식을 사용하여 초기 외향전류에 피팅되었다. y = A exp(- x / τ) + C. D에서 채널 비활성화(τ deactivation)에 대한 시간 상수는 지수 방정식을 사용하여 꼬리 전류에 피팅되었다. * p < 0.05, vehicle 처리군과 비교 (n = 4-5).
도 8은 TTQC-1의 활성화 효과는 β4 소단위체의 동시발현에 의존함을 나타낸다. β4 소단위체와 함께 발현되는 BKCa 채널의 이온 전류를 나타낸다. TTQC-1은 세포막 외부에 10μM로 관류되었고 세포내 Ca2+ 농도는 3μM이었다. A는 TTQC-1의 관류 시 -80에서 +180 mV까지의 β4 소단위체와 공동 발현되는 BKCa 채널의 대표적인 current trace를 나타낸다. 회색 선은 140mV에서의 이온 전류이다. B에서 BKCa 채널의 전도도-전압(G-V) 곡선은 vehicle(DMSO) 처리의 최대 전도도(G0 max)로 정규화되었다. G-V 곡선은 Boltzmann 방정식에 의해 피팅되었다. C에서 채널 활성화(τ activation)에 대한 시간 상수는 지수 방정식에 의해 초기 외향 전류에 맞춰졌다. y = A exp(- x / τ) + C. D에서 채널 비활성화(τ deactivation)에 대한 시간 상수는 지수 방정식에 의해 꼬리전류에 피팅되었다. *p < 0.05, vehicle 처리군과 비교(n = 4-5).
도 9에서 A는 TTQC-1(10 또는 50 mg/kg) 또는 양성대조군인 solifenacin succinate(5 mg/kg)를 경구 투여한 3시간 동안 정상 쥐(WKY) 및 고혈압 쥐(SHR)에서 배뇨 횟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음성 대조군은 vehicle(DMSO, PEG400 및 증류수)이었다. B는 TTQC-1(10 또는 50 mg/kg) 또는 양성대조군인 solifenacin succinate(5 mg/kg)를 경구 투여한 정상 쥐와 고혈압 쥐의 총 소변량을 3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음성 대조군은 vehicle(DMSO, PEG400 및 증류수)이었다. ++ p < 0.01 WKY vehicle 처리군과 비교. ** p < 0.01 SHR vehicle 처리군과 비교(n = 5).
도 10에서 A는 팍실린(paxilline) 및 이베리오톡신(iberiotoxin)의 유무 하에서 2μM의 TTQC-1 처리 시 원시 RFU 신호를 나타낸다. 음성 대조군은 vehicle, DMSO였다. B는 vehicle 그룹에 의해 정규화된 채널 자극 후 80초 동안의 RFU 변화(ΔRFU)를 나타낸다. ++ p < 0.01 vehicle 그룹과 비교. *** p < 0.001 TTQC-1(2μM) 그룹(n = 4)과 비교.
도 11은 MTT 분석을 통한 TTQC-1의 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A는 과활성 BKCa 채널을 발현하는 AD293 세포에 17시간 동안 0.1 내지 25μM의 TTQC-1 처리 시 세포 생존율이다. B는 HEK 293T 세포에 17시간 동안 0.1 내지 25μM의 TTQC-1 처리 시 세포 생존율이다. C는 Hep G2 세포에 17시간 동안 0.1 내지 25μM의 TTQC-1 처리 시 세포 생존율이다. * p < 0.05, ** p < 0.01, *** p < 0.001 vehicle(1% DMSO) 처리군(n = 3~4)과 비교.
도 12는 각 화합물의 채널 활성화의 초기 속도를 나타낸다. BKCa 채널 자극 후 처음 4초 동안 채널 활성화의 초기 속도를 얻었다. 각 화합물은 6 μM의 농도로 제조되었다.
도 13는 B는 용량-반응 곡선, y = Amin + (Amax - Amin)/(1 + 10^{(LogEC50 - x)p}에 데이터를 피팅하여 채널 활성화 초기 속도에서 얻어진 각 화합물의 겉보기 EC50 값을 나타낸다. NS11021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도 14 및 15는 BKCa 채널에 대한 화합물 208의 용량 의존적 활성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4은 0.2-6μM 농도 범위에서 처리한 후 RFU를 나타낸다. NS11021(5μM)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도 15는 처음 4초 동안 각 농도 범위에서 화합물 208 처리 시 채널 활성화의 초기 속도를 나타낸다. 통계 분석을 위해 student t-검정을 수행했다. *p<0.05, **p<0.01, ***p<0.001 vehicle 처리군과 비교.
도 16은 BKCa 채널의 거시적 전류에 대한 화합물 208의 활성화 효과를 나타낸다. 전류는 3μM 세포내 Ca2+ 농도로 outside-out 구성으로 기록되었다. 이온 전류는 10mV 증분으로 80mV에서 200mV까지 100ms 전압 단계 펄스로 유도되었다. 유지 전압은 100mV였다. 각 트레이스는 전압 단계에 대응된다. A는 10μM 화합물 208로 처리한 후의 대표적인 전류 트레이스를 나타낸다. B는 10μM 화합물 208 처리 후 전도도(G)-전압(V) 관계 곡선을 나타낸다. 포화 후 5ms 동안의 평균 외향 전류로부터 G를 얻었다. 값은 Boltzmann 함수에 의해 vehicle 그룹의 최대 전도도로 정규화되었다. G/Gmax = {(Gmax-Gmin)/(1 + exp[(V1/2 - V)/k])} + Gmin, 여기서 k는 상수이다. C는 10μM의 화합물 208 처리시 V1/2(반 활성화 시 전압) 변화를 나타낸다. D는 10μM의 화합물 208 처리시 Gmax/Go max를 나타낸다. 최대 전도도(Gmax)는 vehicle 처리군과 비교하여 10μM 화합물 208에서 증가했다. (n = 4). student t-검정은 통계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p<0.05, **p<0.01, ***p<0.001 vehicle 처리군과 비교.
도 17은 BKCa 채널 게이팅에 대한 화합물 208의 효과를 나타낸다. A는 170 mV 펄스 자극에서 10 μM 208로 처리한 후 대표적인 전류 트레이스를 나타낸다. B는 전압에 따른 활성화 시간 상수(τactivation)를 나타낸다. C는 전압에 따른 비활성화 시간 상수(τdeactivation)를 나타낸다. 피크 후 꼬리 전류는 전압 펄스 종료 후 τdeactivation에 대해 분석되었다. 단일 지수 함수(y = A exp(- t / τ) + C)를 사용하여 모든 독립 데이터 세트를 피팅하여 시간 상수(τ)를 얻었다. *p<0.05, **p<0.01, ***p<0.001 동일한 전압 펄스에서 vehicle 처리군과 비교.
도 18은 자발성 고혈압 쥐의 배뇨 행동에 대한 화합물 208의 효과를 나타낸다. 배뇨 빈도는 WKY 및 SHR에서 경구 투여 후 3시간 동안 측정되었다. vehicle은 DMSO:PEG400:증류수(v/v, 5:40:55)로 구성되었다 *p<0.05, **p<0.01, ***p<0.001 SHR의 vehicle 그룹과 비교; +p<0.05, ++p<0.01, +++p<0.001 WKY의 vehicle 그룹과 비교.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4
상기 화학식 1 중, X는 메틸, 아이소프로필, 2-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3-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사이클로펜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고 Y는 수소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중, X 및 Y는 서로 연결되어 이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 피페리딘을 형성할 수 있다. X 및 Y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피페리딘은 예컨대 도 1의 B에서 화합물 b와 같은 구조이다.
상기 치환된 페닐은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5-클로로-2-메틸페닐, 2-에틸페닐, 4-에틸페닐, 2-메톡시페닐, 3-메톡시페닐, 2,5-디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3-에톡시페닐, 4-(에톡시카보닐)페닐, 3-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또는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할로겐, 메톡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중, R1 및 R2는 서로 연결되어 1,3-디옥솔란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B에서 화합물 d와 같은 구조이다.
상기 화학식 1 중, R1은 수소이고 R2는 Br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m-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5-oxo-1-thioxo-N-(m-tol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
메틸 3-((3-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methyl 3-((3-fluorophenyl)carbamo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8-carboxylate, TTQC-2);
에틸 4-(8-클로로-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복사미도)벤조에이트(ethyl 4-(8-chloro-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o)benzoate, TTQC-3);
8-클로로-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chloro-N-(2-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4);
7-클로로-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chloro-N-(2-meth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5);
7-브로모-N-아이소프로필-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isoprop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6);
N-(5-클로로-2-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N-(5-chloro-2-methylphenyl)-7-meth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7);
메틸 3-((2-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methyl 3-((2-chlorobenzyl)carbamo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8-carboxylate, TTQC-8);
7-클로로-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chloro-N-(2,4-dim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9);
7-브로모-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2,4-dim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0);
7-메틸-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methyl-5-oxo-1-thioxo-N-(o-tol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1);
N-(5-클로로-2-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 -3-카르복사미드(N-(5-chloro-2-m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1,3]dioxolo[4,5-g]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2);
메틸 3-((2,4-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methyl 3-((2,4-difluorophenyl)carbamo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8-carboxylate, TTQC-13);
7-브로모-N-(4-메틸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4-methylbenz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4);
7-브로모-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2,5-dimeth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5);
7-브로모-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4,5-디하이드로-1H-[1,3]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5-Oxo-N-((Tetrahydrofuran-2-yl)methyl)-1-thioxo-4,5-dihydro-1H-[1,3]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6);
N-(5-클로로-2-메틸페닐)-7,8-디메톡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N-(5-chloro-2-methylphenyl)-7,8-dimethoxy-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7);
N-(2,5-디메톡시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N-(2,5-dimethoxyphenyl)-7-meth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8);
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N-(2-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1,3]dioxolo[4,5-g]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19);
7-브로모-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2-chlorobenz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0);
7-클로로-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chloro-N-(2-chlorobenz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1);
7,8-디메톡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8-dimethoxy-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2);
8-클로로-N-사이클로펜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chloro-N-cyclopent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3);
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N-(2-meth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1,3]dioxolo[4,5-g]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4);
8-클로로-N-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chloro-N-meth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
N-(4-브로모-2-플루오로페닐)-8-클로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N-(4-bromo-2-fluorophenyl)-8-chloro-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6);
7-클로로-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chloro-5-oxo-N-((tetrahydrofuran-2-yl)meth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7);
7-클로로-N-(2-에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chloro-N-(2-eth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8);
8-클로로-N-(3-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chloro-N-(3-methoxybenz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29);
7-브로모-3-(피페리딘-1-카르보닐)-1-싸이옥소-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5(4H)-온(7-bromo-3-(piperidine-1-carbonyl)-1-thioxo-1H-thiazolo[3,4-a]quinazolin-5(4H)-one, TTQC-30);
N-(2,4-디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N-(2,4-dimethylphenyl)-7-meth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31);
7-브로모-N-(4-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4-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32);
8-클로로-N-(4-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chloro-N-(4-methoxybenz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33);
8-클로로-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chloro-N-(2,5-dimeth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TTQC-34);
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101);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methyl-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102);
8-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chloro-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103);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8-bromo-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104);
7-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methyl-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105);
7-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chloro-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106);
7-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107);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5-oxo-1-thioxo-N-(o-tol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01);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p-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5-oxo-1-thioxo-N-(p-tol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03);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3-meth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04);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3-hydr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05);
7-브로모-N-(3-플루오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3-fluoro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06);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N-(3-chloro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07);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5-oxo-1-thioxo-N-(3-(trifluoromethyl)phen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08);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7-bromo-5-oxo-1-thioxo-N-(3-(trifluoromethoxy)phen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09);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N-(3,5-bis(trifluoromethyl)phenyl)-7-bromo-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화합물 210).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m-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플루오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보다 더 구체적으로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m-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플루오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상기 화합물 TTQC-1 내지 TTQC-34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5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6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7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8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09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0
.
상기 화합물 101 내지 107, 201 및 203 내지 21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2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3
.
상기 과민성 방광은 요로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질환이 없으면서 절박성 요실금(소변이 마려우면 참지 못하고 지리는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요절박(urinary urgency,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이 있으면서 빈뇨와 야간뇨가 동반되는 질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BKCa 채널을 활성화하여 방광 평활근 이완을 유도하고 방광 평활근의 과도한 주기성 수축을 방지할 수 있어,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질병 증상의 정도,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일 당 0.01-2000 mg/kg(체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입, 피하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하는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4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BKCa 채널을 활성화하여 방광 평활근 이완을 유도하고 방광 평활근의 과도한 주기성 수축을 방지할 수 있어, 배뇨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 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 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상기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함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영양제의 용도로 경구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되는 경우, 하루 섭취량은 5000m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루 섭취량이 2000m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하루 섭취량이 1000mg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캡슐제 또는 정제로 제제화하는 경우, 1일 1회 1정을 물과 함께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5
.
상기 화학식 2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할로겐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R1은 수소이고 R2는 Br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중,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하이드록시, 메톡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p-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플루오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예
제조예 1. 1-thioxo-1H-thiazolo[3,4-a]quinazolin-5(4H)-one derivatives (화합물 3 내지 5)의 제조
(1)제조과정
[반응식 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6
1-싸이옥소-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5(4H)-온 유도체(화합물 3, 4 및 5)는 반응식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메틸 2-아미노벤조에이트 1은 티오포스겐으로 처리하여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중간체 2를 생성한 다음, 메틸 2-시아노아세테이트 및 황으로 고리화하여 상응하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그 다음, 에스테르는 염기성 조건 하에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화합물 3으로 가수분해되었다. 카르복실산 화합물 3과 HATU 및 암모니아 용액의 아미드 커플링 반응으로 1차 아미드 화합물 4가 형성되었다. 카르복실산 3과 벤질라민의 EDCI 커플링은 벤질 아미드 화합물 5 형성되었다.
시약 및 조건: (a) thiophosgene, triethylamine, THF, 0℃ to 25℃, 1 h; (b) methyl 2-cyanoacetate, sulfur, triethylamine, DMF, 50℃, 1 h; (c) NaOH, THF, H2O, 25℃, 12 h; (d) 7M NH3 in MeOH, HATU, 1-Hydroxybenzotriazole, DIPEA, DMF, 25℃, 24 h; (e) benzylamine, EDCI, 1-Hydroxybenzotriazole, DIPEA, CH2Cl2, 25℃, 18 h.
(2) 화합물 3 (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ylic acid)의 제조
Step 1)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메틸 2-아미노-5-브로모벤조에이트(1.27g, 8.40mmol) 및 트리에틸아민(2.34mL, 16.80mmol)을 혼합한 용액을 0℃로 냉각한 다음 순수 티오포스겐(0.68mL, 8.82 mmol)을 적가하여 처리하였다. Ice bath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NaHCO3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오일인 메틸 2-아이소싸이오시아네이토벤조에이트 (화합물 2)(1.6g, 99%)를 수득하였다. 화합물 2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Step 2) DMF에 메틸 2-아이소싸이오시아네이토벤조에이트(화합물 2)(1.6g, 8.28mmol)이 교반된 용액에 메틸 2-시아노아세테이트(820mg, 8.28mmol), 황(265mg, 8.28mmol) 및 트리메틸아민(1.722mL, 12.42mmol)을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 도달하게 하고, 얼음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3% v/v 용액)으로 산성화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여과 및 수집하고 에탄올로 세척하여 황색 고체의 메틸 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1.53g, 63%).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메틸 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실레이트 (1.42 g, 4.86 mmol)이 혼합된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1N 염산으로 pH 2-3으로 산성화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하여 옅은 노란색 고체인 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실산(화합물 3)(570 mg, 42 %)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0.82 (s, 1H), 10.57 (d, J = 8.9 Hz, 1H), 8.23 (dd, J = 7.8, 1.7 Hz, 1H), 7.95-7.91 (m, 1H), 7.70 (t, J = 7.5 Hz, 1H)
(3) 화합물 4 (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의 제조
DMF 중 화합물 3(50mg, 0.18mmol)에 HATU(171mg, 0.45mmol), HOBt(41mg, 0.27mmol) 및 N,N-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0.11mL, 0.63mmol)을 혼합하여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MeOH에 7M NH3(30 mg, 1.80 mmol)를 적가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반응을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포화 NaHCO3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를 (27 mg, 54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0.70 (dd, J = 8.4, 0.8 Hz, 1H), 8.83 (d, J = 3.8 Hz, 1H), 8.13 (dd, J = 7.6, 1.9 Hz, 1H), 7.67-7.62 (m, 1H), 7.52 (td, J = 7.4, 1.0 Hz, 1H), 7.22 (d, J = 3.8 Hz, 1H)
(4) 화합물 5 (N-benz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의 제조
디클로로메탄에 화합물 3(50mg, 0.18mmol)이 혼합된 용액에 벤질아민(23mg, 0.22mmol), EDCI(86mg, 0.45mmol), HOBt(41mg, 0.27mmol) 및 N,N-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0.11) mL, 0.63mmol)을 첨가하고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인 N-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10mg, 15%)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11.57 (s, 1H), 10.60 (d, J = 8.2 Hz, 1H), 8.34 (dd, J = 7.8, 1.7 Hz, 1H), 7.79-7.74 (m, 1H), 7.59-7.55 (m, 1H), 7.38-7.28 (m, 5H), 5.46 (s, 1H), 4.57 (d, J = 5.8 Hz, 2H)
제조예 2. 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유도체(화합물 TTQC-1, 화합물 101 내지 107, 201 및 203 내지 210)의 제조
(1) 제조과정
[반응식 2]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7
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유도체는 반응식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아닐린 유도체(화합물 6a 내지 6k)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시아노아세트산(화합물 7)을 결합하여 시아노-아세트아미드 중간체(화합물 8)를 제조하였다. 다양한 아미드 유도체(101 내지 107 및 201 내지 210)는 반응식 2에 표시된 절차에 따라 메틸 2-아미노벤조에이트 유도체로부터 두 단계로 얻어졌다. 1차 아민인 화합물 9a 내지 9g는 아이소싸이오시아네이트 중간체 (화합물 10)로 전환되었다. 그 후, 시아노아세트아미드(화합물 8) 및 황을 사용한 중간체(화합물 10)의 고리화를 통해 고리 폐쇄 화합물(화합물 TTQC-1, 화합물 101 내지 107, 201 및 203 내지 210)을 얻었다.
시약 및 조건: (a) EDCI, 1-Hydroxybenzotriazole, DIPEA, CH2Cl2, 25℃, 18 h; (b) thiophosgene, triethylamine, THF, 0℃ to 25℃, 1 h; (c) sulfur, triethylamine, DMF, 50℃, 1 h.
(2) 화합물 8의 제조
디클로로메탄에 아닐린(화합물 6a-6k)(1.0 당량), 2-시아노아세트산(화합물 7), EDCI(2.5 당량), HOBt(1.5 당량) 및 N, N-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3.5 당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반응을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포화 NaHCO3용액으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켰다. 미정제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을 얻었다.
(3) 화합물 TTQC-1, 화합물 101 내지 107, 201 및 203 내지 210의 제조
Step 1)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아닐린(화합물9a-9g) 및 트리에틸아민(2.0 당량)를 혼합한 혼합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순수한 티오포스겐(1.05 당량)을 적가하여 처리하였다. Ice bath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반응을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수용액(saturated aqueous sodium bicarbonate)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및 감압하에 농축하여 아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isothiocyanatobenzene, 화합물 10)을 얻었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Step 2) DMF에 화합물 10 및 이에 상응하는 시아노아세트아미드 (화합물 8)(1.0 당량), 황(1.0 당량) 및 트리메틸아민(1.5 당량)의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 도달하게 하고, 얼음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3% v/v 용액)으로 산성화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로 세척하여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 제조된 화합물의 NMR 데이터
1) 화합물 TTQC-1(7-bromo-5-oxo-1-thioxo-N-(m-tol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54 mg, 16 %). 1H NMR (400MHz, DMSO-d6) δ 10.56 (d, J = 9.2 Hz, 1H), 10.18 (s, 1H), 8.23 (d, J = 2.4 Hz, 1H), 8.09 (dd, J = 9.2, 2.4 Hz, 1H), 7.47 (s, 1H), 7.44 (d, J = 8.2 Hz, 1H), 7.23 (t, J = 7.8 Hz, 1H), 6.94 (d, J = 7.3 Hz, 1H), 2.30 (s, 3H)
2) 화합물 101 (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H NMR (400MHz, DMSO-d6) δ 11.48 (s, 1H), 10.67 (d, J = 8.4 Hz, 1H), 8.20 (dd, J = 8.0, 1.9 Hz, 1H), 7.76-7.73 (m, 1H), 7.60 (q, J = 6.9 Hz, 3H), 7.34 (t, J = 7.6 Hz, 2H), 7.06 (t, J = 7.2 Hz, 1H)
3) 화합물 102 (8-methyl-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H NMR (400MHz, DMSO-d6) δ 10.49 (s, 1H), 10.12 (s, 1H), 8.10 (d, J = 7.6 Hz, 1H), 7.64 (d, J = 7.6 Hz, 2H), 7.50 (d, J = 7.6 Hz, 1H), 7.36 (t, J = 8.0 Hz, 2H), 7.14 (t, J = 7.6 Hz, 1H), 2.49 (s, 3H)
4) 화합물 103 (8-chloro-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H NMR (400MHz, DMSO-d6) δ 10.82 (s, 1H), 10.21 (s, 1H), 8.20 (d, J = 8.2 Hz, 1H), 7.77 (dd, J = 8.5, 1.8 Hz, 1H), 7.65 (d, J = 7.6 Hz, 2H), 7.37 (t, J = 7.8 Hz, 2H), 7.15 (t, J = 7.5 Hz, 1H)
5) 화합물 104 (8-bromo-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H NMR (400MHz, DMSO-d6) δ 10.96 (d, J = 1.9 Hz, 1H), 10.24 (s, 1H), 8.12 (d, J = 8.4 Hz, 1H), 7.91 (dd, J = 8.4, 1.9 Hz, 1H), 7.65 (d, J = 7.6 Hz, 2H), 7.37 (t, J = 7.8 Hz, 2H), 7.15 (t, J = 7.4 Hz, 1H)
6) 화합물 105 (7-methyl-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H NMR (400MHz, methanol-d4) δ 10.54 (d, J = 8.5 Hz, 1H), 8.00 (d, J = 1.8 Hz, 1H), 7.75 (dd, J = 8.7, 1.1 Hz, 2H), 7.42 (dd, J = 8.5, 1.8 Hz, 1H), 7.34-7.30 (m, 2H), 7.06 (t, J = 7.5 Hz, 1H), 2.42 (s, 3H)
7) 화합물 106 (7-chloro-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H NMR (400MHz, DMSO-d6) δ 10.83 (d, J = 1.9 Hz, 1H), 10.25 (s, 1H), 8.21 (d, J = 8.4 Hz, 1H), 7.78 (dd, J = 8.4, 1.9 Hz, 1H), 7.65 (d, J = 7.6 Hz, 2H), 7.37 (t, J = 7.8 Hz, 2H), 7.15 (t, J = 7.2 Hz, 1H)
8) 화합물 107 (7-bromo-5-oxo-N-phenyl-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H NMR (400MHz, DMSO-d6) δ 10.59 (d, J = 9.5 Hz, 1H), 10.39 (s, 1H), 8.24 (d, J = 2.1 Hz, 1H), 8.09 (dd, J = 9.2, 2.1 Hz, 1H), 7.64 (d, J = 8.5 Hz, 2H), 7.37 (t, J = 7.8 Hz, 2H), 7.13 (t, J = 7.3 Hz, 1H)
9) 화합물 201 (7-bromo-5-oxo-1-thioxo-N-(o-tol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78 mg, 24 %). 1H NMR (400MHz, methanol-d4) δ 11.47 (s, 1H), 10.71 (d, J = 9.2 Hz, 1H), 8.32 (d, J = 2.4 Hz, 1H), 7.85-7.84 (m, 1H), 7.73 (dd, J = 9.3, 2.6 Hz, 1H), 7.22 (d, J = 7.3 Hz, 1H), 7.16 (t, J = 7.6 Hz, 1H), 7.03 (t, J = 7.5 Hz, 1H), 2.47 (s, 3H)
10) 화합물 203 (7-bromo-5-oxo-1-thioxo-N-(p-tol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209 mg, 64 %). 1H NMR (400MHz, DMSO-d6) δ 10.59 (d, J = 9.5 Hz, 1H), 10.28 (s, 1H), 10.14-10.46 (1H), 8.25 (d, J = 2.3 Hz, 1H), 8.10 (d, J = 9.2 Hz, 1H), 7.52 (d, J = 8.4 Hz, 2H), 7.17 (d, J = 8.4 Hz, 2H), 2.28 (s, 3H)
11) 화합물 204 (7-bromo-N-(3-meth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206 mg, 43 %). 1H NMR (400MHz, DMSO-d6) δ 10.57 (d, J = 9.2 Hz, 1H), 10.25 (s, 1H), 8.24 (d, J = 2.4 Hz, 1H), 8.10 (dd, J = 9.3, 2.6 Hz, 1H), 7.32 (s, 1H), 7.28-7.22 (m, 2H), 6.70 (td, J = 4.7, 2.3 Hz, 1H), 3.75 (s, 3H)
12) 화합물 205 (7-bromo-N-(3-hydroxy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60 mg, 36 %). 1H NMR (400MHz, DMSO-d6) δ 10.59 (d, J = 9.2 Hz, 1H), 10.18 (s, 1H), 9.51 (s, 1H), 8.25 (d, J = 2.4 Hz, 1H), 8.11 (dd, J = 9.2, 2.4 Hz, 1H), 7.20 (s, 1H), 7.14 (t, J = 7.9 Hz, 1H), 7.06 (d, J = 8.2 Hz, 1H), 6.55-6.53 (m, 1H)
13) 화합물 206 (7-bromo-N-(3-fluoro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12 mg, 37 %). 1H NMR (400MHz, DMSO-d6) δ 10.57 (d, J = 9.2 Hz, 1H), 10.47 (s, 1H), 8.25 (d, J = 2.4 Hz, 1H), 8.11 (dd, J = 9.3, 2.6 Hz, 1H), 7.63 (dt, J = 11.6, 2.1 Hz, 1H), 7.46-7.37 (m, 2H), 6.99-6.94 (m, 1H)
14) 화합물 207 (7-bromo-N-(3-chlorophenyl)-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03 mg, 23 %). 1H NMR (400MHz, DMSO-d6) δ 10.57 (d, J = 9.2 Hz, 1H), 10.46 (s, 1H), 8.25 (s, 1H), 8.10 (dd, J = 9.3, 2.6 Hz, 1H), 7.83 (s, 1H), 7.59 (d, J = 7.6 Hz, 1H), 7.39 (t, J = 8.1 Hz, 1H), 7.19 (d, J = 7.9 Hz, 1H)
15) 화합물 208 (7-bromo-5-oxo-1-thioxo-N-(3-(trifluoromethyl)phen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80 mg, 20 %). 1H NMR (400MHz, DMSO-d6) δ 12.25 (s, 1H), 10.68 (d, J = 9.2 Hz, 1H), 8.23 (d, J = 2.3 Hz, 1H), 8.15 (s, 1H), 7.90 (dd, J = 9.2, 3.1 Hz, 1H), 7.68 (d, J = 8.4 Hz, 1H), 7.58 (t, J = 7.6 Hz, 1H), 7.38 (d, J = 7.6 Hz, 1H)
16) 화합물 209 (7-bromo-5-oxo-1-thioxo-N-(3-(trifluoromethoxy)phenyl)-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57 mg, 15 %). 1H NMR (400MHz, DMSO-d6) δ 10.57 (d, J = 9.2 Hz, 1H), 10.52 (s, 1H), 8.25 (d, J = 2.7 Hz, 1H), 8.11 (dd, J = 9.2, 2.7 Hz, 1H), 7.80 (s, 1H), 7.66 (d, J = 8.0 Hz, 1H), 7.50 (t, J = 8.2 Hz, 1H), 7.13 (d, J = 8.0 Hz, 1H)
17. 화합물 210 (N-(3,5-bis(trifluoromethyl)phenyl)-7-bromo-5-oxo-1-thioxo-4,5-dihydro-1H-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
yellow solid (19 mg, 5 %). 1H NMR (400MHz, methanol-d4) δ 10.74 (d, J = 9.2 Hz, 1H), 8.54 (s, 2H), 8.34 (d, J = 2.4 Hz, 1H), 7.76 (dd, J = 9.3, 2.6 Hz, 1H), 7.53 (s, 1H)
실시예 1. 화합물 TTQC-1 내지 TTQC-34의 BKCa활성화 효과
1.1 재료 및 방법
1) 재료
G-단백질 결합 수용체 표적화 화학 라이브러리(9,938 화합물)는 KRICT 화합물 은행(Chemical Bank of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대한민국 대전)에서 제공받았다.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99.7%)는 Sigma Aldrich(St. Louis, Missouri, USA)에서 구입했으며 solifenacin succinate(≥ 98%)는 Merck(Darmstadt, Hessen,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PEG 400(폴리에틸렌 글리콜 400)은 삼천화학(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였다.
생체 내 연구(In vivo)에 사용하기 위한 TTQC-1은 광주과학기술원의 실험실에서 합성되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시약은 Sigma Aldrich, TCI(Tokyo, Japan) 및 Alfa Aesar(Haverhill, MA, USA)에서 구입했으며 추가 정제 없이 사용했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는 Merck에서 구입한 실리카겔(silica gel 60, F-254, 0.25 nm)이 미리 코팅된 유리판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된 물질의 동정은 UV 램프(254 nm, 365 nm)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반응물의 정제를 위해 실리카겔 등급 9385(230-400 메쉬; Merck)를 사용하여 컬럼을 채웠다. 합성된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400MHz에서 JEOL JNM-ECS400 분광계에서 1H NMR 스펙트럼을 실행했다.
2) 세포 배양 및 세포 기반 형광 분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EK 293 세포주의 유도체이자, 과활성 돌연변이 BKCa 채널(hSlo G803D/N806K)을 안정적으로 발현하여 효과를 민감하게 감지(Lee et al., 2013)하는 AD 293 cells을 10% 소 태아 혈청(Hyclone)이 보충된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Hyclone , Logan, Utah, UK)에서 배양했으며 1 mg/mL의 제네티신(Gibco, Amarillo, TX, USA)으로 selection하였다. 폴리-D-라이신(Gibco)으로 코팅된 96-well clear-bottom black plate(Corning, New York, NY, USA)에 well 당 20,000개의 세포를 시딩하였다. 세포 기반 형광 assay인 FluxOR Potassium Ion Channel Assay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BKCa 채널 활성을 측정했다. 실험 절차는 제조업체의 지침을 따랐다. 세포에 15분 동안 검정 완충액에 용해된 시험 화합물을 처리하였다. FlexStation3 다중 모드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olecular Devices, Silicon Valley, CA, USA) 및 SoftMax Pro(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였다. Excitation과 emission 파장은 각각 485 nm 및 528 nm로 설정되었다. 형광 신호를 120초 동안 2초마다 획득하고 relative fluorescence unit(RFU)으로 정규화했다. 채널 자극 후 80초의 RFU 변화(ΔRFU)를 분석하여 채널 활성화제의 효능을 결정하였다.
3) 상보적 RNA의 합성 및 주입
rat KCNMA(rSlo α)(GenBank AF135265.1), KCNMB1(rSlo β1)(GenBank FJ154955.1) 및 KCNMB4(rSlo β4)(GenBank AY028605)의 complete coding sequence(CDS)는 pNBC2.0 또는 pNBC2.0으로 서브클로닝되었다. 이러한 벡터는 Xenopus 난모세포에서 발현되도록 설계되었다(Ha, T. S., Lim, H. H., Lee, G. E., Kim, Y. C., & Park, C. S. (2006).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enzofuroindole-induced potentiation of large-conductance Ca2+-activated K+ channels. Mol Pharmacol, 69(3), 1007-1014). 플라스미드를 NotI에 의해 선형화하고 Ambion T7 mMESSAGE mMACHINE 키트(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상보적 RNA(cRNA)를 합성하였다. Xenopus laevis(KXRCR000001)는 한국 Xenopus Resource Center for Research(한국 강원도 춘천시)에서 입수하였다. Ⅴ-Ⅵ기의 난모세포는 X. laevis의 난소엽에서 외과적으로 추출되었다. 난포 세포층은 콜라겐분해효소를 함유한 Ca2+가 없는 난모세포 Ringer' 배지(86mM NaCl, 1.5mM KCl, 2mM MgCl2 및 10mM HEPES, pH 7.6)에서 실온으로 1.5시간 동안 배양함으로써 제거되었다. 난포층이 없는 난모세포를 ND-96 배지(96mM NaCl, 2mM KCl, 1.8mM CaCl2, 1mM MgCl2, 5mM HEPES, 50g/mL gentamicin, pH 7.6)로 세척하였다. 준비된 난모세포는 18℃에서 밤새 안정화되었다. cRNA는 마이크로 디스펜서(Drummond Scientific, Broomall, PA, USA)를 사용하여 각 난자(난자당 50ng)에 주입되었다. β 소단위체의 공동 발현을 위해 cRNA를 1:12(α:β)의 몰비로 혼합하여 β 소단위체의 충분한 공동 조립을 유도하였다. cRNA 주입 후 난모세포는 18℃에서 1-3일 동안 ND-96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거시적 전류(Macroscopic current)를 기록하기 전에 미세한 집게를 사용하여 난모세포의 난황막을 완전히 제거했다.
4) 거시적 전류(Macroscopic current)
BKCa 채널의 모든 Macroscopic current 기록은 outside-out 구성에서 gigaohm-seal patch-clamp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Ha et al., 2006). 패치 피펫은 붕규산염 유리(WPI, Sarasota, FL, USA)로 만들어졌으며 3-5MΩ의 저항으로 fire-polished하였다. Axopatch 200B 증폭기(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이온 전류를 증폭했다. 전류는 4극 베셀 필터를 사용하여 1kHz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되었으며 Digidata 1200A 인터페이스(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10 또는 20points/ms의 속도로 디지털화되었다. BKCa 채널은 +100 mV에서 반복된 전압 클램프 또는 10 mV 증분으로 -80 ~ +200 mV 범위의 전압 클램프 펄스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휴지 전위는 -100mV로 유지되었다. 기록 용액은 116mM KOH, 4mM KCl, 10mM HEPES 및 5mM EGTA(pH 7.2)를 포함했다. 세포내 용액은 기록 용액(pH 7.0)에 3μM Ca2+를 함유했다. 3 μM의 농도의 free Ca2+를 얻기 위해 세포 내 용액에 추가될 Ca2+의 총량을 계산하는 데 MaxChelato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5) 전기생리학적 데이터 분석
거시적 전류의 데이터 분석 및 피팅을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 Clampex 8.0(Molecular Device) 및 Origin 9.1(OriginLab Corp., Northampton, MA, USA)이 사용되었다. 외부 전류에서 얻은 전도도-전압(G-V) 곡선은 Boltzmann 방정식 [y = (Gmax - Gmin) / {1 + exp[(V1/2 - x) / k]} + Gmin]에 의해 피팅되었다. 여기서 k는 RT/zF, 여기서 R은 기체 상수, T는 온도, F는 패러데이 상수, z는 게이팅 전하(gating charge)이다. Gmax는 최대 전도도이고 V1/2는 최대의 절반 전도도에 대한 전압이다. 농도 의존적 V1/2 이동은 Hill 방정식 [y = ΔV1/2,max x^n / (EC50^n + x^n)]에 의해 피팅 되었다. 여기서 Δ V1/2,max 는 상수이다. EC50은 겉보기 최대 유효 농도의 절반이고 n은 힐 계수이다. 정의에 따라 겉보기 해리 상수 KD는 EC50^n에 의해 얻어졌다. 지수 방정식 [y = A exp(- x / τ) + C]를 피팅하여 결합 시간 상수(τ association)를 얻었다. 여기서 A와 C는 상수이고 τ는 최대 전류 레벨의 (1 - 1/e)(≒ 63%)에 도달하는 시간이다. 해리 시간 상수(τ dissociation)는 이중 지수 방정식 [y = Afast exp(- x / τ fast) + Aslow exp(- x / τ slow) + C]를 피팅하여 얻었다. BKCa 채널의 게이팅 키네틱(gating kinetic)을 얻기 위하여 활성화(τ 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τ deactivation) 시간 상수는 지수 방정식 [y = A exp(- x / τ) + C]을 피팅하여 각각 외향전류(outward current) 또는 꼬리전류(tail current)로부터 구했다.
6) OAB의 생체내 모델
자발성 고혈압 쥐(Spontaneous hypertensive rats, SHR)는 정상 혈압 대조군인 Wistar-Kyoto 쥐(WKY)보다 훨씬 더 자주 소변을 보기 때문에 OAB의 동물 모델로 사용되었다. 체중 300~350g의 수컷 쥐에게 실험 전 밤새 음식과 물을 제공하지 않고 무작위로 약물 투여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동물에게 2시간 동안 물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한 다음, 시험 물질을 10mL/kg의 vehicle 용액[DMSO:PEG400:증류수 = 5:40:55(v/v)]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을 경구 투여한 후, 쥐를 대사 우리에 넣고 3시간 동안 배뇨 횟수와 소변량을 측정하였다.
7) 통계
데이터는 독립적으로 수행된 실험의 표시된 수에 대한 평균 ± SEM으로 표시된다. 통계적 유의성(p < 0.05)은 세포 기반 형광 분석 및 전기 생리학적 실험에 대한 Student's t-test에 의해 평가되었다. 생체 내 실험의 경우 일원 ANOVA를 수행하였고 Dunnett 테스트를 사후 분석으로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했다.
1.2. 결과
1) 세포 기반 스크리닝을 사용한 신규 BKCa 채널 활성화제의 스크리닝 및 발견
세포 기반 형광 분석을 사용하여 BKCa 채널에 대한 활성화 효과에 대해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했다. BKCa 채널에 상당한 활성화 효과가 있는 유사한 구조의 화합물 그룹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화합물은 vehicle과 비교하여 5μM에서 형광을 1.2-4.1배 증가시켰다(p < 0.05)(도 1 A). 이전에 보고된 BKCa 채널 활성화제 LDD175(Gormemis, A. E., Ha, T. S., Im, I., Jung, K. Y., Lee, J. Y., Park, C. S., & Kim, Y. C. (2005). Benzofuroindole analogues as potent BK(Ca) channel openers. Chembiochem, 6(10), 1745-1748.)는 이 분석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포함되었다. 확인된 화합물의 화학 구조는 아미드 결합과 다양한 작용기에 직접 연결된 퀴나졸린 고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TTQC(thioxo-thiazoloquinazoline-carboxamide) 화합물의 기본 구조는 도 1 B에 표시되어 있으며 분자량 및 활성과 함께 표 1에 나열되어 있다. 구조 C에 해당하는 TTQC-1 화합물은 다른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도 1 의 B에서 구조 c의 R2 위치에 브로모 그룹과 R4 위치에 메틸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 TTQC-1(7-bromo-N-(3-methylphenyl)-5-oxo-1-thioxo-4,5-dihydro[1,3]thiazolo[3,4-a]quinazoline-3-carboxamide)은 LDD175보다 BKCa 채널을 활성화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도 1 A 및 표 1).
하기 표 1은 도 1 B의 화합물 구조에 각 치환기의 정보를 가진다.
화합물 Backbone R1 R2 R3 R4 R5 R6 MW (g/mole) Activity
TTQC-1 c H Br H CH3 H H 446.34 1.06 ± 0.037
LDD175 NA NA NA NA NA NA NA 353.68 1.00 ± 0.058
TTQC-2 c COOCH3 H H F H H 429.44 0.99 ± 0.016
TTQC-3 c Cl H H H COOCH2CH3 H 459.92 0.96 ± 0.095
TTQC-4 c Cl H CH₂CH₃ H H H 415.91 0.95 ± 0.044
TTQC-5 c H Cl OCH3 H H H 417.88 0.90 ± 0.039
TTQC-6 a H Br CH(CH3)2 NA NA NA 398.29 0.90 ± 0.007
TTQC-7 c H CH3 CH3 H H Cl 415.91 0.89 ± 0.020
TTQC-8 e COOCH3 H Cl H H NA 445.89 0.84 ± 0.040
TTQC-9 c H Cl CH3 H CH3 H 415.91 0.84 ± 0.033
TTQC-10 c H Br CH3 H CH3 H 460.36 0.83 ± 0.004
TTQC-11 c H CH3 CH3 H H H 381.47 0.82 ± 0.023
TTQC-12 d NA NA CH3 H H Cl 445.89 0.81 ± 0.130
TTQC-13 c COOCH3 H F H F H 447.43 0.79 ± 0.047
TTQC-14 e H Br H H CH3 NA 460.36 0.76 ± 0.022
TTQC-15 c H Br OCH3 H H OCH3 492.36 0.71 ± 0.038
TTQC-16 a H Br C5H10O NA NA NA 440.33 0.64 ± 0.023
TTQC-17 c OCH3 OCH3 CH3 H H Cl 461.94 0.64 ± 0.033
TTQC-18 c H CH3 OCH3 H H OCH3 427.49 0.63 ± 0.054
TTQC-19 d NA NA CH2CH3 H H H 425.48 0.62 ± 0.021
TTQC-20 e H Br Cl H H NA 480.78 0.62 ± 0.003
TTQC-21 e H Cl Cl H H NA 436.33 0.60 ± 0.012
TTQC-22 c OCH3 OCH3 H H H H 413.47 0.57 ± 0.022
TTQC-23 a Cl H C5H9 NA NA NA 379.88 0.55 ± 0.019
TTQC-24 d NA NA OCH3 H H H 427.45 0.51 ± 0.019
TTQC-25 a Cl H CH3 NA NA NA 325.79 0.50 ± 0.009
TTQC-26 c Cl H F H Br H 484.74 0.49 ± 0.023
TTQC-27 a H Cl C5H10O NA NA NA 395.88 0.47 ± 0.010
TTQC-28 c H Cl OCH2CH3 H H H 476.36 0.45 ± 0.026
TTQC-29 e Cl H H OCH3 H NA 431.91 0.45 ± 0.010
TTQC-30 b H Br NA NA NA NA 424.33 0.37 ± 0.007
TTQC-31 c H CH3 CH3 H CH3 H 395.5 0.34 ± 0.007
TTQC-32 c H Br H H CH2CH3 H 460.36 0.34 ± 0.011
TTQC-33 e Cl H H H OCH3 NA 431.91 0.34 ± 0.009
TTQC-34 c Cl H OCH3 H H OCH3 447.91 0.31 ± 0.008
Vehicle NA NA NA NA NA NA NA NA 0.26 ± 0.061
2) BKCa 채널의 다른 화학 활성화제와 TTQC-1의 비교
다음으로 단일 농도에서 TTQC-1의 활성화 효과를 여러 잘 알려진 BKCa 채널 활성화제인 rottlerin, NS11021, kurarinone 및 LDD175와 비교했다(도 2 A). 이들 화합물은 BKCa 채널에 대해 상당한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TTQC-1은 시험관 내 분석에서 3μM에서 가장 강력한 효과를 나타냈다. TTQC-1의 BKCa 채널 활성화 효과는 LDD175보다 1.6배 더 컸다(도 2 B 및 C).
3) TTQC-1 활성에 대한 BKCa 채널 억제제 팍실린 및 이베리오톡신의 효과
TTQC-1에 의해 매개되는 형광의 증가가 BKCa 채널을 통한 Tl+ 플럭스 때문인지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두 가지 BKCa 채널 차단제인 팍실린과 이베리오톡신이 있는 상태에서 TTQC-1의 효과를 조사했다. 2μM TTQC-1에 의해 유도된 형광 증가는 1μM 팍실린과 0.1μM 이베리오톡신에 의해 제거되었다(도 10). 다음으로, 0.1μM 이베리오톡신을 처리 또는 미처리한 경우 다양한 농도에서 TTQC-1의 활성화 효과를 조사했다. TTQC-1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된 Tl+ 플럭스 및 효과는 시험관 내 분석(In vitro)에서 6 μM에서 포화되었다(도 3 A 및 B). TTQC-1의 효과는 6μM에서 vehicle의 효과보다 4.98 ± 0.05배 더 컸다. 이베리오톡신은 2μM 이하 농도의 TTQC-1 활성화 효과를 없앴지만, TTQC-1 4 μM 이상의 농도는 0.1 μM 이베리오톡신이 있는 상태에서 BKCa 채널을 활성화했다(도 3 C 및 D). 이러한 결과는 TTQC-1의 강화 효과가 이베리오톡신에 의해 비경쟁적으로 억제되고 따라서 TTQC-1과 이베리오톡신이 채널의 동일한 결합 부위에 대해 경쟁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4) BKCa 채널 거시적 전류에 대한 TTQC-1의 영향
시험관 내 분석(In vitro assay) 결과를 기반으로 전기 생리학을 사용하여 BKCa 채널 전류에 대한 TTQC-1의 직접적인 효과를 검증했다. Xenopus oocyte에서 BKCa 채널을 발현하고 막의 outside-out 절개 부분을 채취했다. BKCa 채널의 세포 외측에 TTQC-1을 주입하고 전압 자극 시 이온 전류를 측정했다. 10μM TTQC-1의 관류는 전류를 빠르게 증가시켰고 bath solution의 관류는 TTQC-1의 효과를 사라지게 했다(도 4 A). 활성화된 채널의 약 63.2%에 도달하는 시간인 결합 시간 상수(τassociation)는 단일 지수 방정식으로 피팅되었으며 11.7 ± 1.77초로 추정되었다. 비활성화된 채널의 약 63.2%에 도달하는 시간인 해리 시간 상수 (τdissociation)는 이중 지수 방정식으로 피팅되었고 시간 상수는 빠른 구성 요소(fast component)의 경우 7.8 ± 1.10초 (Afast 0.49 ± 0.064), 느린 구성 요소(slow component)의 경우 136.2 ± 11.24초(Aslow 0.53 ± 0.054)로 측정되었다. 도 4 B는 각 관류 상태에서 대표적인 전류 트레이스를 보여준다(도 4 A의 패널 a-d).
다음으로 BKCa 채널이 탈분극 전위에 의해 활성화되기 때문에 채널 전도도와 막 전압 사이의 관계(G-V 관계)에 대한 TTQC-1의 영향을 조사했다. G-V 관계는 Boltzmann 방정식에 의해 피팅되었고 V1/2 및 Gmax가 계산되었다. TTQC-1은 농도 의존적으로 전류를 증가시키고 G-V 곡선을 음의 전위로 이동시켰다(도 5 A 및 B). 정량적으로, 30μM TTQC-1은 최대 전도도(Gmax)를 vehicle 처리 채널(Go max)에 비해 1.4 ± 0.11배 증가시켰다(도 5 C). 이 결과는 TTQC-1이 있을 때 동일한 전압 자극에서 더 많은 채널이 열려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30μM TTQC-1은 반 활성화 전압(V1/2)을 37.9 ± 7.50mV로 감소시켰으며(도 5 D), 이는 TTQC-1이 있을 때 채널이 더 낮은 전압에서 열렸음을 나타낸다. V1/2 이동은 Hill 방정식에 의해 피팅되었고 겉보기 EC50 값은 2.8μM로 계산되었다. Hill 계수 n은 2.0으로 TTQC-1이 채널에 결합하는 동안 양성 협동성이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5) BKCa 채널 게이팅(gating)에 대한 TTQC-1의 효과
외향전류와 꼬리전류를 지수방정식에 각각 피팅하여 채널개방시간과 채널폐쇄시간을 분석하였다. 채널 활성화 시간 상수(τactivation)는 최대 외향전류의 약 63%에 도달하는 시간이고, 채널 비활성화 시간 상수(τdeactivation)는 최대 꼬리전류의 약 63%가 사라지는 시간이다. BKCa 채널은 최소 100mV의 펄스에서 열리기 시작했다. BKCa 채널에 10μM TTQC-1을 관류했을 때 τactivation는 테스트된 전압 범위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6 A 및 B). 그러나 τdeactivation는 +150mV 후에 크게 증가하여 +200mV에서 최대 5.3배까지 증가했다(도 6 C 및 D). 이러한 결과는 TTQC-1이 채널 개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채널 폐쇄를 지연시켰음을 나타낸다.
6) 베타 소단위체와 함께 발현되는 BKCa 채널의 거시적 전류에 대한 TTQC-1의 효과
BKCa 채널은 발현되고 β 소단위체와 같은 보조 소단위체와 함께 결합된다. β 소단위체의 4가지 하위 유형은 다른 방식으로 채널의 거시적 역학과 겉보기 칼슘 및 전압 민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우선, 방광에서 높게 발현되는 β1 및 β4 소단위체가 있는 상태에서 TTQC-1의 소단위체 의존적 효과를 테스트했다. β1 및 β4 소단위체가 BKCa 채널과 동시 발현될 때 이온 전류의 형태가 변화하였다. 10μM TTQC-1로 β 소단위체가 함께 발현된 BKCa 채널을 처리하면 거시적 전류의 모양이 추가로 변화되었다(도 7 A 및 8 A). TTQC-1은 β1 소단위체와 함께 발현되는 BKCa의 G-V 곡선을 23.0 ± 2.67 mV만큼 왼쪽으로 이동시켰다(도 7 B). TTQC-1은 190mV에서만 τactivation를 변화시켰지만(도 7 C) τdeactivation은 180mV에서 최대 4.6배까지 크게 증가시켰다(도 7 D). BKCa 채널이 β4 소단위체와 공동 발현되었을 때, TTQC-1은 G-V 곡선을 7.12 ± 0.65 mV만큼 왼쪽으로 이동시켰다(도 8 B). TTQC-1은 τactivation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도 8 C), τ deactivation는 170mV에서 최대 3.7배까지 크게 증가했다(도 8 D). 이러한 결과는 G-V 곡선의 이동이 β1 및 β4 소단위체의 공동 발현에 의존했지만 채널 게이팅, τactivation 및 τdeactivation의 시간 상수는 보조 소단위체의 존재에 의해 과도한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준다.
7) 고혈압 쥐의 배뇨에 대한 TTQC-1의 효과
OAB의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TTQC-1의 생체 내(In vivo) 효능을 확인했다. 자발성 고혈압 쥐(Spontaneous hypertensive rats, SHR)는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데 이는 OAB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화합물을 구강으로 투여하고 3시간 동안 배뇨 거동을 기록했다. 정상적으로 소변을 보는 Wistar Kyoto 쥐(Wistar Kyoto rats, WKY)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TTQC-1의 생체내 효능을 M3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시판 OAB 약물인 솔리페나신 숙시네이트(solifenacin succinate)와 비교했다. 자발성 고혈압 쥐(SHR)는 Wistar Kyoto 쥐(WKY)보다 2.1배 더 자주 소변을 보았다. SHR에 10 mg/kg TTQC-1을 투여한 결과 배뇨 사건 수가 8.2에서 WKY에서 관찰된 수와 유사한 3.0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SHR에 5mg/kg의 솔리페나신을 투여하면 배뇨 횟수가 8.2회에서 4.2회로 감소했다. 또한 TTQC-1 투여는 총 소변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도 9).
실시예 2. 화합물 101-107 및 화합물 201-210의 BKCa채널 활성화 및 과민성 방광 치료효과
2.1. 세포기반 형광분석을 통한 화합물 101-107 및 201-210의 BKCa 채널 활성화능 평가
합성된 화합물을 세포 기반 형광 분석을 사용하여 BKCa채널 활성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NS11021을 사용했다. 효과는 채널 활성화의 초기 속도(vi)와 용량-반응 곡선의 피팅 데이터에서 얻은 겉보기 EC50 값을 기반으로 결정되었다. Vi는 채널 개방 시작 시 4초 동안의 변화 값을 의미한다(vi = {RFU(t=24s) - RFU(t=20s)} / 4 s). 또한 6μM에서 ΔRFU(상대 형광 단위)를 측정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표 1-3). ΔRFU는 채널개시 후 80초간의 변화값을 의미하며(ΔRFU = {RFU(t=100s) - RFU(t=20s)} / {RFU(t=100s) veh - RFU(t=20s) veh}), 최대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화합물 3은 중간 정도의 BKa 채널 활성화(6μM에서 vi = 0.38, EC50 = 12.72μM 및 ΔRFU = 1.38)를 보였다. 화합물 4, 5 및 101를 합성하고 BKCa 효능(채널 활성화)에 대해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Compound Structure Initial velocity of channel activation for 4 s (v i ) at 6 μM
(sec -1 )
Apparent EC 50
based on v i
(μM)
Channel activity increase for 80 s (ΔRFU) at 6 μM
3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8
0.38 12.72 1.38
4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19
0.32 NA 0.96
5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0
0.26 NA 1.10
10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1
0.42 NA 1.03
NS1102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2
1.63 14.92 1.86
화합물 101는 채널 활성화를 증가시켰다(6 μM에서 vi = 0.42, 6 μM에서 ΔRFU = 1.03). 화합물 4 및 5는 더 낮은 효능을 나타냈다(각각 6 μM에서 vi = 0.32 및 0.26, 6 μM에서 ΔRFU = 0.96 및 1.10). 이를 기반으로 101의 아닐리드 유사체에 대해 조사했다.
1-thioxo-1H-thiazolo[3,4-a]quinazolin-5(4H)-one에 대한 치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페닐 고리의 8번 위치에 methyl 그룹(화합물 102)과 같은 electron-donating group(EDG)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과 클로로(화합물 103) 또는 브로모(화합물 104)와 같은 electron-withdrawing group(EWG)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들의 BKCa채널 활성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7번 위치에 methyl(화합물 105), chloro(화합물 106), bromo(화합물 107) 기가 도입된 화합물의 BKCa채널 활성화 효과를 평가하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102, 103, 104, 105 및 106는 약간의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6μM에서 vi = 0.23-0.84, 6μM에서 ΔRFU = 1.03-1.56). 화합물 107는 6μM에서 vi = 5.51, EC50 = 12.33μM, ΔRFU 3.83으로 채널 개방 활성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였다. 즉, 1-thioxo-1H-thiazolo[3,4-a]quinazolin-5(4H)-one의 7-bromo 치환기가 BKCa 채널 개방 활성에 상당한 개선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Compound Structure Initial velocity of channel activation for 4 s (v i ) at 6 μM
(sec -1 )
Apparent EC 50
based on v i
(μM)
Channel activity increase for 80 s (ΔRFU) at 6 μM
10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3
0.42 NA 1.03
102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4
0.23 NA 1.06
103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5
0.84 NA 1.56
104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6
0.56 NA 1.25
105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7
0.32 NA 1.16
106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8
0.38 NA 1.18
107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29
5.51 12.33 3.83
NS1102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0
1.63 14.92 1.86
다음으로, tricyclic 시스템에서 7-bromo 치환체인 화합물 107에서 anilide를 변화시킨 여러 유사체를 합성하고 BKCa 활성을 평가하였다(표 4 참조). 화합물 107의 페닐을 ortho-메틸페닐(2-메틸페닐)로 치환한 화합물 201는 채널 활성이 증가했다(6μM에서 vi = 9.40, EC50 = 4.60μM, 6μM에서 ΔRFU = 3.68). 또한, meta―메틸 치환된 화합물 202(6 μM에서 vi = 9.77, EC50 = 5.74 μM, 6 μM에서 ΔRFU = 4.98)가 ortho-메틸 치환된 화합물(201)보다 더 강력하였다. 화합물 TTQC-1의 메타-메틸을 메타-메톡시(화합물 204) 및 메타-히드록시(화합물 205)로 교체하면 활성화가 감소했다(204: 6 μM에서 vi = 6.00, EC50 = 6.60 μM, 6 μM 에서 ΔRFU = 3.35; 205: 6μM에서 vi = 4.03, EC50 = 11.22μM, 6μM에서 ΔRFU = 4.88). 할로겐으로 치환된 화합물 206은 상당한 BKCa 활성 개선을 보였다. 할로겐으로 치환된 화합물 중 meta-trifluoromethyl 화합물 208는 6μM에서 vi= 16.77, EC50= 2.89μM으로 가장 높은 채널 활성 역가를 나타냈다. 화합물 209는 6 μM에서 vi = 14.78, EC50 = 3.82로 화합물 208에 비해 조금 낮은 활성을 보였고,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 210은 6 μM에서 vi= 2.08, EC50 = 17.29 로 더 낮은 활성을 보였다.
Compound Structure Initial velocity of
channel activation for 4 s (v i ) at 6 μM
(sec -1 )
Apparent EC 50
based on v i
(μM)
Channel activity increase for 80 s (ΔRFU) at 6 μM
107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1
5.51 12.33 3.83
20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2
9.40 4.60 3.68
202(=TTQC-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3
9.77 5.74 4.98
203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4
0.71 NA 1.41
204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5
6.00 6.60 3.35
205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6
4.03 11.22 4.88
206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7
12.55 1.14 2.85
207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8
16.12 4.85 3.56
208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39
16.77 2.89 3.35
209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40
14.78 3.82 4.37
210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41
2.08 17.29 2.28
NS1102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42
1.63 14.29 1.86
2.2. 거시적 전류 측정
화합물 208의 BKCa 활성화를 관찰하기 위해, 패치 클램프 기록을 사용하여 거시적 전류를 직접 측정했다. 208의 관류는 10μM의 단일 농도에서 BKCa 채널의 전도도-전압 관계 곡선 곡선을 왼쪽으로 이동했다(도 16 A 및 B). Boltzmann 함수 피팅된 반 활성화(V1/2)에서의 전압은 42.6 ± 7.35 mV만큼 왼쪽으로 이동되어 채널이 화합물 208(도 16 C)의 존재하에 하부 막 탈분극에서 더 쉽게 개방됐음을 나타낸다. BKCa 채널은 과분극된 막 전위에서 닫히고 탈분극된 막 전위에 의해 활성화되기 때문에 화합물 208 존재시 더 작은 전압 자극으로 채널이 활성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V1/2는 Nernst 방정식, ΔG = - zFV1/2. 따른 채널 활성화 Gibbs 자유 에너지(ΔG)와 관련되어있다. 왼쪽으로 이동된 음의 ΔV1/2는 ΔG의 감소를 나타내며 채널 활성화는 208 결합(-1.92 kcal/mol)에 의해 더 안정화됨을 보여준다. 최대 전도도(Gmax)는 vehicle 처리군에 비해 1.5 ± 0.11배 증가하여 채널 개방 가능성 또는 단일 채널 전도도의 증가를 의미한다(도 16 D).
2.3. 채널 게이팅 역학(channel gating kinetics)에 대한 화합물 208의 영향
채널 게이팅 역학(channel gating kinetics)에 대한 화합물 208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전압 자극이 있는 외향 전류 및 전압 자극 없는 꼬리 전류의 지수 방정식을 사용하여 활성화(τ activation) 및 비활성화(τ deactivation) 시간 상수를 각각 유도했다. τ activation 및 τ deactivation 모두 화합물 208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이것은 화합물 208 결합으로 인해 채널 개방이 단축되었고 채널 폐쇄가 지연되었음을 나타낸다(도 17 참조).
2.4. 과민성 방광 In vivo 치료 효과
경구 투여 후 OAB 증상이 있는 자발성 고혈압 쥐(SHR)에서 12시간의 생체 내 치료 효과를 조사했다. Wistar-Kyoto 쥐(WKY)는 건강한 동물 대조군으로 사용되었으며 배뇨 빈도는 WKY에 비해 SHR에서 2.8배 이상 증가했다. 화합물 208는 SHR(50mg/kg)의 배뇨 빈도를 33% 감소시켰으며, 이는 정상 그룹의 배뇨 빈도에 상당히 근접한 수치이다(도 18 참조).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43
    (식 중, X는 메틸, 아이소프로필, 2-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3-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사이클로펜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고 Y는 수소 또는 X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피페리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할로겐, 메톡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이거나 R1 및 R2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1,3-디옥솔란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페닐은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5-클로로-2-메틸페닐, 2-에틸페닐, 4-에틸페닐, 2-메톡시페닐, 3-메톡시페닐, 2,5-디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3-에톡시페닐, 4-(에톡시카보닐)페닐, 3-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또는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이고 상기 R2는 Br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m-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메틸 3-((3-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
    에틸 4-(8-클로로-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복사미도)벤조에이트;
    8-클로로-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아이소프로필-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메틸 3-((2-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
    7-클로로-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 -3-카르복사미드;
    메틸 3-((2,4-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
    7-브로모-N-(4-메틸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4,5-디하이드로-1H-[1,3]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7,8-디메톡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5-디메톡시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8-디메톡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사이클로펜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4-브로모-2-플루오로페닐)-8-클로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에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3-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3-(피페리딘-1-카르보닐)-1-싸이옥소-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5(4H)-온;
    N-(2,4-디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4-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4-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p-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플루오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하는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44
    (식 중, X는 메틸, 아이소프로필, 2-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3-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사이클로펜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고 Y는 수소 또는 X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피페리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할로겐, 메톡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이거나 R1 및 R2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1,3-디옥솔란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페닐은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5-클로로-2-메틸페닐, 2-에틸페닐, 4-에틸페닐, 2-메톡시페닐, 3-메톡시페닐, 2,5-디메톡시페닐, 2-에톡시페닐, 3-에톡시페닐, 4-(에톡시카보닐)페닐, 3-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또는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인,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이고 상기 R2는 Br인,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청구항 5에 있어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배뇨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m-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메틸 3-((3-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
    에틸 4-(8-클로로-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복사미도)벤조에이트;
    8-클로로-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아이소프로필-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메틸 3-((2-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
    7-클로로-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4-디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 -3-카르복사미드;
    메틸 3-((2,4-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8-카르복실레이트;
    7-브로모-N-(4-메틸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4,5-디하이드로-1H-[1,3]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5-클로로-2-메틸페닐)-7,8-디메톡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5-디메톡시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클로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8-디메톡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사이클로펜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2-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1,3]디옥솔로[4,5-g]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N-(4-브로모-2-플루오로페닐)-8-클로로-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1-싸이오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N-(2-에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3-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3-(피페리딘-1-카르보닐)-1-싸이옥소-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5(4H)-온;
    N-(2,4-디메틸페닐)-7-메틸-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4-에틸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4-메톡시벤질)-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N-(2,5-디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클로로-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o-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p-톨릴)-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플루오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9.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2]
    Figure PCTKR2022006678-appb-img-000045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할로겐이고,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하이드록시, 메톡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이고 R2는 Br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메틸-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8-브로모-5-옥소-N-페닐-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메톡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하이드록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N-(3-클로로페닐)-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N-(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및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7-브로모-5-옥소-1-싸이옥소-4,5-디하이드로-1H-싸이아졸로[3,4-a]퀴나졸린-3-카르복사미드.
PCT/KR2022/006678 2021-12-13 2022-05-10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1131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77953 2021-12-13
KR10-2021-0177953 2021-12-13
KR1020220054412A KR20230089517A (ko) 2021-12-13 2022-05-02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054412 2022-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114A1 true WO2023113114A1 (ko) 2023-06-22

Family

ID=8677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678 WO2023113114A1 (ko) 2021-12-13 2022-05-10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1311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5805A1 (en) * 2006-03-13 2009-07-0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Neuraminid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20150284387A1 (en) * 2014-04-04 2015-10-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mcl-1 and uses thereof
US20200222416A1 (en) * 2017-06-30 2020-07-16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stk1-targeted small molecules as antibiotic resistance break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5805A1 (en) * 2006-03-13 2009-07-0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Neuraminid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20150284387A1 (en) * 2014-04-04 2015-10-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mcl-1 and uses thereof
US20200222416A1 (en) * 2017-06-30 2020-07-16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stk1-targeted small molecules as antibiotic resistance break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NT SASHI, ASTHANA SHAILENDRA, MISSIAKAS DOMINIQUE, PANCHOLI VIJAY: "A novel STK1-targeted small-molecule as an "antibiotic resistance breaker" against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CIENTIFIC REPORTS, vol. 7, no. 1, XP093072602, DOI: 10.1038/s41598-017-05314-z *
LIM DONG HOON, MOON HYOUNG YOON, RHO JOON, KIM CHEOL SUNG: "Isol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the Urinary Trac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 KOREAN JOURNAL OF UROGENITAL TRACT INFECTION INFLAMMATION, vol. 3, no. 2, 1 October 2008 (2008-10-01), pages 208 - 214, XP093072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310508B2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6032120A1 (ko) 신규한 아미노-페닐-설포닐-아세테이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1256861A1 (ko) 신규한 산 분비 억제제 및 이의 용도
WO2017142325A1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제인 신규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
WO2012115479A2 (en) Diaminopyrimidine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11021864A2 (ko) 신규한 항암제 보조용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보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EP2941418A1 (en) N1-cyclic amine-n5-substituted biguanide derivatives,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010611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s
WO2015026172A1 (ko) 세포괴사 저해제로서의 인돌아미드 화합물
WO2011122815A2 (en) Novel quinoxaline derivatives
WO2023113114A1 (ko)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096416A1 (ko) Yap-tead 결합을 저해하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23085785A1 (ko) 글루타이미드 모핵을 갖는 이소인돌리논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0032986A2 (ko) 신규 5-(4-아미노페닐)-이소퀴놀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f 키나제의 과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80765A1 (ko) 신규 옥사다이아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1230710A1 (ko) 신규 ido/tdo 억제제, 그의 항암 용도, 그의 항암 병용 요법
WO2015016511A1 (ko) 신규한 바이페닐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066573A1 (ko)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자가면역질환 치료 용도
WO2022119090A1 (ko)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1112626A1 (ko) 신규한 인디루빈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5026170A1 (ko) 세포괴사 저해제로서의 인돌 화합물
WO2023038481A1 (ko) Stat3 저해제로서 헤테로아릴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8194372A1 (ko) 신규 sirt 1 활성화제 및 이의 의학적 용도
WO2019235894A1 (ko) Aimp2-dx2와 k-ras의 결합을 저해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형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aimp2-dx2와 k-ras의 결합을 저해하는 신규 화합물
WO2022211518A1 (ko) 신규 화합물 및 이의 건선, 천식 또는 전신홍반루푸스의 치료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075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69745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