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97342A1 -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20197342A1 WO2020197342A1 PCT/KR2020/004266 KR2020004266W WO2020197342A1 WO 2020197342 A1 WO2020197342 A1 WO 2020197342A1 KR 2020004266 W KR2020004266 W KR 2020004266W WO 2020197342 A1 WO2020197342 A1 WO 2020197342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toothpaste
- toothpaste composition
- composition
- present
- thicken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0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8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3
- -1 fatty acid ester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551 dentifri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JUNWLZAGQLJVLR-UHFFFAOYSA-J calcium di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O-]P([O-])(=O)OP([O-])([O-])=O JUNWLZAGQLJVLR-UHFFFAOYSA-J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40043256 calcium pyrophosph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9821 dicalcium diphosph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9982 sodium hexametaphosph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588 hydroxylapa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YJRXVWERLGGKC-UHFFFAOYSA-D pentacalcium;hydroxide;triphosphate Chemical compound [OH-].[Ca+2].[Ca+2].[Ca+2].[Ca+2].[Ca+2].[O-]P([O-])([O-])=O.[O-]P([O-])([O-])=O.[O-]P([O-])([O-])=O XYJRXVWERLGGKC-UHFFFAOYSA-D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FQENQNTWSFEDLI-UHFFFAOYSA-J sodium di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Na+].[O-]P([O-])(=O)OP([O-])([O-])=O FQENQNTWSFEDLI-UHFFFAOYSA-J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9818 tetrasodium diphosph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
- HVUMOYIDDBPOLL-XWVZOOPGSA-N Sorbitan monostear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O)[C@H]1OC[C@H](O)[C@H]1O HVUMOYIDDBPOLL-XWVZOOPG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0418 carrageena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679 carrageena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525 carrageen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40113118 carrageena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820 disodium diphosph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UHVMMEOXYDMDKI-JKYCWFKZSA-L zinc;1-(5-cyanopyridin-2-yl)-3-[(1s,2s)-2-(6-fluoro-2-hydroxy-3-propanoylphenyl)cyclopropyl]urea;diacetate Chemical compound [Zn+2].CC([O-])=O.CC([O-])=O.CCC(=O)C1=CC=C(F)C([C@H]2[C@H](C2)NC(=O)NC=2N=CC(=CC=2)C#N)=C1O UHVMMEOXYDMDKI-JKYCWFKZSA-L 0.000 claims description 7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983 poloxa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ZORQXIQZAOLNGE-UHFFFAOYSA-N 1,1-difluoro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FC1(F)CCCCC1 ZORQXIQZAOLNG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RVGRUAULSDPKGF-UHFFFAOYSA-N Poloxamer Chemical compound C1CO1.CC1CO1 RVGRUAULSDPKG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214 Polysorbate 60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NWGKJDSIEKMTRX-AAZCQSIUSA-N Sorbitan mono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O)[C@H]1OC[C@H](O)[C@H]1O NWGKJDSIEKMTRX-AAZCQSIU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IYFATESGLOUGBX-YVNJGZBMSA-N Sorbitan monopalmit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O)[C@H]1OC[C@H](O)[C@H]1O IYFATESGLOUGBX-YVNJGZBM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PRXRUNOAOLTIEF-ADSICKODSA-N Sorbitan tri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OC(=O)CCCCCCC\C=C/CCCCCCCC)[C@H]1OC[C@H](O)[C@H]1OC(=O)CCCCCCC\C=C/CCCCCCCC PRXRUNOAOLTIEF-ADSICKOD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60001631 carbomer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GYQBBRRVRKFJRG-UHFFFAOYSA-L disodium pyro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OP([O-])(=O)OP(O)([O-])=O GYQBBRRVRKFJRG-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60000502 poloxamer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1069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593 sorbitan monoole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35049 sorbitan monoole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119 colloidal sil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485 fumed silic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AQMNWCRSESPIJM-UHFFFAOYSA-M sodium meta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O-]P(=O)=O AQMNWCRSESPIJM-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076 sorbitan monostear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587 sorbitan monostea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35048 sorbitan monostear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GFQYVLUOOAAOGM-UHFFFAOYSA-N zirconium(iv) silicate Chemical compound [Zr+4].[O-][Si]([O-])([O-])[O-] GFQYVLUOOAAOG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XZIIFPSPUDAGJM-UHFFFAOYSA-N 6-chloro-2-n,2-n-diethylpyrimid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CCN(CC)C1=NC(N)=CC(Cl)=N1 XZIIFPSPUDAG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148 Gellan gu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61 Locust bean gu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49 Polyvinyl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147 Sorbitan triole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LWZFANDGMFTDAV-BURFUSLBSA-N [(2r)-2-[(2r,3r,4s)-3,4-dihydroxyoxolan-2-yl]-2-hydroxyethyl] dodecanoate Chemical group CCCCCCCCCCCC(=O)OC[C@@H](O)[C@H]1OC[C@H](O)[C@H]1O LWZFANDGMFTDAV-BURFUSLB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96529 carboxypolymethyle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492 gellan g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16 gellan g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420 locust bean g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11 locust bean g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448 polyvinyl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35044 sorbitan monolaur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067 sorbitan monolaure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071 sorbitan monopalmit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570 sorbitan monopalmi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31953 sorbitan monopalmit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337 sorbitan triole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60000391 sorbitan triole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1
- 125000002467 phosphate group Chemical group [H]OP(=O)(O[H])O[*] 0.000 claims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GCLGEJMYGQKIIW-UHFFFAOYSA-H sodium hexameta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OP1(=O)OP(=O)(O[Na])OP(=O)(O[Na])OP(=O)(O[Na])OP(=O)(O[Na])OP(=O)(O[Na])O1 GCLGEJMYGQKIIW-UHFFFAOYSA-H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1577 tetrasodium phosphonato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105329 carboxy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2 abras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2 brigh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68 dent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PXGOKWXKJXAPGV-UHFFFAOYSA-N Fluorine Chemical compound FF PXGOKWXKJXAP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03 coloring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679 drug related substance Drugs 0.000 description 2
- RRAFCDWBNXTKKO-UHFFFAOYSA-N eugenol Chemical compound COC1=CC(CC=C)=CC=C1O RRAFCDWBNXTK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UZPDOWCWNUUKD-UHFFFAOYSA-M sod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F-].[Na+] PUZPDOWCWNUUK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CLIXPGLDDLTM-UHFFFAOYSA-J tetrapotassium;phosphonato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K+].[K+].[O-]P([O-])(=O)OP([O-])([O-])=O RYCLIXPGLDDLTM-UHFFFAOYSA-J 0.000 description 2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description 1
- FTLYMKDSHNWQKD-UHFFFAOYSA-N (2,4,5-trichlorophenyl)boronic acid Chemical compound OB(O)C1=CC(Cl)=C(Cl)C=C1Cl FTLYMKDSHNWQK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EEGYLXZBRQIMU-UHFFFAOYSA-N 1,8-cineole Natural products C1CC2CCC1(C)OC2(C)C WEEGYLXZBRQI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326 Breath od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43 Calcium pe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PBVQXIMTZKSBA-UHFFFAOYSA-N Chavibetol Natural products COC1=CC=C(CC=C)C=C1O NPBVQXIMTZKSB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EEGYLXZBRQIMU-WAAGHKOSSA-N Eucalyptol Chemical compound C1C[C@H]2CC[C@]1(C)OC2(C)C WEEGYLXZBRQIMU-WAAGHKOS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70 Eugen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59 Fisher's combined probability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86 Glyc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88 Glyc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UVMRYBDEERADNV-UHFFFAOYSA-N Pseudoeugenol Natural products COC1=CC(C(C)=C)=CC=C1O UVMRYBDEERAD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77895 Sarco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86 amorphous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UFJGUQYACFECW-UHFFFAOYSA-L calcium 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OP([O-])([O-])=O FUFJGUQYACFEC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LHJQIRIGXXHNLA-UHFFFAOYSA-N calcium peroxide Chemical compound [Ca+2].[O-][O-] LHJQIRIGXXHNL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02 calcium pe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33 cine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00 d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PPKVPWEQAFLFU-UHFFFAOYSA-J diphosphate(4-) Chemical compound [O-]P([O-])(=O)OP([O-])([O-])=O XPPKVPWEQAFLFU-UHFFFAOYSA-J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0 di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QAIPTBBCVQRMD-UHFFFAOYSA-L dipotassium;phosphono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P(O)(=O)OP([O-])([O-])=O CQAIPTBBCVQRM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MVRDGHCVNAOIN-UHFFFAOYSA-L disodium;1-dodecoxydodecane;sulfate Chemical compound [Na+].[Na+].[O-]S([O-])(=O)=O.CCCCCCCCCCCCOCCCCCCCCCCCC SMVRDGHCVNAOIN-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VTIIJXUACCWYHX-UHFFFAOYSA-L disodium;carboxylatooxy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OC([O-])=O VTIIJXUACCWYH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17 euge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3 fluoride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6 food col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49 herb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204 lauryl sarcos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1 medic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25 mentha piperita l. herb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83 mentha spicata herb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63 metal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341 metaphosph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8 mint flav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34 oscil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77 peppermint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13 phospho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8882 polys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95 red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18 rhe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5605 saccharin sod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70 sag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5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XMKPNITSTVMEF-UHFFFAOYSA-M sodium benzoate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 WXMKPNITSTVME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34 sodium benzo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99 sodium benzo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024 sodium flu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5 sodium flu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922 sodium perbo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872 sodium per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YKLJGMBLPUQQOI-UHFFFAOYSA-M sodium;oxidooxy(oxo)borane Chemical compound [Na+].[O-]OB=O YKLJGMBLPUQQO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21 spearmint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QLJVWUFPCUVLO-UHFFFAOYSA-N urea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NC(N)=O AQLJVWUFPCUV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8—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structurant and a thickener, and specifically, to a toothpast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hape retention, loosening properties when used, refreshing feeling, scent dispersing power, cleaning power and stain removal pow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paste composition with improved whitening effect and feeling of use, specifically as a chelating agent containing phosphate and a 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 wherein the chelating agent is supersaturated to precipitate phosphate, and precipitated phosphate It relates to a toothpaste composition that has a strong cleaning power, whitening effect, stain removal, and a feeling of use of dead space by the particles of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paste composition
-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peroxide, a thickener, and a spreading agent, and in particular, the peroxide and the thickener, respectively, in a separate form, and specifically, feel, stability and whitening even in anhydrous state. It relates to a toothpast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effect.
- conventional toothpaste is formulated with xanthan gum to make the toothpaste discharged from a container such as a tube to create an incremental system. That is, it contains a thickener or a binder to form the viscosity of the toothpaste.
- the conventional 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s a thickener or a binder in a high concentration.
- the surface coloring of the teeth is the deposition of food-derived pigments (tea, coffee, red wine, etc.) as exogenous stains, coloring derived from the Maillard reaction by denaturation of glycoproteins in the saliva covering the surface of the teeth, and sulfur. It is said that the coloration of amino acids or metals, and coloration of the double bond portion in the protein is the cause.
- the whitening toothpaste should be able to break the double bond of the coloring component by penetrating the whitening component to the dentin.
- a substance having this effect is a peroxide that has a small molecular weight and is decomposed into water and oxygen.
- hydrogen peroxide has high reactivity with water, so it easily decomposes in water and has poor compatibility with other components of toothpaste such as polymers, abrasives, fluorine, and foaming agents.
- toothpaste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two mechanisms cannot synergize with the whitening effect because the abrasive cannot be added together. Therefore, toothpaste containing water as a solvent and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hydrogen peroxide and containing high viscosity suitable for tube toothpaste, fluorine, foaming agent, abrasive, fragrance, etc.,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because the stability of the peroxide decreases over high temperature due to phase separation of hydrogen peroxide. There was this.
- the present inventors improved loosening properties when using while maintaining shape retention due to a certain viscosity and phase angle when using a structurant instead of reducing the content of the thickener.
- the toothpaste composition was foun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leaning power and stain removal power were excellent, and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present inventors believe that in the case of a 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ing a chelating agent in which phosphate is supersaturated, a toothpaste composition having a strong cleaning power, whitening effect, and stain removal effect can be produced by the precipitated phosphate particles, and having a feeling of use with a dead angle. By confirming that,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eroxide, a thickener and a spreading ag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oothpaste composition in which the peroxide and the thickener are each separate form, a foaming agent and an abrasive having high compatibility with hydrogen peroxide on an anhydrous base It was confirmed that a toothpast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feeling of use and whitening effect can be prepared even when using the same, and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ifrice composition comprising a structurant and a thicken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thpaste composition
-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chelating agent containing phosphate and silica, wherein the chelating agent is supersaturated to precipitate phosphate, and the amount of the precipitated phosphate is 2 to 1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 Toothpaste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peroxide, a thickener, and a spreading ag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roxide and the thickener in separate forms.
-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rtain viscosity and phase angle using a structurant instead of reducing the content of the thickener, there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toothpaste while improving loosening properties when used and It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stain removal power.
-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chelating agent in which phosphate is supersaturated, and has a feeling of use with a dead angle due to the particles of phosphate precipitated by supersaturation, and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cleaning power, whitening effect, and stain removal effect. .
-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oxide, a thickener, and a spreading agent, and by including the peroxide and the thickener in separate forms, a foaming agent having high compatibility with hydrogen peroxide, an abrasive, etc. Even when used, it has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due to the faster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in an anhydrous state, and it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feeling and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structurant and a thickener.
- the term "structur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ggregates toothpaste components by a polymer network due to strong interactions between the polymer itself, so that the gelation ability is high, but the interaction with other toothpaste components including water is relatively low, so saliva , It means that the structure is easily collapsed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moistened with toothpaste or brushing before use, and the loosening property is enhanced.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using a thickener, and may be included to improve loosening properties and maintain shape retention instead of a thickener.
- the structuring agen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rageenan and carb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hase ang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tangent value by using'viscosity/elasticity' as a trigonometric tangent value, and is specifically as follows.
- the vibration frequency is ⁇
- the phase delay between stress and strain is ⁇
- G' is the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without energy loss because there is no phase difference between strain and stress. It represents the component and is a measure of the stored energy
- G" represents the viscosity of the material and is a measure of the energy lost as heat.
- the ratio of G" to G', G"/G' is the loss tangent, It is called tan ⁇ ), which means the ratio of viscosity to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energy loss/energy stored), and this is called the phase angle (Fig. 1).
- the solid is in a state of low annealing property, and the liquid is in the form of strong annealing property.
- an ideal solid is a completely elastic body and its deformation is stored as energy.
- viscosity the degree to which the contents flow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 the phase angle is close to 0, and on the contrary, it is an ideal liquid. Is completely viscous and the transformation is not stored as energy and is lost. That is, as the elasticity is very low compared to the viscosity, the phase angle approaches 90 degrees (Fig. 2).
- the phase angle value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20 to 90, specifically 25 to 70, or 30 to 50, may be 30 to 40, and more specifically 20 to It may be 50, 20 to 40, or 20 to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oothp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close to a liquid state compared to a conventional toothpaste, and due to this state, the toothpaste has a very excellent loosening property.
-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a desired amount of toothpaste to the toothbrush and since shape retention on the toothbrush becomes a problem, it is desirable to have a phase angle of a certain level.
- viscosit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fluid.
- the viscosity of the toothpaste itself i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using a viscometer (Brookfield RVF), 7 times at a rotation speed of 20 rpm.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viscosity using a spindle bar are shown.
- low viscous viscosit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ear viscosity measured at a low speed, and refers to how hard the state of a liquid in a solid is. Specifical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tate is It means tolerating well.
- the low shear viscosity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defined as the viscosity at a shear rate of 0.1 s -1 . Low shear viscosity can be easily measured with a rheometer.
- the dentifric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iscosity of 60,000 to 150,000 cP.
- th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roxide, thickener and spread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iscosity of 60,000 to 150,000 cP even on an anhydrous base, specifically 70,000 to 150,000 cP or more preferably May be 80,000 to 150,000 cP, more specifically 90,000 to 150,000 cP,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the viscosity,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freshing feeling, a feeling of cleaning, a bubble degree, and a scent radiating power, etc. Excellent feeling of use.
- the viscosity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 and a chelating agent containing phosph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60,000 to 110,000 cP, and specifically carrageenan, xanthan gum, and thickening silica are used to increase the viscosity. Although it may be shown,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dispersion of the abrasive and supersaturated phosphate may be stably achieved by the viscosity.
- th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ructuring agent and thick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iscosity of 50,000 to 110,000 cP after storage at 20 to 30°C for 7 days, and specifically 50,000 to 100,000 cP.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oosening property is very excellent even when the viscosity is 50,000 cP or more.
- thickener acts as a binder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and means that the solid powder component and the liquid component are not separated.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oothpaste components, it affects the appearance of toothpaste, such as shape retention and transparency,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use such as extrudability from the toothpaste tube, and loosening during brushing. It also affects the effect.
- the thickener may be any water-soluble polymer type, and may be composed of an organic thickener and an inorganic thickener.
- the thick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lyvinyl pyrrolidone (PVP), crosslinked PVP, polyvinyl alcohol (PVA), carboxy methyl cellulose (CMC), polyethylene glycol ( polyethylene glycol, PEG), carboxypolymethylene, carboxypropyl cellulose, poloxamer, carrageenan, carboxyvinyl polymers, xanthan gum,
- Polyvinyl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more specifically, PVP, crosslinked PV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ckener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rganic thickener or an inorganic thickener.
- the "organic thickener” may specifically mean that the interaction with water has a relatively higher characteristic tha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rganic thickener, and due to this characteristic, the incremental synergistic power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increased. I can.
- the content ratio of the structuring agent and the organic thickene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2:1 to 6:1, specifically 0.3:1 to 5:1, and more specifically 0.5:1 to 4:1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rganic thickene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icall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oxamer, a carbomer, a polysaccharide, and a CMC (carboxymethylcellulose), and more specifically, a floc It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mmers, carbomers, and polysacchar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saccharide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xanthan gum, gellan gum, and locust bean g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organic thickener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ickening silica, colloidal silica, and fumed silic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MC carboxymethylcellulose
-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structuring agent and a thickener,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may not include carboxymethyl cellulo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MC has a characteristic that hydration and dispersion do not occur well under a low water content condition.
-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low water content, instead of reducing the content of CMC, It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relatively high content.
- the organic thicken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0001 to 2%, specifically 0.0001 to 1%, and more specifically 0.0001 to 0.6%, based on the total conten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t is not limited.
- the inorganic thickener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ickening silica, colloidal silica, and fumed silic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organic thickener is a component tha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loosening properties, and exhibits sufficient viscosity even in a state where the content of water is small.
- the inorganic thickener may be 1 to 30%, specifically 1.5 to 20%, and more specifically 2 to 10%, based on the total conten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t is not limited.
-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or may not contain water.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water in an amount of 15% by weight or less or 10% by weight or less, 1 to 15% by weight, 1 to 10% by weight, or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Specifically, it may be 1 to 8 wt%, 1 to 7 wt%, 0.01 to 8 wt%, 0.01 to 6 wt%, or 0.01 to 5 wt%, more specifically 2 to 6 wt%, 0.01 to 3 It may be a weight%, or 0.01 to 2%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Water may contain liquid polyols such as glycerin, PEG, and PG as a dispersion solvent of the toothpaste ingredients instead of non-aqueous or in a small amou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pecifically, the liquid polyol interacts with a thickener As long as it does not cause a substantial increase in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t may be included as a dispersion solvent of the dentifri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ent of the liquid polyol may be 20 to 8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quid polyol may contain glycerin, and in this case, the content of glycerin may be 30 to 70%, specifically 40 to 70%, more specifically 50 to 7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iscosity increase and the binding of the toothpaste base component may become stronger due to the thickener, and thus loosening property is weakened.
- the content of the organic thickener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retention even when the content of water is reduced, the content of the organic thickener is reduced, but includes a structuring agent and an inorganic thickener to provide excellent shape retention and loosening properties.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shape retention and loosening properties.
- shaping refers to the property of maintain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toothpaste without flowing down on the toothbrush when used by discharging the toothpaste on the bristles, and the higher the shaping, the higher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user.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mproves shape retention and has excellent loosening properties.
- removable refers to the dispensability of dispensing toothpaste when it is discharged from a container containing toothpaste to a toothbrush and then wetting with saliva or water. This excellent loosening propert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apid delivery of the medicinal ingredients carried in the toothpaste, foam formation, and consumer feeling.
- the rapid dispersing power is mainly related to the gel-structure and thixotropy, and it was found that the incremental silica having a high oil absorption valu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ispersing power. However, it was not easy to have excellent rheology while producing a viscosity of 50,000 or more with the incremental silica alone.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refreshment and scent radiating power.
-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excellent in loosening proper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scent dispersing power was also excell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freshing feeling was improved.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cleaning power and stain removal power.
-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ffect of removing stains on the tooth surface and brightening teeth according to its excellent loosening property.
-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cluding a structuring agent and a thickene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brasives, surfactants, wetting agents, medicinal agents, additives, and foaming ag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olish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material that serves to wipe plaque by polishing the surface of a tooth.
- the abrasiv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1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PP (calcium pyrophosphate), calcium carbonate, insoluble sodium metaphosphate, zirconium silicate, hydroxyapatite, dental type silica, precipitated silica, hydrous alumina, silica gel, or calcium monohydrogen phosphate. It can be more than that.
- surfact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mpatibility and cleansing effect of the oral composition, and acts to quickly disperse and penetrate the drug substance to easily drop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 the surfactant is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lauryl sulfate and sodium alkyl sulfate; And polyoxyethylene, copolymer of polyoxypropylene,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alkanolamide fatty acid ester, sucrose fatty acid ester,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 polyoxyethylene caster oil (caster oil) derivatives, N-lauryl sarcosinate, sodium lauryl ether sulfate, polysorbate, decaglycerin monolaurenite, sorbitan monooleate, alkyl polyglucoside,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coamide DAI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nionic surfactants.
- humect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sential base component for making an ointment-like formulation. When the oral composition is exposed to air, it prevents drying and solidification, provides shine to the surface of the toothpaste, and, depending on the type, brushing teeth It refers to a substance that plays a role in giving a sweetening effect.
- the humecta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bitol liquid, glycerin, poly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 dru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ance capable of exhibiting various medicinal effects for cleaning and cleaning teeth, and includes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herbal materials, etc. that can be included in toothpaste. It forms a film and may contain fluorides that make acid resistance to acids (lactic acid, etc.), which are metabolites of caries.
- dry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eeling of use of the product, helps the cleaning action, accelerates the dispersion and penetration of other medicinal ingredients, and reduces the interfacial tension, thereby making it easi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 additi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lavoring agent, a sweetening agent, a pH adjusting agent, a brightening agent, an excipient, a preservative, and a coloring agent, and the content is used within a conventional range.
- the fragrance is edible, and synthetic fragrances such as menthol, green tea flavor, mint flavor, peppermint oil, spearmint oil, sage oil, eucalyptol, and extracts extracted from plants, such as eugenol, and extracts extracted from fruits may be used. .
- Saccharin sodium and xylitol are most commonly used as sweeteners, sodium hydrogen carbonate, etc. may be used as a pH adjuster, and titanium oxide may be used as a brightening agent.
- hydroxyapatite may be used as an excipient, and food coloring is mainly used as a colorant.
- Preservatives are use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s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e and use of oral compositions and to help prolong the preservation of toothpaste, and sodium benzoate or parabens may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thpaste composition
-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chelating agent containing phosphate and silica, wherein the chelating agent is supersaturated to precipitate phosphate, and the amount of the precipitated phosphate is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t provides a toothpaste composition of 2% or more, specifically 2 to 10% based on.
- precipitated phosphate refers to a phosphate added to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more than the maximum solubility in a solvent, especially water, based on 25°C.
- a solvent especially water
- the water content is generally known in the art. It can be determined by a measurement method, for example the Karl-fisher method.
- chelat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position containing a metal phosphate. Specifically, it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sodium acid pyrophosphate (SAP), and 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and more specifically SHM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SPP tetrasodium pyrophosphate
- SAP sodium acid pyrophosphate
- SHMP sodium hexametaphosphate
- the chelat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saturated to precipitate phosphate, and the precipitated phosphate has particles, and due to these particles,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unchy feeling of use, and has excellent cleaning power and whitening effect.
- the particles of the precipitated phosphate can be physically removed from the colored component by being easily intercalated between the teeth or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together with the force of brushing with an abrasive.
- the coloring matter is slightly attached to the surface or by metal, so it can be removed by brushing with toothpaste containing chelating agent and abrasive, and the effect of cleaning the teeth in a short time. Can be obtained.
- small particles are contained when brushing, it can give physical stimulation while giving a feeling of use with a crunchy distance, so you can feel refreshment after brushing your teeth and give you a higher feeling of cleaning.
- maximum dissolution amount of phosphate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amount of phosphate that can be maximally dissolved until immediately before the supersaturation state of phosphate, depending on the water content used.
- supersaturated amount of phosphate refers to the amount of phosphate precipitated to form particles when phosphate is added in an amount greater than the maximum dissolved amount.
- the content of supersaturated and precipitated phosphat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2% or more, specifically 2 to 10%, and more specifically 3 to 10% or 4 to 9%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5 to 8% or 5.5 to 7.5%,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olubility of phosphat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6 to 100 g/100 mL at 25° C., and specifically, may be 20 g/100 m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olubility of TSPP is 6.7 g/100 mL (25 °C)
- the solubility of SAPP is 12.5 g/100 mL (25 °C)
- the solubility of SHMP is 50 g/100 mL (25 °C).
- TKPP tetrapotassium pyrophosphate
- KAPP potassium acid pyrophosphate
- pyrophosphate or metaphosphate it has excellent chelating effect and helps cleaning power, but if it is used in an amount of 10% or more, it is not suitable because it may cause tooth irritation.
- the average diameter of the supersaturated and precipitated phosphate particles may be 75 to 180 ⁇ m, specifically 105 to 180 ⁇ m, and more specifically 105 to 150 ⁇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diameter of the supersaturated and precipitated phosphate particles is less than 75 ⁇ m, when using the toothpaste composition, you can not feel blindness, and when it is 75 ⁇ m or more, the feeling of blindness is the best and the cleaning power is excellent.
- Silica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silicon dioxide, and the silica used in toothpaste is made of amorphous silicon dioxide as a main component.
- Silica has various properties and degree of polishing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ethod, and can be classified into polishing silica and incremental silic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ticles.
- Silica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15 to 5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specifically 20 to 40%, more specifically 20 to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silica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lishing silica, and the polishing silica may be 50 to 90%, specifically 60 to 90%, and more specifically 70 to 9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ilica.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ing a chelating agent containing phosphate and silic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water, and the content of water is as described above.
- the content of water may be reduced to oversaturate phosphate to cause precipitation.
- the 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 and a chelating agent containing phosph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whitening and removing sta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cleaning power and stain removal power. It was confirmed that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ffect of removing stains on the tooth surface and brightening teeth.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feeling of use by implementing blindness.
- th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ate-containing chelating agent and silic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brasives, surfactants, wetting agents, medicinal agents, additives, and foaming ag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abrasive, surfactant, wetting agent, medicinal agent, additive, and foaming agent are as described above.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eroxide, a thickening agent and a spreading agent.
- the phase stability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can be maintained even when it is loaded in a toothpaste container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such as PE.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paste composition in which the peroxide and the thickener are in separate forms.
- the phase stability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maintained, so that the activity of hydrogen peroxide is not reduced, and PVP and hydrogen peroxide are included in a complex form.
- the release rate of hydrogen peroxide is remarkably high, and the whitening effect is more excellent.
- the term "spread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toothpaste composition hydrophobic,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separation and phase separation in the polyethylene (PE) in the toothpaste tube, thereby improving the phase stability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t means, and it is a safe material for the human body.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spreading ag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paste tube material, so that water generated by overhydrolysis does not exist between the toothpaste and the tube, thereby suppressing phase separation,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oothpaste.
- Spreading ag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pan 20 (sorbitan monolaurate), Span 40 (sorbitan monopalmitate), Span 60 (sorbitan monostearate), and Span 80 (sorbitan monooleate). ), Span 85 (sorbitan trioleate), and TWEEN (POE sorbitan fatty acid ester) may b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ecifically Span 80 (Span 80; sorbitan monooleate), Span 60 (Span 60, sorbitan monostearate)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ent of the spreading agen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1 to 10% by weight, specifically 0.2 to 5% by weight, and more specifically 0.2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ckener are as described above.
- the thickener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hydrogen peroxide, has a swelling effect, and thus has excellent increasing effect even in anhydrous formulations, and is sticky. There is no good feeling.
- the thick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mplex with hydrogen peroxide
- the hydrogen peroxide blended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other toothpaste ingredients such as water, abrasives, foaming agents, and toothpaste effective ingredients, thereby decomposing hydrogen peroxide. It is known that it can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titer of hydrogen peroxide falls during distribution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 this thickener-hydrogen peroxide complex form acts as an impeding factor in exerting the activity of hydrogen peroxide at the time of actual use by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pre-treat or post-treat a composition containing a separate hydrogen peroxide decomposing agent.
- the content of the thick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specifically 7 to 17% by weight, and more specifically 10 to 15% by weight, It is not limited.
- the per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oth whitening effect while oxygen generated during decomposition bleaching colored substances on teeth, and has a relatively small molecular weight, so it is effective due to high tooth whitening power at the same weight.
- the per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hydrogen peroxide, urea peroxide, calcium peroxide, sodium percarbonate, sodium perborate, and tetrasodium pyrophosphate.
- peroxidate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more specifically, hydrogen perox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ent of the per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specifically 0.5 to 5% by weight, more specifically 3% by weight, but is limited thereto no.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brasive.
- the abrasive is as described above.
- CPP may be used in terms of maintaining the stable activity of the peroxide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ventional toothpaste composition could not be used together with the peroxide and the abrasive.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both a peroxide and an abrasive, thereby creating a synergistic effect, resulting in excellent whitening effect. Can cause
- the content of the abrasiv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specifically 7 to 17% by weight, and more specifically 10 to 15% by weight, but It is not limited.
-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cluding the peroxide, thickener, and spread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contain water at al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whitening teeth.
- 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roxide, a thickener and a spread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roxide and the thickener are in separate forms, in actual use, a complex by remarkably rapid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 It can exhibit a more excellent tooth whitening effec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thickener and hydrogen peroxide.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phase stability even at 30 to 60°C. Specifically, the phase separation of peroxide does not occur even after 4 weeks, and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ube and there is no water generated by overhydrolysis between In the case of a toothpaste composition in which the peroxide, thickener and spread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and the peroxide and thickener are in separate forms, the stability of toothpaste is remarkably improved. do.
- th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roxide, thickener, and spread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rfactants, wetting agents, medicinal agents, additives, and foaming agents, but are limited thereto. It does not become.
- the abrasive, surfactant, wetting agent, medicinal agent, additive, and foaming agent are as described above.
- a structuring agent (carrageenan, carbomer) and a thickener (poloxamer, xanthan gum) are pre-dispersed in a wetting agent (PEG, glycerin, etc.), and then a salt component (sodium fluoride, saccharin, etc.) is dissolved in purified water. Or the dispersed one is added and hydrated while stirring. Silica (abrasive silica, incremental silica) is dispersed and mixed and stirred for 20 minutes. After that, a foaming agent (SLS or the like) is added and stirred for 20 minutes in a vacuum state. After adding the fragrance, a toothpast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vacuum stirring for 20 minutes.
-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 Viscosity was measured at 25° C. using a viscometer (Brookfield RVF), using a No. 7 spindle bar at a rotation speed of 20 rpm.
- the toothpaste compositions of Examples 5 to 9 and Comparative Examples 5 to 9 were prepared with the ingredients and composition ratios shown in Table 4 below. Specifically, other ingredients (additives, etc.) are dissolved in purified water and a thickener (carrageenan, xanthan gum) is dispersed in a wetting agent (PEG, glycerin), and then silica (for polishing, thickening) is added. After stirring for about 20 minutes, a surfactant (SLS, etc.) is added thereto, stirred for about 20 minutes in a vacuum state, and a chelating agent (SHMP, TSPP, SAPP) and fragrance are added, and a toothpaste is stirred for about 20 minutes in a vacuum state.
- SLS surfactant
- SHMP chelating agent
- TSPP chelating agent
- fragrance fragrance
- the supersaturated amount of phosphate is more than 2%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dicating a particle feeling It suggests that it can exhibit a more excellent tooth whitening effect by effectively removing the coloring component from the surface.
- abrasive CPP, silica
- thickener PVP or crossed linked PVP
- SLS surfactant
- the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of the toothpaste at the beginning of manufacture and the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of the toothpaste after 4 weeks storage in a tube state in a 50 °C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were measured. The concentration ratio of was calculated. When no decomposition occurred, it was expressed as 100%.
- Artificial teeth (teeth enamel, hydroxyapatite, which is a material that makes up most of the dentin) are made into tablet specimens, and tooth coloring materials are colored using tea, coffee, mucin, metal salts, etc., and then a brushing machine to evaluate cleaning power is used.
- a brushing machine to evaluate cleaning power is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화제(structurant)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점증제의 함량을 줄이는 대신 구조화제(structurant)를 사용하여 일정 점도 및 phase angle을 가짐으로써 치약의 보형성은 유지되면서 사용시 풀림성이 개선되고, 개운함, 향 발산력 세정력 및 스테인 제거력이 향상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백 효과 및 사용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에 의해 강한 세정력, 미백 효과, 스테인 제거와 사각거리는 사용감이 구현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는 각각 분리된 형태인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수 상태에서도 사용감, 안정성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화제(structurant)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형성, 사용시 풀림성, 개운함, 향 발산력 세정력 및 스테인 제거력이 향상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백 효과 및 사용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에 의해 강한 세정력, 미백 효과, 스테인 제거와 사각거리는 사용감이 구현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는 각각 분리된 형태인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수 상태에서도 사용감, 안정성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약의 경우, 약효성분의 빠른 전달을 위해서 사용 시점에서 풀림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우수한 풀림성은 치약에 담지된 약효성분의 빠른 전달, 거품형성 및 소비자 사용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통상의 치약은 튜브 등의 용기로부터 치약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잔탄검 등을 배합하여 점증시스템을 만들게 된다. 즉, 치약의 점도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점증제 또는 결합제를 함유시킨다. 종래의 치약 조성물에는 점증제 또는 결합제가 높은 농도로 함유되고 있다.
그러나, 점증력이 강할 경우, 점증제로 인해서 치약 전체적으로 성분들간에 결합력이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타액이나 치솔질에 의해서 뭉쳐있는 치약이 잘 풀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액상 치약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나, 액상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에는 낮은 점도로 인해 쉽게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으므로 구강균의 억제 및 구취 제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강가글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정성분이 부족하고 쉽게 흘러내리는 문제점으로 인해 구강 내 플라그의 제거 및 구강균 제거 등의 충분한 양치질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7004081호).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종류의 미백 치약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효과가 좋은 미백제를 치약에 함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치약은 사용 시간이 1~3분으로 짧아서, 유효성분이나 향이 빠르게 방출되어 나오는 것이 사용감과 효과면에서 필요하다. 치아 미백을 위해서는, 치아 표면에 착색된 물질이나 치아 사이사이에 끼어있는 착색 성분이 제거되어야 한다.
치아의 표면 착색은 식품 유래의 색소(차, 커피, 붉은 와인 등) 외인성 스테인(extrinsic stain)으로서의 침착, 치아의 표면을 피복하고 있는 타액 중의 당 단백질의 변성에 의한 메일라드 반응 유래의 착색, 함황 아미노산이나 금속에 의한 착색, 또한 단백 중의 이중 결합 부분의 착색화가 원인이라고 하고 있다.
다만, 강한 세정력과 깔끔한 사용감을 주기 위해 종래에 입자 함유 치약이 개발되었으나, 미흡한 효과, 안전성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치약의 경우, 기포제, 연마제, 유효 성분을 갖고 있어서 칫솔과 함께 사용시 세정력, 상쾌감을 주는 것이 기본 속성이나, 치아 표면 착색은 과산화수소에 의한 화학적 블리칭 외에 해결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편리한 방법으로서 매일 하는 양치만으로 미백효과를 얻고 싶어한다. 미백용 치약은 미백 성분이 상아질까지 침투하여 착색 성분의 이중 결합을 끊어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효과를 갖는 물질은, 분자량도 작고 물과 산소로 분해되는, 과산화물이다.
그러나, 과산화수소는 물과의 반응성이 높아서 물에서 쉽게 분해가 일어나고 폴리머, 연마제, 불소, 기포제 등 치약의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이 좋지 않다. 특히, 과산화수소가 들어간 치약은 연마제를 같이 넣을 수 없어서 미백효과에 이 두 가지 메커니즘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용제로서 물을 포함하고 과산화수소를 다량 함유하면서 튜브 치약에 적합한 고점도, 불소, 기포제, 연마제, 향 등을 함유한 치약은 과산화물의 고온 경시 안정성이 떨어져, 과산화수소의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서 상품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점증제의 함량을 줄이는 대신, 구조화제(structurant)를 사용하는 경우, 일정 점도 및 phase angle을 가져 보형성은 유지되면서 사용시 풀림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을 발견하였고, 세정력 및 스테인 제거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경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에 의해 강한 세정력, 미백 효과, 스테인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사각거리는 사용감을 갖는 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는 각각 분리된 형태인 치약 조성물의 경우, 무수 베이스에 과산화수소와 상용성이 높은 기포제, 연마제 등을 사용하더라도 사용감 및 미백 효과가 모두 우수한 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구조화제(structurant)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상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인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를 각각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점증제의 함량을 줄이는 대신 구조화제(structurant)를 사용하여 일정 점도 및 위상각(phase angle)을 가짐으로써, 치약의 보형성은 유지되면서 사용시 풀림성이 개선되고 세정력 및 스테인 제거력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에 의해 사각거리는 사용감을 가지며, 강한 세정력, 미백 효과, 스테인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고,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를 각각 분리된 형태로 포함함으로써, 과산화수소와 상용성이 높은 기포제, 연마제 등을 사용하더라도 무수 상태에서 과산화수소의 더 빠른 분해로 인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지며, 사용감 및 안정성 또한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탄성에 대한 점성의 비(energy loss/energy stored)를 의미하는 손실 탄젠트(loss tangent, tan δ)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위상각(phase angle)에 따라 물성을 구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50 ℃ 항온기에서 튜브 상태로 4주 보관한 후 치약 튜브를 반으로 갈랐을 때의 모습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구조화제(structurant)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인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구조화제(structurant)"는 고분자 자체 간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한 고분자 네트워크에 의해서 치약성분들을 응집하여, 겔화 능력이 높으나, 물을 포함한 다른 치약 성분들과는 비교적 상호 작용이 낮아 타액, 사용전 치약에 물묻힘, 또는 칫솔질 등의 외력에 의해서 쉽게 구조가 무너져 풀림성이 강화된 것을 의미한다. 점증제 사용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점증제 대신에 풀림성을 개선하고 보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구조화제는 카라기난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위상각(phase angle)"은 '점성/탄성' 을 삼각함수 탄젠트 값으로 하여, 그 탄젠트 값에 해당하는 angle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동적회전전단실험(dynamic oscillatory shear test)에서 진동 주파수를 ω, 응력과 변형 사이의 위상지연을 δ라 하고, G'은 변형과 응력 사이에 위상 차이가 없어 에너지 손실이 없는 탄성계수로서 재료의 탄성성분을 나타내며 저장된 에너지의 척도이고, G"은 재료의 점성을 나타내고 열로서 손실된 에너지의 척도이다. 이 때, G'에 대한 G"의 비, G"/G'을 손실 탄젠트 (loss tangent, tan δ)라 하고 이는 곧 물질의 탄성에 대한 점성의 비 (energy loss/energy stored) 를 의미하며, 이를 phase angle이라고 한다(도 1).
고체는 풀림성이 낮은 상태이며, 액체는 풀림성이 강한 형태인데, 위상각(phase angle)의 개념에서 보면, 이상 고체(ideal solid)는 완전 탄성체로 변형이 에너지로 저장된다. 즉, 탄성(외력이 적용되었을 때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회복력)에 비해, 점성(외력이 적용되었을 때 내용물이 흐르는 정도)이 매우 낮은 상태로서 phase angle은 0 에 가까워지며, 반대로 이상 액체(ideal liquid)는 완전 점성체로 변형이 에너지로 저장되지 않고 손실된다. 즉, 점성에 비해 탄성이 매우 낮은 상태로서 phase angle은 90도에 가까워진다(도 2).
본 발명에서의 치약조성물의 위상각(phase angle) 값은 20 내지 9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70, 또는 30 내지 50일 수 있고, 30 내지 4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50, 20 내지 40 또는 20 내지 3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본 발명의 치약은 통상의 치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액체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로 인해 풀림성이 매우 우수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다만, 액체상태에 너무 가까우면, 원하는 일정한 양의 치약을 칫솔에 토출하기 어렵고, 칫솔 위에서 보형성이 문제가 되므로, 일정 수준의 phase angle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점도”는 유체의 내부 저항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 치약 자체의 점도를 측정한 것으로, 점도계(Brookfield RVF)를 이용하여, 20 rpm의 회전속도에서 7 번 스핀들바(Spindle bar)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저점단 점도"는 낮은 속도에서 측정한 점단 점도(shear viscosity)로, 고체 내 액체의 상태가 얼마나 단단한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력을 적용하였을 때, 얼마나 그 상태가 잘 견디는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저전단 점도는 shear rate가 0.1 s-1에서의 점도로 정의하였다. 저전단 점도는 rheometer로 쉽게 측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점도가 60,000 내지 150,000 cP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무수 베이스에서도 점도가 60,000 내지 150,000 cP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70,000 내지 150,000 cP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150,000 cP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90,000 내지 150,000 cP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의 점도에 따라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개운함, 세정감, 기포도 및 향 발산력 등 사용감이 우수하다.
다른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점도는 60,000 내지 110,000 cP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라기난, 잔탄검, 점증용 실리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점도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점도에 의해 연마제 및 과포화된 포스페이트 등의 분산을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구조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20 내지 30 ℃에서 7일 동안 보관한 후의 점도가 50,000 내지 110,000 cP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0,000 내지 100,000 cP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종래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 최종 점도가 40,000 cP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20,000 cP 이하의 치약 조성물은 풀림성이 매우 우수한 것에 반해, 점도가 50,000 cP 이상의 치약 조성물에서는 치약의 풀림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에, 점도가 50,000 cP 이상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 페이스트 제형으로 튜브 제형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본원발명의 치약 조성물에서는 점도가 50,000 cP 이상의 경우에도 풀림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점증제”는 치약 조성물에서 결합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체인 분말 성분과 액체 성분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치약 성분들의 분리를 막아주는 기능 이외에 치약의 보형성, 투명성 등과 같은 외관과, 치약튜브로부터의 압출성, 그리고 양치 시의 풀림성 등의 사용물성에 영향을 주며 약효 전달성 등의 효능, 효과에도 영향을 준다.
상기 점증제는 수용성의 고분자 종류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점증제 및 무기 점증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증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PVP), crosslinked PVP,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hol, PVA),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CMC),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 ethylene glycol, PEG),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xypolymethylene), 카브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 폴록사머(Poloxamer), 카라지난(Carrageenan), 카르복시비닐 폴리머(Carboxyvinyl polymers), 잔탄검(Xanthan gum),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PVP, crosslinked PVP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치약 조성물의 점증제는 유기점증제 또는 무기 점증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유기 점증제"는 구체적으로 유기 점증제 간의 상호작용에 비해 물과의 상호작용이 비교적 더 높은 특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치약 조성물의 점증 상승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구조화제와 유기 점증제의 함량비는 0.2 : 1 내지 6 : 1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3 : 1 내지 5 : 1 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5 : 1 내지 4 : 1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유기 점증제는 구체적으로 플록사머(poloxamer), 카보머(carbomer), 다당류(polysaccharide) 및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록사머, 카보머 및 다당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당류는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및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무기 점증제는 점증용 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 및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유기 점증제 중 카복시메틸셀룰로스(CMC)는 과다 섭취 시, 위장장애, 변비,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구조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일 실시예에서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CMC는 물의 함량이 적은 조건에서는 수화와 분산이 잘 일어나지 않는 특성이 있어, 물의 함량이 높은 종래의 치약 조성물과는 다르게 물의 함량이 적은 본원발명에서는 CMC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대신 무기 점증제의 함량을 비교적 높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유기 점증제는 치약 조성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0001 내지 1%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0001 내지 0.6%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무기 점증제는 점증용 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 및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 점증제는 풀림성에는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 성분으로서, 물의 함량이 적은 상태에서도 충분한 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무기 점증제는 치약 조성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3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2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치약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치약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 1 내지 15 중량%, 1 내지 10 중량% 또는 0.01 내지 10 중량%인 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8 중량%, 1 내지 7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1 내지 6 중량%, 또는 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2 내지 6 중량%, 0.01 내지 3 중량%, 또는 0.01 내지 2 중량% 함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은 비수계 혹은 적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대신, 치약 성분들의 분산 용매로서 글리세린, PEG, PG 등의 액상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액상 폴리올은 점증제와 상호작용에 의해 조성물의 실질적인 점도 상승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분산 용매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상 폴리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8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액상 폴리올은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글리세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70 %, 더욱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7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치약 조성물의 물의 함량이 많을 경우, 점증제로 인해 점도상승 및 치약 베이스 성분의 결합(binding)이 강해질 수 있어, 풀림성이 약화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물의 함량을 감소시킨 상태에서도 보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기 증점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대신, 구조화제와 무기 증점제를 포함시켜 보형성과 풀림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보형성 및 풀림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보형성"은 치약을 칫솔모 위에 토출시켜 사용시 칫솔 위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치약의 원래 형태를 유지하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형성이 높을수록 사용자의 감성적인 만족도가 높아진다.
다만, 보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점증력을 높일 경우, 점증제로 인해서 치약 전체적으로 성분들간에 결합력이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타액이나 치솔질에 의해서 뭉쳐있는 치약이 잘 풀리지 않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치약 조성물은 보형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풀림성도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풀림성"은 치약을 담고 있는 내용물 용기에서 칫솔에 토출된 후, 타액 혹은 물 등에 의해서, wetting될 때, 뭉쳐 있는 치약이 풀어지는 분산력(dispensability)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우수한 풀림성은 치약에 담지된 약효성분의 빠른 전달, 거품형성 및 소비자 사용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치약이 물에 빨리 분산될수록, 입안에서도 빨리 분산되며, 이러한 빠른 분산력(dispensability)은 충치 예방 성분이 치아 표면과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본 발명에서 빠른 분산력은 젤-구조, thixotropy와 주로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오일 흡수가가 높은 점증용 실리카가 분산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점증용 실리카 단독으로는 5만 이상 점도를 내면서 우수한 레올로지(rheology)를 갖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치약 내 물 함량을 낮추고, 점증제의 농도가 낮을 때, 페이스트 제형으로 튜브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는 점도의 치약 조성물에서도 풀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과 유효성분의 빠른 방출로 인해 사용감 및 세정 효과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개운함 및 향 발산력이 개선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치약 조성물은 풀림성이 우수함에 따라, 향 발산력 또한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개운함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세정력 및 스테인 제거력이 개선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치약 조성물은 풀림성이 우수함에 따라 치아 표면에 얼룩이 제거되는 효과와 치아가 밝아지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구조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약효제, 첨가제 및 기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연마제”는 치아의 표면을 연마시켜 치태를 닦아내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연마제는 CPP (calcium pyrophosphate), 탄산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지르코니움 실리케이트, 수산화인회석, 덴탈타입실리카, 침강실리카, 함수 알루미나, 실리카겔 또는 인산일수소칼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계면활성제"는 구강 조성물의 상용감과 세정작용을 좋게 하며,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여 구강 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알킬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이온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캐스터 오일(caster oil) 유도체, N-라우릴 사르코신에이트,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폴리소르베이트, 데카글리세린 모노라우레니트,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코코아미드 디이에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습윤제"는 연고상의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베이스 성분으로 구강 조성물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따라서는 양치 시 감미효과를 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습윤제는 소르비톨액,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효제"는 치아의 세정 및 청결을 위한 다양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로서, 치약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기능성 성분, 한방 소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치아에 불소막을 형성하며 충치균의 대사 산물인 산(젖산 등)에 내산성을 만드는 불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포제"는 제품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세정 작용을 도와주며, 기타 약효 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구강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첨가제"는 향료, 감미제, pH 조절제, 증백제, 부형제, 방부제 및 색소가 가능하며, 이때 함량은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향료는 식용 가능한 것으로, 멘톨, 녹차향, 민트향과 같은 합성향료, 페파민트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유칼립톨, 및 유게놀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과일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사카린 나트륨, 자일리톨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pH 조절제로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형제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색소로는 주로 식용 색소를 사용한다.
방부제는 구강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중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치약의 보존을 장기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사용하며, 벤조산나트륨 또는 파라벤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상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이상,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인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석출된 포스페이트"는 25 ℃를 기준으로 용매, 특히 물에 대한 최대용해량 이상으로 조성물에 첨가된 포스페이트를 의미하며, 용매가 물인 경우 물 함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물 함량 측정법, 예를 들면 Karl-fisher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는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TSPP(tetrasodium pyrophosphate), SAPP(sodium acid pyrophosphate) 및 SHMP(sodium hexameta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SHMP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석출된 포스페이트는 입자를 가지고, 이러한 입자로 인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사각사각한 사용감이 구현되며, 세정력 및 미백효과가 우수해진다.
본 발명에서의 석출된 포스페이트에 의한 입자는 연마제로 브러싱하는 힘과 함께 치간 사이나 치아와 잇몸 사이에 잘 끼어들어서 물리적으로 착색 성분을 제거해줄 수 있다. 치아의 외인성 착색물질의 경우, 표면에 살짝 붙어있거나 금속에 의해 착색물질이 치아 표면에 붙어있는 메커니즘이므로, chelating agent와 연마제가 들어있는 치약으로 칫솔질하여 제거가 가능하며 빠른 시일 안에 치아가 깨끗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칫솔질 할 때 작은 입자들이 들어있으면 물리적인 자극을 주면서도 사각사각 거리는 사용감을 줄 수 있어서 양치 후 상쾌감도 느낄 수 있고, 더 높은 세정감을 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중에서도, 양치 시 사각거림을 줄 수 있는 크기와 강도를 갖고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스페이트의 "최대 용해량"은 사용된 물 함량에 따라 포스페이트의 과포화 상태의 직전까지 최대로 용해시킬 수 있는 포스페이트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스페이트의 "과포화덧량"은 최대 용해량 이상으로 포스페이트를 첨가할 경우, 석출되어 입자를 형성하는 포스페이트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이상,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0% 또는 4 내지 9%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5 내지 8% 또는 5.5 내지 7.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이상이어야 입자에 따른 사각거림이 구현되고, 세정력, 스테인 제거력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다만,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를 초과하는 경우, 구강 내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포스페이트의 용해도는 25 ℃에서 6 내지 100 g/100 mL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 g/100 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SPP의 용해도는 6.7 g/100 mL(25 ℃), SAPP의 용해도는 12.5 g/100 mL(25 ℃), SHMP의 용해도는 50 g/100 mL(25 ℃)이다.
이 때, 물에 대한 용해도가 너무 낮으면, 치약 내에서 보관 중 석출이 일어나서 조성물의 안정성에 유리하지 않고, 용해도가 100 g/100 mL 이상인 TKPP(tetrapotassium pyrophosphate) (187 g/100 mL(25 ℃)), KAPP(potassium acid pyrophosphate) 149.25 g/100 mL(25 ℃))의 경우는, 물 10%에 대해 포스페이트 10%를 사용시 대부분 녹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피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나 메타포스페이트(metaphosphate)의 경우 chelating 효과가 우수하여 세정력에 도움을 주지만 10% 이상 함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치아의 자극이 우려되므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의 평균직경은 75 내지 18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5 내지 180 ㎛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5 내지 15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의 직경이 75 ㎛ 미만인 경우, 치약 조성물을 사용시 사각거림을 느낄 수 없고, 75 ㎛ 이상인 경우 사각거리는 느낌이 가장 우수하고, 세정력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실리카는 이산화규소를 의미하며 치약제에 이용되는 실리카는 비결정질 이산화규소를 주성분으로 제조된다. 실리카는 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물성과 연마도를 가지는데 입자의 크기에 따라 연마용 실리카와 점증용 실리카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실리카는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5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실리카는 연마용 실리카를 포함하고, 연마용 실리카는 실리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9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9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물의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물의 함량을 감소하여 포스페이트를 과포화시켜 석출되게 할 수 있다. 다만, 포스페이트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미백용 및 스테인 제거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세정력 및 스테인 제거력이 개선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치약 조성물은 치아 표면에 얼룩이 제거되는 효과와 치아가 밝아지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사각거림이 구현되어 사용감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약효제, 첨가제 및 기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연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약효제, 첨가제 및 기포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은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은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PE와 같은 소수성 재질의 치약용기에 담지시킬 경우에도 치약 조성물의 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특히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는 각각 분리된 형태인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를 각각 분리된 형태로 치약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경우에도 치약 조성물의 상 안정성이 유지되어, 과산화수소의 활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종래의 PVP와 과산화수소가 복합체(complex) 형태로 포함되는 치약 조성물에 비해 과산화수소의 방출 속도가 현저하게 높아 미백 효과가 더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는 치약 조성물에 소수성을 나타나게 하여 치약 튜브 내 폴리에틸렌(PE)에서 탈리 및 상분리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치약 조성물의 상 안정성을 우수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인체에 안전한 물질이다. spreading agent를 사용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치약 튜브 재질에 밀착되어 과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물이 치약과 튜브 사이에 존재하지 않아 상분리 현상을 억제시킴으로써 치약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에서의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는 스판 20(Span 20, sorbitan monolaurate), 스판 40(Span 40, sorbitan monopalmitate), 스판 60(Span 60, sorbitan monostearate), 스판 80(Span 80; sorbitan monooleate), 스판 85(Span 85, sorbitan trioleate), 및 TWEEN(POE sorbitan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스판 80(Span 80; sorbitan monooleate), 스판 60(Span 60, sorbitan monostearat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2.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점증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는 치약조성물에서, 상기 점증제는 특히 과산화수소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swelling 효과가 있어 무수 처방에서도 점증 효과가 우수하며, 끈적임이 없어 사용감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점증제가 과산화수소와 콤플렉스를 형성할 경우, 치약 조성물에 배합된 과산화수소가 물, 연마제, 기포제, 치약 효능성분과 같은 그 외 치약 배합성분들과의 물리적 분리를 시킴에 의해서,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막아 치약 조성물의 유통 중에 과산화수소의 역가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증제-과산화수소의 콤플렉스 형태는 실제 소비자의 사용시점에 과산화수소의 활성을 발휘함에 있어 방해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과산화수소 분해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전처리 혹은 후 처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점증제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7 내지 17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산화물은 분해시 생성되는 산소가 치아에 착색된 물질을 표백시키면서 치아 미백 효과를 가지고,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동일 무게에서 치아 미백력이 높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과산화물은 구체적으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 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borate) 및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과산화수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산화물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3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CPP (calcium pyrophosphate),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지르코니움 실리케이트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연마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치약 조성물 내에서 과산화물의 안정적 활성 유지 측면에서 CPP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과산화물과 연마제는 상용성이 좋지 않아 종래의 치약 조성물은 과산화물과 연마제를 함께 사용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과산화물과 연마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우수한 미백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연마제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7 내지 17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물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치아 미백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고,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는 각각 분리된 형태인 치약 조성물의 경우, 실제 사용시 과산화수소의 현저히 빠른 분해에 의해 복합체 (complex) 형태의 점증제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종래의 치약 조성물에 비해 더욱 우수한 치아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30 내지 60 ℃에서도 상 안정성이 개선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4주 후에도 과산화물의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치약 조성물이 튜브에 밀착되어 사이에 과수분해로 생성된 물이 존재하지 않아 상분리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고,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는 각각 분리된 형태인 치약 조성물의 경우에도, 치약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습윤제, 약효제, 첨가제 및 기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약효제, 첨가제 및 기포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실시에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습윤제(PEG, 글리세린 등)에 구조화제(카라지난, 카보머), 점증제(폴록사머, 잔탄검)를 미리 분산하여 준비한 후, 정제수에 salt 성분(불화 나트륨, 사카린 등)을 녹이거나 분산시킨 것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수화시킨다. 여기에 실리카(연마용 실리카, 점증용 실리카)를 분산 혼합 시킨 후 20분간 교반시킨다. 그 후, 기포제(SLS 등)를 첨가하고 진공 상태에서 20분간 교반한다. 향을 넣은 후 20분간 진공 교반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본원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치약의 물성 측정
(1) 점도 측정 방법
25 ℃에서 점도계(Brookfield RVF)를 이용하여, 20 rpm의 회전속도에서 7 번 스핀들바(Spindle bar)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2) 튜브 적합성 측정 방법
일반적인 치약 튜브에 치약 조성물을 주입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3) 풀림성 측정 방법
1) 풀림성에 대한 소비자 평가 측정 방법
직접 슬러리를 만들어서 일정시간 교반 후 풀림성의 정도를 소비자가 직접 평가하는 방법으로,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을 각각 1 cm의 양으로 사용하여 양치하게 한 후에 풀림성이 매우 우수하면 5점, 우수하면 4점, 보통이면 3점, 약간 미흡하면 2점, 매우 미흡하면 1점으로 5점 척도로 기입하게 하였다.
2) 풀림성에 대한 실험실 비이커 이용한 평가 측정 방법
50 mL의 비이커에 12.5 g의 치약을 첨가하고, 20 g의 물을 첨가하여 유리막대로 30초만 격렬하게 교반한 후, 비이커에 들어있는 치약 슬러리를 stainless plate에 옮긴 후, 남아있는 양과 형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완전히 다 풀려서 남은 것이 없는 것을 5점, 조금 남아있지만 대부분이 잘 풀렸으면 4점, 어느 정도 풀려서 큰 덩어리가 없으면 3점, 풀리지 않은 덩어리가 상당량 관찰되면 2점, 큰 덩어리들이 녹지 않고 뭉쳐져 있는 걸로만 보이면 1점으로 하여 수치화하였다.
(4) Phase angle 측정 방법
rheometer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G"/G'인 손실 탄젠트 (loss tangent, tan δ) 값을 측정하여, phase angle(δ)을 측정하였다.
(5) 저전단 점도 측정 방법
0.1 s-1의 shear rate에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점단 점도(shear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6) 물성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점도, 풀림성(소비자 평가, 실험실 평가), Phase angle 및 저전단 점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모든 치약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에 비하여, 점도가 50,000 이상에서도 풀림성(소비자 평가 및 실험실 평가)에 대한 척도가 매우 우수하였고, 치약 튜브에 대한 적합성이 모두 우수하였으며, phase angle이 25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사용감 측정
(1) 개운함 및 향 발산력 측정 방법
성인 12 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칫솔(리치 센서티브 칫솔)을 사용하여 1 cm 길이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로 1분 동안 양치하게 한 후에 향 발산력, 세정감을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개운함과 향 발산력이 확실히 차이나게 더 우수하다.
4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개운함과 향 발산력이 조금 더 우수하다.
3 : 기존 사용하던 치약과 개운함과 향발산력 차이 비슷하다.
2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개운함과 향발산력이 조금 미흡하다.
1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개운함과 향 발산력이 확실히 차이나게 미흡하다.
(2) 스테인제거 효과/세정효과 측정 방법
평소에 흡연을 하는 남자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모두 동일한 칫솔(리치 센서티브 칫솔)을 사용하여 1 cm 길이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로 1분 동안 하루 세번씩 4주 동안 양치하게 한 후에 세정력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 치아 표면에 얼룩들이 제거된 것 같고 치아가 밝아진 것 같다
4 : 치아 표면에 얼룩이 약긴 제거된 것 같다..
3 : 치아가 약간 밝아진 느낌이다.
2 : 치아 표면이 매끈해진 것 같다.
1 : 시용 전후에 큰 차이를 모르겠다.
(3) 사용감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개운함 및 향 발산력, 스테인제거 효과/세정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모든 치약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에 비하여, 개운함 및 향 발산력이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개운함과 향 발산력이 확실히 차이나게 더 우수하였고, 치아 표면에 얼룩들이 제거된 것 같고 치아가 밝아진 것 같다고 하여 스테인 제거 효과 및 세정효과가 모두 우수하게 평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내지 9 및 비교예 5 내지 9의 제조
실시예 5 내지 9 및 비교예 5 내지 9의 치약 조성물을 하기 표 4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기타성분(첨가제 등)을 용해시킨 것과 습윤제(PEG, 글리세린)에 점증제(카라기난, 잔탄검)을 분산시켜 미리 준비한 것을 혼합한 다음 실리카(연마용, 점증용)를 투입하고 약 20분간 교반한 후, 여기에 계면활성제(SLS 등)를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약 20분간 교반하고, chelating agent(SHMP, TSPP, SAPP) 및 향료를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약 20분간 교반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점도계(Brookfield RVF)를 이용하여, 25 ℃, 20 rpm의 회전속도에서 7 번 스핀들바(Spindle bar)를 이용하여 5 회전 (15초) 후 치약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in vitro 세정 효과 및 미백 효과 측정
(1) in vitro 세정 효과 및 미백 효과 측정 방법
인공 치아(치아 에나멜, 상아질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를 태블릿 시편으로 만들고, 치아 착색물질은 차, 커피, mucin, 금속염 등을 이용하여 착색시켰다. 이 후, 세정력을 평가하는 Brushing machine을 사용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태블릿 시편을 고정시킨 후, 본원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실제 사용 농도 (25g/40mL)의 슬러리로 1초에 90회의 속도로 5400회 칫솔질하였을 때, 세정 전후의 착색된 인공 치아 시편의 밝아진 정도를 색차계를 사용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태블릿 시편 표면의 색조 변화량(△E)을 측정하였다.
(2) in vitro 세정 효과 및 미백 효과 측정 결과
실시예 5 내지 9 및 비교예 5 내지 9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in vitro 치아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의 결과를 통해, SHMP를 인산염으로 사용한 실시예 7 내지 9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 SHMP를 인산염으로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 및 6의 치약 조성물에 비해 미백 효과가 2.1 내지 2.8배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HMP를 인산염으로 사용하였으나, 물의 함량을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이상 함유한 비교예 7 내지 9의 치약 조성물에 비해 미백 효과가 1.3 내지 1.6배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SPP 및 SAPP를 인산염으로 사용한 각각의 실시예 5 및 6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 SHMP를 인산염으로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 및 6의 치약 조성물에 비해 미백 효과가 1.8 내지 2.1배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SHMP를 포함하고, 물의 함량을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이하로 포함함으로써 인산염의 과포화량을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2% 초과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경우, 입자감을 나타내어 치아 표면에 착색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더욱 우수한 치아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4. 사용감 측정
(1) 사각거림 측정 방법
성인 12 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칫솔(리치 센서티브 칫솔)을 사용하여 1 cm 길이의 실시예 5 내지 9 및 비교예 5 내지 9의 치약 조성물로 1분 동안 하루에 3번 2주 동안 양치하게 한 후에 사각거림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확실히 사각거린다
4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약간 사각거리는 것 같다.
3 : 치악 내 입자가 느껴진다.
2 : 기존 사용하던 치약과 사각거리는 느낌이 비슷하다.
1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사각거리는 느낌이 확실히 미흡하다.
(2) 세정감 측정 방법
성인 12 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칫솔(리치 센서티브 칫솔)을 사용하여 1 cm 길이의 실시예 5 내지 9 및 비교예 5 내지 9의 치약 조성물로 1분 동안 하루에 3번 2주 동안 양치하게 한 후에 세정감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양치 후 치아 표면이 깨끗해진 것 같고 뽀드득해진 것 같다
4: 양치 후 치아가 표면이 깨끗해진 것 같다.
3: 양치 후 치아가 뽀드득해진 것 같다
2: 기존 치약 대비 세정력 차이를 모르겠다
1: 기존 치약보다 세정력이 떨어지는 것 같다.
(3) 사용감 측정 결과
실시예 5 내지 9 및 비교예 5 내지 9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사각거림 및 세정감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내지 9의 모든 치약 조성물은 비교예 5 내지 9의 치약 조성물에 비하여,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사각거림이 확실히 우수하였고, 치아 표면이 깨끗해진 것 같고 뽀드득해진 것 같다고 하여 세정감이 더 우수하게 평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내지 17의 제조
실시예 10 내지 17의 치약 조성물을 하기 표 7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습윤제(PG, PEG, 글리세린)에 액상성분을 모두 넣어주어 잘 섞어 준 후에 연마제(CPP, 실리카), 점증제(PVP 또는 crossed linked PVP)를 잘 분산시켜준다. 거기에 기타성분(첨가제 등)을 분산 시키고, 약 20분간 교반한 후, 여기에 계면활성제(SLS 등)를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약 20분간 교반하고, 과산화수소 및 향료를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약 20분간 교반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0 내지 15의 제조
과산화수소의 포함 여부, CPP(calcium pyrophosphate) 포함 여부, 점증제(Crosslinked PVP-H2O2 complex)의 성분 및 spreading agent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0 내지 17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0 내지 14의 치약 조성물을 하기 표 8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고, 통상 시판되고 있는 메디안 덴탈 화이트 미백치약 (과산화수소 함유, 연마제 비함유, 물 함유)을 비교예 15로 하였다.
실험예 5. 치약의 안정성 측정
(1) 과산화수소의 고온 경시 안정성 측정 방법
과산화수소 농도의 간접 측정방법인 요오드(iodine)를 이용한 적정법으로, 제조 초기 치약의 과산화수소 농도와 50 ℃ 항온 수조에서 튜브 상태로 4주 보관한 후 치약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여, 초기 제조 대비 남아있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비를 계산하였다. 전혀 분해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 100%로 표현하였다.
(2) 치약의 고온에서의 상 안정성 측정 방법
50 ℃ 항온 수조에서 튜브 상태로 4주 보관한 후 치약을 짰을 때, 액분리되는 것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치약 튜브를 반으로 갈랐을 때의 내용물이 튜브에 잘 밀착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표면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3) 치약의 안정성 측정 결과
실시예 10 내지 12, 16 및 17과 비교예 10 내지 14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과산화수소의 고온 경시 안정성 및 치약의 고온에서의 상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9의 결과를 통해, 실시예 10 내지 12, 16 및 17의 치약 조성물의 과산화물은 4주 후에도 90% 이상 분해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4주 후의 비교예 10 내지 14의 치약 조성물이 분리된 것과는 다르게, 4주 후의 실시예 10 내지 12, 16의 치약 조성물은 튜브 내에서 분리되지 않고 잘 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이는, spreading agent를 사용함으로써, 치약 조성물이 튜브에 밀착되어 사이에 과수분해로 생성된 물이 존재하지 않아 상분리 현상을 억제하여, 분리된 형태의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경우에도, 치약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6. 치약의 사용감 및 미백효과 측정
(1) 개운함 및 세정감 측정 방법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0 내지 17 및 비교예 10 내지 15의 치약 조성물로 하루 3번, 한번에 1분 이상 양치하게 하여, 한달 동안 사용하게 한 후에 개운함 및 세정감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 기존 페이스트 치약을 사용한 듯 개운하고 상쾌하다.
4 : 사용 후 세정감과 개운함이 모두 수용할 만하다.
3 : 사용 후 세정감과 개운함 둘 중 하나가 수용할 만하다.
2 : 사용 후 별도의 페이스트 치약을 사용하고 싶지는 않지만 세정감과 개운함 둘다 미흡하다.
1 : 사용 후 별도의 페이스트 치약을 사용하고 싶을 정도로 사용 후 찜찜하다.
(2) 끈적임 측정 방법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0 내지 17 및 비교예 10 내지 15의 치약 조성물로 하루 3번, 한번에 1분 이상 양치하게 하여, 한달 동안 사용하게 한 후에 끈적임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 전혀 끈적이지 않다
4 : 약간 끈적이기는 한데 사용하기에는 문제 없다.
3 : 심하게 끈적이는데 사용하는 데는 문제 없다.
2 : 너무 끈적여서 양치할 수가 없다
1 : 너무 끈적여서 칫솔에 짜기가 불편하다.
(3) 미백효과와 세정력 측정 방법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0 내지 17 및 비교예 10 내지 15의 치약 조성물로 하루 3번, 한번에 1분 이상 양치하게 하여, 한달 동안 사용하게 한 후에 미백효과 및 세정력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 치아가 확실히 밝아졌다.
4 : 표면이 매끈해지고 치아가 밝아진 것 같다.
3 : 치아가 약간 밝아진 것 같다.
2 : 표면이 약간 깨끗해진 것 같다.
1 : 사용 전후 미백효과와 세정감에 차이를 모르겠다.
(4)
in vitro
치아 미백효과 측정 방법
인공 치아(치아 에나멜, 상아질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태블릿 시편으로 만들고, 치아 착색물질은 차, 커피, mucin, 금속염 등을 이용하여 착색 시킨 후에, 세정력을 평가하는 brushing machine을 사용하여 치약의 실제 사용 농도 (25g/40mL)의 슬러리로 1초에 90회의 속도로 5400회 칫솔질하였을 때, 세정 전후의 착색된 인공 치아 시편의 밝아진 정도를 chroma meter로 측정하고 색조 변화량(△E)을 계산하였다.
(5) 사용감 및 미백효과 측정 결과
1) 사용감 측정 결과
실시예 10 내지 17 및 비교예 10 내지 15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in vitro 치아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0의 결과를 통해, 실시예 10 내지 17의 치약 조성물은 비교예 10 내지 15에 비해 개운하고 상쾌하여 세정감이 우수하였고, 전혀 끈적이지 않았으며, 치아가 현저하게 밝아져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crosslinked PVP를 점증제로 사용함으로써 끈적임도 전혀 없고, 사용감이 개선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2)
in vitro
치아 미백효과 측정 결과
실시예 10 내지 12, 16 및 17과 비교예 11, 13 및 14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in vitro 치아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1의 결과를 통해, complex 형태의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1, 13 및 14의 치약 조성물에 비해 분리된 형태의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0 내지 12, 16 및 17의 치약 조성물의 미백효과가 1.3 내지 2.3배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분리된 형태의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경우, 실제 사용시 과산화수소의 현저히 빠른 분해에 의해 더욱 우수한 치아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구조화제(structurant)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치약 조성물의 위상각(phase angle)이 20 내지 90인, 치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20 내지 30 ℃에서 7일동안 보관한 후의 점도가 50,000 내지 120,000 cP인, 치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제는 카라기난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함량이 1 내지 15 중량%인 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유기 점증제 및 무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인, 치약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점증제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플록사머(poloxamer), 카보머(carbomer) 및 다당류(polysaccha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및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점증제는 점증용 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 및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상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 %인, 치약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가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는 입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 직경은 75 내지 180 ㎛인, 치약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TSPP(tetrasodium pyrophosphate), SAPP(sodium acid pyrophosphate) 및 SHMP(sodium hexameta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연마용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 함량의 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과산화물, 점증제 및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및 점증제는 각각 분리된 형태인, 치약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딩 제(spreading agent)는 스판 20(Span 20, sorbitan monolaurate), 스판 40(Span 40, sorbitan monopalmitate), 스판 60(Span 60, sorbitan monostearate), 스판 80(Span 80; sorbitan monooleate), 스판 85(Span 85, sorbitan trioleate), 및 TWEEN(POE sorbitan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PVP), crosslinked PVP,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hol, PVA),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CMC),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 ethylene glycol, PEG),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xypolymethylene), 카브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 폴록사머(Poloxamer), 카라지난(Carrageenan), 카르복시비닐 폴리머(Carboxyvinyl polymers), 잔탄검(Xanthan gum),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연마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약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CPP (calcium pyrophosphate),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지르코니움 실리케이트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A3134464A CA3134464A1 (en) | 2019-03-28 | 2020-03-27 | Toothpaste composition |
CN202410326381.6A CN118178260A (zh) | 2019-03-28 | 2020-03-27 | 牙膏组合物 |
EP20779633.5A EP3949942A4 (en) | 2019-03-28 | 2020-03-27 | TOOTHPASTE COMPOSITION |
US17/053,974 US11701313B2 (en) | 2019-03-28 | 2020-03-27 | Toothpaste composition |
CN202080024468.8A CN113631143B (zh) | 2019-03-28 | 2020-03-27 | 牙膏组合物 |
US18/084,879 US20230128275A1 (en) | 2019-03-28 | 2022-12-20 | Toothpaste Composition |
US18/128,025 US20230248624A1 (en) | 2019-03-28 | 2023-03-29 | Toothpaste Composi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6188 | 2019-03-28 | ||
KR10-2019-0036187 | 2019-03-28 | ||
KR1020190036188A KR102207880B1 (ko) | 2019-03-28 | 2019-03-28 |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KR10-2019-0036186 | 2019-03-28 | ||
KR1020190036187A KR102246287B1 (ko) | 2019-03-28 | 2019-03-28 |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KR1020190036186A KR20200114426A (ko) | 2019-03-28 | 2019-03-28 | 풀림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US17/053,974 A-371-Of-International US11701313B2 (en) | 2019-03-28 | 2020-03-27 | Toothpaste composition |
US18/084,879 Division US20230128275A1 (en) | 2019-03-28 | 2022-12-20 | Toothpaste Composition |
US18/128,025 Continuation US20230248624A1 (en) | 2019-03-28 | 2023-03-29 | Toothpaste Composi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97342A1 true WO2020197342A1 (ko) | 2020-10-01 |
Family
ID=7260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20/004266 WO2020197342A1 (ko) | 2019-03-28 | 2020-03-27 | 치약 조성물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11701313B2 (ko) |
EP (1) | EP3949942A4 (ko) |
CN (2) | CN113631143B (ko) |
CA (1) | CA3134464A1 (ko) |
WO (1) | WO202019734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01313B2 (en) * | 2019-03-28 | 2023-07-18 |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 Toothpaste composition |
WO2022216666A1 (en) * | 2021-04-08 | 2022-10-13 | Colgate-Palmolive Company | Oral care compositions |
CN114288208A (zh) * | 2022-02-22 | 2022-04-08 | 克劳丽化妆品股份有限公司 | 一种牙齿美白组合物、口腔护理清洁用品及其制备方法 |
CN115919685B (zh) * | 2022-11-18 | 2024-03-22 | 杭州纳美智康科技有限公司 | 双管美白牙膏及其制备方法 |
CN115778846A (zh) * | 2022-12-16 | 2023-03-14 | 广州立白企业集团有限公司 | 一种电动牙刷用牙膏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85853A (en) * | 1991-06-24 | 1992-02-04 | Chesebrough-Pond's U.S.A., Division Of Conopco, Inc. | Flavor for peroxide-bicarbonate oral compositions |
JPH10182389A (ja) * | 1996-12-27 | 1998-07-07 | Lion Corp | 歯磨組成物 |
WO2000019971A1 (en) * | 1998-10-05 | 2000-04-13 | Colgate-Palmolive Company | Dual component antiplaque an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
KR20050048853A (ko) * | 2003-11-20 | 2005-05-25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온도 및 전단 응력 의존성 상 변형 치약 조성물 |
KR20080107799A (ko) * | 2007-06-08 | 2008-12-1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치약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96096A (en) * | 1979-07-05 | 1981-10-20 | Colgate-Palmolive Company | High viscosity dentifrice |
US4353890A (en) | 1979-10-24 | 1982-10-12 | Colgate-Palmolive Company | Stabilization of carrageenan-containing toothpaste |
US5302374A (en) * | 1993-04-21 | 1994-04-12 | Dental Concepts Inc. | Oral hygiene system |
EP0967965A4 (en) * | 1996-07-25 | 2001-01-24 | Whitehill Oral Tech Inc | LOW-FOAM THERAPEUTIC TOOTHPASTS WITH IMPROVED CLEANING AND ABRASION QUALITIES |
WO1999044572A1 (en) | 1998-03-06 | 1999-09-10 | Fmc Corporation | Non-stringy gel toothpaste comprising kappa carrageenan and cellulose as binders |
DE19845247A1 (de) | 1998-10-01 | 2000-04-06 | Henkel Kgaa | Flüssiges Zahnreinigungsgel |
JP3929650B2 (ja) | 1999-07-30 | 2007-06-13 | 花王株式会社 | 口腔用組成物 |
JP2003089627A (ja) | 2001-09-19 | 2003-03-28 | Lion Corp | 練歯磨剤組成物 |
ATE469633T1 (de) | 2001-11-28 | 2010-06-15 | Procter & Gamble | Zahnpflegezusammensetzungen |
KR20050023598A (ko) | 2003-08-28 | 2005-03-1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치약 조성물 |
CN1988876B (zh) | 2004-07-06 | 2010-11-24 | 狮王株式会社 | 牙膏组合物 |
GB0624578D0 (en) * | 2006-12-08 | 2007-01-17 | Glaxo Group Ltd | Novel Composition |
US20080248072A1 (en) * | 2007-04-05 | 2008-10-09 | William Michael Glandorf | Transparent multi-phase dentifrice with patterns |
JP2011518227A (ja) * | 2008-04-28 | 2011-06-23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口腔ケア組成物 |
US8623333B2 (en) | 2008-09-30 | 2014-01-07 | Glaxo Group Limited | Composition |
MX2011005559A (es) * | 2008-11-25 | 2012-01-25 | Procter & Gamble |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bucal que contienen redes de gel y silicio fundido. |
CN105245449B (zh) | 2010-01-05 | 2019-07-30 | 日本电气株式会社 | 通信系统、控制装置、处理规则设置方法、分组传输方法 |
KR101564434B1 (ko) * | 2013-04-04 | 2015-10-29 | 현대약품 주식회사 | 피부투과가 개선된 외용제 조성물 |
SG11201510442TA (en) | 2013-06-18 | 2016-01-28 |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 Oral composition |
KR101792198B1 (ko) | 2013-06-18 | 2017-10-3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구강용 조성물 |
MX2016007118A (es) | 2013-12-11 | 2016-09-08 | Colgate Palmolive Co | Pasta dental de alta salinidad y viscosidad estable. |
PT2883573T (pt) * | 2013-12-13 | 2018-01-04 | Omya Int Ag | Composição de limpeza abrasiva |
KR20160131488A (ko) | 2015-05-07 | 2016-11-16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펌핑형 치약 조성물 |
CN105534875B (zh) * | 2015-12-24 | 2018-03-23 | 重庆登康口腔护理用品股份有限公司 | 用于口腔用品的抑菌抗敏感组合物及其牙膏和制备方法 |
CN109328092A (zh) * | 2016-06-24 | 2019-02-12 | 高露洁-棕榄公司 | 口腔护理组合物 |
CN109789059A (zh) * | 2016-10-03 | 2019-05-21 |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 清洁组合物 |
BR112019012107B1 (pt) * | 2016-12-20 | 2023-03-14 | Colgate-Palmolive Company | Composição para higiene bucal e método para clarear dentes |
JP6973034B2 (ja) | 2016-12-27 | 2021-11-24 | ライオン株式会社 | 歯磨剤製品 |
CN107625659B (zh) * | 2017-09-04 | 2020-06-26 | 美晨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美白牙膏及其制备方法 |
KR102246287B1 (ko) | 2019-03-28 | 2021-04-2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US11701313B2 (en) * | 2019-03-28 | 2023-07-18 |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 Toothpaste composition |
-
2020
- 2020-03-27 US US17/053,974 patent/US11701313B2/en active Active
- 2020-03-27 WO PCT/KR2020/004266 patent/WO2020197342A1/ko unknown
- 2020-03-27 CA CA3134464A patent/CA3134464A1/en active Pending
- 2020-03-27 EP EP20779633.5A patent/EP3949942A4/en active Pending
- 2020-03-27 CN CN202080024468.8A patent/CN113631143B/zh active Active
- 2020-03-27 CN CN202410326381.6A patent/CN118178260A/zh active Pending
-
2022
- 2022-12-20 US US18/084,879 patent/US20230128275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03-29 US US18/128,025 patent/US20230248624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85853A (en) * | 1991-06-24 | 1992-02-04 | Chesebrough-Pond's U.S.A., Division Of Conopco, Inc. | Flavor for peroxide-bicarbonate oral compositions |
JPH10182389A (ja) * | 1996-12-27 | 1998-07-07 | Lion Corp | 歯磨組成物 |
WO2000019971A1 (en) * | 1998-10-05 | 2000-04-13 | Colgate-Palmolive Company | Dual component antiplaque an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
KR20050048853A (ko) * | 2003-11-20 | 2005-05-25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온도 및 전단 응력 의존성 상 변형 치약 조성물 |
KR20080107799A (ko) * | 2007-06-08 | 2008-12-1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치약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ee also references of EP3949942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631143A (zh) | 2021-11-09 |
CN118178260A (zh) | 2024-06-14 |
US20230248624A1 (en) | 2023-08-10 |
US20210236400A1 (en) | 2021-08-05 |
US20230128275A1 (en) | 2023-04-27 |
EP3949942A1 (en) | 2022-02-09 |
US11701313B2 (en) | 2023-07-18 |
EP3949942A4 (en) | 2023-04-05 |
CA3134464A1 (en) | 2020-10-01 |
CN113631143B (zh) | 2024-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20197342A1 (ko) | 치약 조성물 | |
WO2017164627A2 (ko) | 바이오필름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 |
WO2017123020A2 (ko) | 구강용 제제 | |
WO2020204293A1 (ko) |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
JP3212095B2 (ja) | シリコーン含有パウダー | |
WO2013085224A1 (en) | Bitter taste masked oral thin film formulation of sildenafil citrate | |
JP3640967B2 (ja) | 歯磨き組成物 | |
WO2019017727A1 (ko) | 마스크팩 키트 | |
US6576225B1 (en) | Dental care composition | |
KR20080074087A (ko) | 치약 조성물 | |
WO2019221513A1 (ko) | 신규한 브롬화 퓨라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 |
WO2017135569A1 (ko) |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및 그 제조 방법 | |
WO2023008985A1 (ko) | 배박 효소 처리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치약 연마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치약 조성물 | |
WO2021221228A1 (ko) | 이종의 유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
WO2014204221A1 (ko) | 구강용 조성물 | |
JP2003335646A (ja) | 歯磨組成物 | |
KR102246287B1 (ko) |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
WO2017061699A1 (ko) |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 |
WO2018174337A1 (en) | Detergent compositions for removing heavy metals and formaldehyde | |
WO2016171303A1 (ko) | 우수한 스캐닝 성능 및 기계적 물성을 갖는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인상재 | |
JP2004123684A (ja) | 歯磨組成物 | |
WO2021215574A1 (ko) |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413711B1 (ko) |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
WO2022182101A1 (ko) | 고함량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비침식성 치아 미백 조성물 | |
JPH01104004A (ja) | 口腔用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207796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3134464 Country of ref document: CA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207796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