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864B1 -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10864B1 KR930010864B1 KR1019900005422A KR900005422A KR930010864B1 KR 930010864 B1 KR930010864 B1 KR 930010864B1 KR 1019900005422 A KR1019900005422 A KR 1019900005422A KR 900005422 A KR900005422 A KR 900005422A KR 930010864 B1 KR930010864 B1 KR 930010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discharge
- recording paper
- paper
- image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4/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by discontinuous stitching with filamentary material, e.g. wi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후처리장치(finisher)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 개략도.
제2도는 상부 트레이의 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상부 트레이, 및 상부 트레이와 결합되고 트레이 이동 기구에 포함된 스톱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각각 트레이 이동 기구에 포함된 구동계(系)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제6도는 용지 가압기구의 사시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상부 트레이틀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구의 측면 및 사시도.
제9도는 용지 배출 처리계(系)의 개략구조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각각 스테플러부의 정면도 및 저면도.
제12도는 스테플러의 취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3도는 하부 트레이에 결합된 배출장치의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B-B선 단면도.
제15도는 하부 트레이에 결합된 스테플러부 및 배출부의 확대측면도.
제16도는 모터 록(lock) 상태에 근거하여 잼(jam)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아그램.
제17도는 예를 들어 잼과 같은 모터 록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Ⅰ : 분류부(sorting section) Ⅱ : 스테플부(stapling section)
S : 스테플러(stapler) 1a, 1b : 퍼 블러쉬(fur brush)
3 : 기록지배출롤러 5, 6 : 조거펜스(zogger fence)
17 : 배출밸트 26, 27 : 가이드판(guide plate)
35 : 가이드 아암 53 : 기록지배출 트레이(tray)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고 이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기록지에 스테플등 후처리를 행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류의 처리장치는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송출되는 기록지를 스테플트레이상에 수납한 후 이를 철(綴)하고, 철해진 기록지 묶음을 스테플 트레이 하방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로 낙하하여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같은 형태의 처리장치는 일본특허공개 번호 62-20046, 62-191375, 62-176246, 62-290669, 59-82263, 및 63-101268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1) 배출트레이 상부에 위치한 스테플트레이로 인하여 조작자가 배출트레이상의 처리된 기록지더미로 접근하기 어려워 조작자가 처리된 기록지 묶음을 꺼집어 낼때마다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다.
(2) 스테플러가 기록지묶음을 예외없이 정해진 위치에서 철한다. 특히 용지상의 화상형성방향이나 기록방향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스테플링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3) 철한 기록지묶음을 상부 트레이상에 배출하는 형태의 종래의 처리장치는 트레이를 상방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배출용지 이송통로가 필요하여 여분의 공간이 필요하다.
(4) 별도의 용지배출통로를 없애기 위하여 철해진 기록지를 직접 스테플 장치로부터 배출할때는, 기록지가 접혀져서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기록지가 줄어든다.
(5) 스테플작업의 오류 및 철해진 기록지묶음의 잼(jam)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작자가 구부리지 않고 간단히 작업을 행할수가 있는 작업성이 양호하면서도 소형인 화성형성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위치 혹은 원하는 위치에서 기록지 묶음을 철하는 화상형성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기록지 묶음을 스테플장치로부터 트레이로 직접 배출함으로써 별도의 배출통로가 불필요한 화상형성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지를 바람직한 방법으로 스테플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화상형성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테플 작업의 오류 및 철해진 기록지 묶음의 잼을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검지함으로써 작업재개를 위한 처리를 신속히 할 수 있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개선된 화상형성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순차적으로 배출된 기록지를 제본 처리하는 후처리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제1트레이(tray);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스테플부(stapling section);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된 기록지를 받는 입구; 상기 입구로부터 제1트레이로 신장하는 제1통로; 상기 입구로부터 스테플부로 신장하는 제2통로; 상기 제1트레이 하부에 설치된 제2트레이, 스테플부에 의해 철해진 기록지 묶음을 제2트레이 상에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2트레이에 직접 연결된 배출장치; 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플부는 기록지 수용부와 기록지 수용부상에 재치된 기록지를 철하기 위한 스테플장치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일측에 연결작동되는 화상형성후 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장치는 상부측의 이동 가능한 분류부(sorting section)Ⅰ및 그 분류부 Ⅰ 하부에 설치된 스테플부 Ⅱ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분류부 Ⅰ의 이송통로에는 복수의 이송롤러 및 이에 연결된 구동롤러가 배설되어 있다.
제1이송롤러 101은 제1타이밍 벨트 104를 통하여 이송 구동 모터 M1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는 회전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롤러 101의 회전축은 도시되지 않은 제2타이밍 벨트에 의해 다른 이송롤러의 회전축과 배출롤러 102의 회전축, 및 기록지를 위치시키는 퍼블러쉬(fur blush) 103의 회전축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이송롤러 101 및 배출롤러 102에는 기록지 검지센서 SN1및 SN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반송되는 용지의 선단 및 후단의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송롤러 101의 아래쪽에는 안내포울(guide pawl) 105가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230(제9도) 및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어 이송방향을 스테플부 Ⅱ 및 분류부 Ⅰ로 신장하는 이송통로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지배출구의 부근에는 배출롤러 102의 직하부에 퍼 블러쉬 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트레이 혹은 배출 트레이 107에 낙하된 기록지가 퍼블러쉬의 회전에 의해 스톱 플레이트 106방향으로 돌기내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기록자의 선단이 위치되게 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톱 플레이트 106 및 상부 트레이 107에는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는 凹凸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 107은 스톱 플레이트 106에 대하여 자유로이 상하운동이 가능하며 (제3도의 기록지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또한 스톱플레이트 106과 연동되어 전후방향(제3도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톱 플레이트 106은 화상형성 장치에 인접한 측면에서 베어링 111을 통해 로드(rod) 혹은 시프트가이드 112상에 설치되어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5도에 의하면 스톱 플레이트 106은 아암로드 115를 통해 크랭크 113에 편심접속되어 있다.
크랭크 113은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브래키트 116이 측벽 100상에 설치되어 측벽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어열(列) 114가 브래키트 116에 설치되어 크랭크 113을 시프트 모터 M2로 작동연결시킨다.
시프트 모터 M2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크랭크 113이 구동되며, 그 편심회전 작용에 의해 스톱 플레이트 106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후 스톱 플레이트 106이 배출트레이 107을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전후로 움직인다.
스톱 플레이트 106으로부터는 크랭크 113에 의한 이동량(변위)와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만큼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한 시프트 검지판 118이 돌설되어 있다.
시프트 센서 117이 스톱 플레이트 106과 대향되게 위치하여 기록지의 돌출과 트레이 107의 이동으로 이루어지는 반복동작의 끝을 검출하게 되어 있다.
제6도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톱 플레이트 106에는 브래키트 119가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압압롤러 108이 회전가능하고 상하 운동 가능하도록 브래키트 119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중력에 의해 압압롤러 자신을 기록지 묶음의 상단에 대하여 계속 압압한다.
기록지는 중력 및 퍼블러쉬 103에 의한 반송력에 의해 그것이 스톱 플레이트 106에 대하여 돌출될때까지 압압롤러 108의 밑으로 가게 된다.
상부 트레이 107이 이동(Shifr)된 경우에는, 압압롤러 108은 기록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처리장치본체에는 압압롤러와 대향되게 기록지 표면센서 SN3가 설치되어 있다.
순차적으로 트레이 107상에 적재되는 기록지에 의해 압압롤러 108이 상승하면, 기록지 표면 센서 SN3는 롤러 지지브래키트 108A의 일부를 검지하여 배출 트레이 107의 상표면이나 기록지 묶음의 상단면이 예정된 높이에 도달 했는지를 결정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메카니즘은 상부 트레이 107이 견고하게 설치된 트레이지지대 110을 포함한다.
트레이 지지대 110은, 베어링 110a를 통해 트레이 마운트 109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 107은 트레이 마운트 109상에서 스톱 플레이트 106에 의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된다. 트레이마운트 109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3타이밍 벨트 120에 고정된다.
제3타이밍 벨트 120은 각각의 전후 페널 100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타이밍 벨트 120 각각은 구동풀리 121 및 피동풀리 122을 통과한다. 2개의 구동풀리 121은 반대측페널 100을 관통하여 구동축 123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 123에는 기어 124가 설치되며 기어 124는 원웨이 플럿치(one-way clutch)를 내장하고 있다.
원-웨이 클럿치는 배출 트레이 107을 들어올리기 위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구동축 123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어 124는 기어열, 워엄힐 125 및 워엄 126에 의해 구동모터 M3에 접속되어 있다.
베어링 127이 측면 패널 100과 대향하는 트레이 마운트 109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반대 측면 패널 100에는 가이드 레일 128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 127과 가이드 레일 128은 함께 접촉됨으로써 트레이 마운트 109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면서 중력에 의한 회전운동 때문에 트레이 107이 떨어짐을 방지한다.
상술한 메카니즘에 의해 통상시는 워엄 126의 보지력 및 원-웨이 클럿치가 록상태로 됨에 의해 트레이 107의 하강이 정지되게 되었다.
또한 상승모터 M3가 트레이 107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구동되면, 원-웨이 클럿치가 록상태로 되어 풀리 121 및 122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배출 트레이 107이 상승한다.
모터 M3가 다른 방향 즉 트레이 107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원-웨이 클럿치가 자유상태(unlocked)로 되며, 이에 따라 배출트레이 107은 그 자중(自重)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제9도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 120의 내측에는 배출트레이 107과 대향하도록 상한센서 SN4와 하한센서 SN5가 설치되어 있어, 상승검지판 129와 결합하여 트레이 107의 상하한 위치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트레이 107이 하향운동하는 동안에는 원-웨이 클럿치가 자유상태로 되어 상승모터 M3의 회전이 트레이 107로 전달되지 않으며, 하강하는 동안 트레이 107이 외력에 의해 정지되어 있을 때라도 구동모터 M3는 공전됨으로써 모터의 과부하나 조작자와 손가락이 끼는 것 같은 문제가 방지되게 되어 있다.
복사동작이 개시되면 시프트 모터 M2가 구동되어 크랭크 113이 회전됨으로써 크랭크 113이 로드 115를 거쳐 전후 방향으로 스톱 플레이트 106을 이동시킨다.
스톱 플레이트 106은 같은 방향으로 트레이 107을 이동하기 시작한다.
시프트 센서 117이 이동 동작의 개시전에 검지한 것과 다른 시프트 검지판 118을 검지하면 이 신호에 따라 시프트 모터 M2가 정지되어 이동 동작이 종료된다.
이동 동작이 종료된 후에 상승모터 M3가 배출 트레이 107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가록지 표면 센서 SN3가 압압롤러 108을 지지하는 브래킷트 108A의 일부를 검지함에 따라 상승모터 M3가 정지되어 트레이 107의 상승이 종료하게 된다.
복사기에 의해 배출된 기록지를 복사기의 배출속도와 동일한 선속도로써 이송롤러가 수취한다.
제1기록지센서 SN1이 기록지의 후단을 검지하면 선속도가 복사기의 배출속도보다 큰 속도로 변경된다.
제2기록지센서 SN2이 기록지의 선단을 검지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선속도는 원래 속도 혹은 그 이하 속도까지 변경된다.
그후 기록지는 트레이 107상에 배출된다.
배출트레이 107로 배출된 기록지는, 중력 및 퍼 브러쉬 103의 회전에 의한 반송력으로 스톱 플레이트 106에 돌출할때까지 압압롤러 108 하부에 도달함으로써 기록지의 후단이 위치조절된다.
이때 일정수이상의 기록지 혹은 복사장수가 트레이 107에 적재되면, 시프트모터 M2가 구동되어 트레이 107을 상승시킨다.
일행정(一行程)이동이 완료되면, 시프트 모터 M2가 정지된다.
이동작에 의해 배출 트레이 107상에서의 기록지의 집적위치가 변경되며 이에 의해 트레이 107상에 분류된다.
그래서 일련의 복사동작이 종료되어 최종 기록지가 배출되면 그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 M3가 하강방향으로 구동되어 트레이 107이 일정거리만큼 하강된 후에 동작이 종료되게 되어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량의 기록지가 상부 트레이 107상에 집적되었고 그 집적된 기록지의 상단이 기록지 출구근처에 위치한다고 가정해보자.
그후 기록지 센서 SN3가 브래키트 108A의 일부를 검지하여 상승모터 M3를 구동시켜 트레이 107을 하강시킨다.
이는 위엄 126의 보지력 및 원-웨이 크럿치의 록을 해제시켜 트레이 107을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되게 한다.
배출 트레이 107이 하강됨으로써 트레이 107상의 기록지접적중 상단이 기록지 센서 SN3가 더이상 브래키트 108A를 검지하지 않는 수준까지 저하됨에 따라 상승모터 M3가 정지된다.
그러면 워엄 126과 협력하여 트레이 107의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원-웨이 크럿치가 록(Lock)된다.
하한센서 SN5가 상승검지판 129를 검지할때까지 트레이 107이 하강하면, 모터 M3가 정지되어 트레이 107이 더이상 하강하는 것을 막는다.
제1도,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스테플부 Ⅱ에 포함된 스테플러 S를 이동시키는 메카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테플러 S는 스테플러마운트 3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테플러마운트 31은 스테플러 슬라이더 30의 안내요홈 30b에 안내핀 32를 통해 제12도의 ℓ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테플러 마운트 31의 배면측에 축 44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축 44에 대하여 가이드 롤러 34가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가이드로드 36은 그 양측 끝단에서 측판 41 및 42에 의해 지지된다.
스테플러 슬라이드 30의 상부는 양측판 41,42의 사이에 끼어있는 가이드로드 36을 가이드로하여 제12도의 용지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음과 동시에, 스테플러 슬라이드 30의 하부에 취부되어 있는 가이드롤러 33이 복사기본체측의 스테이(stay) 43의 표면상에 전동(轉動)하도록 당접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스테플러 슬라이드 30이 회전방향으로 제한된다. 가이드캠 35는 스테이 43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 캠표면이 제공된다.
가이드 롤러 34는 가이드캠 35의 캠표면에 기대어 있다.
이 구조에서, 스테플러 슬라이더 30은 제10도에서 화살표 K로 표시한 바와같이 왕복운동 가능하다. 가이드캠 35의 중간부는 아래로 파져있어 이에 따라 스테플러 슬라이더 30이 이동하게 되어 있다.
스테플러 슬라이더 30의 상단부에는 검지판 30a가 설치되어 있으며, 처리장치 본체에는 검지부를 갖는 홈포지션 센서 40이 설치되어 있다. 검지판 30a가 홈센서 40의 검지부를 차단하면, 스테플러 S의 홈포지션(Hp)가 검지된다. 측벽 41에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테플러 S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테핑 모터 39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39는 스테플러 슬라이더 30이 고정된 벨트 38을 구동한다. 이같이 하여 벨트 38은 제10도의 좌우방향으로 스테플러 슬라이더 30을 구동한다.
제10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 조거펜스(jogger fences)를 이동시키는 메카니즘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이 메카니즘은 양측벽 41과 42사이에서 신장하고 있는 조거펜스로드 9를 포함한다.
조거펜스로드 9에는 좌측 슬라이더 7 및 우측슬라이더 8가 이를 따라 왕복 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 슬라이더 7 및 8에는 우측 조거펜스 5 및 좌측 조거펜스 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조거펜스 5 및 6은 스테플 동작에서 용지묶음을 정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조거펜스 5 및 6은 철해진 용지 묶음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멤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배출롤러 3 부근에서부터 하부트레이 혹은 베출트레이 53부근까지 신장되어 있다.
조거펜스 5 및 6에는 후단펜스 5a 및 6a가 제공되어 철해진 용지묶음의 하단을 보지한다.
우측 및 좌측 슬라이더 7 및 8은 조거펜스 모터 11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 10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우측 및 좌측 슬라이더 7 및 8은 벨트 10의 다른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좌조거펜스 6 및 우조거펜스 5가 제10도 좌우방향에 있어서 대조적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조거펜스의 상부배면측에는 가이드롤러 15가 취부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롤러 15가 양측벽 41,42의 상부 사이에 신장하는 가이드스테이 16으로 운동하도록 당접되어 있다. 좌측 슬라이더 8에는 검지판 8a가 설치되어, 이 검지판 8a가 장치본체에 설치된 홈포지션 센서 14의 검지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양조거펜스의 홈포지션(Hp)이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15도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각각의 조거펜스 5 및 6의 하단부에는 압압부재 64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스테플 트레이상에 적재시의 기록지 p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압멤버 64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필름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제10도, 제13도 및 제14도를 참조하여 배출벨트 메카니즘에 대하여 기술한다. 양측벽 41,42의 상단부분에는 구동축 24가 취부되어 있으며, 그 구동축 24의 거의 중앙부에 구동풀리 18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 18의 하부에는 고정풀리가 설치되고 이들 양 풀리 18, 19사이에 무한배출벨트 17이 걸려있다. 배출벨트 17은 또한 아이들 풀리 47을 통과한다.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판 25에 의해 벨트가 느슨해지거나 이탈됨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측벽 41에는 벨트 구동모터 22가 고정되어 있어, 그 벨트 구동모터 22의 출력측에 취부되어 있는 풀리 21과 상기 구동축 24의 일단측에 취부되어 있는 풀리 20과의 사이에 벨트 23이 지나가서 벨트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벨트 17의 표면부에는 돌기상의 호 46이 용지묶음을 하방에서 파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출벨트 17의 내부측에는 호 46의 위치를 검출하는 홈 포지션센서 48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홈포지션 센서 48에 의해 호 46의 홈포지션(Hp)이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같은 배출 벨트 17의 이송속도 V2는 기록지 배출롤러 3의 배출선속도 V1보다 같거나 약간 크도록 (V2 V1)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다음에 철해지는 용지 묶음이 이미 철해진 용지 묶음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같은 스테플러 S의 메카니즘은 하나의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 51 및 52를 따라 조작자 앞으로 당겨지도록 지지되어 있다. 기록지배출트레이 메카니즘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레이 53의 기부(基部)가 트레이 마운트 54위에 고정되어 있다.
트레이 마운트에는 가이드롤러 56이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있으며, 그 가이드롤러 56이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레일과 맞물리게 됨에 따라 트레이 마운트 54와 함께 트레이 53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마운트 54는 리프트스피링 55에 의해 상향으로의 힘을 계속하여 받고 있다.
이송롤러 60,61,62에는 이송모터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벨트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며, 또한 배출롤러 3에도 이송모터 59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벨트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고 있다.
또한 배출롤러 3의 회전축 2에는 퍼블러쉬(fur brushes)1a 및 1b가 취부되어있으며, 이들 퍼블러쉬 1a 및 1b는 상기 배출롤러 3과 동기(同期)하여 회전구동되게 되어있다.
상기 퍼블러쉬 1a,1b의 털 선단부분은 가이드판 26 및 27에 접촉되어 있다. 가이드판 26,27에는 철한 후 기록지묶음의 하단주연부를 보지하는 돌기상의 리브(rib) 26a,27a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돌기상 리브 26b,27b가 표면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지는 상기 돌기상리브 26b,27b와 상기 퍼 블러쉬 1a,1b의 털선단부분에 의한 압압력에 의해 배면측으로 압압되어 파상(波狀)으로 변형되며, 이에따라 기록용지묶음에 어느 정도의 견고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출부 상부 가이드판 67의 기록지배출롤러 3의 회전중심에서의 돌출량 L은 주입되는 P가 돌출하는 량 ℓ보다 크게 되어있어, 이에 따라 만일 상기 퍼블러쉬 1a,1b의 하측에 기록지가 떨어지지 않고 상부 가이드판 67과 퍼-블러쉬 1a,1b와의 사이에 들어가더라도 퍼블러쉬 1a,1b의 털끝단에 의해 기록지 P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밀리도록 되어 있다.
이하, 기록지의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가 스테플키(staple key)로서 스테플모우드를 선택하고 원고급지대 (RDH)에 원고(N장)를 세트하며, 요구되는 복사장수 K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를 조작한 후 복사 개시키를 누르면 복사기본체는 복사크기 신호를 처리장치로 보낸다.
이에 응하여 처리장치는 스테플부가 요구된 크기의 기록지를 갖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답이 YES이면, 배출벨트 17의 46이 홈포지션(H.P)에 있는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일 스테플부가 특정크기를 가지지 않은 경우에는, 가이드 멤버 45(제12도)가 OFF으로된 상태에서 기록지는 상부 트레이부를 향하여 주입하는 기록지를 조향시킨다. 호(pawl) 46이 홈포지션에 있지 않으면, 벨트 22가 구동되어 이를 홈포지션으로 희귀시킨다.
스테플러 S가 홈포지션에 있는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답이 YES이면, 스테플러 S는 크기 신호에 의해 소정위치까지 이동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홈포지션이 검지될때까지 스테플러 S가 이동되고 그후 크기신호에 의해 소정위치까지 이동된다.
조거펜스 5 및 6이 그들의 홈포지션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만일 그답이 YES이면 이들은 크기 신호에 의해 소정위치까지 이동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조거펜스 5 및 6은 홈 포지션이 검지될때까지 이동된후, 상기 크기 신호에 의해 소정위치로 이동된다. 이때의 이동장소는, 크기폭보다 일측에서 amm, 즉 양측에서 2amm떨어진 거리에 이동된다.
기록지의 선단부가 입구센서 SN1에 의해 검지되면, 가이드 부재 105가 절환 솔레노이드 230에 의해 스테플 트레이를 향하여 기록지를 안내한다. 기록지의 선단부가 입구센서 SN1로부터 이동하면, 이동속도는 고속으로 절환된다.
단, 기록지가 복사기로부터 완전히 나가지 않을때는 이송속도는 복사기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기록지의 선단이 입구센서 SN1에서 이동된후 일정기간 경과후, 즉 가이드 부재 105로부터 이동된때, 솔레노이드 230은 작동을 중지한다. 배출롤러 3은 기록지를 스테플트레이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부 가이드판 67에 설치된 제전(除電)블러쉬 63에 의해 기록지에 대전(帶電)되어 있던 전하가 제거된다.
배출롤러 3에는 플렌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기록지를 파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이에 의해 기록지에 어느 정도의 견고함을 부여한다. 기록지의 후단이 롤러 3에서 이동되면, 롤러 3과 동축인 퍼블러쉬 1a 및 1b가 이를 위로 밀게 된다.
그 결과 후단펜스 26a,27a 및 조거펜스 5,6에 설치되어 있는 후단펜스 5a,6a에 대하여 돌출되게 한다.
기록지센서 50에서 기록지의 후단을 빼는데 충분한 시간경과후, 그때까지 대기하고 있던 조거펜스 5,6 구동용 모터 11이 1회 혹은 2회 회전하여 기록지를 폭방향으로 위치시킨다.
그후 조거펜스 5 및 6은 그들의 대기위치로 돌아간다.
이같은 위치선정 동작은 기록지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1작동(job)의 종료 신호가 복사기 본체로부터 발생될 때까지 행해진다.
1작동(job)의 종료신호가 복사기 본체로부터 발생되어 도달하면, 다시 상술한 동작이 실행된 후에 기록지 묶음이 조거펜스 5,6에 의해 폭방향으로 압압된다.
이상태에서 스테플러 S에 설치된 모터 223(제9도)가 구동되어 기록지 묶음이 철해진다.
이 스테플링 동작에서, 용지묶음이 한개 위치에 철해지는가 2개 위치에 철해지는가 관찰된다.
만일 기록지가 한개 위치에 철해져야 한다면, 조거펜스 5 및 6은 기록지가 철해진 후 기록지 묶음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까지 이동된다.
기록지가 2위치에서 철해져야 한다면, 스테플러는 스테핑 모터 39에 의해 철해져야 할 다른 소정 위치로 이동된 후 기록지를 철하고 원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배출벨트 17이 제13도에서 화살 m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회전되며 호 46에 의해 기록지 묶음의 후단이 상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기록지 묶음은 기록지가 스테플 트레이상에 이송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기록지 묶음이 하부 트레이 53에 배출된다.
이어서 필요한 량 K가 완전히 철해진 후 배출되었는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답이 YES이면 스테플러 S는 홈포지션으로 이동된다.
그렇지 않다면, 조거펜스 5 및 6은 크기 신호에 응하여 특정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절차가 다시 수행된다.
이같은 장치에 있어서, 배출트레이 107의 상하 동작은 전원 투입시나 모우드 선택시중 어느 시점에서는, 먼저 상한센서 SN4, 하한센서 SN5 및 용지센서 SN3의 출력상태를 CPU가 체크하고, 배출트레이 107의 현재위치를 판단한다.
상한센서 SN4 및 용지센서 SN3가 ON상태에 있으면, 상승모터 M3가 ON되며, 용지센서 SN3가 OFF될때까지 배출트레이 107이 하강한다.
상한센서 SN4만이 ON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
상한센서 SN4, 하한센서 SN5 및 용지센서 SN3가 모두 OFF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승모터 M3가 ON되어 상한센서 SN4 또는 용지센서 SN3가 ON될 때까지 베출트레이 107이 상승하며, 용지센서 SN3가 ON된 경우는 용지센서 SN3가 OFF될 때까지 하강한다.
용지센서 SN3만이 ON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승모터 M3가 ON되며, 용지센서 SN3가 OFF될 때까지 배출트레이 107이 하강한다.
하한센서 SN5만이 ON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출트레이 107상에 기록지가 적재용량에 이른 것으로 CPU가 판단하여 복사기 본체에 용지가 찼다는 신호를 보내서 조작자가 트레이 107로부터 기록지를 회수하도록 한다.
복사기 본체로부터 클리어신호(clear signal)를 받고, 상승모터 M3가 작동되어 상한센서 SN4 혹은 용지센서 SN3중 어느 하나가 OFF될 때까지 트레이 107을 상승시킨다.
용지센서 SN3가 ON되면, 트레이 107은 용지센서가 OFF될 때까지 하강한다.
동일 모우드로 다시 개시할 때에는, 전원 투입후 모우드 선택시와 같은 동작이 본체의 복사개시 신호에 동기하여 수행되게 된다.
복사도중 및 복사종료시에는 용지센서 SN3가 ON될 때 상승모터 M3가 ON되며, 용지센서 SN3가 OFF될 때까지 배출 트레이 107이 하강한다.
이 동작은 하한센서 SN5가 ON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후 트레이가 만재되었다는 신호가 복사기 본체에 다시 전달된다.
이 동작이 트레이 이동 동작과 중복된 경우는 트레이 이동 동작이 우선되며, 이동 작동중에는 대기되어 이동 종료후에 행해진다.
최종용지가 본체 기록지 배출센서 215를 통과한 후, 처리 중단신호가 처리장치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 상승모터 M3는 최종기록지가 트레이 107에 이송된 후 정지하며, 이에 따라 트레이 107은 일정량만큼 하강하여 기록지 제거를 용이하게 해준다.
그리고 전원 투입시에 있어서 이동 동작은 수행되지 않으며, 대신 모우드 선택시에 이동 모우드 혹은 프루프모우드(proof mode)를 이용한 경우에 모우드 신호를 받은 시프트모터 2가 ON되어 배출트레이 107이 움직이며, 시프트 센서 117이 ON되면 중지한다.
이같은 분류 동작은 오직 트레이 107의 상하운동이 완료된 후에만 수행된다.
이같이 함으로써 배출트레이 107상에 기록지가 잔류하더라도 압압롤러 108로써 기록지가 압압되며, 이에 따라 기록지가 전위됨을 방지한다.
복사기 및 복사종료시에는, 복사센서의 최종지가 본체 배출센서 215를 빼낼 때 신호가 송신되며, 처리장치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최종지의 후단이 기록지 배출센서 SN2 위를 통과하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시프트 모터 M2가 ON되며, 이동 동작이 개시된다.
시프트 검지센서 117이 ON됨에 시프트모터 M2가 OFF된다.
상기 동작은 트레이 107의 상하운동보다 우선되며, 이동 동작중에 트레이 상하 운동은 대기되며 이동 종료후에 상하운동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같이 함으로써 이동에 의한 용지의 전위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동일 모우드로써 동작이 다시 개시할 때에는 복사개시시에 이동 동작은 행해지지 않으며, 복사중은 상기 복사시와 같은 동작이 실행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조거펜스 5 및 6에 관련된 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전원 투입시 및 모우드 선택시에는, 조거홈 포지션 센서 14, 트레이 용지 유무 센서 205의 출력상태가 CPU에 의해 체크되며, 다음 동작이 실행된다.
조거홈 포지션 센서 14만이 ON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수행되지 않는다. 조거홈 포지션 센서 14, 트레이 용지 유무 센서 205가 ON되어 있으면, 스테플 트레이에기록지가 남아 있다는 신호가 본체로 송신된다.
조거홈 포지션 센서 14가 OFF이고 트레이 용지 유무 센서 205가 ON되어 있는 경우에는, 벨트 구동모터 22가 ON되며, 스테플 트레이상의 기록지가 기록지배출트레이 53으로 배출된다.
그후에 조거구동모터 11이 ON되어 조거펜스 5,6이 홈포지션 방향으로 이동되고, 조거홈 포지션 센서 14가 ON될 때 조거구동모터 11이 OFF된다.
복사도중, 복사종료시 및 복사재 개시시에는, 복사기 본체 모우터 용지 크기 신호가 복사개시후 처리장치에 도달한다.
이에 응하여 조거모터 11이 작동되어 조거펜스 5 및 6 각각을 이동시키며, 용지의 폭 크기 보다도 소정량 적은 만큼의 위치에 정지하여 대기된다.
기록지가 하부 용지 배출 센서 50으로부터 배출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거모터 11이 구동되어 조거펜스 5 및 6을 그들의 대기 위치로부터 이동시켜 기록지를 위치시킨다.
그후 조거펜스 5 및 6은 다시 대기위치로 돌아온다.
이때 조거구동모터 11은 정회전, 역회전은 1회-수회 반복하며, 이에 따라 조거펜스 5,6은 용지를 폭방향으로 배열시킨다.
이같은 동작은 기록지가 스테플 트레이상에 도달할 때마다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복사센서의 최종지가 본체 배출센서 215를 빠져나오면 복사기 본체로부터 스테플신호가 처리장치로 보내지며, 이 신호를 받음으로써 최종지가 스테플 트레이로 배출되며, 상기 기록지 위치 조정 동작이 행해진 후에 용지의 폭방향을 압압하는 위치로 조거펜스 5,6이 이동되어 정지한다.
스테플 동작이 종료되면, 조거펜스 5,6이 용지의 폭방향의 양단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로 이동된다.
다음, 배출벨트 17에 의해 기록지묶음이 배출트레이 53으로 배출되면, 조거펜스 5,6이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같의 함으로써, 조거펜스 5 및 6은 용지묶음이 스테플시에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철해진 용지묶음이 스테플 트레이로부터 배출시에 가이드로서의 역활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동작은 필요한 수의 복사량이 복사될 때가지 반복된다.
최종 철해진 묶음이 트레이 53상에 배출되면, 조거모터 11이 작동하여 조거펜스 5 및 6을 그들의 홈포지션으로 회기시키며, 조거홈 포지션 센서 14가 ON되는 즉시 모터 11은 정지한다.
전원 투입시 및 스테플러 모우드가 선택될 때, CPU는 1-회전센서 210, 스테플센서 211, 스테플러 홈센서 212의 출력상태를 체크하며, 이들 센서의 출력상태에 따라 CPU는 다음 절차를 수행한다.
1-회전 센서 210이 OFF되어 있는 경우에 트레이 용지센서 205가 ON되면, 스테플러 오류 신호가 복사기 본체로 송신된다.
트레이 용지센서 205가 OFF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스테플러 S는 예를들어 앞서 야기된 잼(jam)처리 때문에 홈포지션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그후 스테플러가 한번 공타(空打)한 후 홈포지션을 가장하도록 공타-요구신호가 본체로 송신된다.
스테플센서 211이 OFF이면, 스테플(針)이 없다는 신호가 복사기 본체로 송신된다.
스테플러 홈센서 40(제12도)가 ON상태이면, 아무것도 수행되지 않는다. 스테플러 홈센서 40이 OFF이고 1-회전 센서 210이 ON이면, 스테핑 모터 39가 작동하여 스테플러 S를 홈포지션으로 상승시키며; 스테플러 홈센서 40이 ON되면 모터 39가 정지된다.
1-회전 센서 210이 OFF된 상태에서는 스테플링 동작이 실패했는지 혹은 잼처리가 앞서 수행되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프로그램은 대기한다.
1-회전 센서 210이 공타등의 인위적인 처리로 인하여 ON되면, 모터 39가 가동되어 스테플러 S를 홈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스테플러 홈센서 40이 ON되면 모터 39는 정지한다.
복사도중, 복사종료시 및 복사재 개시시에는, 복사기 본체가 작동개시된 후에 용지크기 신호가 수신되면, 스테플러 이동모터 39가 ON되어 용지크기에 합치되는 측정위치로 소정량만큼 스테플러 S가 이동된다.
기록지세트중 마직막이 본체 배출센서 215를 통과한 후에 스테플 ON신호가 본체로부터 치리장치로 송신되며, 이에 따라 마지막 기록지는 스테플 트레이에 이송되고, 조거펜스 5,6이 기록지 묶음의 폭방향 양단을 누르자마자 스테플 모터 223이 ON되어 스테플동작이 행해지며, 1-회전 센서 210이 ON되면 스테플 구동모터 223이 OFF된다.
2개소를 철하는 모우드(two-position staple mode)의 경우는, 스테플러 이동모터 39가 ON되어 예정된 거리만큼 스테플러 S를 이동시키며, 그후 제2위치에서 스테플링 동작이 일어나도록 정지된다.
스테플링 동작이 완료되면, 모터 39가 ON되어 스테플러 S를 제1위치까지 소정량 돌아오게 한 후 정지한다.
이같은 스테플링 동작은 요구되는 장수의 복사가 완료된 때가지 반복된다.
마지막 기록지 묶음이 철해지면, 모터 39가 작동하여 스테플러 S를 홈포지션으로 회귀시키고 이에 따라 스테플러 홈센서 40이 ON되면 모터 39는 정지된다.
이하, 배출벨트 17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원투입시 및 모우드 선택시에 있어서는 벨트 홈센서 48, 트레이 용지센서 205, 1회전 센서 210이 출력상태를 CPU가 체크한다.
벨트 홈센서 48이 ON이고 트레이 용지센서 205가 OFF이면 더 이상의 동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벨트홈센서 48과 트레이 용지센서 205 모두가 OFF상태이면, CPU는배출벨트 17이 홈포지션으로 회귀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결정하고 벨트모터 22를 작동시켜 벨트 17을 움직이고 벨트 홈센서 48이 ON될 때 모터 22를 정지시킨다.
만일 벨트 홈센서 48이 OFF상태이고 트레이 용지센서 205가 ON상태라면, CPU는 용지배율이 실패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고 모터 22를 구동시켜 벨트 17을 움직인다.
트레이 용지센서 205가 OFF된 후 벨트홈센서 48이 ON되면, 모터 22는 정지된다.
만일 1-회전 센서 210이 OFF상태이면, CPU는 예를들어 스테플링 오류때문에 용지배출이 실패했다고 결정하고 조작자가 스테플 트레이에 존재하는 용지묶음을 제거할 때까지 대기한다.
용지묶음을 제거한 후, 모터 22가 구동되어 벨트 17을 동작시키고 벨트 홈센서 48이 ON될 때 작동 중지된다.
복사동안 및 복사종료시에, 스테플러 S가 마지막 기록지를 포함하는 용지묶음을 철하면, 1-회전 센서 210이 ON되어 스테플러 S가 이상없이 용지묶음을 철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후 벨트 22가 구동되어 벨트 17로 하여금 철해진 용지묶음을 배출트레이 53상에 이동시키게 한다.
벨트홈 센서 48이 ON되면 모터 22가 작동정지된다.
이같은 동작은 요구되는 용지묶음 각각 마다 반복된다.
상부 트레이 107과 관련된 이송라인에 관하여, 이송모터 220(제9도)는 복사동작이 개시되면 복사기 본체로부터 송신된 처리개시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모터 220은 복사기 본체의 선속도와 같은 저속으로 구동된다.
복사기 본체로부터 배출된 기록지는 입구센서 SN1을 ON시키고, 기록지가 정해진 시간내에 입구센서 SN1을 통과하는가, 즉 잼이 일어났는가를 감시하기 위하여 타이머가 개시된다.
기록지의 후단이 입구센서 SN1을 통과하면, 센서 SN1이 OFF되어 모터 220이 고속으로 절환되며 이에 따라 용지 이송속도가 증가한다.
또한 타이머는 용지의 선단에 감응하여 정해진 시간내에 출구센서 SN2가 ON됐는지, 즉 잼이 일어났는지를 감시하도록 개시된다.
기록지가 입구센서 SN1을 통과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모터 220은 다시 저속으로 절환되어 다음 기록지를 기다린다.
기록지의 선단을 검출함으로써 출구센서 SN2가 ON됨에 따라 기록지가 정해진 시간내에 센서 SN2를 통과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타이머가 세트된다. 상기 절차는 그후 반복된다.
상부 트레이 모우드에서는, 이동 신호가 도착한 후, 마지막 기록지가 출구센서 SN2를 통과한 후 일정시간 경과시 이동 OK신호가 나타난다.
그후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타이밍이 측정된다.
최종 기록지가 복사기본체 밖으로 배출되면, 처리중단신호가 처리장치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최종 기록지가 출구센서 SN2를 통과한 후 일정시간에 경과하면 모터 220은 그 동작을 중단한다.
스테플 트레이에 관련된 이송라인에 관하여는, 이송모터 220은 앞서 언급된 처리 개시 신호에 따라 구동하고, 복사기 본체의 선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기록지의 선단을 감지함으로써 입구센서 SN1이 ON되면, 솔레노이드 230 및 하부이송모터 226(제9도)이 구동된다.
동시에, 정해진 시간내에 기록지가 입구센서 SN1을 통과하는지 즉, 잼이 일어났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타이머가 세트된다.
기록지의 후단이 입구센서 SN1을 통과하면, 센서 SN1은 OFF되어 모터 226이 고속으로 절환되며 이에 따라 용지 이송속도가 증가한다.
기록지의 선단을 검지함으로써 일정시간내에 하부 출구 센서 50이 ON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즉 잼이 일어났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타이머가 세트된다.
기록지가 입구센서 SN1을 통과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솔레노이드 230이 작동중지된다.
기록지에 감응하여 출구센서 50이 ON되면, 정해진 시간내에 기록지가 센서 50을 통과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타이머가 세트된다.
기록지가 출구센서 50을 통과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모터 226은 저속으로 절환된다.
상기 절차가 반복된 후, 스테플 신호가 처리장치에 도달한다.
이에 감응하여, 복사지 세트중 마지막 기록지가 하부출구 센서 50을 통과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스테플 OK신호가 나타나고 이동동작을 위한 타이밍이 측정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지막 기록지가 배출되면 복사기 본체는 처리중단신호를 처리장치로 보낸다.
이에 따라 마지막 기록지가 출구센서 50을 통과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모터 220 및 226이 그 작동을 중지한다.
제16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필수적인 배열이 블록 다이아그램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CPU 300은 모터 ON/OFF 신호를 서보 콘트롤러(servo controller) 301로 보내어 밸트 모터 22를 구동시킨다.
벨트모터 22의 축에는 속도계용 발전기(Tacho-generator,FG)가 설치되어 있어 그 출력을 서보 콘트롤러 301로 보낸다.
서보 콘트롤러 301은 CPU 300의 포트 P20으로 모터 22의 회전에 동기하여 일정간격으로 나타나는 펄스를 보낸다.
예를 들어 CPU 300이 모터 ON신호를 생성하는 동안 펄스 신호가 포트 p20에 도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모터 22가 록(lock)됐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실제모터 ON신호가 생성되는 동안 일정시간에 걸쳐 펄스가 도달하지 않을 때 모터 22는 록(locked)됐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17도는 용지배출에 있어서 모터 록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그 절차는 배출벨트 17에 관련된 모터가 구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S1로부터 시작한다.
단계 S1의 답이 YES라면, 모터 록 상태에 감응하는 카운터 MTTBC가 한번에 1만큼증가된다(단계 S2), 카운트의 내용이 예정값보다 큰지의 여부가 단계 S3에 결정된다.
단계 S3의 답이 YES이면, 모터가 록된 것으로 판단된다. 단계 S3의 답이 NO라면, 모터의 회전에 감응하여 서보 콘트롤러 301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기대되는 펄스가 체크된다(단계 S4).
단계 S4의 답이 YES이면, 플랙 PLSF가 (논리) ONE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S).
단계 S의 답이 YES이면, 프로그램은 돌아간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플랙 PLSF는 ONE으로 세트되고 카운터 MTTBE는 "0"으로 클리어된다.
카운터 MTTBC는 정상펄스가 도달할 때마다 "0"으로 클리어되며, 이에 따라 모터의 동작이 정상인 이상, 예정값을 넘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모터가 록되면, 펄스신호가 ON상태 혹은 OFF상태로 있기 때문에 카운터 MTTBC는 클리어되지 않는다.
이 서브루틴에서는 한번에 1만큼 증대되는 카운터 MTTBC가 예정값을 초과할 때 모터록 상태가 검출된다.
이같은 모터록 검출절차에 의해, 스테이플 케칭(catching)과 같은 스테플링 오류(error)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스테플러 홈포지션의 검출과 결합하여 스테플링 오류를 확실히 검출하는데 성공적인 것이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잇점을 가진다.
(1) 조작자가 구부리지 않고도 배출된 용지묶음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효율적이고 쉽다. 또한 별도의 기록지 배출통로가 필요치 않아 성장형상정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2) 기록지묶음을 정확한 위치에서 자동으로 철할 수 있다.
(3) 철한 기록지묶음을 배출면에서 느슨함이 없이 안정되게 배출할 수 있다. 함께 철해진 다수의 기록지가 스테플장치에서 트레이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
(4) 스테플링 오류가 쉽고 정확히 검출되며, 이에 따라 스테플링 오류의 즉각적인 처리를 도모한다.
(5) 기록지가 기록지 이송위치에 정확히 위치되어 묶여진다. 따라서 기록지를 위치시키고 묶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스테플링조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6) 조거펜스가 들어오는 기록지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함으로써, 기록지가 어떠한 원하는 위치에서도 철해질 수 있다.
(7) 철해진 기록지 묶음의 잼을 쉽고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신속한 처리를 도모할 수 있다.
(8) 기록지가 꼬이는 경우라도 기록지를 간단한 구조로써 정확히 스테플링 장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9) 스테플링 기능이 실패한 후 화상형성장치를 나온 기록지가 보호되며 이에 다라 다른 처리가 효율적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이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된 기록지(P)를 스테플링하는 처리장치에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트레이(107);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테플링 수단;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출된 기록지(P)를 받기 위한 입구;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상부 트레이(107)로 신장하는 제1통로;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스테플링수단으로 신장하는 제2통로; 상기 상부 트레이(107) 하부에 설치된 하부 트레이(53); 및 상기 스테플링 수단에 의해 철해진 기록지 묶음을 상기 하부 트레이(53) 상에 배출하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53)에 직접 연결된 배출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기록지 접수부(paper receiver)와 상기 기록지 접수부에 적재된 기록지(P)를 스테플링하기 위한 스테플러(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항에 있어서, 나아가 기록지(P)의 크기 및 상기 기록지(P)에 화상이 형성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스테플러(S)를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39)를 갖춘 스테플링 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위치제어수단은 1개소를 철하는 모우드 및 2개소를 철하는 모우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CPU(3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항에 있어서, 상기스테플링 수단은 나아가 상기 기록지 접수부상에 적재된 용지를 위치시키기 위한 조거펜스(jogger fences)(5)(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4항에 있어서, 상기 조거펜스(5)(6)는 상기 스테플러(S)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러(S)는 스테플링 위치에서 이동가능함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4항에 있어서, 상기 조거펜스(5)(6) 각각은 상기 기록지(P)가 철해지는 일측에서 기록지(P)를 떠받치기 위한 후단펜스(5a)(5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나아가 제2통로로부터 나온 기록지(P)를 상기 스테플러(S)의 스테플링부로 향하여 절환시키기 위한 상부 가이드판(6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판(67)은 기록지를 절환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통로로부터 나오는 기록지(P)의 돌출길이( ℓ)보다 큰 길이(L)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스테플링 수단과 상기 하부 트레이(53)를 서로서로 직접 연결하는 배출밸트(17), 및 상기 기록지(P)가 철해지는 일측에서 철해진 기록지 묶음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벨트(17)로부터 돌출하는 호(4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4항에 있어서, 상기 조거펜스(5)(6)는 상기 배출수단이 철해진 기록지 묶음을 배출할 때 가이드수단 역활을 하도록 배출롤러(3)에서 배출트레이(53)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트(17)는 거의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철해진 기록지 묶음에 견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록지 이송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파형배열로 상기 묶음을 변형시키는 견고성 제공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3항에 있어서, 상기 견고성 제공수단은 상기 철해진 기록지 묶음 표면 수직방향으로, 철해진 기록지 묶음을 압압하기 위한 털브러쉬(1a)(1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0항에 있어서, 나아가 스테플링에러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수단 및 상기 스테플링 수단에 관련된 스테플오류 검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0항에 있어서, 나아가 스테플오류를 나타내는 상기 스테플오류 검출수단을 출력에 감응하여 상기 제2통로를 상기 제1통로로 대체하기 위한 통로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 1항에 있어서, 나아가 기록지(P) 배출에 있어서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수단에 관련된 잼(jam) 검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45537(??) | 1989-04-18 | ||
JP1989045537U JPH02137370U (ko) | 1989-04-18 | 1989-04-18 | |
JP1098383A JP2719186B2 (ja) | 1989-04-18 | 1989-04-18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JP1-98383 | 1989-04-18 | ||
JP1-45537 | 1989-04-18 | ||
JP1-98382 | 1989-04-18 | ||
JP1098382A JP2783327B2 (ja) | 1989-04-18 | 1989-04-18 | 記録紙処理装置 |
JP1-101269 | 1989-04-20 | ||
JP1101269A JP2784036B2 (ja) | 1989-04-20 | 1989-04-20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JP1101270A JP2784037B2 (ja) | 1989-04-20 | 1989-04-20 | 記録紙処理装置 |
JP1-101270 | 1989-04-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6820A KR900016820A (ko) | 1990-11-14 |
KR930010864B1 true KR930010864B1 (ko) | 1993-11-15 |
Family
ID=2752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5422A KR930010864B1 (ko) | 1989-04-18 | 1990-04-18 |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083760A (ko) |
KR (1) | KR930010864B1 (ko) |
DE (1) | DE4012285C2 (ko) |
GB (1) | GB223076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72920A (en) * | 1989-09-12 | 1991-12-17 | Ricoh Company, Ltd. | Finish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
JP2566059B2 (ja) * | 1990-11-28 | 1996-12-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紙処理装置 |
EP0517903B1 (en) * | 1991-01-02 | 1996-04-03 | Eastman Kodak Company | Modular finisher for a reproduction apparatus |
DE9100660U1 (de) * | 1991-01-21 | 1991-04-11 | Kodak Ag, 7000 Stuttgart | Heftvorrichtung für Blätter |
US5305994A (en) * | 1991-07-16 | 1994-04-26 | Mita Industrial Co., Ltd. | Sorter with rotary spirals and guide rails |
EP0548566B1 (en) * | 1991-11-25 | 1997-05-21 | SHARP Corporation | Device for further processing after copying |
JP3359662B2 (ja) * | 1992-08-19 | 2002-12-24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システム装置 |
US5449157A (en) * | 1993-02-08 | 1995-09-12 | Konica Corporation | Recording sheet finishing apparatus |
JP3466376B2 (ja) * | 1995-06-07 | 2003-11-10 | 株式会社リコー | 用紙後処理装置 |
DE19719485C2 (de) * | 1996-05-08 | 2003-03-20 | Ricoh Kk | Dokumenthandhabungseinrichtung mit einem Heftmodus |
DE19629158C1 (de) * | 1996-07-19 | 1997-10-16 | Bdt Buero Datentech Gmbh | Vorrichtung zum gestapelten Ablegen von Blättern |
US5806842A (en) * | 1996-06-28 | 1998-09-15 | Bdt Products, Inc. | Output paper sheet finishing module and method of using same |
US6199850B1 (en) | 1997-01-09 | 2001-03-13 | Ricoh Company, Ltd. | Sheet transport system for an image-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 path sheet piling system |
JPH10330020A (ja) * | 1997-05-30 | 1998-12-15 | Nisca Corp | シート後処理装置 |
JP3748710B2 (ja) * | 1997-06-10 | 2006-02-22 | 株式会社リコー | シート処理装置 |
JP3381559B2 (ja) * | 1997-07-10 | 2003-03-0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の後処理装置 |
JP3667999B2 (ja) | 1997-07-22 | 2005-07-06 | 株式会社リコー | 用紙処理装置 |
JP3648073B2 (ja) * | 1998-05-29 | 2005-05-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シート後処理装置 |
JP2005172890A (ja) * | 2003-12-08 | 2005-06-30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画像形成システム |
JP5305978B2 (ja) * | 2008-02-25 | 2013-10-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
JP5683542B2 (ja) * | 2012-08-23 | 2015-03-11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US10822191B2 (en) | 2018-10-31 | 2020-11-0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edia registration system with media sensing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17366A (en) * | 1986-02-25 | 1990-04-17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handling apparatus |
JPH0717302B2 (ja) * | 1986-11-17 | 1995-03-01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用紙処理装置 |
JP2504969B2 (ja) * | 1986-11-17 | 1996-06-05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用紙揃え方法 |
US4811048A (en) * | 1986-12-27 | 1989-03-07 |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 Copy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a sorter with a sheet binding function |
JPS63300070A (ja) * | 1987-05-29 | 1988-12-07 | Konica Corp | 記録紙処理装置 |
JP2643166B2 (ja) * | 1987-08-20 | 1997-08-2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後処理装置 |
JPS6464973A (en) * | 1987-09-04 | 1989-03-10 | Minolta Camera Kk | Sorter provided with finisher |
-
1990
- 1990-04-06 US US07/505,452 patent/US508376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4-12 GB GB9008377A patent/GB2230764B/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4-17 DE DE4012285A patent/DE4012285C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4-18 KR KR1019900005422A patent/KR9300108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4012285C2 (de) | 1996-08-29 |
GB9008377D0 (en) | 1990-06-13 |
DE4012285A1 (de) | 1990-11-22 |
US5083760A (en) | 1992-01-28 |
GB2230764A (en) | 1990-10-31 |
GB2230764B (en) | 1993-11-17 |
KR900016820A (ko) | 1990-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10864B1 (ko) |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 |
JPH04312894A (ja) | 紙処理装置 | |
JP2549757Y2 (ja)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
JP2783327B2 (ja) | 記録紙処理装置 | |
JP2723987B2 (ja) | 画像形成後処理方法 | |
JP2919034B2 (ja) | 記録紙処理装置 | |
JP2784036B2 (ja)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
KR940002598B1 (ko) | 화상형성후 처리장치 | |
JPH0516569A (ja) | 後処理装置と後処理方法 | |
JP2960770B2 (ja) | 記録紙後処理装置 | |
JP2812535B2 (ja)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
JP2922683B2 (ja)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
JP2892851B2 (ja) | 記録紙後処理装置および記録紙後処理方法 | |
JP2919525B2 (ja) | 記録紙処理装置 | |
JP2510528Y2 (ja)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
JP2887845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784037B2 (ja) | 記録紙処理装置 | |
JP2851344B2 (ja)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
JP2933704B2 (ja) | 記録紙処理装置 | |
JP2868552B2 (ja) | 記録紙処理方法 | |
JP2719186B2 (ja)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
JPH02297493A (ja) | 紙処理装置 | |
JP3050417B2 (ja) | 記録紙後処理装置 | |
JPH0363193A (ja) | 画像形成後処理装置 | |
JPH04169291A (ja) | 記録紙後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7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