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252B1 - 수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수치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5252B1 KR920005252B1 KR1019890015881A KR890015881A KR920005252B1 KR 920005252 B1 KR920005252 B1 KR 920005252B1 KR 1019890015881 A KR1019890015881 A KR 1019890015881A KR 890015881 A KR890015881 A KR 890015881A KR 920005252 B1 KR920005252 B1 KR 920005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machine
- memory
- data memory
- machine coordin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g. centring a tool relative to a hole in the workpiece, additional detection means to correct posi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05B19/4147—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characterised by using a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PIC]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PC의 동작과 NC장치의 동작 I을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NC장치의 동작 II를 도시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의 기계좌표값 데이타 메모리를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0도는 종래의 NC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제11도는 피제어기계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NC장치 11 :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
12 : 영역데이타 메모리 13 :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
15a,15b,15c : 워크 16 : 공구
22 : 이동 테이블 30 : PC
35 : 병렬버스 50 : 기계좌표 값 데이타 메모리.
본 발명은 수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제어기계의 공구부착대등의 이동 테이블이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한계 스위치등의 검출기를 기계에 부착하지 않고 출력할 수 있는 수치제어장치(이하 NC장치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제10도는 종래의 NC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제11도는 피제어장치의 설명도이다. 제10도에서 (1)은 메모리로서, RA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이나 데이타를 기억하는 것이다. (2)는 CPU(2a)를 주체로한 제어부로서, 메모리(1)에 로도된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NC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3)은 연산부로서, 제어부(2)의 제어하에 수치연산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4)는 테이프 리더로서, NC가공의 프로그램이 펀칭되어 있는 종이 테이프를 리도하는 장치이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NC 가공의 프로그램을 가공 프로그램이라 한다. (5)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6)은 서보증폭기등을 포함하는 구동부, 7)은 피제어기계(이하 단순히 기계라 한다)를 구동하는 모터, (8)은 귀환신호를 출력하는 부호기이다. (9)는 입출력신호 인터페이스로서, NC장치를 기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입력신호와 NC장치의 상태신호 및 NC장치에서 외부의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기능 신호등의 출력신호의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가공 프로그램을 라이트하는 때체는 종이 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플로피디스크등이라도 좋다.
제11도에서 (20)은 감속기, (21)은 볼 나사등의 구동기구, (22)는 기계의 이동테이블로서, 선반을 예로들면 공구부착대이며, 또 공구가 이동하지 않는 기계이면 워크 부착대이다. 또 (23a),(23b),(23c) 및 (23d)는 한개스위치로서, 기계의 고정부분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동테이블(22)가 어느 위치에 왔는가를 나타내는 신호, 즉, 기계가 특정위치에 도달한것을 나타내는 신호(이 신호를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위치 도달신호라 한다)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기계는 NC장치(10)의 제어하에 동작해서 워크(도시하지 않음)를 가공하지만 상술한 특정 위치 도달신호는, 예를들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같은 시퀀스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출력되고, 그 제어동작에 따라서 워크의 반송장치(도시하지 않음)는 가공이 종료된 워크를 즉시 기계에서 반출할 수 있도록 워크의 가공이 종료하기 이전에 그 준비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기계의 특정위치 도달신호는 상술한 워크 반송장치의 준비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테이블(22)가 특정위치에 도달했을 때 얼마간의 시퀀스동작을 시키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NC장치에서는 기계의 특정위치에 검출기인 한계스위치를 마련해서 신호를 출력하고 있으므로, 검출기에는 한계가 있어 신뢰성이 낮고 경제성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최근에 1개의 가공라인에 동일한 워크가 흐르는 것은 아니고, 1개의 가공라인에 종류가 다른 워크가 여러종류 흐르고있고, 기계쪽은 워크에 따라서 공구를 자동교환하여 많은 종류의 것을 1라인에서 가공이 실행되도록 되어왔다.
이와 같은 가공라인에서는 워크의 크기, 형상등이 워크 마다 변하는 것도 있으므로, 예를들면 이동테이블(22)가 어느 위치에 왔을때 워크의 반송장치의 준비동작을 하는가 하는 위치, 즉 기계의 특정위치도 워크에 따라서 변화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NC장치에서는 한계스위치의 부착위치를 바꾸지않으면 안되어 대응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계에 검출기를 부착하지 않고 특정위치로의 도달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기계가 특정위치에 도달했을때 기계의 시퀀스동작을 실행하게 할수 있는 NC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관한 NC장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서 버스를 거쳐 입력된 피제어기계의 기계좌표데이타를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하고, 피제어기계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기계좌표 영역을 결정하는 영역데이타를 미리 영역데이타 메모리에 기억시켜두고, 피제어기계의 현재위치 데이타를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하여 상기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의 값이 상기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의 값과 상기 영역데이타 메모리의 값에 의해 연산된 기계좌표 영역의 내부로 들어갔을때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에 관한 NC장치는 피제어기계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기계좌표 데이타를 미리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시켜두고, 피제어기계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기계좌표 영역을 결정하는 영역데이타를 미리 영역데이타 메모리에 기억시키며, 피 제어기계의 현재위치 데이타를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하여 상기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의 값이 상기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의 값과 상기 영역데이타 메모리의 값에 의해 연산된 기계좌표영역의 내부로 들어갔을때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셋째, 본 발명에 관한 NC장치는 가공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된 기계좌표 데이타를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하고, 가공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된 영역데이타를 영역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하며, 피제어기계의 현재위치 데이타를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하여 상기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의 값이 상기 기계좌표데이타 메모리의 값과 상기 영역데이타 메모리의 값에 의해 연산된 기계좌표 영역의 내부로 들어갔을때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넷깨, 본 발명에 관한 NC장치는 정보처리부에 의해 연산된 기계의 현재위치에 대응한 기계좌표값 데이타를 출력수단에 의해 항상 외부로 출력하고, 이 출력데이타를 미리 결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피제어기계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마련된 기계좌표 값 감시 수단에 의해 감시하여 목표값과 일치했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첫째항에서는 기계의 특정위치의 기계좌표 데이타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전송되고, 전송된 데이타, 영역데이타 및 현재위치 데이타에 따라서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므로, 검출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특정위치는 임의로 바꿀 수가 있다.
둘째항에서는 기계의 특정위치의 기계좌표 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두고, 이 데이타, 영역데이타 및 현재위치 데이타에 따라서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므로 검출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특정위치 도말실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특정위치는 임의로 바꿀 수가 있다.
셋째항에서는 기계의 특정위치의 기계좌표 데이타와 영역데이타가 가공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되고, 지정된기계좌표 데이타 및 영역데이타 그리고 현재위치 데이타에 따라서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므로 검출기를 사용하는 일없이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특정위치는 임의로 바꿀 수가 있다.
넷째항에서는 기계의 현재위치에 대응한 기계좌표값 데이타가 피제어기계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 항상 출력되고, 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입력된 기계좌표 값 데이타를 감시하여 목표값과 일치했을때 신호를 출력해서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므로 피제어기계에 검출기를 마련하는 일 없이목표로 하는 위치에서 시퀀스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목표로 하는 위치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도에서 제10도 및 제11도와 동일부호의 부분은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15a),(15b),(15c)는 워크로서, 각각 종류가 다른 것이다. 여기서 종류가 다른것이라 함은 워크(15a),(15b),(15c)가 완전히 같은것이 아니라 형상이나 재질이나 가공의 내용등이 다른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공할때에는 각각 공구(16)을 교환해서 가공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워크(15a)를 가공할때와 워크(15b)를 가공할때에는 다른 공구로 가공하도록 되어 있다. 워크(15c)를 가공할때에도 마찬가지로 공구를 교환해서 가공이 실행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15b)를 가공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워크(15b)는 가공의 대상으로된 워크이다. (15a)는 가공을 종료해서 기계에서 반출된 상태, (15c)는 (15b)의 가공이 끝나면 가공되는 것으로서, 기계에 반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화살표(18)은 워크의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17a),(17b),(17c)는 워크의 종류를 식별하는 센서이다. (26)은 주축, (27)은 주축모터, (28)은 구축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축컨트롤러이다. (30)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서, 미리 결정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피제어대상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장치이다. (31)은 CPU로서,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정해진 순서로 인출하여 그 명령어의 의미를 해독하고, 명령어의 내용에 따라서 입력데이타의 입력, 논리연산 및 그 밖의 연산, 출력데이타의 송출층의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이다. (32)는 메모리로서, 프로그램을 기억함과 동시에 연산결과나 필요한 데이타를 기억하는 것이다. (33a),(33b)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이하 PC라 약칭한다)라함은 (31),(32),(33a),(33b)를 기본구성으로 한 제어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퍼스널 컴퓨터등이라도 좋다.
그리고, NC장치(10)과 PC(3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33a),(33b)를 거쳐서 병렬버스(35)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호간의 제어신호, 상태신호의 교신이 병렬버스(35)를 거쳐서 실행된다. (11)은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로서, PC(30)에서 입력된 기계좌표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여기서 기계좌표 데이타라함은, 예를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에 의한 워크가공이 종료하기 이전에 워크 반송위치에 군비동작을 실행하게하는 경우 워크를 가공중의 기계의 이동테이블(22)가 어느 위치에 오면 워크의 반송위치의 준비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가라는 이동 테이블(22)의 특정위치의 기계좌표 값을 나타내는 데이타인 것이다. 또한, 이하 제1의 데이타 메모리라고 할때에는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11)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2)는 영역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두는 영역데이타 메모리이다. 여기서 영역데이타라함은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데이동테이블(22)의 위치가 어떤 기계좌표 영역의 내부에 들어갔을때 신호를 출력하도록 그 영역을 결정하는 데이타인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거듭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즉, 기계의 제어가 실행될때 제어부(2) 및 연산부(3)에 의해 항상 기계의 현재위치 데이타가, 결국 이동테이블(22)의 현재위치 데이타가 산출되어 있으므로, NC장치는 기계의 특정부분의 위치를 대단히 정확하게 알 수가 있다. 그러나, NC장치(10)에서 이동테이블(22)가 어떤 특정위치에 왔을때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이동테이블(22)는 움직이고 있으므로, 목적으로 하는 위치를 곧 지나가버려 이동테이블(22)의 현재 위치가 목적으로 하는 특정위치의 기계좌표 값과 일치한 순간밖에 신호를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외부의 기기, 즉 PC는 그 신호를 감지할 수가 없다.
그래서 특정위치 도달신호는 폭을 가진 신호로 할 필요가 있다. PC로서는, 예를들면 1μm까지의 점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1mm이던가 그 정도의 범위에서 신호가 출력하면 된다. 그 폭을 만들기 위해서 기계의 현재위치가 목적의 특정위치에 대하여 영역데이타에 의해서 결정되는 기계좌표영역의 내부에 들어갔을때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 영역을 결정하는 데이타를 영역데이타라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계좌표 영역이라함은 기계좌표 데이타를 A, 영역데이타를 B로 했을때 A+B, A-B에 의해 결정되는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 제2의 메모리라 할때에는 영역데이타 메모리(12)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3)은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로서, 기계의 제이실행중 제어부(2) 및 연산부(3)에 의해 항상 산출되고 있는 현재위치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또한, 이하 제3의 메모리라할때에는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13)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이동범위 데이타 메모리(12)에 데이타를 기억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PC(30)이 실행하는 제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S1)에서 외부조건을 리도한다. 이 스텝(S1)에서 PC(30)은 시퀀스제어의 순서에 따라서 워크(15a)를 이동테이블(22)에서 반출한 후 워크(15b)를 반입해서 이동테이블(22)에 고정한다. 다음에 센서(17b)에서의 신호를 리도하여 워크의 종류를 판별한다. PC(30)에는 위크의 종류를 알게되면 어느 가공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좋은가가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으므로, 가공프로그램 선택신호를 NC장치(10)으로 버스(35)를 거쳐서 전송한다. NC장치(10)에서는 이 선택신호에 의해 워크(15b)에 대응한 가공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이 가공프로그램에는 어느 공구를 사용하면 되는가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NC장치(10)은 PC(30)에 버스(35)를 거쳐서 공구지시신호를 보낸다. 이 지시에 따라 PC(30)은 공구의 교환을 실행한다.
다음에 스텝(S2)에서 그 워크에 대하여 특정위치 도달신호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텝(S2)에서 YES이면 스텝(S3)에서 기계좌표 데이타를 NC장치(10)에 출력할 준비를 한다. 이것은 기계가 어떤 특정위치에 왔을때, 즉 이동테이블(22)가 특정위치에 왔을때 신호가 필요하다는 것을 PC는 알고 있으므로(PC에 프로그램되어 있으므로), 미리 기억해둔 데이타중에서 그 워크에 대응한것, 즉 예를 들면 제1도에서 a의위치를 나타내는 기계좌표 데이타 A를 선택하여 NC장치(10)으로 출력할 준비를 한다. 다음에 스텝(S4)에서 NC장치(10)에 데이타 전송을 요구한다. 다음에 스텝(S5)에서 NC장치(10)이 준비완료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이면 스텝(S4)로 되돌리고, YES이면 스텝(S6)에서 기계좌표 데이타 A를 NC장치(10)에 전송한다. 다음에 스텝(S7)에서 NO장치(10)의 데이타 접수상태를 리도한다. 스텝(S8)에서 NC장치(10)이 데이타를 받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이면 스텝(S7)로 되돌리고, YES이면 종료한다. 또한, 스텝(S2)에서 NO인 경우는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종료한다.
다음에 NC장치(10)의 동작 I에 대해서 설명한다. PC(30)에서의 데이타 전송요구의 유무를 스텝(S11)에서 판단한다. 유(YES)이면 스텝(S12)에서 데이타 접수가능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YES이면 스텝(S13)에서 NC장치(10)의 준비완료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스텝(S14)에서 기계좌표 데이타 A를 PC(30)에서 리도하여 입출력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 스텝(S15)에서 PC(30)에 데이타 접수종료 신호를 출력한후, 스텝(Sl6)에서 기계좌표 데이타 A를 버퍼 메모리에서 제1의 메모리(11)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이것으로 동작 I 이 종료한다.
또한, 제2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버스(35)에 의한 데이타의 전송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해서 제1의 메모리(11)에 데이타가 기억되면, NC장치(10)은 특정위치 도달신호의 출력에 관하여 제3도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동작 II를 실행한다.
즉, 상기와 같이해서 제1의 메모리(11)에 데이타가 기억된후 PC(30)에서 NC장치(10)으로 기동이 걸리면 NC장치(10)은 피제어기계의 수치제어를 개시하고, 스텝(S21)에서 제1, 제2 및 제3의 메모리의 기억데이타를 사용해서 이동테이블(22)가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기계좌표 영역의 내부에 들어갔는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영역판정연산이 실행된다. 이 연산은 다음의 (1)식에 의해 실행한다.
여기서 A : 제1의 메모리의 기억데이타
B : 제2의 메모리의 기억데이타.
C : 제3의 메모리의 기억데이타이다.
스텝(S22)에서 특정위치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기계좌표영역의 내부에 기계가 있는가 없는가, 즉 영역내에 이동테이블(22)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1)식의 조건이 충족되었을때 YES로 판단한다. 스텝(S22)에서 YES인 경우, 스텝(S23)에서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한다.
이 특정위치 도달신호는 버스(35)를 거쳐서 PC(30)으로 출력되고, PC(30)은 워크 반송장치가 워크반출의 준비동작을 실행하기 의한 시퀀스제어를 실행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특정위치가 1곳인 경우이지만, 여러개의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할때는 제2도에 도시한 PC(30)과 NC장치(10)의 동작에 있어서, 예를들면 여러개의 기계좌표 데이타 A1, A2, A3에 신호를 출력하는 순번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부가해서 PC(30)에서 NC장치(10)으로 전송하여 제1의 메모리 (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NC장치의 동작 II에 대해서는 상기 순번으로 데이타를 리도해서, 예를들면 A1을 리도해서 신호를 출력하고 다음에 A8리도해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면 된다.
또, 워크의 종류가 변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1종류의 워크를 여러번 가공하는 경우는 워크마다의 공구교환을 생략하여 PC(30)에서 NC장치(10)으로 전송하는 기계좌표 데이타도 같은 데이타를 전송하면 된다.
다음에 제2실시예로서 워크이 종류가 변하는 일 없이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위치를 빈번히 바꾸지 않는 경우는 미리 NC장치(10)의 제1의 메모리(11)에 그 기계좌표 데이타를 기억시켜두는 것에 의해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제3도에 도시한 NC장치의 동작 II에 의해 PC(30)에 출력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PC(30)의 부담이 경감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제3실시예와 제1실시예에서는 제1의 메모리의 내용을 달리하고 있지만 그 밖의 장치의 구성은 제1도의 제1실시예와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의 제1의 메모리(11a)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NC장치(10)의 메모리(1) 내의 어떤 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제4도에서 A1, A2, A3…은 메모리(11a)내의 데이타를 나타내며, 미리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기계좌표 데이타이다. ①, ②, ③ …은 기계좌표 요구코도 데이타(이하 단순히 요구코도데이타라고 기재한다)를 설명하기 위해서 기재한 것으로서, ①은 A1, ②는 A2, ③은 A3을 선택하는 데이타이다. 이 요구코도데이타는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이 PC(30)에서 NC장치(10)으로 전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기계좌표 데이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이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PC(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텝(S31)에서 외부조건을 리도한다.
스텝(S32)에서 그 워크에 대해서 특정위치 도달신호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스텝(S32)에서 YES이면 스텝(S33)에서 요구코도 데이타를 NC장치(10)으로 출력할 준비를 한다. 이것은 기계가 어떤 특정위치에 왔을때 신호가 필요하다는 것을 PC는 알고 있으므로(PC에 프로그램 되어 있으므로), 미리 기억해둔 데이타중에서 대응한 요구코도 데이타를 리도하여 NC장치(10)으로 출력할 준비를 한다. 즉, 예를들면 제1도에서 a의 위치에서 신호가 필요하면, 그 워크에 대응한 기계좌표 데이타 A1을 선택할 요구코도 데이타 ①을 리도하여 NC장치(10)으로 출력할 준비를 한다. 다음에 스텝(S34)에서 NC장치(10)이 데이타전송을 요구한다. 스텝(S35)에서 NC장치(10)이 준비완료 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NO이면 스텝(S34)로 되돌아가고 YES면 스텝(S36)에서 요구코도 데이타 ①을 NC장치(10)으로 전송한다. 다음에 스텝(S37)에서 NC장치((10)의 데이타 접수상태를 리도한다. 스텝(S38)에서 NC장치(10)이 데이타를 접수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이면 스텝(S37)로 되돌아가고, YES이면 종료한다. 또한, 스텝(S32)에서 NO인 경우는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료한다.
다음에 NC장치(10)의 동작 I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S41)에서 PC(30)으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요구의 유무를 판단한다. 유(YES)이면 스텝(S42)에서 데이타 접수가능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YES이면 스텝(S43)에서 NC장치(10)의 준비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스텝(S44)에서 요구코도 데이타 ①을 PC(30)으로부터 리도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 스텝(S45)에서 PC(30)에 데이타 접수종료신호를 출력한후 스텝(S46)에서 요구코도 데이타 ①에 대응한 기계좌표 데이타 A1을 메모리(11a)중에서 선택한다. 스텝(S47)에서 선택된 기계좌표 데이타 A1을 데이타 처리 실행메모리에 저장한다. 이것으로 동작 I 이 종료한다.
또한, 제5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버스(35)에 의한 데이타의 전송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해서 기계좌표 데이타가 데이타 처리 실행 메모리에 저장된후의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제3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흐름도의 스텝(S21)에 있어서, 연산에 이용되는 기계좌표 데이타가 제1실시예에서는 제1의 메모리(11)내의 데이타이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데이타 처리 실행 메모리내의 데이타인 점을 제외하고 제3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같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장치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도의 제1실시예와 같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제4실시예에서는 PC(30)과 NC장치(10)사이에서 기계좌표에 관한 데이타의 전송은 없다.
먼저 동작 I에 대해서 설명한다. PC(30)이 워크(15)의 종류를 판별하여 가공 프로그램선택의 지시를 NC장치(10)으로 보내서 가공 프로그램이 선택되고, 공구지시 신호에 따라 PC(30)에 의해 공구교환이 실행되며, NC장치(10)의 제어에 의해 기계가 동작해서 워크의 가공을 실행하고 있을때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기계좌표 데이타와 영역데이타가 지정되면 스텝(S51)에서 기계좌표 데이타와 영역데이타를 입력한다. 스텝(S52)에서 기계의 동작상태를 리도한다. 다음에 스텝(S53)에서 상기 양 데이타를 설정가능한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NO이면 스텝(S52)로 되돌아가고, YES이면 스텝(S54)에서 가공 프로그램지정이 기계좌표 데이타와 영역데이타를 제1의 메모리(11) 및 제2의 메모리(12)에 저장한다. 이것으로 동작 I이 종료한다.
또한, 기계좌표 데이타와 영역데이타가 저장되는 영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메모리(1)내의 (11)및 (12)이다. 이상과 같이해서 기계좌표 데이타 및 영역데이타가 제1의 메모리(11) 및 제2의 메모리(12)에 저장된후의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II에 대해서는 제3도에 도시한 스텝(S21)∼스텝(S23)의 동작과 같다.
다음에 다른 가공 프로그램에 의해 다른 기계좌표 데이타 및 영역데이타가 지정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해서 특정위치가 변경되어 신호가 출력된다. 또, 제3실시예와 같이 미리 기계좌표 데이타를 여러개 기억시켜두고, 가공 프로그램으로부터는 요구코도 데이타를 입력하여 요구코도 데이타에 대응한 기계좌표데이타를 선택하도록해도 좋다. 또한,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는 특정위치가 1곳인 경우, 워크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여러개의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1종류의 워크를 다수가공하는 경우라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7도는 구성도, 제8도는 제7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에서(50)은 기계좌표값 데이타 메모리로서, 기계의 제어실행중 제어부(2) 및 연산부(3)에 의해 항상 산출되고 있는 현재위치에 대응한 기계좌표 값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15)는 워크, (16)은 공구, (26)은 주축, (27)은 주축모터, (28)은 주축모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축컨트롤러이다. a, b, c는 기계의 특정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이동테이블(22)가 a의 위치에 왔을때, 워크의 반송장치에 워크반출을 위한 준비동작을 실행하게하는 등 기계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30)은 PC로서, 미리 결정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피제어 대상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장치이다. (31)은 CPU로서,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정해진 순서로 인출하여 그 명령어의 의미를 해독하고, 명령어의 내용에 따라서 입력데이타의 입력, 논리연산 및 그밖의 연산, 출력데이타의 송출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이다. (32)는 메모리로서, 프로그램을 기억함과 동시에 연산결과나 필요한 데이타를 기억하는 것이다. (33a),(33b)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또, NC장치(10)과 PC(3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33a),(33b)를 거쳐서 병렬버스(35)에 의해 결합되어있고, 상호간의 제어신호, 상태신호의 교신이 병렬버스(35)를 거쳐서 실행된다. 다음에 제8도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NC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PC(30)에서 NC장치(10)으로 기동이 걸리면, NC장치(10)은 기계의 수치제어를 개시하여 스텝(S1)에서 제어부(2) 및 연산부(3)에 의해 현재위치가 산출된다. 산출된 현재위치에 대응한 기계좌표값 데이타는 기계좌표값 데이타 메모리(50)에 기억된다. 스텝(S2)에서 기계좌표값 데이타 메모리(50)에 기억된 데이타는 항상 PC(30)으로 버스(35)를 거쳐서 출력된다. 또한, 제8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버스(35)에 의한 데이타의 전송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PC(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S21)에서 NC장치(1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기계좌표값 데이타를 리도한다. 다음에 스텝(S22)에서 기계좌표값이 목표값과 일치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YES이면 스텝(S23)에서 기계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동작하므로 기계에 한계스위치등의 검출기를 부착하지 않고 이동테이블(22)가 목표로하는 특정위치에 도달했을때의 기계의 시퀀스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 목표위치의 변경은 PC(30)의 메모리의 설정데이타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실행할 수 있으므로 위치의 변경이 용이하다. 통상 NC장치의 동작으로서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1개의 프로그램에 의한 동작이 종료된후가 아니면, 다음의 프로그램의 동작을 할 수가 없다. 제9도에서 1예로서 ①은 축의 이동, ②는 공구교환, ③은 팔의 상하동작을 나타내고 있으며, ①이 종료한후 ②의 동작을 실행하고, 다음에 ③의 동작을 실행한다는 것과 같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그램도중에, 즉 A점 이던가 B점에서 PC(30)의 제어에 의해 시퀀스동작을 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공구 교환장치에 의한 공구교환은 통상적으로 기계를 원점복귀해서 실행되지만 원점복귀하는 도중에, 즉 공구교환을 해도 공구가 다른부분과 접촉하거나 하지않고 안전상 문제가 없는 한도의 점을 목표값으로서 설정하여 이점에서 시퀀스동작, 극 공구교환을 실행해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것을 한계스위치로 실행하고자하면 한계스위치의 부착위치의 조정등의 작업과 시간이 대단한 것이다.
타이머에 의한 시간 설정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지만 타이머가 불안정하거나 시간설정이 곤란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확실하게 동작 시킬 수가 있다. 또, 1개의 가공라인에 종류가 다른 워크가 수종류 흐르고 있는 경우라도 각 워크에 대해서의 목표값을 각각 설정해두면 되므로 대응이 용이하다. 또한, NC장치(10)에서 PC(30)으로 항상 기계좌표값 데이타가 출력되어 있어 PC(30)은 필요한 시점에서 그 데이타를 참조하는것이므로 NC장치(10)과 PC(30)사이의 데이타 전송에 관한 수속이 불필요하다.에를을면, PC(30)에서 데이타의 요구를 내보번다. NC장치(10)에서의 요구고도의 콴별 요구데이타, 예를들면 현재 위치 데이타를 인출하여 인터페이스에 출력한다. PC(30)에 의한 데이타의 입력이라는 수속이 불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시간적인 어굿남이 없이 필요한 데이타가 얻어진다.
기계가 어떤 위치에서 멈추고 있어 그 점의 데이타가 필요하다고 할때는 수속을 취해서 데이타가 얻어지는 것이라도 좋지만, 기계가 움직이고 있을때의 데이타가 필요하게 되면 수속을 취하는 사이에 기계는 움직여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얻어진 데이타가 필요없게 된다. 이점에서도 수속없이, 즉 시간적인 어긋남이 없이 필요한 데이타가 얻어지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첫째, 기계의 특정위치의 기계좌표 데이타가 PC에서 전송되고, 전송된데이타, 영역데이타 및 현재위치 데이타에 따라서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경제성이 양호하며, 또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가 있다. 둘째, 기계의 특정위치의 기계좌표 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두고, 이 데이타, 영역데이타 및 현재위치 데이타에 따라서 특정위치의 도달신호를 출력하므로 PC에서 NC장치로의 기계좌표 데이타 자신의 전송은 없다. 따라서 첫째의 효과에 부가해서 PC의 부담이 경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계의 특정위치의 기계좌표 데이타가 가공 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되고, 지정된 기계좌표 데이타와 영역데이타 및 현재위치 데이타에 따라서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므로 첫째의 효과에 부가해서 1블럭의 동작도중에 시퀀스동작을 시킬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정보처리부에서 연산된 기계의 현재위치에 대응한 기계좌표값 데이타를 출력수단에 의해 항상 외부로 출력하고, 이 출력데이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피제어기계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는 PC에 마련된 기계좌표 감시수단에 의해 감시하고 목표값과 일치했을때 신호를 출력하여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경제성이 양호하며, 기계에 시퀀스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특정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가있다. 또, 가공 프로그램의 1블럭의 동작도중에 시퀀스동작을 실행시킬 수가 있다.
Claims (4)
- 메모리 및 중앙처리 장치를 주체로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장치를 거쳐서 입력된 수치정보를 해석하여 연산을 실행하는 정보처리부를 갖고, 상기 정보처리부의 출력에 따라서 피제어기계의 수치제어를 실행하는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 피제어기계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서 버스를 거쳐 입력된 피제어기계의 기계좌표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 피제어기계가 특정위치에 도달한것을 나타내는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기계좌표영역을 결정하는 영역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두는 영역데이타 메모리, 피제어기계의 현재위치 데이타를 기억하는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 및 상기 현재위치데이타 메모리의 값이 상기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의 값과 상기 영역데이타 메모리의 값에 의해 연산된 기계좌표 영역의 내부로 들어갔을때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특정위치 도달신호 출력수단을 마련한 수치제어 장치.
- 메모리 및 중앙처리 장치를 주체로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장치를 거쳐서 입력된 수치정보를 해석하여 연산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부를 갖고, 상기 정보처리부의 출력에 따라서 피제어기계의 수치제어를 실행하는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 피제어기계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기계좌표 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두는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 피제어기계가 특정위치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기계좌표 영역을 결정하는 영역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두는 영역데이타메모리, 피제어기계의 현재위치 데이타를 기억하는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 및 상기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의 값이 상기 기계좌표 데이타 메모리의 값과 상기 영역데이타 메모리의 값에 의해 연산된 기계좌표영역의 내부로 들어갔을때 특정위치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특정위치 도달신호출력수단을 마련한 수치제어장치.
- 메모리 및 중앙처리 장치를 주체로 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 장치를 거쳐서 입력된 수치정보를 해석하여 연산을 실행하는 정보처리부를 갖고, 상기 정보처리부의 출력에 따라서 피제어기계의 수치제어를 실행하는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 가공 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된 기계좌표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계좌표 데이타메모리, 가공 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된 영역데이타를 기억하는 영역 데이타 메모리, 피제어기계의 현재위치데이타를 기억하는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 및 상기 현재위치 데이타 메모리의 값이 상기 기계좌표 데이타메모리의 값과 상기 영역데이타 메모리의 값에 의해 연산된 기계좌표 영역의 내부로 들어갔을때 특정위치도달신호를 출력하는 특정위치 도달신호 출력수단을 마련한 수치제어장치.
- 메모리 및 중앙처리 장치를 주체로해서 구성되며, 입력장치를 거쳐서 입력된 수치정보를 해석하여 연산하는 정보처리부를 갖고, 상기 정보처리부의 출력에 따라서 피제어기계의 수치제어를 실행하는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에서 연산된 기계좌표값 데이타를 항상 외부로 출력하는 기계좌표값 데이타출력수단 및 미리 결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피제어기계의 시퀀스제어를 실행하는 프로그래머 컨트롤러에 마련되고, 상기 기계좌표값 데이타를 감시하여 목표값과 일치했을때 신호를 출력하는 기계좌표값 데이타 감시수단을 마련한 수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284020A JPH02130606A (ja) | 1988-11-11 | 1988-11-11 | 数値制御装置 |
JP63-284020 | 1988-11-11 | ||
JP63-293484 | 1988-11-11 | ||
JP63293484A JPH02140810A (ja) | 1988-11-22 | 1988-11-22 | 産業用機械の制御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8352A KR900008352A (ko) | 1990-06-03 |
KR920005252B1 true KR920005252B1 (ko) | 1992-06-29 |
Family
ID=2655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5881A KR920005252B1 (ko) | 1988-11-11 | 1989-11-02 | 수치제어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130919A (ko) |
EP (1) | EP0368337B1 (ko) |
KR (1) | KR920005252B1 (ko) |
CA (1) | CA2002759A1 (ko) |
DE (1) | DE68926145T2 (ko) |
HK (1) | HK100429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091C (zh) * | 1994-03-24 | 2001-05-23 | 孙传波 | 一种切割石料用龙门切割机床程序控制器 |
DE102004037259A1 (de) * | 2004-07-31 | 2006-02-16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r Einstellung vorgebbarer Paramet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58226A (en) * | 1977-11-21 | 1979-06-12 | Allen-Bradley Company | Programmable controller with limit detection |
US4242621A (en) * | 1978-03-27 | 1980-12-30 | Spaulding Carl P | Programmable limit switch for a movable member, particularly a machine tool slide |
US4401930A (en) * | 1980-12-30 | 1983-08-30 |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 Method of sensing position of movable body and apparatus therefor |
US4470108A (en) * | 1981-12-01 | 1984-09-04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Position detecting device |
JPS59153205A (ja) * | 1983-02-18 | 1984-09-01 | Fanuc Ltd | 数値制御システム |
US4744022A (en) * | 1985-06-03 | 1988-05-10 | Autotech Corporation | Programmable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n absolute position transducer |
-
1989
- 1989-11-02 KR KR1019890015881A patent/KR9200052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1-10 CA CA002002759A patent/CA2002759A1/en not_active Abandoned
- 1989-11-10 EP EP89120886A patent/EP036833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1-10 DE DE68926145T patent/DE68926145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1-13 US US07/435,231 patent/US513091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
- 1998-04-27 HK HK98103527A patent/HK1004294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1004294A1 (en) | 1998-11-20 |
EP0368337B1 (en) | 1996-04-03 |
EP0368337A1 (en) | 1990-05-16 |
CA2002759A1 (en) | 1990-05-11 |
US5130919A (en) | 1992-07-14 |
DE68926145T2 (de) | 1996-09-12 |
DE68926145D1 (de) | 1996-05-09 |
KR900008352A (ko) | 1990-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50378A (en) | Method of numerical control and device therefor | |
CA1206232A (en) | Point measuring process for preset robot | |
EP0105158A2 (en) | Customization window for a computer numerical control system | |
EP0106253A2 (en) |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with an emergency origin returning function | |
KR920004080B1 (ko) | 수치 제어 장치 | |
EP0107794B1 (en) | Numerical control system | |
KR920005252B1 (ko) | 수치제어장치 | |
US4328448A (en) | Method for programmably controlling the sequence of execution of data blocks in a program | |
US7136718B2 (en) | Numerical control apparatus | |
US20230415341A1 (en) |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numerical control system | |
JPH02151909A (ja) | 産業用機械の制御装置 | |
KR910009240B1 (ko) | 수치제어장치 | |
EP0414911B1 (en) | Numerical control device for transfer machine | |
JP7473653B2 (ja) | 制御対象物を制御する設定パラメータを所定のタイミングで変更する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及びその設定パラメータ変更方法 | |
JP7492006B2 (ja) | 数値制御システム | |
JP2588953B2 (ja) | 数値制御装置 | |
JP2584225B2 (ja) | 数値制御装置 | |
GB2187308A (en) | An operation program checking method for a numerical control device | |
JPH02130606A (ja) | 数値制御装置 | |
KR0136695B1 (ko) | 복합수치제어기 | |
JPH02140810A (ja) | 産業用機械の制御装置 | |
JP2537325Y2 (ja) | 機械状態判別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 |
JPH01159162A (ja) | 数値制御装置によるfms搬送台車制御方法 | |
JPH0271307A (ja) | 数値制御装置 | |
JPH0245807A (ja) | 数値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