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8679B1 -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679B1
KR900008679B1 KR1019830002558A KR830002558A KR900008679B1 KR 900008679 B1 KR900008679 B1 KR 900008679B1 KR 1019830002558 A KR1019830002558 A KR 1019830002558A KR 830002558 A KR830002558 A KR 830002558A KR 900008679 B1 KR900008679 B1 KR 90000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primary
control pin
cam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181A (ko
Inventor
유우지로 다께가와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209639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48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2097789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4777U/ja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쓰다고마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D03D47/363Construction or control of the yarn retai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위사 저장기의 한가지예.
제2도-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위사 저장기의 작동예.
본 발명은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추형 및 원통형 부분으로된 저장기드럼주위에 직기작동과 동시에 작동되는 회전식 급사구(給絲口)(yarn guide)에 의해 위사를 권취하여 저장하였다가 핀 제어(pin control)조건하에 위사를 삽입하기 위해서 위사를 송출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기의 구성과 조작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위사 공급원에 인접한 장치쪽을 상향측이라 하고 주 분사노즐에 인접한 장치쪽을 하향쪽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위사는 90-100°의 크랭크각(crank angle)사이의 시각(時刻)에서 삽입하기 시작하여 250-270°의 크랭크각 사이의 시각에서 끝난다.
우선 자유 송출에 의해 저장기드럼으로부터 위사를 풀어주며 소위 위사의 제어 송출을 위사 삽입이 끝나기 직전에 시작하도록 한다.
간단히 하기 위해서 위사 삽입을 약 90°정도의 크랭크각에서 시작하고 약 270°정도의 크랭크각에서 끝나도록 해야하는 것으로 한다.
작동 부위내에 제어핀이 위치하게 되면 제어핀은 저장기드럼위에 있는 위사와 맞물리게 되어 저장기드럼으로부터 위사가 송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어핀이 대기 위치내에 있게되면 제어핀은 저장기드럼위에 있는 위사를 풀어주어 저장기드럼으로부터 위사가 송출되도록 한다. 특히 제어핀은 우선 작동위치내의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작동위치를 떠나서 대기위치로 들어가서 대기 위치중의 가장 후퇴한 위치에 도달한다.
복귀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제어핀이 대기위치중의 가장 후퇴한 위치로부터 전진하여 대기위치를 떠나 작동위치속으로 들어가서 작동위치중의 가장 전진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저장기드럼속에 제어핀이 구성된 위사 저장기의 경우에 있어서 저장기드럼의 주변에서 사라져 버림으로서 제어핀이 작동위치를 떠나게 되고 저장기드럼의 주변에 나타남으로써 작동위치속으로 전진하게 된다.
3개의 제어핀이 있는 2회 북바꿈 교직(two pick alternate weaving)용 위사 저장기가 이미 제안된바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종래의 구조에는 저장기드럼의 축방향으로 1차에서부터 3차까지의 제어핀을 연달아 구성함으로써 적당한 캠 구동(cam drive)에 의해 각각을 구동시켜 저장기드럼의 축방향으로 있는 원호모양의 이동경로를 따라 왕복하도록 했다.
위에나온 이러한 원호모양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어핀 두 개가 통과함으로써 위사가 들어가게 된다.
특히 1차 제어핀에 의해 유지된 위사는 3차 제어핀이 인계받게 되고 2차 제어핀에 의해 유지된 위사도 3차 제어핀이 인계받게 된다.
이러한 형식의 위사 저장기에 있어서 저장기드럼에 저장된 위사는 하향 이동전진함으로써 위사가 저장기드럼으로부터 나와 송출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위사의 이동은 핀 제어조건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사는 순간적인 손상을 입을 위험이 없이 저장기드럼위에서 극히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는 핀사이에 두가지 종류의 위사의 교대 삽입이 이루어진다.
즉 그 하나는 1차 제어핀에서부터 3차 제어핀에서 나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2차 제어핀에서부터 3차 제어핀에서 나오는 것이다.
위사가 상이하게 삽입되면 위사의 면적이 달라지고 이동거리도 달라진다.
결과적으로 위사가 송출되기 바로 직전의 저장기드럼위의 위사의 상태는 삽입시마다 달라지는데 이것은 위사 삽입도중 위사 이동에 불가피한 변화가 생긴것과 관련이 있다.
더욱이 캠구동 양식은 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달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세대의 상호작용하는 제어핀에 대한 캠 구동 조절을 할 때는 고도로 복잡한 장치구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위사 삽입시마다 위사가 안정하고도 균일하게 이동되는 유체 분사식 직기용의 개량된 위사 저장기를 제작함에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지 두 개의 제어핀만을 가지고서도 세 개의 제어핀을 이용한 종래의 위사 저장기와 거의 같은 기능을 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용의 개량된 위사 저장기를 제작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가지 목적은 위사 저장도중 위사 이동수를 크게 감소시킨 유체 분사식 직기용의 개량된 위사 저장기를 제작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의하면 한쌍의 캠 구동식 제어핀을 저장기드럼의 축방향으로 연달아 배열하여 대기위치와 작동 위치사이의 저장기드럼의 축방향으로 있는 원호모양의 이동경로를 따라 일정한 시간에 따라 이동시킨다.
제어핀이 이동도중 상호간을 지나치게 될 때 위사 코일은 1차 제어핀으로부터 2차 제어핀으로 항상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한쌍의 제어핀을 저장기드럼의 축방향으로 있는 원호모양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각각이 이동하도록 캠에 의해 구동시킴으로써 제어핀이 이동도중 상호간을 지나치게 될 때 1차 위사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1차 제어핀으로부터 2차 제어핀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사 저장기의 한가지 예를 제1도에 나타내었는데 이 도면에서는 정지형 저장기드럼을 사용하고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본 발명을 회전식 드럼이 있는 위사 저장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위사 저장기 사용을 두 종류의 위사로 교직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술하기로 하더라도 위사 저장기를 한가지 위사를 사용한 제직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나온 위사 저장기 구조에 있어서 상향측 1차 제어핀은 우선 저장기드럼의 바깥쪽에서 저장기드럼에 대해 이동을 하는 한편 하향측 2차 제어핀은 저장기드럼의 안쪽에서 저장기드럼에 대해 이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본 실시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1차 제어핀은 저장기드럼 안쪽에서 이동하며, 2차 제어핀은 저장기드럼의 바깥쪽에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이들을 모두 저장기드럼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구성해도 된다.
저장기드럼(1)에는 상향측 원추형부분(1a), 하향측 원통형부분(1b) 및 원추형부분(1a)과 원통형부분(1b)의 구성된 부분에 있는 저장기드럼(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1c)이 구성되어 있다.
저장기드럼(1) 바깥쪽에는 매거진(magazine) (41)을 고정시키고, 저장기드럼(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저장기드럼(1)을 향해 있는 매거진(41) 벽속에 구멍(41a)을 만든다. 이 구멍(41a)을 통해 저장기드럼(1)쪽을 향하도록 1차 제어핀(P1)을 구성하고 1매거진(41)속에 구동캠(C1)을 설치한다.
저장기드럼(1)의 축방향에 대해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게끔 매거진(41)속에지지 샤프트(43)를 고정하고지지 샤프트(43)위로 중앙지점에서 분기(分岐)레버(46)를 삽입한다.
분기 레버(46)의 첫 번째 가지(46a)를 구멍(41a)속으로 연장시켜 말단 지점에서 1차 제어핀(P1)을 견고히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2차 가지(46a)를 캠공이(cam follower)(48)에 연결시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분기 레버(46)의 2차 가지(46b)에 스프링 시이트(spring seat)(51)를 적절히 구성하고 매거진(41)속에 적절히 구성된 두 개의 스프링 시이트(51, 52)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tension spring)(54)을 삽입한다.
분기 레버(46)의지지 샤프트(43)과 거의 평행하게 매거진(41)속에 캠 샤프트(56)를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1차 제어핀(P1)의 구동캠(C1)을 캠 샤프트(56)위에 고정 설치한다.
도면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캠의 일부 단면만 예시하였다.
캠 샤프트(56)를 적당한 외부 구동원 즉, 위사 저장기의 회전식 급사구(21)용 구동 샤프트(도면에 없음) 같은 것에 공지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직기 작동과 동시에 회전이 되게 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54)이 작동함에 따라 캠공이(48)는 구동캠(C1)의 주변과 탄성압에 의해 항상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캠(C1)이 회전하면지지 샤프트(43) 주위로 원호모양으로 1차 제어핀(P1)이 이동하게 된다.
지지 샤프트(4)를 저장기드럼(1)의 축방향에 대해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시키면서 저장기드럼(1)의 내부 골조(framework) (3)에다 고정시키고 분기 레버(7)를 중간지점에서 지지 샤프트(4)위에 삽입한다.
이 분기 레버(7)의 1차 가지(7a)를 이용하여 말단 지점에서 저장기드럼(1)의 주변을 향해있는 2차 제어핀(P2)을 견고히 유지시키는 한편 2차 가지(7b)를 캠공이(8)에 회전식으로 연결한다. 분기 레버(7)의 2차 가지(7b)에다 스프링 시이트(9)를 적절히 구성하고 내부골조(3)에 적절히 구성된 스프링 시이트(9)와 또다른 스프링 시이트(도면에 없음) 사이에 압축 스프링(11)을 삽입한다.
위에 나온 지지 샤프트(4)와 거의 평행하게 골조(3) 내부에 캠 샤프트(19)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2차 제어핀(P2)의 구동캠(C2)을 이 캠 샤프트(19)에 견고히 설치한다. 간략히 하기 위해 캠의 일부만을 도면에 예시했다.
압축 스프링(11)의 작동에 의해 캠공이(8)는 항상 구동캠(C2)과 탄성압으로 접촉하게 되어 있다.
구동캠(C2)이 회전함에 따라 2차 제어핀(P2)은 지지 샤프트(4) 주위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사 저장기의 작동을 두 개의 1차 위사와 1개의 2차 위사가 교대로 삽입되는 2×1 형식의 교직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즉, 위사 A와 위사 B를 사용할 경우 A, A, B, A, A, B의 순서로 위사를 삽입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두벌의 위사 저장기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각 구동캠(C1 및 C2)은 0-1080°의 크랭크각 주기동안 1회 회전을 하게 되고 위사 저장기에서는 1차 위사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을 0-360°의 크랭크각 주기동안에 행해지고,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은 360-720°의 크랭크각 주기 동안에 행해진다. 720-1080°의 크랭크각 주기동안 다른 위사 저장기에서는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이 1회 행해진다.
1차 위사 2개와 2차 위사 2개가 교대로 삽입되는 2×2 형식의 교직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구동캠(C1 및 C2)은 1개의 위사 저장기에서 0-1440°의 크랭크각 주기동안에 1회전을 하게되고 0-720°의 크랭크각 주기동안에서는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이 행해진다.
720-1440°의 크랭크각 주기동안에는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이 다른 위사 저장기에서 2회 행해지게 된다.
두 종류의 위사에 의한 교직 형식에 따라 0-720°크랭크각 주기에 상당하는 각각의 구동캠의 중심각은 달라진다.
그러나 구동캠의 고저비와 구동캠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의 이동시간은 교직형식에 따라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위사 저장기의 조작예를 제2도에 나타내었는데 여기서는 위사 4개가 1회 위사 삽입을 위한 위사 길이에 상당한다.
더욱이 도면에서 흑색원으로 나타낸 것은 위사의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이고 백색원은 위사의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이다.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Ⅰ)에서의 크랭크각은 0°이다.
이 시각에 있어서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에서 그대로 체류해 있는 한편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하여 저장기드럼(1)의 축방향에 있는 원호모양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하향하는 것이다.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저장은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이미 시작된 것이고, 1차 삽입을 위한 위사코일은 1차 제어핀(P1)과 2차 제어핀(P2)사이의 부분에서 저장이 된다.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Ⅱ)에서의 크랭크각은 90°이다.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에 그대로 머물고 있는 한편 2차 제어핀(P2)은 계속된 이동후퇴로 인하여 작동위치를 이탈한 경우이다.
특히 2차 제어핀(P2)은 저장기드럼(1)의 주변에서 그 모습이 사라져 버린다.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은 바로 이 시각에 시작된다.
따라서 위사의 저장이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더 계속된다 하더라도 1차 및 2차 제어핀(P1, P2)사이에 있는 부분에 저장된 위사 코일은 위사의 1차 삽입을 시작한 주 분사 노즐에 의한 견인력으로 송출된다.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Ⅲ)에서의 크랭크각은 180°이다.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에 그대로 체류하는 한편 2차 제어핀(P2)은 이미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에 도달한 경우이다.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의 위사 저장과 하향측에서의 위사 송출은 이 순간 더 계속된다.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Ⅳ)에서의 크랭크각은 270°이다.
대략 이 순간정도에서는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를 시작함으로써 하향 이동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2차 제어핀(P2)은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로부터 전진을 시작함으로써 저장기드럼(1)의 축 방향으로 상향이동하게 된다. 이 순간쯤해서 위사의 1차 삽입이 끝난다.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위사가 저장이 되고 하향측에서는 아무런 위사 코일이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Ⅴ)에서의 크랭크각은 360°이다.
이 시각보다 다소 앞서서 하향이동하는 1차 제어핀(P1)이 상향이동하는 2차 제어핀(P2)을 지나치게 되고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 저장되어 있던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지나치게 되는 순간에 2차 제어핀(P2)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자면 1차 제어핀(P1)과 2차 제어핀(P2)사이에서 저장된 위사의 이동이 일어난다.
두개의 제어핀(P1 및 P2)이 서로 가장 접근하게 될 때 저장된 위사의 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위사 코일은 이동시에 혼잡정도가 거의없는 상태로 된다. 다시 말하자면 저장된 위사의 이동은 상당히 안정된다.
시각(Ⅴ)에 있어서 1차 제어핀(P1)은 대기 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에서 체류하게 되는 한편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에서 체류하게 된다.
특히 1차 제어핀(P1)은 저장기드럼(1)의 원통부분(1b) 바깥쪽에 방사상으로 위치하게 되고 2차 제어핀(P2)은 원추부분(1a)과 원통부분(1b)사이의 경계부분 주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2차 제어핀(P2)의 상향측에 저장이 된다.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Ⅵ)에서의 크랭크각은 450°이다.
이 시각에 다소 앞서서 1차 제어핀(P1)은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로부터 전진하기 시작하여 사향이동을 하고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중의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하여 하향 이동하는 한편 위사 코일은 상향측에 있게 된다. 이 시각(Ⅵ)에서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은 바로 시작단계에 있게 된다.
즉,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로 들어가게 되고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를 막 이탈할려고 하는 단계에 있는 것이다. 위사 코일은 2차 제어핀(P2)의 상향측에서 그대로 유지되어 있다.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Ⅶ)에서의 크랭크각은 540°이다.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에 그대로 체류하는 한편, 2차 제어핀(P2)은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에서 체류해 있는 경우이다.
이 시각에서 두개의 제어핀(P1 및 P2)의 위치는 (Ⅲ)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 다음 주기의 1차 삽입을위한 위사 저장은 이미 상향측에서 시작된 상태이고,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은 이미 1차 제어핀(P1)의 하향측에서 시작된 상태이다.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Ⅷ)에서의 크랭크각은 630°이다.
1차 제어핀(P1)과 2차 제어핀(P2)은 모두 시각(Ⅷ)에서의 위치에 머물러 있다. 위사의 2차 삽입은 이미 이 시각에서 끝이난 상태이다.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위사가 저장된다. 크랭크각이 720°인 제2도의 시각(Ⅸ)에서도 이러한 조건이 유지된다.
제2도에서 예시된 시각(Ⅹ)에서의 크랭크각 810°인데 이 시각에서의 조건의 변화. 시각(Ⅳ)으로부터 시각(Ⅵ)까지의 변화에 해당된다.
이때쯤해서 1차 제어핀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하여 하향이동하는 한편 2차 제어핀(P2)은 대기 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로부터 전진하기 시작한다. 다시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위사가 저장된다.
제2도에서 예시된 시각(XI)에서의 크랭크각은 900°이다. 이 시각에 다소 앞서서 하향 이동하는 1차 제어핀(P1)은 상향이동하는 2차 제어핀(P2)을 지나치게 되고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 유지되어 있던 것으로서 그 다음 주기의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지나치게 되는 바로 그 순간에 2차 제어핀(P2)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자면 저장된 위사는 1차 제어핀(P1)과 2차 제어핀(P2)사이에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시각(Ⅴ)에 앞서 저장된 위사의 이동이 일어날 경우에는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2차 제어핀으로부터 2차 제어핀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시각(XI)에 앞서 저장된 위사의 이동이 일어날 경우에는 그 다음 주기의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1차 제어핀으로부터 2차 제어핀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저장된 위사 코일은 항상 두 개의 제어핀이 지나치게 되는 저장기드럼의 동일한 축방향에서 1차 제어핀으로부터 2차 제어핀으로 이동을 한다.
저장된 위사의 이동에 있어서 이러한 유사성은 1차 및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저장방식에 있어서의 유사성과 관련이 있다. 각기 상이한 시각에서 위사 저장 방식이 유사한 것은 상이한 시각에서의 위사 송출도중 위사의 유사한 거동과 관련이 있다. 직기 작동주기마다 균일하게 위사를 삽입할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의 최대의 장점이다.
마지막으로 제2도에 예시된 시각(XII)에서의 크랭크각은 990°이다. 이 시각에 다소 앞서서 1차 제어핀(P1)은 대기 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로부터 전진을 하기 시작하여 상향 이동을 하고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중에서의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를 시작하여 하향 이동을 한다.
상향 이동하는 1차 제어핀(P1)과 하향 이동하는 2차 제어핀(P2)이 서로 지나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시각(XII)에서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로 들어간 상태이고,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를 막 이탈하려고 하는 상태에 있으며, 위사 코일은 2차 제어핀(P)의 상향측에서 그대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들 전부가 제2도에 예시된 시각(Ⅰ)에서의 상황으로 되돌아 가사 그 다음 직기 작동주기를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제2도에 예시된 작동을 하는 위사 저장기에 있어서 1차 제어핀(P1)과 2차 제어핀(P2)용의 각각의 구동 캠(C1 및 C2)을 설계하여 상호간에 동시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1차 삽입 및 2차 삽입을 위한 위사를 저장기드럼의 동일한 축방향에 있는 두 개의 제어핀(P1 및 P2)사이에서 이동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사저장기의 다른 작동예를 제3도에 예시하였는데 여기서는 먼저번 예와 같이 위사 삽입을 위한 위사 길이에 상응하게끔 4개의 위사를 예시하였고, 흑색원은 위사의 1차 삽입을 위한 위사코일이고, 백색원은 위사의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이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Ⅰ)에서의 크랭크각은 0°이다.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내에 있고,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위사 저장기의 축방향에 있는 원호모양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하향한 상태에 있는 경우이다.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저장은 이미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시작된 상태이고,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두 개의 제어핀(P1 및 P2)사이의 부분에 유지되어 있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Ⅱ)에서의 크랭크각은 90°이다.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에 그대로 남아 있으나,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를 막 이탈한 상태에 있다.
특히, 2차 제어핀(P2)은 저장기드럼(1)의 주변으로부터 사라진 상태에 있다. 이렇게 되므로서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송출이 시작된다.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위사가 계속 저장되고 1차 제어핀(P1)과 2차 제어핀 사이에 유지되어 있던 위사코일은 위사의 1차 삽입을 시작산 주 분사노즐의 견인력에 의해 계속 송출이 된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Ⅲ)에서의 크랭크각은 180°이다.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에 그대로 체류해 있고, 2차 제어핀(P2)은 대기위치에 체류해 있다.
이러한 조건은 크랭크각이 270°인 제3도의 시각(Ⅳ)에서 유지되며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위사가 더욱더 저장된다. 시각(Ⅳ)쯤 해서 위사의 1차 삽입이 끝난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Ⅴ)에서의 크랭크각은 360°이다.
이 시각에 다소 앞서서 1차 제어핀(P1)은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하여 저장기드럼(1)의 축방향에 있는 원호 모양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하향한 상태이고, 시각(Ⅴ)에서 작동위치를 막 이탈하려고 하는 단계에 있다. 2차 제어핀(P2)은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에 체류해 있다.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위사 코일이 유지되어 위사의 2차 삽입시에 사용된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Ⅵ)에서의 크랭크각은 450°이다.
1차 제어핀(P1)은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고, 2차 제어핀(P2)은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에서 체류하고 있다.
이 시각에서 위사의 2차 삽입이 시작된다.
결과적으로 1차 제어핀(P1)에 의해 유지되었던 위사 코일은 주 분사노즐의 견인력에 의해 계속하여 송출된다.
이 예에 있어서의 시각(Ⅳ)에서부터 시각(Ⅵ)까지의 과정을 2도에 예시된 예에서의 시각(Ⅳ)에서부터 시작(Ⅵ)까지의 과정과 비교해 보아야 한다.
제2도의 예에 있어서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우선 1차 제어핀(P1)으로부터 2차 제어핀(P2)으로 일단 이동된후 저장기드럼(1)으로 부터 송출된다.
제3도에 예시된 경우에 있어서 1차 제어핀(P1)에 의해 유지된 위사 코일이 방출되어 핀사이의 이동이 없이 저장기드럼(1)으로부터 직접 송출이 되는 것이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Ⅶ)에 있어서의 크랭크각은 540°이다.
1차 제어핀(P1)은 이미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로부터 전진을 하기 시작한 상태이고, 2차 제어핀(P2)은 대기위치중에 그대로 체류한 상태이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Ⅷ)에 있어서의 크랭크각은 630°이다.
1차 제어핀(P1)은 이미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고, 2차 제어핀(P2)의 위치는 그대로이다.
위사의 2차 삽입은 이 시각쯤해서 끝나고, 그 다음 주기의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저장은 이미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시작된 상태이다. 크랭크각이 720°인 제3도의 시각(Ⅸ)에서 이 조건을 유지하며 위에 나온 위사 저장은 계속된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Ⅹ)에서의 크랭크각은 810°이다.
1차 제어핀(P1)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한 상태이고, 이 시각에서 작동위치를 이탈하려고 하는 단계에 있다.
이와 동시에 2차 제어핀(P2)은 이미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로부터 전진하기 시작한 상태에 있고 이 시각에서 작동위치로 들어가려고 하는 단계에 있다.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서 위사가 계속해서 저장된다.
제3도에 예시한 시각(XI)에서의 크랭크각은 900°이다. 이 시각에 다소 앞서서 하향이동하는 1차 제어핀(P1)은 상향이동하는 2차 제어핀(P2)을 지나치게 되고 1차 제어핀(P1)의 상향측에 유지되었던 것으로서 그 다음 주기의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서로 지나치게 되는 그 순간에 2차 제어핀(P2)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1차 제어핀(P1)과 2차 제어핀(P2)사이에서 저장된 위사의 이동이 일어난다.
이렇게 되면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에서 1차 제어핀(P1)이 머물게 되는 한편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에서 2차 제어핀(P2)이 머물게 된다.
제3도에 예시된 시각(XII)에서의 크랭크각은 990°이다.
1차 제어핀(P1)은 대기위치중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로부터 전진을 시작하여 저장기드럼의 축방향에 있는 원호모양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향한다.
이와 동시에 2차 제어핀(P2)은 작동위치중에서 가장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하여 하향이동을 하며, 위사 코일은 2차 제어핀(P2)의 이동에 따라 움직인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그 다음 주기의 1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우선 1차 제어핀(P1)으로부터 2차 제어핀(P2)으로 이동한 후 저장기드럼(1)으로부터 송출이 된다.
그러나 시각(Ⅳ)에서부터 시각(Ⅵ)에 이르기까지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2차 삽입을 위한 위사 코일은 핀사이에 우선적으로 위사 이동이 없이 저장기드럼으로부터 직접 송출이 된다. 저장기드럼위에 있어서의 위사 코일의 축방향 위치변경이 불가피한 위사의 이동 회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제2도에 예시된 1차 작동예에 비하여 위사 코일은 거의 혼잡성이 없어지게 된다.

Claims (7)

  1. 상향측 원추형 부분과 하향측 원통형 부분으로된 저장기드럼, 주어진 공급원으로부터 취한 위사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기드럼 주위에서 회전하는 급사구, 저장기드럼의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저장기드럼에 구성한 것으로서 저장기드럼의 원추형부분과 원통형부분사이에 형성된 경계부분 주위에 있는 작동위치쪽으로 끝을 향하게한 1차 및 2차 제어핀, 및 작동위치와 대기위치사이에 있는 원호모양의 이동경로를 따라 저장기드럼의 축방향으로 1차 및 2차 제어핀을 이동시키는 도중 1차 및 2차 제어핀이 서로 지나치도록 하여 위사 저장기의 1회 작동주기에 있어서 최소한 한번정도는 1차 제어핀으로부터 2차 제어핀으로 위사 코일이 이동되도록한 1차 및 2차 제어핀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핀 제어조건하에서 위사를 저장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위사를 각각 삽입하기 시작하기 바로전에 1차 제어핀이 작동위치를 이탈하도록함과 동시에 2차 제어핀이 작동위치로 들어가도록 하여 1차 제어핀과 2차 제어핀이 지나칠때마다 위사 코일의 이동이 일어나도록 한 방식으로 1차 및 2차 제어핀을 구동시키는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위사를 1차 삽입하기 시작하기 바로 전에 1차 제어핀이 작동위치를 이탈하도록함과 동시에 2차 제어핀이 작동위치로 들어가도록하여 위사의 1차 삽입을 위해 위사코일이 이동되도록 한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4.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중에 캠구동 메카니즘을 포함시킨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5.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어핀의 대기위치를 저장기드럼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구성한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6.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어핀의 대기위치를 저장기드럼 외부에서 방사상으로 구성한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7. 청구범위 제 4항에 있어서 가. 저장기드럼에 고정시킨 1차 및 2차 골조, 나. 1차 골조에 고정시킨 1차지지 샤프트, 다. 1차지지 샤프트에 피벗(pivot)식으로 고정 되었으며, 1차 제어핀을 가진 1차 가지와 1차 캠 공이를 가진 회전식의 2차 가지가 있는 1차 레버, 라. 1차지지 샤프트와 평행하게 1차 골조위에 회전식으로 설치되었고, 급사구용 주구동 샤프트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1차 캠 샤프트, 마. 1차 캠 샤프트에 고정된 1차 캠, 바. 1차 캠 공이와 1차 캠이 탄성압에 의해 접촉하도록 하는 1차 수단, 사. 2차 골조에 고정된 2차 지지 샤프트, 아. 2차 지지 샤프트에 피벗식으로 고정되었으며, 2차 제어핀을 가진 1차 가지와 2차 캠 공이를 가진 2차 가지가 있는 2차 레버, 자. 2차 지지 샤프트와 평행하게 2차 골조에 회전식으로 설치되었으며, 주 구동 샤프트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2차 캠 샤프트, 차. 2차 캠 샤프트에 고정된 2차 캠, 카. 2차 캠 공이와 2차 캠이 탄성압에 의해 접촉하도록 하는 2차 수단을 캠 구동 메카니즘에 구성하여서된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KR1019830002558A 1982-06-25 1983-06-08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KR900008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096392U JPS59483U (ja) 1982-06-25 1982-06-25 流体噴射式織機用緯糸貯留装置
JP???96392 1982-06-25
JP57-09392 1982-06-25
JP1982097789U JPS594777U (ja) 1982-06-28 1982-06-28 流体噴射式織機用緯糸貯留装置
JP57-097789 1982-06-28
JP???97789 1982-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181A KR840005181A (ko) 1984-11-05
KR900008679B1 true KR900008679B1 (ko) 1990-11-26

Family

ID=2643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558A KR900008679B1 (ko) 1982-06-25 1983-06-08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098254A3 (ko)
KR (1) KR900008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2602A1 (de) * 2002-11-12 2004-05-27 Iropa Ag Liefergerä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2112B1 (en) * 1979-06-22 1985-09-1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Weft reservoir for an alternate two-pick change type fluid jet shuttleless loom
JPS5626038A (en) * 1979-08-10 1981-03-13 Nissan Motor Weft yarn storage apparatus of shuttleless loom
NL7907093A (nl) * 1979-09-24 1981-03-26 Rueti Te Strake Bv Werkwijze voor het weven met een spoelloze weefmachine, alsmede daarbij te gebruike inslagvoorbereidingsinrich- ting.
CH643013A5 (en) * 1980-04-01 1984-05-15 Sulzer Ag Weft-thread storage device for weaving machines
JPS5782546A (en) * 1980-11-12 1982-05-24 Nissan Motor Storage apparatus of "futakoshi" weft yarn of shuttleless loom
JPS57101040A (en) * 1980-12-11 1982-06-23 Nissan Motor Weft yarn storing apparatus of shuttleless l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98254A3 (en) 1984-03-14
KR840005181A (ko) 1984-11-05
EP0098254A2 (en) 198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51A (zh) 纱线储存和输送装置
KR900008679B1 (ko)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US4245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transport fluid to auxiliary jet nozzles in a jet loom
US3871421A (en) Weaving machine having a variable weft yarn path
US5417250A (en) Weft insertion system for air-jet loom
US44100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neumatic insertion of a weft thread in the shuttle of a multi-feed weaving loom
US5105856A (en) Guide mechanism for tensioning a weft thread presented to a cutter
US5072760A (en) Device for drawing a yarn into a weft accumulator
US3299912A (en) Suction system for tensioning weft
US3411547A (en) Weft thread supply apparatus for looms
US4134435A (en) Weft storage means for fluid jet loom
KR900008680B1 (ko)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US5065796A (en) Loom temple control system to vary pick density
US5099891A (en) Shed-forming mechanism for a circular loom
US4485850A (en) Auxiliary device for weft insertion on an air jet loom
US398906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weft tension in traveling-wave shedding looms
EP0094364B1 (en) A weft reservoir for fluid-jet looms
US4386633A (en) Weft reservoir for an alternate two-pick change type fluid jet shuttleless loom
US3455340A (en) Weft thread locating and presenting device in weaving machines,particularly of the shuttleless type
JPS5925896Y2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入補助装置
US3853151A (en) Weaving machine
US3434504A (en) Shuttleless terry loom warp shedding means and method
US44073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vely removing weft from air insertion guidance tube
CN1898427B (zh) 用于接收一段纬纱的装置
US3933184A (en) Method of and weft inserter for eliminating a chain formation of wefts not transferred into the beat-up position in travelling-wave shedding l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