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764A -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5764A KR20230085764A KR1020210174250A KR20210174250A KR20230085764A KR 20230085764 A KR20230085764 A KR 20230085764A KR 1020210174250 A KR1020210174250 A KR 1020210174250A KR 20210174250 A KR20210174250 A KR 20210174250A KR 20230085764 A KR20230085764 A KR 202300857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e
- ions
- generating device
- electricity generating
- permeable membran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10889 donnan-equilibrium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0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8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0909 electro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341 cat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1414 potas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011 anion exchange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 K +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310 Ion Channel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93 charged compound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RUVKPQLZAKDPS-UHFFFAOYSA-L copper(II) sulfate Chemical compound [Cu+2].[O-][S+2]([O-])([O-])[O-] ARUVKPQLZAKDPS-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5 gel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14 ion exchange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90 nanochann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36 Agar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91 Copper(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57 Nafi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92 biomim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678 chain carbo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5 copper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XBLHERUFWYNTN-UHFFFAOYSA-M copper(I) chloride Chemical compound [Cu]Cl OXBLHERUFWYN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6 copper(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676 cyclic carbo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27 ion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AOCPAMSLUNLGC-UHFFFAOYSA-N metronidazole Chemical compound CC1=NC=C([N+]([O-])=O)N1CCO VAOCPAMSLUNL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78 mi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116 oxidation-reduction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2—Fuel cells in which the fuel is based on materials comprising carbon or oxygen or hydrogen and other elements; Fuel cells in which the fuel is based on materials comprising only elements other than carbon, oxygen or hydrogen
- H01M8/227—Dialytic cells or batteries; Reverse electrodialysis cells or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22—Electrodialysi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2—Fuel cells in which the fuel is based on materials comprising carbon or oxygen or hydrogen and other elements; Fuel cells in which the fuel is based on materials comprising only elements other than carbon, oxygen or hydroge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발생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챔버 내에 제1 전해질,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발생 장치로서,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은 각각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에 포함되는 총 이온은 적어도 3종 이상이며,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상기 적어도 3종 이상의 이온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 사이의 도난 효과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농도의 다종 이온을 포함하는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을 사용하여 기존 역전기투석 기술에 비하여 높은 전류 및 전력 밀도를 출력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역전기투석(Reverse Electrodialysis)은 인접한 두 전해질의 농도가 다르고 인접한 곳에 상기 두 전해질이 포함하는 특정 이온에 대하여 높은 투과성을 지니는 선택성 막이 위치할 때, 이온의 거동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두 전해질은 고농도의 전해질과 저농도의 전해질로 구성되어, 둘 사이에 양이온 투과막 또는 음이온 투과막과 같은 선택적 투과막을 배치한 3층 구조로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을 발생시킨다.
상기 양이온 투과막과 음이온 투과막은 동일한 양쪽 전해질에 대하여 반대 방향의 전기 포텐셜을 형성하므로, 상기 고농도의 전해질, 양이온 투과막, 저농도의 전해질, 음이온 투과막, 고농도의 전해질 순으로 적층하여 동일방향으로 더해진 전기 포텐셜을 획득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3층 구조를 단위로 교번하여 반복 적층하게 되면 보다 큰 전기 포텐셜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큰 전기 포텐셜은 전체 적층 구조의 양 끝 전해질에 전극을 삽입하면 전극에 산화환원반응을 유발하여 외부 회로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즉, 이온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농도 차이가 지니는 화학 포텐셜을 전기 포텐셜로 변환하는 전기에너지 공급 및 발전 장치이다. 상기 고농도 전해질은 해수로, 상기 저농도 전해질은 담수로 취급하여 역전기투석 기술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및 하베스팅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역전기투석 기술은 구성에 상기 저농도 전해질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는데, 보편적으로 담수이거나 담수와 유사한 농도의 전해질(0.01M)로 활용하는 저농도 전해질은 저밀도의 이온 흐름(ionic current)를 유발하여, 전력 밀도(power density)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전력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선택적 투과막의 선택성을 향상시켜 특정 이온의 흐름을 보다 강하게 하여 전력 밀도를 향상시키는 연구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낮은 전력 밀도의 원인은 상기 저농도 전해질의 존재 때문이므로 전력 밀도의 극적인 향상은 어렵다.
또한, 역전기투석 기술은 상기 저농도 전해질과 고농도 전해질이 인접하기 때문에 평형(equilibrium)이 아닌 상태로, 지속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발생하며 방전한다. 보편적으로 해수이거나 해수와 유사한 수준의 농도의 전해질(0.5M)로 활용되는 상기 고농도 전해질과, 상기 저농도 전해질은 약 50배의 큰 농도 차이를 지니고, 농도 기울기를 따라 흐르는 이온과 강한 삼투압에 의한 빠른 물의 흐름은 이 농도 차이를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막고 전기 에너지 발전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두 전해질에 별도의 외부 펌프 장치로 같은 농도의 전해질들을 각각 지속적으로 주입하여 농도 차이를 유지하도록 순환시켜야 하는 부담이 있다.
한편, 생체의 전기 에너지 발생도 이온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발생한다. 세포막은 이온채널(ion channel)을 통해 세포막 주변의 이온들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이온 거동을 제어하고 전기 포텐셜을 발생한다. 세포 내부와 외부에는 K+, Cl+, Na+, Ca2+, Mg2+, H+, HCO3 - 등의 다종의 이온들과 음하전된 단백질(anionic protein, P-)이 다른 농도로 분포하고 있다.
다종의 이온들은 각각 세포 내부와 외부에 크게는 수십배의 농도 차이로 다르게 포함되지만, 세포 내부와 외부의 총농도는 유사하다. 이러한 세포막 주변 환경에서 이온들은 세포막 내에 위치한 이온 채널(ion channel)을 통해 특정 이온만이 선택적으로 투과한다. 총농도는 차이가 거의 없지만 이온 채널에 의해 특정 이온의 농도 기울기에 따른 흐름이 활성화되고, 흐름이 저해된 다른 이온들은 막 주변에 이온 층을 형성하여 전기적 기울기, 즉 전기 포텐셜을 형성한다.
발생된 전기적 기울기는 농도 기울기와 평형을 이루며 이온들의 농도 차이 조성을 유지하는데 이를 도난 효과(Donnan effect)라 하며 이때 평형의 전기 포텐셜(equilibrium potential)을 도난 포텐셜(Donnan potential)이라 한다. 이온 이송으로 발생하는 생체 전기 매커니즘은 생체 내에서 대사 및 신경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우수한 에너지 효율 및 출력과 빠른 응답속도 등을 특징으로 하여 상세한 매커니즘 규명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택적 투과막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다종 이온을 포함하는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을 사용하여 기존 역전기투석 기술에 비하여 높은 전류 및 전력 밀도를 출력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이 다른 이온 구성 또는 농도 조성을 가지지만 유사한 총농도를 가짐으로써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낮은 삼투압과 도난효과에 의해 준 평형 상태를 이뤄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챔버 내에 제1 전해질,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발생 장치로서,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은 각각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에 포함되는 총 이온은 적어도 3종 이상이며,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상기 적어도 3종 이상의 이온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 사이의 도난 효과를 유발한다.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상기 선택적 투과막에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1종 이상의 이온의 투과도 대비 다른 이온들의 투과도(P다른이온/P선택이온)가, 0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에 포함되는 적어도 총 3종 이상의 이온 중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기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 간에 상이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 간에 상이한 농도는,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된 전해질에 포함된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의 농도와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대적으로 많게 포함된 전해질의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의 농도 비(C저농도/C고농도)가 0 내지 0.1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의 총농도비(C제2전해질/C제1전해질)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해질은 양이온 및 음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은 H+, Na+, K+, Mg2+, Ca2+, Li+, Fe3+, Fe2+, Al3+, Cu2+, Zn2+, Zn+, V2+, V3+, Cr2+, Cr3+, Co(NH3)6 3+ 및 (CH3)nNHm +(상기 n 및 m은 0 내지 4이고, 상기 n과 m의 합은 4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은 F-, Cl-, Br-, NO3 -, OH-, F-, Br-, HCO3 -, SO4 2- 및 CO3 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병렬적으로 결합된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의 두께는 0.1 mm 내지 1 m 일 수 있다.
상기 선택적 투과막의 두께는 0.1 ㎛ 내지 1 mm 일 수 있다.
상기 전기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챔버 내에 제1 전해질,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해질, 상기 선택적 투과막 및 상기 제2 전해질이 교번하여 반복 적층된 다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로서,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은 각각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에 포함되는 총 이온은 적어도 3종 이상이며,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상기 적어도 3종 이상의 이온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 사이의 도난 효과를 유발한다.
상기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전해질, 제1 선택적 투과막, 제2 전해질, 제2 선택적 투과막 및 제1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택적 투과막 및 상기 제2 선택적 투과막은, 서로 다른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동일한 방향으로 전기 포텐셜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투과막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다종 이온을 포함하는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을 사용하여 기존 역전기투석 기술에 비하여 높은 전류 및 전력 밀도를 출력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이 다른 이온 구성 또는 농도 조성을 가지지만 유사한 총농도를 가짐으로써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낮은 삼투압과 도난효과에 의해 준 평형 상태를 이뤄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단일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3층 적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3은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6 및 도 7은 다층 구조로 적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11은 기존의 역전기투석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기존의 역전기투석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비교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비교예 1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기 포텐셜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5는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압-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삼투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Binary)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Quaternary)의 전류 밀도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단일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3층 적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3은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6 및 도 7은 다층 구조로 적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11은 기존의 역전기투석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기존의 역전기투석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비교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비교예 1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기 포텐셜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5는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압-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삼투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Binary)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Quaternary)의 전류 밀도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챔버 내에 제1 전해질,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발생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선택적 투과막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다종 이온을 포함하는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을 사용하여 기존 역전기투석 기술에 비하여 높은 전류 및 전력 밀도를 출력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단일의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단일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3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및 이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고, 도 3 내지 도 5는 2개 이상의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3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및 이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선택적 투과막의 개수 및 구조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에,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챔버 내에 제1 전해질(110), 선택적 투과막(130, 140) 및 제2 전해질(120)을 포함하는 전기 발생 장치(100a)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다종 이온을 포함하는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을 사용하여 기존 역전기투석 기술에 비하여 높은 전류 및 전력 밀도를 출력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을 포함하고,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은 각각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고,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에 포함되는 총 이온은 적어도 3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기존에 사용되는 고농도 전해질 및 저농도의 전해질 대신에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을 모두 고농도의 전해질을 구성하는 이온과 다른 이온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2가지의 고농도의 전해질이 총 3종 이상의 이온들을 포함하고, 구성하는 이온들 중 1 종의 이온 만을 다른 이온들에 비하여 높은 투과도로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두 고농도의 전해질 사이에 도난 효과를 유발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안정적인 전기화학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제1 전해질(110)을 포함한다.
제1 전해질(110)은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종 내지 10종의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해질(11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양이온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예시로, 양이온은 H+, Na+, K+, Mg2+, Ca2+, Li+, Fe3+, Fe2+, Al3+, Cu2+, Zn2+, Zn+, V2+, V3+, Cr2+, Cr3+, Co(NH3)6 3+ 및 (CH3)nNHm +(상기 n 및 m은 0 내지 4이고, 상기 n과 m의 합은 4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이온은 F-, Cl-, Br-, NO3 -, OH-, F-, Br-, HCO3 -, SO4 2- 및 CO3 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양이온과 음이온은 제시된 종류에 국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해질(110)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온 이동도(ion mobility)가 유사한 수준이면서 그 크기가 우수한 KC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용매의 특성이나 선택적 투과막(130, 140)의 이온 선택성에 따라 다른 이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전해질(110)의 총농도는 높은 전기전도성을 위하여 고농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전해질(110)의 총농도는 0.1M 내지 5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M 내지 2M 일 수 있다.
고농도의 정의는, 보편적으로 여러 연구에서 담수를 0.01M 전해질로, 염수를 0.5M 전해질로 대체하는데, 이 담수라 표현하는 0.01M 전해질을 저농도로 고려하여, 0 M 내지 0.1M 를 저농도라 정의하고, 염수라 표현하는 0.5 M 전해질을 고농도로 고려하여, 고농도는 0.1M 이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 내지 5M 을 고농도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들은 각 이온의 농도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들의 농도가 상이한 경우, 상이한 농도라 함은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된 전해질(제1 전해질 또는 제2 전해질)에 포함된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의 농도와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대적으로 많게 포함된 전해질(제2 전해질 또는 제1 전해질)의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의 농도 비(C저농도/C고농도), 즉 선택된 이온의 농도비가 0 내지 0.1일 수 있다.
선택된 이온의 농도비(C저농도/C고농도)가 0.1보다 높으면 약한 전기 포텐셜이 발생한다. 또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가 유사한 수준인 것이 삼투 현상의 저감이 기대되므로 바람직하다. 이 때, 유사한 수준이라 함은,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비(C제2전해질/C제1전해질)가 기존 기술은 50 내지 0.02 수준의 상이한 농도차를 활용하므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비(C제2전해질/C제1전해질)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이 총농도비를 벗어나면 기존 기술과 유사한 수준의 상이한 농도차로, 기존 기술과 같이 삼투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들의 농도가 상이하다고 할지라도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이온의 총농도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농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해질(110)에 2종의 이온(1종의 양이온과 1종의 음이온)이 포함되는 경우, 두 이온은 전기적 중성을 맞추기 위하여 전하량 절댓값의 역수의 비로 농도를 가진다. 제1 전해질(110)은 고농도의 총농도를 갖추기 위해서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이온을 고농도로 가지며, 선택된 이온의 농도비 조건(0<C저농도/C고농도<0.1)에 따라 제2 전해질(120)은 저농도의 선택된 이온을 가진다. 한편, 제2 전해질(140)은 총농도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0.1<C제2전해질/C제1전해질<10) 선택된 이온과 동일한 극(양/음)의 다른 이온을 고농도로 가진다. 한편, 선택된 이온과 다른 극(양/음)의 이온은 두 전해질이 각각 가진 이온들의 전기적 중성을 맞추기 위하여 전하량 절댓값 역수의 비로 농도를 가진다.
또한, 제1 전해질(110)에 3종 이상의 이온이 포함되는 경우, 선택적 투과막(130, 140)이 선택하는 이온 1종에 대하여는 제2 전해질(120)과 상이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해질(110)에 3종 이상의 이온이 포함되며, 그 중 선택적 투과막(130, 140)이 선택하는 이온과 동일한 극성(양/음)을 가지는 다른 이온이 포함될 경우, 선택된 이온의 농도비 조건(0<C저농도/C고농도<0.1)에 따라 선택된 이온의 농도는 두 전해질이 상이하면서 두 전해질의 총농도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0.1<C제2전해질/C제1전해질<10), 선택된 이온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다른 이온의 농도는 선택된 이온과 반대로 두 전해질에서 상반된 농도비로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두 전해질의 총농도를 유사하게 하기위해 바람직하며, 선택된 이온과 다른 동일한 극성의 이온이 서로 상반되게 상이한 농도가 아닐 될 경우 총농도도 상이하여 삼투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해질(110)이 3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며 그 중 선택하는 이온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다른 이온이 포함될 경우, 이 이온들의 농도는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전해질이 선택된 이온의 농도는 상이하면서 총농도는 유사한 수준임만 만족되면, 다른 이온들의 농도가 상이한 것이 필수 조건은 아니다.
또한, 제1 전해질(110)에 3종 이상의 이온이 포함되며, 그 중 선택적 투과막(130, 140)이 선택하는 이온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다른 이온이 없는 경우, 다른 이온들의 농도는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가 유사한 수준임만 만족하면 된다. 그러나, 동일한 극성의 다른 이온이 없는 경우는 제1 전해질(110)은 고농도의 총농도를 갖추기 위해서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이온을 고농도로 가지며, 선택된 이온의 농도비 조건(0<C저농도/C고농도<0.1)에 따라 제2 전해질(120)은 저농도의 선택된 이온을 가진다. 한편, 제2 전해질(120)은 총농도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0.1<C제2전해질/C제1전해질<10) 선택된 이온과 동일한 극(양/음)의 다른 이온을 고농도로 가진다. 한편, 선택된 이온과 다른 극(양/음)의 이온들은 두 전해질이 각각 가진 이온들의 전기적 중성을 맞추기 위하여 전하량 절댓값 역수의 비로 농도를 가진다.
한편, 제1 전해질(110)은 선택적 투과막이 선택하는 이온을 저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질이라 하더라도, 즉, 기존 기술에서 저농도 전해질 역할을 하더라도, 이 경우는 제1 전해질(110)이 반드시 동일한 극성의 다른 이온을 포함하며, 이 이온을 고농도로 포함시켜 제1 전해질(110)의 총농도는 고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해질(110)은 K+ 이온을 선택하는 선택적 투과막에 대응하여 K+ 이온이 없거나 0.01M의 저농도로 포함하고, 제2 전해질(120)은 K+ 이온을 1M의 고농도로 서로 상이한 농도로 포함할 경우, 제1 전해질이 동일한 극성의 다른 이온인 Mg2+ 이온을 0.7M 포함하여 두 전해질 모두 고농도일 수 있다.
한편, 음이온은 두 전해질이 모두 Cl- 이온만을 포함한다고 할 경우, 제1 전해질(110)은 1.41M, 제2 전해질(120)은 1M로 두 전해질의 총농도는 각각 2.12M, 2M로 유사한 수준이 되고 삼투 문제를 크게 저해시킨다.
선택되지 않은 이온인 Mg2+나 Cl-는 전기 포텐셜 수치에 직접적으로 관련하지 않으며, K+의 두 전해질에서의 큰 농도차로 큰 전기 포텐셜을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전해질이 고농도일 수 있는 본 발명은, 저농도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기존 기술과 달리 향상된 전기적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해질(110)은 K+ 이온을 선택하는 선택적 투과막에 대응하여 K+ 이온이 0.01M의 저농도로 포함하고, 제2 전해질(120)은 K+ 이온을 1M의 고농도로 서로 상이한 농도로 포함할 경우, 제1 전해질이 동일한 극성의 다른 이온인 Mg2+ 이온을 0.7M 포함하고, 제2 전해질(120)이 Mg2+를 0.04M 포함 하여 두 전해질 모두 고농도일 수 있다. 한편, 음이온은 두 전해질이 모두 Cl- 이온만을 포함한다고 할 경우, 제1 전해질은 1.41M, 제2 전해질(120)은 1.08M로 두 전해질의 총농도는 각각 2.12M, 2.12M로 동일한 수준이 되고 삼투 문제를 크게 저해시킨다.
선택되지 않은 이온인 Mg2+나 Cl-는 전기 포텐셜 수치에 직접적으로 관련하지 않으며, K+의 두 전해질에서의 큰 농도차로 큰 전기 포텐셜을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전해질이 고농도일 수 있는 본 발명은, 저농도가 반드시 포함되어야하는 기존 기술과 달리 향상된 전기적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해질(110)은 K+ 이온을 선택하는 선택적 투과막에 대응하여 K+ 이온이 없고, 제2 전해질(120)은 K+ 이온을 0.5M의 고농도로 서로 상이한 농도로 포함할 경우, 제1 전해질(110)이 동일한 극성의 다른 이온인 Mg2+ 이온을 0.5M 포함하여 두 전해질 모두 고농도일 수 있다.
한편, 음이온은 두 전해질이 각각 SO4 2-와 Cl- 이온을 포함한다고 할 경우, 제1 전해질은 0.5M, 제2 전해질은 0.5M로 두 전해질의 총농도는 각각 1M, 1M로 동일한 수준이 되고 삼투 문제를 크게 저해시킨다. 선택되지 않은 이온인 Mg2+나 Cl-는 전기 포텐셜 수치에 직접적으로 관련하지 않으며, K+의 두 전해질에서의 큰 농도차로 큰 전기 포텐셜을 획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은 앞서 전술한 실시예들의 이온 조성 또는 농도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의 이온 조성 및 농도 조건을 교차하여 바꾸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전해질이 고농도일 수 있는 본 발명은, 저농도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기존 기술과 달리 향상된 전기적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제1 전해질(110)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용매는 통상적으로 물(H2O)이 바람직하나,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이온 및 염의 종류에 따라, 용해시키기 용이한 강산/강염기로 및 유기용매 전해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용질 및 염을 이온화시키기 용이하도록 유전 상수가 높고, 이온 이동이 원활하도록 점도가 낮은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강산/강염기로는 HCl, H2SO4 및 KO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유기용매는 선형 카보네이트(linear carbonate), 사슬형 카보네이트(chain carbonate) 및 환형 카보네이트(cyclic carbon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해질(110)은 통상적으로 액상으로, 액상의 제1 전해질(110)을 담지하는 보조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해질(110)은 특정 형상으로의 고정 및 제조를 위하여 액상이 아닌 겔이나 고상의 전해질일 수 있고, 고형화를 위하여 고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형화제는 아가로즈(agarose), 콜라겐(collagen) 및 젤라틴(gelat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수계 전해질, 가소제를 첨가한 PVC 및 PMM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머 계열의 겔의 비수계 전해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전해질(110)의 두께는 0.1 mm 내지 1 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10 cm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1 cm 일 수 있다.
제1 전해질(110)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선택적 투과막(130, 140) 간의, 또는 전극(150, 151) 및 제1 전해질(110)을 담지하는 챔버 벽면과의 접촉할 수 있으며, 접촉 시, 획득할 전기 포텐셜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제1 전해질(11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장치가 길어져 전체 저항이 상승하기 때문에, 제어가능한 수준의 가능한 한 얇은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 모두 고농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저농도가 포함되는 기존 기술보다 두께에 대해 높은 자유도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농도는 고농도에 비하여 전기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저항이 급격히 상승하고, 저항 상승은 발전 전력의 감소를 유발하며, 전기용량이 낮은 저농도 구간의 증가는 에너지밀도의 하락시키기 때문에, 기존 기술이 낮은 전력 발생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1 cm 이상의 두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제2 전해질(120)을 포함한다. 제2 전해질(120)은 제1 전해질(110)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해질(120)은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종 내지 10종의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해질(120)의 이온 구성은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이온 종류들 중 적어도 1개 이상은 동일하지 않고 다른 이온 종류로 대체된 전해질이 바람직하며, 제1 전해질(110)이 3종 이상의 이온들을 포함할 경우, 제2 전해질(120)은 제1 전해질(110)과 동일한 종류의 이온들을 각각 다른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질도 가능하다.
또는, 제2 전해질(120)의 이온 구성은 제1 전해질(110)이 포함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모두 포함하지 않고 다른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대체된 전해질이 바람직하며, 제1 전해질(110)의 양이온과 음이온을 저농도로 포함하되 다른 양이온과 음이온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질도 가능하다.
즉,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은 각각 다른 두가지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포함하여, 두 양이온 또는 음이온 중 하나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에 높은 투과도를 지니고 다른 한 이온은 낮은 투과도를 지닐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이 적어도 2종의 음이온을 각각 포함하는 경우, 그 중 1 종의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고,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이 적어도 2종의 음이온을 둘 다 포함하는 경우, 그 중 1 종의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는, 양이온의 경우에서도 동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총 3종 이상의 이온 중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 간에 상이한 농도를 가지면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는 유사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 간에 상이한 농도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된 전해질(제1 전해질 또는 제2 전해질)에 포함된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의 농도와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대적으로 많게 포함된 전해질(제2 전해질 또는 제1 전해질)의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의 농도 비(C저농도/C고농도), 즉 선택된 이온의 농도비가 0 내지 0.1일 수 있다. 또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비(C제2전해질/C제1전해질)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해당 이온이 적은 전해질의 해당 이온 농도와 많은 전해질의 선택된 이온 농도 비(C저농도/C고농도), 즉, 선택된 이온의 농도비가 0 일 경우, 선택된 이온이 한쪽 전해질(제1 전해질 또는 제2 전해질)에만 포함되며, 총농도비가 0.1 내지 10 이기 때문에 다른 전해질(제2 전해질 또는 제1 전해질)에 반드시 다른 이온을 0.1 이상 포함하고 있다. 전기적 중성 때문에 양/음 이온 모두 같이 더 포함시키게 되고 선택된 이온이 양이온이든 음이온이든 총농도비가 유사한 수준으로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이온의 농도비가 0이 아닐 경우(단, < 0.1), 선택된 이온이 양쪽 전해질에 모두 포함되며, 다만, 총농도비가 0.1 내지 10 이기 때문에, 양쪽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이 역시 다른 이온을 적당량 포함시켜서, 선택된 이온만 보면 농도비가 0.1 이하이지만, 다른 이온들이 포함된 총농도비는 0.1 이상이 되도록 다른 이온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은 같은 두가지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포함하되 두 이온 중 하나는 제1 전해질(110)에 고농도로, 다른 하나는 제2 전해질(120)에 고농도 포함하여, 두 양이온 또는 음이온 중 하나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에 높은 투과도를 지니고 다른 한 이온은 낮은 투과도를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이 이온의 하전량(가수)을 구분하는 경우에는 제2 전해질(120)에 포함되는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2종 이상의 이온과 상이한 이온은 Mg2+ 또는 Ca2+ 등과 같은 다가 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이온의 크기를 구분하는 경우에는 Co(NH3)6 3+ 또는 (CH3)nNHm + 등과 같은 큰 크기의 다원자 이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전해질(120)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전해질(110)과 동일한 용매에 상이한 이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이 총 3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해질(120)은 제1 전해질(120)과 동일한 이온들을 포함하되,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각 이온들의 농도와는 다른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은 총 3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며, 제2 전해질(120)에 포함되는 이온 중,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이온과 상이한 이온은 선택적 투과막(130, 140)의 선택성에 의존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해질(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은 각 이온의 농도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는 높은 전기전도성을 위하여 고농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는 0.1M 내지 5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M 내지 2M 일 수 있다.
고농도의 정의는, 보편적으로 여러 연구에서 담수를 0.01M 전해질로, 염수를 0.5M 전해질로 대체하는데, 이 담수라 표현하는 0.01M 전해질을 저농도로 고려하여, 0 M 내지 0.1M 를 저농도라 정의하고, 염수라 표현하는 0.5 M 전해질을 고농도로 고려하여, 0.1M 내지 5M을 고농도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는 삼투 현상을 저해하기 위해 유사한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르게 포함된 이온들의 이동도(mobility) 차이 및 다가 이온의 포함 여부 차이에 따라 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는 동일하거나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 차이가 10배 이하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에 포함되는 각 이온의 농도 차이와 비교하여 매우 작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가 유사한 수준인 것이 삼투 현상의 저감이 기대되므로 바람직하다. 유사한 수준이라 함은,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비(C제2전해질/C제1전해질)가 기존 기술은 50 내지 0.02 수준의 상이한 농도차를 활용하므로, 총농도비가 0.1 내지 10의 범위를 말한다. 따라서, 앞서 전술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총농도비를 벗어나면 기존 기술과 유사한 수준의 상이한 농도차로, 기존 기술과 같이 삼투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제1 전해질(110)은 제2 전해질(120)의 이온의 총농도와 유사한 농도를 가짐으로써, 삼투압에 의한 용매의 유동을 제한시켜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전해질(120)은 제1 전해질(110)과 마찬가지로 액상으로 국한되지 않고 겔이나 고상의 전해질로도 가능하며, 사용하는 이온과 용매에 따른 용해도의 한계 내에서 가능한 한 높으면서 제1 전해질(110)의 농도와 유사한 수준의 고농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이 다른 이온 구성 또는 농도 조성을 가지지만, 유사한 총농도를 가짐으로써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낮은 삼투압과 도난효과에 의해 준 평형 상태를 이뤄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제2 전해질(120)의 두께는 0.1 mm 내지 1 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10 cm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1 cm 일 수 있다.
제2 전해질(120)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선택적 투과막(130, 140) 간의, 또는 전극(150, 151) 및 제2 전해질(120)을 담지하는 챔버 벽면과의 접촉할 수 있으며, 접촉 시, 획득할 전기 포텐셜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제2 전해질(12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장치가 길어져 전체 저항이 상승하기 때문에, 제어가능한 수준의 가능한 한 얇은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 모두 고농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저농도가 포함되는 기존 기술보다 두께에 대해 높은 자유도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농도는 고농도에 비하여 전기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저항이 급격히 상승하고, 저항 상승은 발전 전력의 감소를 유발하기 때문에, 기존 기술이 낮은 전력 발생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1 cm 이상의 두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적어도 3종 이상의 이온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 사이의 도난 효과를 유발하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3종 이상의 이온 중 1개의 이온에 대하여 높은 투과도를 지니고, 다른 이온 중 1개 이상의 이온에 대하여 낮은 투과도를 지녀 도난 효과(Donnan effect)가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에 의한 도난 효과(Donnan effect)에 의해 이온층이 유발하는 전기 포텐셜이 생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이온/음이온, 또는 특정 이온에 대한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이상적으로는 특정한 이온을 제외한 이온에 대한 완전한 불투과를 목표하나, 실제 생체의 이온 선택성 채널을 포함하여, 상용화된 또는 연구되고 있는 이온 선택적 투과막은 특정한 이온을 제외한 이온에 대하여 완전한 불투과를 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상대적 투과도로 도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2개 양이온, 1개 음이온이 있는 상황에서 2개 양이온이 투과되어도(즉, 1개 음이온이 2개 양이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투과), 2개 양이온 간에 투과도 차이가 있을 경우(1개 양이온에 대하여 더욱 높은 투과도) 도난 효과가 유발될 수 있다. 투과되는 2개 양이온과, 투과도 차이가 나는 2개 양이온은 같거나 상이할 수 있 있다.
선택적 투과막(130, 140)이 적어도 3종 이상의 이온 중 적어도 2종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경우, 2종 이상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도 불투과되는 이온(예; 양이온)이 존재하고, 양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이 고농도인 동시에 유사한 농도인 전기적, 삼투적 장점을 가지므로 기존 기술과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적 투과막(130, 140)에 투과되는 이온이 여러가지이고, 별개의 이온의 불투과로 도난 효과를 유발하는 경우, 제1 전해질(110)이 양이온으로 1개의 K+이 아닌 K+와 Na+를 포함하고, 1종의 양이온을 포함할 때의 K+ 이온의 농도를 각각 반씩 함유하고, Mg2+를 1종의 양이온을 포함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함유하면, K+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1가 이온 선택적 투과막(130, 140)으로 변경할 경우, 2 종의 이온을 투과하면서 Mg2+와의 선택성 차이로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K+, Na+, Mg2+ 3가지 양이온 중 2 종의 이온을 선택하는, 최소 1가지 음이온(Cl-)를 포함하여 총 4가지 이온을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투과막(130, 140)에 투과되는 여러 이온 간의 선택성 차이로 도난 효과를 유발하는 경우, 제1 전해질(110)이 1종의 양이온을 포함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K+, Mg2+ 이온을 함유하고, K+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1가 이온을 10배 더 잘 투과시키(PMg/PK = 0.1)면, Mg2+가 두 전해질에서 상이한 농도여도 더 높은 선택성의 K+ 의 상이한 농도차가 지배적인 영향을 주어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한 개의 이온에 대해서만 높은 투과성을 갖기 위해서는 동일한 극을 갖는 두 개의 이온 중 한 개의 이온에 대해서만 높은 선택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이온 투과막 또는 음이온 투과막에 추가적인 선택성 기능을 추가하여 한 개의 이온에 대해서만 높은 선택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 사이에 위치하며,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종래에 사용되는 양이온 교환막 또는 음이온 교환막과 상이하게, 특정 이온에 대해서만 특이적 선택성을 갖는 막으로, 이온들의 농도 차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제1 전해질(110)이 1가 양이온을 포함하고, 제2 전해질(120)이 2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경우, 선택적 투과막(130)으로 1가 양이온 선택막을 사용하여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1가 양이온막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이온들의 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을 구성하는 이온들 중 하나의 전해질만이 포함하는 하나의 이온 종에 대하여만 높은 투과성을 지니는 것이 강한 도난 효과를 유발하는 데에 바람직하지만,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 모두 3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경우, 구성된 모든 이온 종들에 대하여 다른 투과도를 지니도록 하여 양이온들과 음이온들이 비대칭적인 투과도를 이루어 도난 효과와 전기 포텐셜이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 투과막(130, 140)의 선택성은 이온의 하전량(가수) 또는 이온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고, 선택적 투과막(130, 140)이 이온의 하전량(가수)을 구분하는 경우에는 제2 전해질(120)에 포함되는 제1 전해질(110)에 포함되는 2종 이상의 이온과 상이한 이온은 Mg2+ 또는 Ca2+ 등과 같은 다가 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이온의 크기를 구분하는 경우에는 Co(NH3)6 3+ 또는 (CH3)nNHm + 등과 같은 큰 크기의 다원자 이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선택적 투과막(130, 140)에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1종 이상의 이온의 투과도 대비 다른 이온들의 투과도(P다른이온/P선택이온)가, 0 내지 0.5의 높은 선택성을 가질 수 있고, 0.5를 초과하는 경우, 즉, 선택성이 낮을 경우 선택하지 않은 이온도 투과함으로써 전기 포텐셜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선택적 투과막(130, 140)의 두께는 0.1 ㎛ 내지 1 m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100 ㎛ 일 수 있다.
만약, 선택적 투과막(130, 140)의 두께가 0.1 ㎛ 보다 얇을 경우 기계적 성능의 약화로 파손이 우려되며, 1 mm 보다 두꺼울 경우 선택적 투과막(130, 140)의 큰 유동 저항으로 발생하는 전류에 손실이 우려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이 제1 선택적 투과막(130) 및 제2 선택적 투과막(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 중 하나의 전해질만이 포함하거나,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 간에 큰 농도 차이로 포함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에 대하여 각각 높은 투과도를 지닌 선택적 투과성을 갖는 것이 강한 도난 효과를 유발하는 데에 바람직하지만,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에 포함된 모든 이온 종들에 대하여 다른 투과도를 지니도록 하여 두 선택적 투과막이 각각 양이온과 음이온에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도를 이루어 도난 효과와 전기 포텐셜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선택적 투과막(130)은 통상적으로 상용 이온교환막(ion exchange membrane), 하전된 작용기 또는 기능기를 가지도록 기능화된 2D 물질(graphene, graphene oxide 등) 또는 폴리머 기반의 막, 나피온(nafion)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해질(120)이 고농도로 포함하는 양이온에 대한 낮은 선택성을 위하여 추가적인 개량이 가능하다.
제1 선택적 투과막(130)은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전해질(110)에 고농도로 포함된 양이온을 제2 전해질(120)에 고농도로 포함된 양이온보다 높은 이온 선택성을 지녀, 제1 전해질(110)의 양이온이 보다 빠르게 투과 가능한 막일 수 있다.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제2 전해질(110)과 제1 전해질(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는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배치가 반대되어 위치하고, 제2 선택적 투과막(140)도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유사한 원리로 도난 효과를 유발하고 전기 포텐셜을 생성하지만,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배치가 반대되면서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동일한 방향의 전기 포텐셜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다른 선택성을 지닐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병렬적으로 결합된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전기신호의 추출을 위해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은 전기 포텐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전극은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에 삽입되거나,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 중 1개의 전해질에 삽입되고, 다른 전극은 외부나 접지로 연결하여 전위차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회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의 전기 포텐셜을 적은 손실로 전달할 경우, 전극은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에 Cl- 음이온이 포함될 경우, 낮은 산화환원전위를 가지는 은/염화은(Ag/AgCl) 기준 전극이, Cu2+ 양이온이 포함될 경우 구리/황산구리(Cu/CuSO4) 기준 전극이 바람직하며,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이온 구성과 전극 연결의 목적에 따라 산화환원 반응 또는 전극 분극 상태의 안정성을 위하여 금(Au), 백금(Pt), 구리(Cu), 탄소(C)나 다른 높은 전도도의 물질이 포함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전극은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의 이온 구성과 전극 연결의 목적에 따라 다른 물질로 구성된 2가지의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로 양 끝을 이루는 적층 구조일 수 있으며, 이때, 제1 전해질(110)에 주입되는 제1 전극(150) 및 제2 전해질(120)에 주입되는 제2 전극(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50) 및 제2 전극(151)의 크기는 양 끝에 위치하는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의 용량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전극(150) 및 제2 전극(151)의 형상은 선(wire) 또는 판(plate) 형상이 바람직하며, 제1 전해질(110)과의 원활한 전기적/화학적 반응을 위하여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는 미세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전극(150)은 제1 전해질(110)과의 전기적/화학적 반응에 적합한 물질로 구성되며, 분극 전극(polarizable electrode)과 비분극 전극(non-polarizable electrode)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전해질(110)의 음이온으로 염소 이온(Cl-)을 포함시킬 경우 제1 전극(150)은 은/염화은 전극(Ag/AgCl electrode)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전해질(110)의 이온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전극(150)은 산화환원 반응 또는 전극 분극 상태의 안정성을 위하여 금(Au), 백금(Pt), 구리(Cu), 탄소(C) 등이 포함되거나 대체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전해질(120)에 주입되는 제2 전극(151)은 제2 전해질(120)과의 산화환원 반응 또는 전극 분극 상태의 안정성에 맞추어 제1 전해질(110)에 주입된 제1 전극(150)과 다른 소재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해수와 담수의 농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발전하는 역전기투석 기술에서 담수를 공업용수나 지하수와 같은 다른 물질로 대체 가능하여, 보다 높은 전류 및 전력 밀도와 시스템의 우수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생체의 세포 막전위 발생 매커니즘과 동일하여, 유연 로봇 및 인공 장기의 전기 발생 및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역전기투석의 기술을 염수&담수가 아닌 공업용수, 폐수 및 생활하수 등에 넓은 영역에 활용하여 보다 높은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과, 생체모방을 바탕으로한 생체 친화적 특징으로 유연 장치에 에너지 소스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전극의 산화&환원 반응의 융합 기술로 향상된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예; 흐름 전지)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00a)는 레독스 전지(redox battery) 또는 흐름 전지(flow battery)에 응용될 수 있다.
도 2는 단일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3층 적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일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3층 적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제1 전해질에 고농도의 A+ 양이온 및 저농도의 B- 음이온을 포함하고, 제2 전해질에 고농도의 Cm+ 양이온 및 B-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선택적 투과막이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전해질에 고농도로 포함된 A+ 양이온을 제2 전해질에 고농도로 포함된 Cm+ 양이온보다 높은 이온 선택성을 지녀, 제1 전해질의 A+ 양이온 이 보다 빠르게 투과 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에 포함된 B- 음이온에 대해서는 유사한 수준의 이온 선택성을 가지므로, B- 음이온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이온 성택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 사이에 전기적 평형인 동시에 삼투적으로도 평형을 이뤄, 약한 삼투 현상이 나타나 삼투 현상으로부터 우수한 안정성(osmosis-resistive)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 각각의 이온의 총농도는 고농도이기 때문에 고, 확보 전기화학적 평형 상태를 이뤄 높은 전류 밀도 및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10b)에 포함되는 선택적 투과막은 병렬적으로 결합된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131, 141)일 수 있다.
복합 선택적 투과막(131, 141)은 제1 전해질(110)에 고농도로 포함된 한 이온과 제2 전해질(120)에 고농도로 포함된 다른 극의 이온에 대하여 각각 높은 투과도를 가지는 막 2 가지가 병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선택적 투과막(131, 141)은 제1 전해질(110)에 고농도로 포함된 한 이온과 제2 전해질(120)에 고농도로 포함된 같은 극의 다른 이온에 대하여 각각 높은 투과도와 낮은 투과도를 가지는 막 2 가지가 병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복합 선택적 투과막(131, 141)은 제1 전해질(110)에 고농도로 포함된 양이온 또는 음이온과 제2 전해질(120)에 고농도로 포함된 같은 극의 다른 이온에 대하여 각각 높은 투과도와 낮은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택적 투과막은 한 개의 이온에 대해서만 선택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110b)은 복합 선택적 투과막(131, 141)을 사용하여 두가지의 이온에 대해 비대칭적인 투과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선택적 투과막의 하나의 이온 종에 대하여만 높은 투과도는, 동일한 극의 두가지 이온 중 한가지 이온에 대하여만 높은 선택성이 필요하며, 이는 보편적으로 양이온/음이온 선택적 투과막에 추가적인 선택성 기능을 위하여 추가 처리된 선택적 투과막이 사용되며, 또는 각각 다른 이온에 의해 높은 투과도를 갖는 다른 두 종류의 선택적 투과막이 병렬적으로 형성된 복합 선택적 투과막으로 비대칭적인 투과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제1 전해질에 A+ 양이온 및 B- 음이온을 포함하고, 제2 전해질에 Cm+ 양이온 및 B-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 사이에 병렬적으로 결합된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은 제1 전해질에 포함된 A+ 양이온에 대해 제2 전해질에 포함된 Cm+ 양이온보다 높은 이온 선택성을 가져, A+ 양이온에 대해 높은 투과도를 갖고,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은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에 포함된 B- 음이온에 대해 음이온 선택성을 가져 높은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 사이에 전기적 평형인 동시에 삼투적으로도 평형을 이뤄, 약한 삼투 현상이 나타나 삼투 현상으로부터 우수한 안정성(osmosis-resistive)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제1 전해질에 고농도의 A+ 양이온 및 Dn- 음이온을 포함하고, 제2 전해질에 고농도의 Cm+ 양이온 및 고농도의 B-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은 제1 전해질에 고농도로 포함된 A+ 양이온에 대해 제2 전해질에 고농도로 포함된 Cm+ 양이온보다 높은 이온 선택성을 가져, A+ 양이온에 대해 높은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은 제2 전해질에 포함된 고농도의 B- 음이온에 대서만 높은 이온 선택성을 가져, B- 음이온에 대해 높은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 사이에 전기적 평형인 동시에 삼투적으로도 평형을 이뤄, 약한 삼투 현상이 나타나 삼투 현상으로부터 우수한 안정성(osmosis-resistive)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다층 구조로 적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챔버 내에 제1 전해질(110), 선택적 투과막(130, 140), 및 제2 전해질(120)을 포함하고, 제1 전해질(110), 선택적 투과막(130, 140), 및 제2 전해질(120)이 교번하여 반복 적층된 다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로서,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은 각각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고,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에 포함되는 총 이온은 적어도 3종 이상이며, 선택적 투과막(130, 140)은 적어도 3종 이상의 이온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제1 전해질(110)과 상기 제2 전해질(120) 사이의 도난 효과를 유발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챔버의 양 끝단에 형성된 제1 전해질(110) 사이에, 제1 전해질/선택적 투과막/제2 전해질 또는 제2 전해질/선택적 투과막/제1 전해질이 구조를 갖도록 교번하여 반복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제1 전해질(110), 선택적 투과막(130, 140) 및 제2 전해질(120)이 반복 적층된 것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선택적 투과막(130, 140)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제1 선택적 투과막(130) 및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택적 투과막(130)의 양이온의 상대적으로 우수한 투과도는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전기적중성(electroneutrality)에 문제를 유발하고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이온들이 제1 선택적 투과막(130) 주변에 이온층을 형성하면서 제1 전해질(110)의 양이온 투과를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선택적 투과막(130)은 상용의 1가 양이온 선택적 교환막이나, 기능화하여 제조한 양이온 투과막의 표면에 높은 밀도로 1가 음의 작용기 또는 기능기를 지니는 물질로 코팅하여, 제1 전해질이 포함하는 1가 양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지니면서 제2 전해질이 포함하는 다가 양이온에 대하여 낮은 선택성을 지닌다. 또는, 제1 선택적 투과막(130)은 나노 채널로 이루어진 하전된 막을 사용하여, 제1 전해질(110)이 고농도로 포함하는 작은 크기의 양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지니면서 제2 전()해질(120)이 고농도로 포함하는 큰 크기의 양이온에 대하여 낮은 선택성을 지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양이온들에 대하여 상대적인 선택성 차이를 유발하는 방법의 예시로, 이 방법들에만 국한하지는 않는다.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제2 전해질(110)과 제1 전해질(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는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배치가 반대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선택적 투과막(140)도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유사한 원리로 도난 효과를 유발하고 전기 포텐셜을 생성하지만,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배치가 반대되면서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동일한 방향의 전기 포텐셜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다른 선택성을 지닐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제1 선택적 투과막(130)이 양이온에 적용한 도난 효과 방식을 음이온으로 대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반대 극으로 기능화된 선택적 투과막으로, 제2 전해질(120)의 음이온에 대한 낮은 선택성을 위하여 추가적인 개량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상용의 1가 음이온 선택적 교환막이나 1가 양의 기능기를 지니는 물질이 코팅된 막으로, 제1 전해질(110)이 포함하는 1가 음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지니면서 제2 전해질(120)이 포함하는 다가 음이온에 대하여 낮은 선택성을 지닐 수 있다.
또는,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나노 채널로 이루어진 반대 하전된 막을 사용하여, 제1 전해질(110)이 포함하는 작은 크기의 음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지니면서 제2 전해질(120)이 포함하는 큰 크기의 음이온에 대하여 낮은 선택성을 지니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의 음이온들에 대하여 상대적인 선택성 차이를 유발하는 방법의 예시로, 이 방법들에만 국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통상적으로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의 높은 음이온 선택성은 낮은 양이온 선택성과 동반되는데, 전기 발생 장치(100)의 전류 및 전력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 선택적 투과막을 양이온 투과막이 병렬적으로 결합된 복합 선택적 투과막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같이 양이온에 대한 선택적 투과를 적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반대로, 제2 선택적 투과막(140)에 다가의 기능기를 지닌 물질로 코팅하여 제조할 경우 다가 이온에 대하여 보다 높은 선택성을 지녀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반대의 도난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전해질(110) 및 제2 전해질(120)의 배치가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반대인 제2 선택적 투과막(140)에 반대의 도난 현상 유발하여,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동일한 방향의 전기 포텐셜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선택적 투과막(130) 및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서로 다른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동일한 방향으로 전기 포텐셜을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방향은 직렬적으로 적층 배치되는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제2 선택적 투과막(140)에서 발생하는 전기 포텐셜이 같은 극 방향으로(+|- 다음 +|-) 전기 포텐셜 크기를 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제2 선택적 투과막(140)은 서로 다른 이온에 대하여 높은 투과도를 가지면서, 양쪽에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이 반대로 배치되면서 동일한 방향의 전기 포텐셜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제1 전해질(110), 선택적 투과막(130, 140) 및 제2 전해질(1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제1 전해질(110)과 제2 전해질(120)은 모두 고농도이지만 구성하는 이온의 종류가 다르거나 3종 이상의 이온들이 각각 다른 농도 차이로 포함되기 때문에, 선택적 투과막(130, 140)에 의해 투과하는 이온에 대한 농도 기울기로 인해 자발적으로 전기 포텐셜이 발생하는 도난 효과가 유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 전해질(110), 제1 선택적 투과막(130), 제2 전해질(120), 제2 선택적 투과막(140) 및 제1 전해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제1 전해질(110), 제1 전해질에 인접한 제1 선택적 투과막(130), 제1 전해질에 대향하면서 제1 선택적 투과막에 인접하는 제2 전해질(120), 제1 선택적 투과막에 대향하면서 제2 전해질에 인접하는 제2 선택적 투과막(140), 제2 전해질에 대향하면서 제2 선택적 투과막에 인접하는 제1 전해질(110)을 포함하고, 적층하는 구조가 반복될 수 있으며 적층 구조의 양 끝에 위치하는 제1 전해질(110) 또는 제2 전해질(120)에는 전극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두가지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하여 5층의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 발생 장치(100)는 두가지 선택적 투과막과 두가지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을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적층함으로써, 도난 효과와 전기 포텐셜의 발생이 동일한 방향으로 누적되는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직렬로 적층되어 총 전기 포텐셜(전압)이 증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의 매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두가지의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하여 제1 전해질, 제1 선택적 투과막, 제2 전해질, 제2 선택적 투과막, 제1 전해질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은 모두 고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선택적 투과막과 제2 선택적 투과막은 제2 전해질에 포함된 서로 다른 극(양, 음)의 이온에 대하여 높은 투과성으로 각각 선택적으로 투과하거나, 제1 전해질에 포함된 서로 다른 극의 이온을 각각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제1 선택적 투과막과 제2 선택적 투과막은 다른 극의 이온을 반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같은 극의 도난 포텐셜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선택적 투과막도 제1 선택적 투과막과 유사한 원리로 도난 효과를 유발하고 전기 포텐셜을 생성하지만,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배치가 제1 선택적 투과막과 반대되기 때문에, 제1 선택적 투과막과 동일한 방향의 전기 포텐셜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선택적 투과막(130)과 다른 선택성을 지닐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제1 전해질이 A+ 양이온 및 B- 음이온을 포함하고, 제2 전해질이 Cm+ 양이온 및 Dn-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선택적 교환막은 제1 전해질에 포함된 A+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1가 양이온 선택적 투과막일 수 있고, 제2 선택적 교환막은 제1 전해질에 포함된 B-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1가 음이온 선택적 투과막이 사용되어, 제2 선택적 투과막은 제1 선택적 투과막(130)이 양이온에 적용한 도난 효과 방식을 음이온으로 대체할 수 있다,
즉, 제2 선택적 투과막은 제1 전해질이 포함하는 1가 음이온인 B- 음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지니면서 제2 전해질이 포함하는 다가 음이온인 Dn- 음이온에 대하여 낮은 선택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두가지의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하여 제1 전해질, 제1 선택적 투과막, 제2 전해질, 제2 선택적 투과막, 제1 전해질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은 모두 고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선택적 투과막과 제2 선택적 투과막은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에 포함된 같은 극의 두가지 이온 중 각각 한 종에 대하여 높은 투과성으로 각각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두 선택적 투과막은 같은 극의 두가지 이온을 각각 같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같은 극의 도난 포텐셜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제1 전해질이 A+ 양이온 및 B- 음이온을 포함하고, 제2 전해질이 Cm+ 양이온 및 Dn- 음이온( 또는 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선택적 교환막은 제1 전해질에 포함된 A+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1가 양이온 선택적 투과막일 수 있고, 제2 선택적 교환막은 제1 전해질에 포함된 Cm+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가 음이온 선택적 투과막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 선택적 교환막에 제1 선택적 투과막과 반대로 제2 선택적 투과막(140)에 다가의 기능기를 지닌 물질로 코팅하여 제조할 경우 다가 이온에 대하여 보다 높은 선택성을 지녀 제1 선택적 투과막과 반대의 도난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도 9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전해질의 배치가 제1 선택적 투과막과 반대인 제2 선택적 투과막에 반대의 도난 현상 유발은 결국 제1 선택적 투과막과 동일한 방향의 전기 포텐셜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두가지의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하여 제1 전해질, 제1 선택적 투과막, 제2 전해질, 제2 선택적 투과막, 제1 전해질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은 모두 고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선택적 투과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100)는 전류 및 전력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제1 전해질이 A+ 양이온 및 Dn- 음이온을 포함하고, 제2 전해질이 Cm+ 양이온 및 B-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선택적 투과막은 제1 전해질에 포함된 1가 양이온인 A+ 양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갖는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전해질에 포함된 1가 음이온이 B- 음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갖는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선택적 투과막은 제2 전해질에 포함된 다가 양이온인 Cm+ 양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갖는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 및 제1 전해질에 포함된 다가 음이온이 Dn- 음이온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갖는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제1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선택적 투과막에 의해 동일한 방향의 전기 포텐셜이 생성되는 동시에 전류 및 전력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기존의 역전기투석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기존의 역전기투석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비교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기존의 역전기투석 기술은 세포의 휴지전위와 유사한 수준의 전기 포텐셜을 발생하기 위하여, 최소 50배의 농도차이를 사용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이 중 한가지 이온에 대한 선택적 투과를 허용함으로써, 전기를 획득하면서도 총농도의 제약이 없다.
2종의 이온(주로 Na+ 와 Cl-)으로 구성하는 기존의 역전기투석 기술에서 저농도는 높은 전기 포텐셜을 내는데 필수 요소이나, 저농도 구간은 전기전도성과 전기용량이 낮아 전력밀도와 에너지밀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전력 밀도의 경우는 보편적으로 적층 구조로 고농도-선택막-저농도-선택막을 직렬연결로 반복하여 높은 전압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며, 에너지 밀도는 펌프 장치로 외부에서 저농도&고농도 전해질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그러나, 이는 단일 셀(고농도-선택막-저농도-선택막-고농도 단위) 자체가 가지는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아닌 셀 수를 늘리거나, 외부 에너지 요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는 등 확장하고 보충하는 방식인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기존의 역전기투석과 다른 방식인 생체 세포의 기능을 모방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 기존의 역전기투석 기술의 저농도 전해질에 Na+ 와 Cl- 가 아닌 다른 이온들을 고농도로 구성하고, 이 다른 이온들은 불투과하면서 Na+ 또는 Cl- 만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하여 고농도 구간만을 가진 전기 발전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Na+ 및 Cl-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Na+ 와 다른 양이온 중 하나, Cl- 와 다른 음이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모든 전해질을 고농도로 사용하여 저농도의 부재는 단일 셀 자체의 전기적 성능(에너지밀도 및 전력밀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세포와 유사하게, 두 전해질(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농도가 유사하면 삼투압에 의한 물의 이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농도차의 감소, 시스템의 형태적 유지 등)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고농도의 전해질만을 사용하여 높은 전류 및 도 및 전력을 확보할 수 있고, 동일한 농도의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을 사용하여 삼투 현상으로부터 우수한 안정성(osmosis-resistive) 확보할 수 있으며, 세포의 온전한 도난 효과를 활용함으로써, 장시간 전기화학적 안정성(electrochemical equilibrium)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1 전해질로 KCl과 NaCl 1M 수용액, 제2 전해질로 CaCl2, MgCl2 및 CuCl2 0.5M 수용액, 제1 선택적 투과막으로 1가 양이온 교환막, 전극으로 Ag/AgCl 로 구성된 3층 구조로 적층된 전기 발생 장치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1
제1 선택적 투과막으로 상용 일반 양이온 교환막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선택적 투과막에 따른 전기 포텐셜 측정
도 13은 비교예 1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기 포텐셜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농도 차이가 매우 적은 두 전해질 사이에 일반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여 낮은 전기 포텐셜이 측정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1가 이온의 선택성이 우수한 1가 양이온 교환막 사용으로 도난 효과가 유발되어 높은 전기 포텐셜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mCEM l MgSO
4
0.5M l mAEM
제1 전해질로 KCl 1M 수용액, 제2 전해질로 MgSO4 0.5M 수용액, 제1 선택적 투과막으로 1가 양이온 교환막, 제2 선택적 투과막으로 음이온 교환막과 1가 음이온 교환막, 전극으로 Ag/AgCl 로 구성된 5층 구조로 적층된 전기 발생 장치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CEM l MgSO
4
0.5M l AEM
제1 선택적 투과막으로 상용 일반 양이온 교환막, 제2 선택적 투과막으로 상용 일반 음이온 교환막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CEM l MgSO
4
0.1M l AEM
제2 전해질으로 KCl 0.1M 수용액을 사용하고, 제1 선택적 투과막으로 상용 일반 양이온 교환막, 제2 선택적 투과막으로 상용 일반 음이온 교환막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CEM l MgSO
4
0.01M l AEM
제2 전해질으로 KCl 0.01M 수용액을 사용하고, 제1 선택적 투과막으로 상용 일반 양이온 교환막, 제2 선택적 투과막으로 상용 일반 음이온 교환막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2: 농도 및 선택적 투과막에 따른 특성
도 14는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5는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전압-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교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농도 차이가 매우 적은 두 전해질 사이에 일반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낮은 전기 포텐셜이 측정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1가 이온의 선택성이 우수한 1가 양이온 교환막의 사용으로 도난 효과가 유발되어 높은 전기 포텐셜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비교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대비 전기화학적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기존의 전기투석장치와 유사하게 큰 농도차이로 전기 포텐셜을 획득하는 방법으로 그 농도 차이가 100배인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와 유사한 수준의 전기 포텐셜이 획득 가능하다.
그러나, 도 15를 참조하면,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저농도의 제2 전해질로 인해 낮은 0전압 전류(zero-voltage current)가 획득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고농도의 제2 전해질의 우수한 전기 전도도로 매우 높은 0전압 전류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가 비교예 3 및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대비 약 10배의 매우 높은 전류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의 삼투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제1 전해질 및 제2 전해질의 큰 농도 차이로 인해, 삼투 실험에서 큰 크기의 삼투압을 받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는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 대비 삼투압이 반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Binary)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Quaternary)의 전류 밀도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Quaternary)가 비교예 4에 따른 전기 발생 장치(Binary) 대비 5배 증가되고, 최대 전력밀도 또한 약 5배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기 발생 장치
100a : 3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100b :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한 3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100c : 5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100d :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한 5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110 : 제1 전해질
120 : 제2 전해질
130 : 제1 선택적 투과막
140 : 제2 선택적 투과막
150 : 전극
151 : 제2 전해질에 주입된 전극
100a : 3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100b :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한 3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100c : 5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100d :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한 5층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110 : 제1 전해질
120 : 제2 전해질
130 : 제1 선택적 투과막
140 : 제2 선택적 투과막
150 : 전극
151 : 제2 전해질에 주입된 전극
Claims (14)
- 챔버 내에 제1 전해질,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발생 장치로서,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은 각각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에 포함되는 총 이온은 적어도 3종 이상이며,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상기 적어도 3종 이상의 이온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 사이의 도난 효과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상기 선택적 투과막에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1종 이상의 이온의 투과도 대비 다른 이온들의 투과도(P다른이온/P선택이온)가, 0 내지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에 포함되는 적어도 총 3종 이상의 이온 중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기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 간에 상이한 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과 제2 전해질 간에 상이한 농도는,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된 전해질에 포함된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의 농도와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이 상대적으로 많게 포함된 전해질의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투과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의 농도 비(C저농도/C고농도) 가 0 내지 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의 총농도비(C제2전해질/C제1전해질)는 0.1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은 양이온 및 음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은 H+, Na+, K+, Mg2+, Ca2+, Li+, Fe3+, Fe2+, Al3+, Cu2+, Zn2+, Zn+, V2+, V3+, Cr2+, Cr3+, Co(NH3)6 3+ 및 (CH3)nNHm +(상기 n 및 m은 0 내지 4이고, 상기 상기 n과 m의 합은 4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은 F-, Cl-, Br-, NO3 -, OH-, F-, Br-, HCO3 -, SO4 2- 및 CO3 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병렬적으로 결합된 제1 서브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서브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복합 선택적 투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의 두께는 0.1 mm 내지 1 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투과막의 두께는 0.1 ㎛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장치.
- 챔버 내에 제1 전해질, 선택적 투과막, 및 제2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해질, 상기 선택적 투과막 및 상기 제2 전해질이 교번하여 반복 적층된 다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로서,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은 각각 적어도 2종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에 포함되는 총 이온은 적어도 3종 이상이며,
상기 선택적 투과막은 상기 적어도 3종 이상의 이온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제1 전해질과 상기 제2 전해질 사이의 도난 효과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상기 선택적 투과막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전해질, 제1 선택적 투과막, 제2 전해질, 제2 선택적 투과막 및 제1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적 투과막 및 상기 제2 선택적 투과막은,
서로 다른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동일한 방향으로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4250A KR20230085764A (ko) | 2021-12-07 | 2021-12-07 |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PCT/KR2022/007628 WO2023106520A1 (ko) | 2021-12-07 | 2022-05-30 |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4250A KR20230085764A (ko) | 2021-12-07 | 2021-12-07 |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5764A true KR20230085764A (ko) | 2023-06-14 |
Family
ID=8673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4250A KR20230085764A (ko) | 2021-12-07 | 2021-12-07 |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85764A (ko) |
WO (1) | WO2023106520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6954A (ko) | 2015-11-16 | 2017-05-2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초저박형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향상된 최대 출력 밀도를 가지는 역전기투석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1033494C2 (nl) * | 2007-03-05 | 2008-09-08 | Redstack B V | Verbeterde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een omgekeerd elektrodialyse proces en verbeterde werkwijzen voor het uitvoeren van een omgekeerd elektrodialyse proces. |
KR101682064B1 (ko) * | 2014-08-27 | 2016-12-0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염분차 기반 발전장치 |
KR101698147B1 (ko) * | 2014-10-07 | 2017-01-19 | 바이오센서연구소 주식회사 | 역전기투석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를 사용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 |
JP6956953B2 (ja) * | 2017-03-23 | 2021-11-02 | 株式会社アストム | 逆電気透析方法及びその利用 |
KR102098865B1 (ko) * | 2018-01-02 | 2020-04-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생체 이식용 자발적 전기 자극 생성 디바이스 및 이의 응용 |
-
2021
- 2021-12-07 KR KR1020210174250A patent/KR202300857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2
- 2022-05-30 WO PCT/KR2022/007628 patent/WO202310652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6954A (ko) | 2015-11-16 | 2017-05-2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초저박형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향상된 최대 출력 밀도를 가지는 역전기투석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06520A1 (ko) | 2023-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ia et al. | Blue energy: Current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from water salinity gradient | |
Gao et al. | Nanofluidics in two-dimensional layered materials: inspirations from nature | |
Dahiya et al. | Enhancing understandability and performance of flow electrode capacitive deionisation by optimizing configurational and operational parameters: A review on recent progress | |
Luo et al. | A power free electrodialysis (PFED) for desalination | |
Avci et al. | Sulfonated polyethersulfone based cation exchange membranes for reverse electrodialysis under high salinity gradients | |
Cao et al. | Towards understanding the nanofluidic reverse electrodialysis system: well matched charge selectivity and ionic composition | |
Zhao et al. | Advanced ion transfer materials in electro-driven membrane processes for sustainable ion-resource extraction and recovery | |
US2006010828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purification, especially desalination, of water | |
US20100270158A1 (en) | Desalination devices and methods | |
US20150086813A1 (en) | Reverse electrodialysis energy generating system using capacitive electrodes and method there for | |
US10220354B2 (en) | Electroosmotic membrane | |
KR20190061332A (ko) | 탈염발전 하이브리드 장치 및 방법 | |
Zhang et al. | Meta‐Aerogel Ion Motor for Nanofluid Osmotic Energy Harvesting | |
JP6956953B2 (ja) | 逆電気透析方法及びその利用 | |
CN111099703B (zh) | 用于水脱盐的能够实现选择性离子亲和力的电压受控的阴离子交换膜和包含该膜的装置 | |
US11597663B2 (en) | Electrochemical water cleaning device | |
US20200399149A1 (en) | Desalination device | |
KR102595389B1 (ko) | 앙금 생성 반응을 이용한 생체 친화형 친환경 역전기투석 장치 | |
KR101328279B1 (ko) | 전기투석용 이온 교환막과 전극을 이용한 용수재활용을 위한 폐수처리 및 염도차 발전 방법 | |
KR20230085764A (ko) | 도난 효과 기반의 다종 이온 제어를 통한 전기 발생 장치 및 적층 구조의 전기 발생 장치 | |
KR20190051186A (ko) | 전기 생산과 탈염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및 방법 | |
US20210039970A1 (en) | Desalination device electrode activation | |
KR20150076508A (ko) | 담수화용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73244B1 (ko) | 다중채널 배터리 탈염시스템 | |
CN109921686B (zh) | 一种基于漏斗形纳米孔道薄膜的流体发电方法及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