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959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5959A KR20230045959A KR1020210128863A KR20210128863A KR20230045959A KR 20230045959 A KR20230045959 A KR 20230045959A KR 1020210128863 A KR1020210128863 A KR 1020210128863A KR 20210128863 A KR20210128863 A KR 20210128863A KR 20230045959 A KR20230045959 A KR 202300459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beam pattern
- incident
- shield
- light incid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31 signali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4—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 F21S41/335—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with 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개별 렌즈를 투과한 광으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 입사부, 광 출사부 및 실드부로 형성된 광 투과부를 복수 개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중 대응되는 광 투과부의 광 입사부로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 입사부, 광 출사부 및 실드부로 형성된 광 투과부를 복수 개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중 대응되는 광 투과부의 광 입사부로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개별 렌즈를 투과한 광으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 지시등, 후진 시 점등되는 후진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차량용 램프가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은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우 빔 패턴은 근거리 시야의 확보를 위하여 이용되고, 하이 빔 패턴은 원거리 시야의 확보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렌즈를 투과한 광으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의 형태가 제한될 수 있다. 로우 빔 패턴은 서로 다른 광 밀도 및 크기를 갖는 복수의 영역이 서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렌즈를 투과한 광이 각 영역을 올바르게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로우 빔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이 올바르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2638호 (2015.05.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개별 렌즈를 투과한 광으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 입사부, 광 출사부 및 실드부로 형성된 광 투과부를 복수 개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중 대응되는 광 투과부의 광 입사부로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반사면 각각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반사면에 1:1로 대응되는 상기 광 투과부의 광 입사부로 입사된다.
상기 광 입사부는 상기 리플렉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반사면 각각은 대응되는 광 투과부의 광 입사부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 입사부는 상기 대응하는 반사면을 향하도록 경사진다.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각각은 상기 광 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빔 패턴에 컷 오프를 형성하는 제1 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실드부는 컷 오프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 각각은, 상기 광원에 위치하는 제1 초점, 및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중 대응하는 광 투과부의 컷 오프 형성부에 위치하는 제2 초점을 갖는다.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광 투과부에 포함된 제1 실드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각각은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 중 상기 광 입사부로 입사되지 않은 광이 상기 광 투과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실드부는 상기 제1 실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광 입사부를 향하여 경사진다.
상기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로우 빔 패턴은 스팟 빔 패턴, 미드 빔 패턴 및 스프레드 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팟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미드 빔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스프레드 빔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스팟 빔 패턴, 미드 빔 패턴 및 스프레드 빔 패턴은 상호간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복수의 개별 렌즈를 투과한 광으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역이 올바르게 표현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빔 패턴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빔 패턴 형성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반사면의 초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광 투과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렌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빔 패턴 형성부에서 광이 출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빔 패턴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빔 패턴 형성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반사면의 초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광 투과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렌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빔 패턴 형성부에서 광이 출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빔 패턴 형성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10)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빔 패턴 형성부(1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일 수 있다. 로우 빔 패턴은 차량 전방의 근거리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사된 빔 패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우 빔 패턴(20)은 스팟 빔 패턴(21), 미드 빔 패턴(22) 및 스프레드 빔 패턴(2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팟 빔 패턴(21)은 로우 빔 패턴(20)의 특정 영역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스팟 빔 패턴(21)은 다른 빔 패턴에 비하여 영역의 크기가 작고, 높은 밝기를 가질 수 있다. 스팟 빔 패턴(21)은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바라보는 부분에 대한 명확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미드 빔 패턴(22)은 로우 빔 패턴(20)의 전반적인 영역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방 주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미드 빔 패턴(22)은 다른 빔 패턴에 비하여 영역의 크기가 크고, 낮은 밝기를 가질 수 있다.
스프레드 빔 패턴(23)은 로우 빔 패턴(20)의 측면 영역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방 측면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스프레드 빔 패턴(23)은 주행 차로에만 광을 조사하고, 대향 차로에는 광을 조사하지 않는 빔 패턴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 빔 패턴(20)은 스팟 빔 패턴(21), 미드 빔 패턴(22) 및 스프레드 빔 패턴(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스팟 빔 패턴(21), 미드 빔 패턴(22) 및 스프레드 빔 패턴(23)은 상호간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로우 빔 패턴(20)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모듈에 의해 스팟 빔 패턴(21), 미드 빔 패턴(22) 및 스프레드 빔 패턴(23)이 형성되는 경우 각 빔 패턴이 명확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팟 빔 패턴(21), 미드 빔 패턴(22) 및 스프레드 빔 패턴(23)을 각각 형성하고, 형성된 복수의 빔 패턴을 중첩시켜 로우 빔 패턴(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스팟 빔 패턴(21), 미드 빔 패턴(22) 및 스프레드 빔 패턴(23)을 각각 형성하고, 이를 중첩시켜 로우 빔 패턴(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빔 패턴 형성부(1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1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10) 중 적어도 일부는 스팟 빔 패턴(21)을 형성하고,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10) 중 다른 일부는 미드 빔 패턴(22)을 형성하며,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10) 중 또 다른 일부는 스프레드 빔 패턴(23)을 형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빔 패턴 형성부(10)에 의해 스팟 빔 패턴(21), 미드 빔 패턴(22) 및 스프레드 빔 패턴(23)이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개별적으로 형성된 빔 패턴(21, 22, 23)이 조합되어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로우 빔 패턴(20)의 각 영역에 대한 광 분포가 올바르게 형성되고, 운전자에 의한 시야가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빔 패턴 형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빔 패턴 형성부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패턴 형성부(10)는 광원(100), 리플렉터(200) 및 렌즈(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100)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100)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또는 벌브타입의 광원 중 하나일 수 있다. 광원(100)은 일정한 각도 범위를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광을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키는 별도의 렌즈(미도시)가 광원(100)의 광 조사 경로상에 구비될 수 있다.
리플렉터(200)는 광원(100)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리플렉터(200)에 의해 반사된 광은 렌즈(300)로 전달될 수 있다. 렌즈(300)는 리플렉터(200)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300)는 복수의 광 투과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 투과부(310)는 개별적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200)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300)는 복수의 반사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광 투과부(310) 각각은 복수의 반사면 중 대응하는 반사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A-A'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반사면의 초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플렉터(200)는 복수의 반사면 (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사면(210)은 렌즈(300)에 구비된 복수의 광 투과부(310) 중 대응되는 광 투과부(310)의 광 입사부(311)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반사면(210) 중 제1 반사면(210)이 제1 광 투과부(310)의 광 입사부(311)로 광을 반사시키고, 제2 반사면(210)이 제2 광 투과부(310)의 광 입사부(311)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복수의 반사면(210) 각각에 의해 반사된 광은 반사면(210)에 1:1로 대응되는 광 투과부(310)의 광 입사부(311)로 입사될 수 있다.
복수의 반사면(210) 중 인접한 반사면은 경계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반사면(210)은 개별적인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반사면(210)별로 곡률 및 대향하는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반사면(210) 각각은 제1 초점(F1) 및 제2 초점(F2)을 가질 수 있다.
제1 초점(F1)은 광원(10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초점(F2)은 렌즈(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 투과부(310) 중 대응하는 광 투과부(310)의 컷 오프 형성부(CP)(도 9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100)에서 조사된 광은 복수의 반사면(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반사면(210) 각각의 제1 초점(F1)에 광원(100)이 배치된 경우 각 반사면(210)은 높은 효율로 광원(100)의 광을 입사 받을 수 있게 된다.
각 반사면(210)은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 때, 각 반사면(210)은 제2 초점(F2)으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복수의 반사면(210) 각각의 제2 초점(F2)에 제1 실드부가 배치된 경우 반사광은 높은 효율로 제1 실드부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광 투과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 투과부(310)는 광 입사부(311) 및 광 출사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입사부(311)는 리플렉터(200)에 포함된 복수의 반사면(210) 중 대응하는 반사면(210)으로부터 광을 입사받을 수 있다. 리플렉터(200)에 포함된 복수의 반사면(210) 중 특정 반사면이 렌즈(300)에 포함된 복수의 광 투과부(310) 중 특정 광 투과부(310)에 대응할 수 있고, 해당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해당 광 투과부(310)의 입사부로 입사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반사면(210)의 제2 초점(F2)은 제1 실드부(313a)의 지점으로서, 제1 실드부(313a)는 광 투과부(31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0)에서 조사된 광은 광 손실이 감소된 상태로 렌즈(30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광 입사부(311)는 곡률(R)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입사부(311)는 리플렉터(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R)을 가질 수 있다. 광 입사부(311)가 곡률(R)을 가짐에 따라 광 입사부(311)의 면적이 증가하고, 광 입사부(311)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양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반사면(210) 각각은 대응되는 광 투과부(310)의 광 입사부(311)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광 입사부(311)는 대응하는 반사면(210)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광 입사부(311)가 상측에 배치된 반사면(210)을 향하여 경사지어 형성됨에 따라 광 입사부(311)의 실제 면적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반사면(210)에서 바라보는 광 입사부(311)의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반사면(210)에서 반사된 광의 손실이 감소된 상태로 광 입사부(311)는 광을 입사 받을 수 있게 된다.
광 출사부(312)는 광 입사부(311)로 입사된 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광 출사부(312)는 특정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출사되는 광을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킬 수 있다.
광 투과부(310)는 광 입사부(311)에서 광 출사부(312)를 연결하는 일측으로 긴 터널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광 입사부(311)로 입사된 광은 광 투과부(310)의 내부에서 반사되어 광 출사부(312)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광 투과부(310)는 제1 실드부(313a) 및 제2 실드부(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드부(313a)는 광 입사부(311)로 입사된 광의 투과를 일정 형태로 차단하여 빔 패턴에 컷 오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드부(313b)는 리플렉터(200)에 의해 반사된 광 중 광 입사부(311)로 입사되지 않은 광이 광 투과부(31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드부(313b)는 광 출사부(312)에 반사된 광이 광 출사부(312)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드부(313a) 및 제2 실드부(313b)의 형태 및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도 9 및 도 11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렌즈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광 투과부(310) 각각은 제1 실드부(313a) 및 제2 실드부(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드부(313a)는 광 입사부(311)로 입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에 컷 오프를 형성할 수 있다. 광 투과부(310)의 표면에서 제2 실드부(313b)가 반 원기둥의 형태로 돌출되면서 제1 실드부(313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실드부(313a)의 전체 영역 중 차단 영역(BL)으로 전달된 광은 차단 영역(BL)에서 차단되어 출사부로 전달되지 않거나 차단 영역(BL)에 반사된 이후에 광 출사부(312)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실드부(313a)의 전체 영역 중 통과 영역(TH)으로 전달된 광은 통과 영역(TH)을 통과하여 출사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실드부(313a)는 컷 오프 형성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영역(BL)과 통과 영역(TH)의 사이에 컷 오프의 형성을 위한 컷 오프 형성부(CP)가 형성될 수 있으며, 광 입사부(311)를 통하여 입사된 광이 통과 영역(TH)을 통과하여 출사됨으로써 로우 빔 패턴(20)에는 컷 오프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빔 패턴 형성부에서 광이 출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제2 실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100)에서 조사된 광은 리플렉터(200)에 반사되어 렌즈(300)로 입사되고, 렌즈(300)로 입사된 광은 출사되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광원(100)에서 조사된 광은 리플렉터(200)에 포함된 복수의 반사면(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각 반사면(210)은 대응하는 광 투과부(310)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면(210)에서 반사된 광은 광 투과부(310)의 광 입사부(311)를 통해 광 투과부(310)로 입사될 수 있다. 반사면(210)의 제2 초점(F2)은 제1 실드부(313a)의 컷 오프 형성부(CP)에 위치할 수 있다. 입사된 광은 제1 실드부(313a)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실드부(313a)를 통과한 광은 광 출사부(312)를 통해 출사되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광 투과부(310)에 포함된 제1 실드부(313a)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0은 3개의 층으로 광 투과부(310)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광 투과부(310)의 제1 실드부(313a)는 제2 실드부(313b)를 경계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특정 광 투과부(310)와 다른 광 투과부(310) 간에 공기층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특정 광 투과부(310)의 광 입사부(311)로 입사된 광은 제1 실드부(313a)의 표면에서 공기층으로 투과되지 않고 반사될 수 있다. 즉, 특정 광 투과부(310)로 입사된 광은 다른 광 투과부(310)로 입사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서, 각 광 투과부(310)는 자신의 광 입사부(311)를 통하여 입사된 광만을 출사시키고, 다른 광 투과부(310)에서 유출된 광은 출사시키지 않을 수 있다. 결국, 각 광 투과부(310)는 다른 광 투과부(310)의 간섭을 받지 않은 상태로 광을 출사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 광 투과부(310)에 의해 출사된 광은 사전에 설정된 뚜렷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드부(313b)는 제1 실드부(313a)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드부(313b)는 리플렉터(200)에 의해 반사된 광 중 광 입사부(311)로 입사되지 않은 광이 광 투과부(31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실드부(313b)는 광 입사부(311)를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는 광 출사부(312)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광 출사부(312)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광 투과부(310)의 내부를 투과하여 광 출사부(312)로 전달된 광 중 일부가 광 출사부(312)에서 반사될 수 있다.
광 출사부(312)에서 반사된 광은 제2 실드부(313b)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실드부(313b)의 배치 각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제2 실드부(313b)는 광 출사부(312)로부터 입사된 광을 광 출사부(312)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부(313b)가 광 입사부(311)를 향하도록 경사지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제2 실드부(313b)는 광 출사부(312)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드부(313b)에서 반사된 이후에 광 출사부(312)에서 출사된 광은 광 출사부(312)의 광축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조사되면서 글레어(glare)를 형성할 수 있다. 글레어는 로우 빔 패턴(20)에서 일정 크기만큼 돌출된 빔 패턴 영역으로서, 전방에 운행 중인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눈부심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실드부(313b)가 광 입사부(311)를 향하도록 경사지어 형성됨으로써, 광 출사부(312)에서 반사되어 제2 실드부(313b)로 전달된 광이 다시 광 출사부(312)로 반사되는 것이 차단되고, 글레어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차량용 램프
10: 빔 패턴 형성부
100: 광원 200: 리플렉터
210: 반사면 300: 렌즈
310: 광 투과부 311: 광 입사부 312: 광 출사부 313a: 제1 실드부
313b: 제2 실드부
100: 광원 200: 리플렉터
210: 반사면 300: 렌즈
310: 광 투과부 311: 광 입사부 312: 광 출사부 313a: 제1 실드부
313b: 제2 실드부
Claims (12)
-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광 입사부, 광 출사부 및 실드부로 형성된 광 투과부를 복수 개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중 대응되는 광 투과부의 광 입사부로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면 각각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반사면에 1:1로 대응되는 상기 광 투과부의 광 입사부로 입사되는 차량용 램프.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사부는 상기 리플렉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차량용 램프.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면 각각은 대응되는 광 투과부의 광 입사부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 입사부는 상기 대응하는 반사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차량용 램프.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각각은 상기 광 입사부로 입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빔 패턴에 컷 오프를 형성하는 제1 실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부는 컷 오프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 각각은,
상기 광원에 위치하는 제1 초점; 및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중 대응하는 광 투과부의 컷 오프 형성부에 위치하는 제2 초점을 갖는 차량용 램프. - 제5 항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광 투과부에 포함된 제1 실드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 각각은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 중 상기 광 입사부로 입사되지 않은 광이 상기 광 투과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실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드부는 상기 제1 실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광 입사부를 향하여 경사진 차량용 램프.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로우 빔 패턴은 스팟 빔 패턴, 미드 빔 패턴 및 스프레드 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팟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미드 빔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빔 패턴 형성부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스프레드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팟 빔 패턴, 미드 빔 패턴 및 스프레드 빔 패턴은 상호간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차량용 램프.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8863A KR20230045959A (ko) | 2021-09-29 | 2021-09-29 | 차량용 램프 |
CN202210609131.4A CN115875628A (zh) | 2021-09-29 | 2022-05-31 | 车辆用灯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8863A KR20230045959A (ko) | 2021-09-29 | 2021-09-29 | 차량용 램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5959A true KR20230045959A (ko) | 2023-04-05 |
Family
ID=8576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8863A KR20230045959A (ko) | 2021-09-29 | 2021-09-29 | 차량용 램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45959A (ko) |
CN (1) | CN115875628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2638A (ko) | 2013-11-06 | 2015-05-1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db 헤드램프 시스템 및 adb 헤드램프 시스템을 이용한 빔 제어 방법 |
-
2021
- 2021-09-29 KR KR1020210128863A patent/KR2023004595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
- 2022-05-31 CN CN202210609131.4A patent/CN11587562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2638A (ko) | 2013-11-06 | 2015-05-1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db 헤드램프 시스템 및 adb 헤드램프 시스템을 이용한 빔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875628A (zh) | 2023-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0446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20052025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20089942A (ko) | 차량용 램프 | |
US20220412527A1 (en) | Vehicular light-guiding body and vehicular lamp unit | |
KR20190080434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05441B1 (ko) | 차량용 램프 | |
JP5446757B2 (ja) | 車両用灯具 | |
KR102446505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30045959A (ko) | 차량용 램프 | |
JP7265437B2 (ja) | 車両用灯具 | |
KR102555372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178817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20120287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20133529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522911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10064667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30150624A (ko) | 차량용 램프 | |
US12025286B2 (en) | Lamp for vehicle | |
KR20230046418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09832B1 (ko) | 차량용 램프 | |
EP4400366A1 (en) | Lamp for vehicle | |
KR20130043936A (ko) | 적외선 조사 장치 | |
KR20230099813A (ko) | 차량용 램프 | |
EP3620329B1 (en) | Vehicle lamp assembly | |
KR20230036354A (ko) | 램프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