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38A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1238A KR20230001238A KR1020210083903A KR20210083903A KR20230001238A KR 20230001238 A KR20230001238 A KR 20230001238A KR 1020210083903 A KR1020210083903 A KR 1020210083903A KR 20210083903 A KR20210083903 A KR 20210083903A KR 20230001238 A KR20230001238 A KR 202300012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handle
- fastening
- hole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며 제1회로기판에 연결된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및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통칭)의 세탁, 의류의 건조,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전자기기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다.
종래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부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공개번호 10-2014-0023986).
즉, 종래 인터페이스는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LCD, LED 패널 등), 해당 전자기기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는 노브(knob)나 버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등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각각 위치하였고, 이와 같은 배치는 의류처리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의 전방면면 등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컨트롤패널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였다.
상술한 구조의 종래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각 장치들이 전자기기의 너비방향(전자기기의 너비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거나, 전자기기의 높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어야 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설치에 많은 공간이 요구되었다.
본 출원은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표시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변경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액추에이터의 회전운동이 구속될 위험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며 제1회로기판에 연결된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및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수용바디에 구비된 장착공간; 상기 수용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는 수용바디 관통홀; 상기 체결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결되는 체결바디 관통홀;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고정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와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된 제2회로기판; 및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을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바디에서 상기 핸들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은 상기 핸들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핸들에서 상기 수용바디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샤프트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 형상의 베이스;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다수의 베이스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핸들의 외부로 안내하는 핸들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핸들에 구비되며,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 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의 원주면이 상기 샤프트 관통홀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 가이드가 수용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의 깊이는 상기 체결 가이드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핸들 배출구는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체결 사이드 사이에 형성된 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 따라 기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명령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회로기판에 구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패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며, 상기 패널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캐비닛의 외부 또는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제1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및 상기 핸들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표시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변경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액추에이터의 회전운동이 구속될 위험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캐비닛과 인터페이스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인코더 및 인코더 커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액추에이터 및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표시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는 인터페이스의 조립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실링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캐비닛과 인터페이스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인코더 및 인코더 커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액추에이터 및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표시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는 인터페이스의 조립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실링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P)를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 기재된 인터페이스(P)는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기타의 전자기기를 포함)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 간의 통신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 및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바디(11), 및 상기 캐비닛 바디의 개방된 일면에 고정된 패널(13,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프론트 패널(13)이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 바디(11)의 전방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13)에는 상기 캐비닛(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패널 투입구(131)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 투입구(13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2)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 대상물의 총칭)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터브 지지부(22)가 스프링(터브 바디의 상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 및 댐퍼(터브 바디의 하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 바디(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패널 투입구(131)를 향하는 면에는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패널 투입구(131)와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1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가스켓(212)은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캐비닛(1)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급수부(23)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5)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한 펌프(252), 상기 터브 바디(21)와 펌프(252)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251), 상기 펌프(252)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3)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과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급수관(231), 상기 급수관(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233)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세제공급부(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부(2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드로워 하우징(241), 상기 드로워 하우징을 터브 바디(21)에 연결하는 연결관(242), 및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구비된 드로워 투입구(133)를 통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43)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245), 상기 챔버 내부의 세제를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2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47)는 상기 챔버(245)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는 워터트랩(water trap, 사이펀 유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24)가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부(23)는 상기 챔버(245)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2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232)은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231)은 상기 노즐(232)과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43)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2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48)은 상기 드로워 투입구(133)를 폐쇄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 패널(248)에는 드로워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 및 상기 드럼 바디(21)를 상기 터브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동부(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터브 투입구(211)를 향하는 면에는 드럼 투입구(3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의류는 상기 패널 투입구(131), 터브 투입구(211), 및 드럼 투입구(31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에는 드럼 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1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관통홀(312)은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면) 및 후방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바디(21) 내부로 공급된 물이나 세제는 상기 드럼 관통홀(31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321), 회전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2),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31)와 로터(322)를 연결하는 회전축(3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13)은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13)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상기 드로워(243)가 관통하는 드로워 관통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P)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장착홈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착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P)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4, 제1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인코더(5, encoder),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에 연결된 액추에이터(7),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 또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는 표시부(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구동부(32), 상기 급수밸브(233), 상기 펌프(2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전력 제어, 작동 제어)에 필요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기판으로, 케이스(41)를 통해 상기 프론트 패널(13) 또는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케이스(41)에 고정되는 제1기판보드, 상기 제1기판보드에 고정된 회로(제1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상기 프론트 패널(13) 또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케이스(41)가 일면(패널 지지부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41)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위치를 설정하는 보스(boss)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보스가 제1보스(411) 및 제2보스(412)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제1보스(411)가 관통하는 기판 관통홀(42), 및 상기 제2보스(412)가 관통하는 보스 삽입홀(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이 제1기판보드와 제1회로로 구비될 경우, 상기 기판 관통홀(42) 및 상기 보스 삽입홀(43)은 상기 제1기판보드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스(412)는 상기 제1보스(411)의 좌우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보스(411)의 상하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8)에는 와이어(822)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8)가 상기 제1회로기판(4)을 비롯한 상기 캐비닛 내부의 장치들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스(411)에는 제1보스 관통홀(413)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와이어 관통홀(123, 도 4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와이어 관통홀(1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제1입력부(46)와 제2입력부(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표시부(8)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 또는 의류처리장치(100)가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와 제2입력부(47)는 상기 제1회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기판보드에 고정된다.
상기 제1입력부(46)와 제2입력부(47)는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1버튼(461),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 제1감지센서(464), 및 상기 제1버튼과 상기 제1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463, 제1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2버튼(471),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 제2감지센서(474), 및 상기 제2버튼과 상기 제2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미도시, 제2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13)에는 제1버튼 장착부(136) 및 제2버튼 장착부(13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버튼(461)은 상기 제1버튼 장착부(136)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버튼(471)은 상기 제2버튼 장착부(13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와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표시부(8)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좌측공간이나 우측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 스프링(463)과 제2터치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이 각 버튼 장착부(136, 13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입력부(46)에는 제1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46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7)에는 제2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5)는 상기 액추에이터(7)를 상기 제1회로기판(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이면서, 상기 액추에이터(7)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또는, 액추에이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5)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부(8)가 고정되는 고정부(51), 상기 고정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액추에이터(7)가 고정되는 회전부(52), 및 상기 회전부(52)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제1기판보드에 고정되고, 상기 신호발생부(54)는 상기 제1회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고정부(5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는 고정바디(512), 상기 고정바디(512)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5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511),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 관통홀(42)에 연결(제1보스 관통홀에 연결)되는 바디 관통홀(51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의 원주면 또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면(제1회로기판을 향하는 면)에는 기판 체결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513)가 삽입되는 인코더 고정홀(44, 도 5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체결부(513) 및 상기 인코더 고정홀(44)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고정홀들(44)은 상기 기판 관통홀(4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관통홀(514) 내부에는 상기 표시부(8)를 상기 고정부(51)에 체결하는 체결바디 고정부(531), 및 상기 표시부(8)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표시부(8)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표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설정홈(5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는 상기 지지바디(511)와 고정바디(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가 지지바디(5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51)의 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52)는 상기 지지바디(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바디(5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지지바디(511)가 관통하는 회전바디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부(5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522)는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체결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체결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54)는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 자석, 상기 고정바디(512)나 지지바디(511)에 구비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구비된 제1회로와 상기 센서를 연결하는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다수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5)가 조립된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절연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으로 물이 공급되어 회로가 단락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일면(프론트 패널을 향하는 면)에 코팅될 때 상기 절연물질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521)가 상기 지지바디(511)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인코더 커버(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 커버(6)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인코더(5)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 커버(6)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제1기판보드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디(512)를 감싸는 고정바디 커버(61), 및 상기 고정바디 커버(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코더(5)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에는 기판 체결부(6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611)가 고정되는 인코더 커버 고정홀(45)이 구비될 수 있다(제1기판보드에는 인코더 커버 고정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체결부(611) 및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45)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들(45)은 상기 기판 체결부(51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61) 내부로 유입된 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의 원주면에는 커버 배출구(6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구(612)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의 원주면 중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절연물질은 상기 제1회로기판(4)에 상기 인코더(5) 및 인코더 커버(6)가 모두 결합된 뒤 상기 제1회로기판(4)에 도포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일부 영역(인코더 커버의 외부 공간)에 분사된 절연물질은 상기 커버 배출구(612)를 통해 상기 인코더 커버(6)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고정바디(5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커버 배출구(6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2)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코더 커버(6)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바디(521)를 감싸는(지지바디를 감싸는) 지지바디 커버(6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상기 커버 관통홀(6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상기 회전바디(5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되는 샤프트(71), 및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핸들(7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 도 3 참고)이 구비되는데,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71)는 내부에 샤프트 관통홀(711)이 구비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회전바디(521)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71)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바디 체결부(712)는 상기 회전바디에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5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회전바디 체결부(712) 및 샤프트 체결부(522)를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73)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고, 사용자는 상기 핸들(73)을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상기 샤프트(7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핸들(73)에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연통하도록 상기 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731), 및 상기 핸들(73)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73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7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의 지름이 상기 샤프트(71)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경우, 상기 샤프트(71)에는 상기 핸들(73)이 고정되는 베이스(7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713)는 상기 샤프트(71)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disk)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과 베이스(713)는 상기 핸들(73)에 구비된 베이스 체결부(734) 및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된 핸들 체결부(714)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체결부(734)는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에 고정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 체결부(714)는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과 베이스(71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핸들(73)에는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 가이드(73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713)에는 상기 체결 가이드(73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7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715)은 상기 베이스(713)의 원주면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핸들(73)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73)과 상기 베이스(713) 중 어느 하나에는 핸들 배출구(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715)의 깊이(D1,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가이드 홈의 바닥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체결 가이드(735)의 높이(D2, 핸들에서 체결 가이드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들 배출구(74)는 상기 가이드 홈(715)과 상기 체결 사이드(73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표시부(8)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표시부(8)는 상기 인코더의 고정바디(512)에 고정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81),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정보(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작동 등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84),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4)를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82, 제2회로기판, 표시부 회로기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은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바디(512)에 고정되는 체결바디(81b), 및 상기 체결바디(81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81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81a)는 상기 수용공간(73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1은 상기 수용바디(81a)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바디(81a)의 내부에는 장착공간(8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811)은 수용바디 관통홀(812)을 통해 상기 핸들에 구비된 수용공간(731)에 연통한다(수용바디 관통홀은 핸들 관통홀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은 상기 수용바디(81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핸들 관통홀(73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디(81b)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및 상기 인코더의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2는 상기 체결바디(81b)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81b)에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연결되는 체결바디 관통홀(815)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는 상기 하우징(81)을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나아가,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위치설정 돌기(81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형상은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위치설정홈(532)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위치는 상기 위치설정홈(532)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와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체결바디(81b)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결합되지 못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고정바디 체결부와 체결바디 고정부의 결합을 담보하는 수단)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연결된 와이어(822)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상기 하우징(8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제2기판보드, 및 상기 제2기판보드에 고정된 제2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바디(81a)는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서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의 지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디스크 형상의 수용바디 베이스(818), 및 상기 수용바디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체결바디(8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용바디 원주면(819)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공간(811)은 상기 수용바디 베이스(818) 및 상기 수용바디 원주면(819)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2회로기판(82)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착공간(811)에 구비된다면, 상기 제2회로기판(82)이 외력에 의해 파손될 위험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82)에는 다수의 램프(8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제2회로에 연결되도록 제2기판보드에 고정된 다수의 램프(8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상기 핸들(73)의 회전에 따라(신호발생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8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82)과 상기 디스플레이(8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램프(821)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장착공간(811)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장착공간(8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와 상기 제2회로기판(82) 사이에 위치하는 장착부(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장착바디(8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1은 상기 장착바디(831)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착바디(831)의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가 고정되는 안착홈(83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832)에는 커넥터 관통홀(83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84)에 구비된 커넥터(841, flexible PCB 등)는 상기 커넥터 관통홀(83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램프(821)가 삽입되는 램프 관통홀(8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 관통홀(835)은 상기 램프(821)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램프 관통홀(835)의 위치는 상기 안착홈(832)의 상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 또는 상기 안착홈(832)의 하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램프 관통홀(835)을 통해 상기 하우징(81)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구비된 장착바디 체결부(813) 및 상기 장착바디(831)에 구비된 수용바디 체결부(833)를 통해 하우징(81)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장착바디(831)의 원주면(수용바디에 접촉하는 장착바디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가 고정되는 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개수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위치는 서로 대응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장착바디(831)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면(832)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상부 체결부, 및 상기 안착면(832)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하부 체결부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4)와 제2회로기판(82)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바디(81a)에는 커버(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85)는 상기 수용바디(81a)와 상기 장착바디(8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를 폐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85)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정보 및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커버(85)가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85)에는 상기 장착바디(831)를 향해 돌출된 커버 고정돌기(851)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커버 고정돌기(851)가 결합하는 고정돌기 체결부(83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82) 역시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장착바디(831)에서 상기 제2회로기판(82)을 향해 돌출된 돌기(838)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는 상기 돌기(838)가 삽입되는 돌기 관통홀(823)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85)에는 상기 커버의 투명도를 낮추는 커버시트(8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시트의 투명도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가 외부에서 확인 하기 어려운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커버시트의 투명도가 커버의 투명도보다 낮게 설정). 상기 커버시트(853)는 상기 커버(85)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커버시트 중 상기 램프 관통홀(835)이 투영된 영역에는 문자나 기호(H)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9)는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85)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부(9)는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구비되어(제2회로에 연결되도록 제2기판보드에 고정되어)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93), 및 상기 센서(93)와 상기 커버(85)를 연결하는 전도체(91, 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체(91)는 상기 커버(85)에 고정된 제1전도체(91), 및 일단은 상기 제1전도체(9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센서(93)에 연결된 제2전도체(92)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제2전도체(92)가 삽입되는 전도체 관통홀(837)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전도체(91)는 사용자가 접촉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제어명령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85)의 상부공간에 표시영역(R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85)의 하부공간에 입력영역(R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도체(91)의 넓이를 넓게 설정하면, 상기 입력영역(R2)의 넓이가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쉽게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도체(91)의 넓이는 상기 커버(85) 넓이의 1/4 내지 1/2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인터페이스(P)는 상기 베이스(713)의 지름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상기 수용공간(731)의 부피를 극대화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많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731)의 부피가 커지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장착공간(811)의 부피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84)의 크기도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은 상기 베이스(713)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71)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베이스(713) 및 샤프트(71)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731)의 단면적은 상기 샤프트(71)의 단면적보다 넓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베이스의 단면적은 샤프트 관통홀의 단면적보다 넓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구조의 인터페이스(P)는 상기 표시부(8) 및 액추에이터(7)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단이 필요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에는 상기 핸들 관통홀(732)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수용공간(731)의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8)에는 이물질(외기, 액체, 먼지 등)이 하우징(8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핸들에 구비된 핸들 배출구(74)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731)으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한편, 상기 표시부(8)에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75, 7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결바디 실링부(75), 및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 실링부(76)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체결바디 실링부(75) 및 커버 실링부(76)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실링부는 상기 체결바디 실링부(75)와 상기 커버 실링부(76)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실링부(76)는 상기 커버(85)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수용바디(81a)에 분사되어 상기 커버(85)와 상기 수용바디(812)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상기 커버(85)를 상기 수용바디(812)에 고정하는 접착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 실링부(75)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822)의 위치를 고정할 뿐 아니라,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체결바디 실링부(75)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체결바디 실링부(75)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는 실링바디(751), 상기 실링바디(7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822)가 삽입되는 실링바디 관통홀(752), 및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이 절개되어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과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연결하는 절개부(753, 754, 7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751)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4는 상기 실링바디(751)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링바디(751)의 지름은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억지 끼움을 통해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바디(751)의 재질은 탄성력이 비교적 큰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중심을 향하는 제1절개면(753),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중심을 향하되 상기 제1절개면(753)과 이격된 제2절개면(754), 및 상기 제1절개면(753)과 상기 제2절개면(754) 사이에 형성된 절개홈(7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절개홈(755)을 통해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 삽입되거나,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1절개면(753)과 제2절개면(75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실링바디(751)가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었을 때, 두 절개면(753, 754)이 접촉하여 상기 절개홈(755)을 폐쇄 가능한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과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차단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는 제1접촉돌기(7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돌기(756)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제1절개면(753)에서 상기 제2절개면(754)까지 연장되는 띠 형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돌기(756)는 다수의 띠 형태의 돌기가 상기 실링바디(75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755)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751)에는 제2접촉돌기(7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돌기(757)는 상기 제1절개면(753)과 상기 제2절개면(7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접촉돌기(757)는 상기 제1접촉돌기(756)와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두 제1접촉돌기들(756) 사이에 위치된 지점(7561)과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822)와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는 제3접촉돌기(7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지름(실링바디가 체결바디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의 지름)을 상기 와이어(822)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하더라도,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3접촉돌기(758)는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형성하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5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띠 형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촉돌기(758)는 상기 제1절개면(753)에서 상기 제2절개면(754)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접촉돌기(757)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상술한 인터페이스(P)의 조립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인코더(5)와 인코더 커버(6)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케이스(41)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41)에 고정된 제1회로기판(4)의 표면에는 절연물질이 코팅된 상태이다.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통해 캐비닛(1)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41)가 프론트 패널(13)에 고정될 경우,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스(412)에 고정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13)은 볼트 등을 통해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3)이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된 뒤 상기 액추에이터(7)의 샤프트(71)를 상기 프론트 패널에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하면, 상기 샤프트(71)는 인코더의 회전바디(521)에 고정되고, 상기 표시부의 체결바디(81b)는 인코더의 지지바디(511)에 고정될 것이다.
즉, 상기 샤프트(71)가 상기 패널 관통홀(134)로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에 구비된 회전바디 체결부(712)는 회전바디에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522)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바디(81b)에 구비된 고정바디 체결부(816)는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구비된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회전바디(521)를 통해 상기 제1회로기판(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표시부(8)는 상기 지지바디(511)를 통해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822)는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바디 관통홀(514),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패널 지지부에 구비된 와이어 관통홀(123)을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73)을 돌릴 때 마다(인코더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때 마다), 기 설정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하게 될 것이다(제어명령의 검색 및 변경).
원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9)를 통해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부(9)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제2입력부(47)를 통해 실행명령을 입력한 때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들(73)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결합된 반면 상기 표시부의 하우징(81)은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므로,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핸들(73)의 회전이 구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 또는 상기 핸들에 구비된 수용공간(7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스페이서(돌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스페이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스페이서(814)는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에서 상기 핸들(73)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스페이서(814)의 자유단은 상기 핸들(73)의 원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핸들의 원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814)는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핸들(73)의 원주면에서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의 자유단은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세탁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인터페이스는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가 생략되고, 상기 드럼(3)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부가 추가되어야 한다.
상기 건조부는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로, 상기 공급유로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배기유로에 구비된 팬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건조부는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히트펌프 등), 및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된 팬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인터페이스 및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제어방법, 및 조립방법 등은 인터페이스 및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2: 패널 지지부 13: 프론트 패널 134: 패널 관통홀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급수부
24: 세제공급부 25: 배수부 3: 드럼
P: 인터페이스 4: 제1회로기판 41: 케이스
42: 기판 관통홀 44: 인코더 고정홀 45: 인코더 커버 고정홀
46: 제1입력부 461: 제1버튼 462: 제1스토퍼
464: 제1감지센서 47: 제2입력부 471: 제2버튼
5: 인코더 51: 고정부 511: 지지바디
512: 고정바디 513: 기판 체결부 514: 바디 관통홀
52: 회전부 521: 회전바디 522: 샤프트 체결부
531: 체결바디 고정부 532: 위치설정홈 54: 신호발생부
6: 인코더 커버 61: 고정바디 커버 611: 기판 체결부
612: 커버 배출구 62: 커버 관통홀 63: 지지바디 커버
7: 액추에이터 71: 샤프트 711: 샤프트 관통홀
712: 회전바디 체결부 713: 베이스 714: 핸들 체결부
715: 가이드 홈 73: 핸들 731: 수용공간
732: 핸들 관통홀 734: 베이스 체결부 735: 체결 가이드
74: 핸들 배출구 75: 체결바디 실링부 751: 실링바디
752: 실링바디 관통홀 753: 제1절개면 754: 제2절개면
755: 절개홈 756: 제1접촉돌기 757: 제2접촉돌기
758: 제3접촉돌기 76: 커버 실링부 8: 표시부
81: 하우징 81a: 수용바디 811: 장착공간
812: 수용바디 관통홀 813: 장착바디 체결부 814: 돌출부
81b: 체결바디 815: 체결바디 관통홀 816: 고정바디 체결부
817: 위치설정 돌기 82: 제2회로기판 821: 램프
822: 와이어 823: 돌기 관통홀 83: 장착부
831: 장착바디 832: 안착홈 833: 수용바디 체결부
834: 고정돌기 체결부 835: 램프 관통홀 836: 커넥터 관통홀
837: 전도체 관통홀 84: 디스플레이 841: 커넥터
85: 커버 851: 커버 고정돌기 853: 커버시트
9: 선택부 91: 제1전도체 92: 제2전도체
93: 센서
12: 패널 지지부 13: 프론트 패널 134: 패널 관통홀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급수부
24: 세제공급부 25: 배수부 3: 드럼
P: 인터페이스 4: 제1회로기판 41: 케이스
42: 기판 관통홀 44: 인코더 고정홀 45: 인코더 커버 고정홀
46: 제1입력부 461: 제1버튼 462: 제1스토퍼
464: 제1감지센서 47: 제2입력부 471: 제2버튼
5: 인코더 51: 고정부 511: 지지바디
512: 고정바디 513: 기판 체결부 514: 바디 관통홀
52: 회전부 521: 회전바디 522: 샤프트 체결부
531: 체결바디 고정부 532: 위치설정홈 54: 신호발생부
6: 인코더 커버 61: 고정바디 커버 611: 기판 체결부
612: 커버 배출구 62: 커버 관통홀 63: 지지바디 커버
7: 액추에이터 71: 샤프트 711: 샤프트 관통홀
712: 회전바디 체결부 713: 베이스 714: 핸들 체결부
715: 가이드 홈 73: 핸들 731: 수용공간
732: 핸들 관통홀 734: 베이스 체결부 735: 체결 가이드
74: 핸들 배출구 75: 체결바디 실링부 751: 실링바디
752: 실링바디 관통홀 753: 제1절개면 754: 제2절개면
755: 절개홈 756: 제1접촉돌기 757: 제2접촉돌기
758: 제3접촉돌기 76: 커버 실링부 8: 표시부
81: 하우징 81a: 수용바디 811: 장착공간
812: 수용바디 관통홀 813: 장착바디 체결부 814: 돌출부
81b: 체결바디 815: 체결바디 관통홀 816: 고정바디 체결부
817: 위치설정 돌기 82: 제2회로기판 821: 램프
822: 와이어 823: 돌기 관통홀 83: 장착부
831: 장착바디 832: 안착홈 833: 수용바디 체결부
834: 고정돌기 체결부 835: 램프 관통홀 836: 커넥터 관통홀
837: 전도체 관통홀 84: 디스플레이 841: 커넥터
85: 커버 851: 커버 고정돌기 853: 커버시트
9: 선택부 91: 제1전도체 92: 제2전도체
93: 센서
Claims (12)
-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며 제1회로기판에 연결된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및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바디에 구비된 장착공간;
상기 수용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는 수용바디 관통홀;
상기 체결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결되는 체결바디 관통홀;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고정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와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된 제2회로기판; 및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을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바디에서 상기 핸들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은 상기 핸들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핸들에서 상기 수용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샤프트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 형상의 베이스;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다수의 베이스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핸들의 외부로 안내하는 핸들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구비되며,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 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의 원주면이 상기 샤프트 관통홀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 가이드가 수용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의 깊이는 상기 체결 가이드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핸들 배출구는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체결 사이드 사이에 형성된 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 따라 기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명령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회로기판에 구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 패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며, 상기 패널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캐비닛의 외부 또는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제1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및 상기 핸들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3903A KR20230001238A (ko) | 2021-06-28 | 2021-06-28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AU2022300667A AU2022300667A1 (en) | 2021-06-28 | 2022-06-09 |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
CN202280055483.8A CN117795147A (zh) | 2021-06-28 | 2022-06-09 | 界面以及具有界面的衣物处理装置 |
PCT/KR2022/008153 WO2023277379A1 (ko) | 2021-06-28 | 2022-06-09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EP22833435.5A EP4365353A1 (en) | 2021-06-28 | 2022-06-09 |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3903A KR20230001238A (ko) | 2021-06-28 | 2021-06-28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238A true KR20230001238A (ko) | 2023-01-04 |
Family
ID=8469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3903A KR20230001238A (ko) | 2021-06-28 | 2021-06-28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4365353A1 (ko) |
KR (1) | KR20230001238A (ko) |
CN (1) | CN117795147A (ko) |
AU (1) | AU2022300667A1 (ko) |
WO (1) | WO2023277379A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112013026148B1 (pt) | 2011-04-14 | 2021-06-08 | Lg Electronics, Inc | método de lavagem |
JP5764512B2 (ja) * | 2012-03-14 | 2015-08-19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洗濯機 |
KR20160010093A (ko) * | 2014-07-18 | 2016-0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전 기기, 컨트롤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2254893B1 (ko) * | 2014-12-17 | 2021-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
CN206755256U (zh) * | 2017-04-12 | 2017-12-15 |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 具有防水结构的电磁炉 |
CN209468599U (zh) * | 2018-10-15 | 2019-10-08 |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 一种滚筒洗衣机 |
-
2021
- 2021-06-28 KR KR1020210083903A patent/KR202300012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2
- 2022-06-09 CN CN202280055483.8A patent/CN117795147A/zh active Pending
- 2022-06-09 AU AU2022300667A patent/AU2022300667A1/en active Pending
- 2022-06-09 WO PCT/KR2022/008153 patent/WO202327737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6-09 EP EP22833435.5A patent/EP4365353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365353A1 (en) | 2024-05-08 |
CN117795147A (zh) | 2024-03-29 |
WO2023277379A1 (ko) | 2023-01-05 |
AU2022300667A1 (en) | 2024-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01238A (ko)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01239A (ko)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01237A (ko)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
US20240352642A1 (en) |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20240337062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US20240344262A1 (en) |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20240301610A1 (en) |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 |
US20240301606A1 (en) | Clothing treatment device | |
US20240318370A1 (en) |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230085813A (ko) | 의류처리장치 | |
EP4446491A1 (en) | Interfa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 |
US20240301612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KR20230085814A (ko)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
EP4365358A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EP4365362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KR20230001236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01240A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240295063A1 (en) |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20240301609A1 (en) |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18369476A (zh) | 界面及具有界面的衣物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