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39092A - 차량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092A
KR20220039092A KR1020200121747A KR20200121747A KR20220039092A KR 20220039092 A KR20220039092 A KR 20220039092A KR 1020200121747 A KR1020200121747 A KR 1020200121747A KR 20200121747 A KR20200121747 A KR 20200121747A KR 20220039092 A KR20220039092 A KR 20220039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variable stopper
opening
vehicle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제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092A/ko
Priority to US17/306,164 priority patent/US11572726B2/en
Priority to CN202110541611.7A priority patent/CN114251045A/zh
Priority to DE102021113149.9A priority patent/DE102021113149A1/de
Publication of KR20220039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8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pillar-less vehicles, i.e. vehicles where a front and a back door engage each other in the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06B3/5081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t least two wings have a different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2007/1027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5Swinging or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2Telescopic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4Specific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는, 차량도어;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상기 차체의 도어개구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가이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로부터 차량의 실내방향을 향해 벤딩된 스윙가이드;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및 상기 스윙가이드를 따라 가이드되는 센터 롤러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모드에서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스윙모드에서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언커버하도록 구성된 가변스토퍼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도어 개폐장치{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도어가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드로 개폐될 수 있는 차량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모드에서 센터롤러유닛이 센터레일로부터 분리됨을 차단하고, 스윙모드에서 센터롤러유닛이 센터레일로부터 분리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객이 승객실 내외로 승하차를 위한 도어 개구를 가진다. 차량도어가 폐쇄됨으로써 차량의 도어 개구가 차단되고, 차량도어가 개방됨으로써 탑승객의 승하차가 허용된다. 차량 도어는 스윙도어, 슬라이딩도어 등으로 구분된다. 스윙도어가 스윙도어 및 차체 사이에 장착된 힌지 둘레로 스윙함으로써 개폐된다. 슬라이딩도어는 슬라이딩도어 측에 장착된 롤러가 차체 측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개폐된다.
스윙도어는 그 개폐조작이 매우 간편하므로 승하차가 매우 신속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도어의 개방 시에 승하차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차량이 좁은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 도어의 스윙궤적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그 개폐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슬라이딩도어는 차량의 좁은 공간에 위치하더라도 그 개폐가 용이하고, 도어의 개방 시에 승하차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 개폐조작 시에 상대적으로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승하차가 신속하게 진행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차량 도어가 단일한 개폐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편의성, 다양성, 새로움 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 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한 모드로 개폐되도록 구성구성됨으로써 소비자의 니즈에 충족할 수 있고, 슬라이딩모드에서 센터롤러유닛이 센터레일로부터 이탈됨을 차단하고, 스윙모드에서 센터롤러유닛이 센터레일로부터 이탈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는, 차량도어;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상기 차체의 도어개구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가이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로부터 차량의 실내방향을 향해 벤딩된 스윙가이드;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및 상기 스윙가이드를 따라 가이드되는 센터 롤러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모드에서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스윙모드에서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언커버하도록 구성된 가변스토퍼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제2슬라이더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센터 롤러유닛의 롤러와 접촉가능한 터치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제1슬라이더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에 정렬가능한 제1실외측 개구 및 제1실외측벽을 가지고,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 및 상기 제1실외측 개구에 정렬가능한 제2실외측 개구 및 제2실외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제2실외측벽이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위치 및 상기 제2실외측벽이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언커버하는 언커버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는 편향부재에 의해 언커버위치로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슬라이더의 제2실외측벽이 커버위치에 유지되도록 제2슬라이더를 록킹하도록 구성된 록킹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더의 길이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실외측 개구는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실외측 개구는 상기 제1실외측 개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는 제1래크를 가지며, 상기 제2슬라이더는 제2래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1래크와 치합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래크와 치합하는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는 단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2기어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래크는 상기 제1래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기어 및 상기 제1기어 사이의 기어비는 증속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및 상기 스윙가이드에 부합하도록 커브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및 상기 스윙가이드는 센터 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도어의 개폐작동을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써 편의성, 다양성 등과 같은 소비자의 니즈에 충족할 수 있다고, 고객의 상황 및 환경에 따라 차량도어의 개폐작동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모드에서 센터롤러유닛이 센터레일로부터 이탈됨을 차단하고, 스윙모드에서 센터롤러유닛이 센터레일로부터 이탈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어느 모드에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양측면에서 차량의 모델에 상관없이 다양한 차량에 대해 차량도어의 개폐구조를 표준화 내지 규격화할 수 있으므로 원가 및 투자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차량의 리어도어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용 아웃사이드핸들에 인접한 선택기, 선택기에 연결된 엑츄에이터 및 홀드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차량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로 개폐될 때,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이 어퍼 레일 및 로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차량도어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때, 차량도어가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에 의해 피벗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홀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d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수용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차량도어에 장착된 메인래치 및 메인스트라이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센터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센터 레일의 슬라이딩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센터 롤러유닛이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에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센터 롤러유닛이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로부터 분리되는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가변스토퍼기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1가변스토퍼 및 제2가변스토퍼가 언커버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가변스토퍼기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1가변스토퍼 및 제2가변스토퍼가 커버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가변스토퍼기구의 제1가변스토퍼 및 제2가변스토퍼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가변스토퍼기구의 제1가변스토퍼 및 제2가변스토퍼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가변스토퍼기구의 동력전달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동력전달기구의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제1래크 미 C제2래크와 치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가변스토퍼기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1가변스토퍼 및 제2가변스토퍼가 언커버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가변스토퍼기구를 도시한 평면도도로서, 제1가변스토퍼 및 제2가변스토퍼가 커버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23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가변스토퍼기구의 제2가변스토퍼가 록킹레버에 의해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차량의 프론트도어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프론트도어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차량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차량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에 모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가 모두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9에서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차량도어를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어느 한 모드로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트랜스폼 타입의 도어 개폐장치일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는 차량도어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차량도어가 개폐되는 모드일 수 있고, 스윙모드는 차량도어가 차량의 외측으로 스윙함으로써 차량도어가 개폐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체(1)는 복수의 도어 개구(2, 3)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도어 개구(2, 3)는 프론트 개구(2) 및 리어 개구(3)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차량도어(4, 5)는 프론트 개구(2)를 커버 및 언커버하는 프론트도어(4) 및 리어 개구(3)를 커버 및 언커버하는 리어도어(5)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도어(4)가 개방됨에 따라 프론트도어(4)는 프론트 개구(2)를 언커버(uncover)하고, 프론트도어(4)가 폐쇄됨에 따라 프론트도어(4)는 프론트 개구(2)를 커버(cover)할 수 있다. 리어도어(5)가 개방됨에 따라 리어도어(5)는 리어 개구(3)를 언커버(uncover)하고, 리어도어(5)가 폐쇄됨에 따라 리어도어(5)는 리어 개구(3)를 커버(cover)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프론트도어(4), 리어도어(5) 등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가 리어도어(5) 측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리어도어(5)가 차량도어(5)로 지칭되고, 리어 개구(3)는 도어 개구(3)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차체(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레일(11, 12)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레일(11, 12)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퍼 레일(11)이 차체(1)의 상측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레일(12)이 차체(1)의 하측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어퍼 레일(11)은 도어 개구(3)의 상측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로어 레일(12)은 도어 개구(3)의 하측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레일(11, 12)을 따라 가이드되는 롤러유닛(21, 2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유닛(21, 22)은 차량도어(5)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롤러유닛(21, 22)은 홀드록(31, 32)에 의해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홀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유닛(21, 22)이 홀드록(31, 32)에 의해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홀드되면 차량도어는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스윙하는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롤러유닛(21, 22)이 홀드록(31, 32)에 의해 해제되면 차량도어(5)는 레일(11, 12)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딩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이 차량도어(5)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고,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이 차량도어(5)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도어(5)는 아웃사이드핸들(6)을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를 선택하는 선택기(40)가 아웃사이드핸들(6) 또는 아웃사이드핸들(6)에 인접힌 차량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기(40)는 슬라이딩모드를 선택하는 제1스위치(41) 및 스윙모드를 선택하는 제2스위치(42)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스위치(41)를 누름으로써 슬라이딩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핸들(6)을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밀거나 차량의 후방을 향해 당김에 따라 도 3과 같이 차량도어(5)는 어퍼 레일(11), 로어 레일(12), 센터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에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차량도어(5)는 차량도어(5)가 완전히 개방되는 제1개방위치(OP1) 및 차량도어(5)가 완전히 폐쇄되는 제1폐쇄위치(CP1)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스위치(42)를 누름으로써 스윙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핸들(6)을 차량의 승객실을 향해 밀거나 차량의 실외를 향해 당김으로써 도 4와 같이, 차량도어(5)가 스윙할 수 있다. 스윙모드에서, 도 6과 같이 차량도어(5)는 도어 개구(3)를 완전히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OP2) 및 도어 개구(3)를 완전히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C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에 홀드될 때 스윙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홀드록(31)을 가질 수 있고, 차체(1)는 차체(1)의 상부에 제공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가질 수 있다.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는 제1폐쇄위치(C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고,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는 제1개방위치(O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어퍼 홀드록(31)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고(releasably hold),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선택적으로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은 제1폐쇄위치(CP1)에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이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은 제1개방위치(OP1)에서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제1개방위치(O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어퍼 홀드록(31)은 제1폐쇄위치(CP1)에서 차량도어(5)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어퍼 클로우즈홀드록(upper closed hold lock)일 수 있다. 어퍼 오픈홀드록(미도시, upper open hold lock)이 어퍼 롤러유닛(21)에 장착될 수 있고, 어퍼 오픈홀드록(미도시)은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어퍼 클로우즈홀드록(31) 및 제1개방위치(0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어퍼 오픈홀드록(미도시)이 어퍼 롤러유닛(2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회전축선(CX1, upper rotation axis)을 가질 수 있고, 차량도어(5)는 어퍼 회전축선(CX1)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어퍼 롤러유닛(21)이 어퍼 홀드록(31) 및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때, 차량도어(5)가 어퍼 회전축선(CX1)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홀드록(32)을 가질 수 있고, 차체(1)는 차체(1)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 및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가질 수 있다.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는 제1폐쇄위치(C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고,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는 제1개방위치(O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로어 홀드록(32)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고(releasably hold),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 및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홀드함으로써 로어 롤러유닛(22)은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로어 홀드록(32)이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홀드함으로써 로어 롤러유닛(22)은 제1개방위치(OP1)에서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제1개방위치(O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어 홀드록(32)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로어 홀드록(32)은 제1폐쇄위치(CP1)에서 차량도어(5)를 유지하는 로어 클로우즈홀드록(lower closed hold lock)일 수 있다. 로어 홀드록(미도시, lower open hold lock)이 로어 롤러유닛(33)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오픈홀드록(미도시)은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로어 클로우즈홀드록(32) 및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로어 오픈홀드록(미도시)이 로어 롤러유닛(22)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도어(5)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서 해제가능하게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은 제1폐쇄위치(CP1)에서 차량도어(5)를 유지하는 클로우즈홀드록(closed hold lock)일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회전축선(CX2, lower rotation axis)을 가질 수 있고, 차량도어(5)는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이 로어 홀드록(32) 및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때, 차량도어(5)가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수직으로 정렬된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택기(40)는 엑츄에이터(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엑츄에이터(43)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기(40)를 선택함에 따라 엑츄에이터(43)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홀드하는 홀드작동과,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하는 해제작동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기(40)의 제1스위치(41)를 누르면, 엑츄에이터(43)의 해제작동에 의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함과 동시에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하고, 이에 사용자가 차량도어(5)를 차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슬라이딩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기(40)의 제2스위치(42)를 누르면, 엑츄에이터(43)의 홀드작동에 의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홀드함과 동시에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차량도어(5)를 차량의 실내공간 및 실외공간을 향해 스윙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하나의 엑츄에이터(43)가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을 작동하는 엑츄에이터 및 로어 홀드록(32)을 작동하는 다른 엑츄에이터가 선택기(40)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 각각은 캐치(71, catch)와, 캐치(71)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폴(72, pawl)과, 폴(72)에 기능적으로 연결된(operatively connected) 레버(73, lever)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73)는 케이블(75)을 통해 엑츄에이터(43)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케이블(75)이 후진(당김)함에 따라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다. 캐치(71)의 일부, 폴(72), 레버(73) 등은 커버플레이트(76)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커버플레이트(76)는 장착플레이트(74)에 부착될 수 있다. 각 스트라이커(31a, 32a)는 장착플레이트(78)에 의해 차체(1)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을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되고,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된다.
캐치(71)는 제1피벗축(71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수용하는 슬롯(71b)을 가질 수 있으며,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 및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치(71)는 결합위치(도 9b 참조) 및 해제위치(도 9c 참조)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결합위치는 도 9b와 같이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하는 위치이고, 해제위치는 도 9c와 같이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하는 위치이다. 도 9b와 같이 캐치(71)가 결합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함으로써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9c와 같이 캐치(71)가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될 수 있다. 캐치(71)는 토션스프링 등과 같은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편향부재(71c)는 제1피벗축(71a)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캐치(71)는 록킹솔더(71d, locking shoulder)를 가질 수 있다.
폴(72)은 제2피벗축(72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이에 폴(72)은 폴 록킹위치(도 9b 참조) 및 폴 해제위치(도 9c 및 도 9d)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폴 록킹위치는 폴(72)이 캐치(71)를 결합함으로써 캐치(71)가 결합위치에 유지되는 위치이고, 폴 해제위치는 폴(72)이 캐치(71)를 해제함으로써 캐치(71)가 결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함을 허용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폴 록킹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폴(72)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캐치(71)는 결합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폴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폴(72)에 의해 구속되지 않으므로 캐치(71)는 결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폴(72)은 토션스프링 등과 같은 제2편향부재(72c)에 의해 폴 록킹위치(도 9b 참조)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편향부재(72c)는 제2피벗축(72a) 둘레에 배치될수 있다.
폴(72)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가능한 록킹돌기(72d, locking projection)를 가질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제2편향부재(72c)에 의해 폴 록킹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구속될 수 있고, 이에 캐치(71)는 결합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레버(73)에 의해 폴 해제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되고, 이에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레버(73)는 제3피벗축(73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레버(73)는 케이블(75)을 통해 엑츄에이터(4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75)의 단부가 레버(73)에 고정될 수 있고, 케이블(75)은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 내지 후진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43)가 케이블(75)을 이동시킴으로써 레버(73)는 제3피벗축(73a) 둘레로 피벗할 수 있다. 레버(73)는 케이블(75)의 후진에 의해 폴(72)을 폴 해제위치(도 9c 참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레버(73)는 핀(72b) 및 개구(73b)을 통해 폴(72)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핀(72b)은 폴(72)에 마련될 수 있고, 개구(73b)는 레버(73)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핀(72b)은 개구(73b)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레버(73)가 제3피벗축(73a) 둘레로 피벗함에 따라 핀(72b)이 개구(73b)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폴(72)이 이동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하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구속되므로 캐치(71)는 결합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에 홀드될 수 있다. 즉,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은 해당하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후진하면 레버(73)는 폴(72)을 폴 해제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에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은 그에 해당하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고,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은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하더라도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에 여전히 유지될 수 있으므로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가능해진다. 즉,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된 상태에서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이 제1폐쇄위치(CP1) 및 제1개방위치(OP1) 사이로 슬라이드할 때 스트라이커(31a, 32a)가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트라이커(31a, 32a)가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된 상태에서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를 통해 가해지는 외력이 제1편향부재(71c)의 스프링력 보다 클 경우 캐치(71)가 결합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도 9b과 같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 각각은 장착브라켓(15)을 통해 차체(1) 측에 장착될 수 있고, 장착브라켓(15)은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 각각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51) 및 제1연장부(51)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연장된 제2연장부(52)를 가질 수 있다. 제2연장부(52)는 제1연장부(51)에 대해 일정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 각각은 레일(11, 12)을 따라 구르는 롤러(65, 66)들을 가진 롤러브라켓(64)과, 롤러브라켓(64) 및 차량도어(5)를 연결하는 바디(6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브라켓(64)은 롤러(65, 66)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 롤러(65, 66)는 어퍼 레일(11), 로어 레일(12)을 따라 구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롤러(65, middle roller) 및 중간롤러(65)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사이드롤러(66)가 롤러브라켓(6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중간롤러(65)의 회전축선은 각 사이드롤러(66)의 회전축선과 직교할 수 있다.
바디(60)는 제1연장부(51) 및 제2연장부(52)와 간섭하지 않도록 커브질 수 있다. 바디(60)는 차량의 실내방향을 향해 면하는 제1단부(61) 및 차량의 실외방향을 향해 면하는 제2단부(62)를 가질 수 있다. 바디(60)의 제1단부(61)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롤러브라켓(64)에 고정될 수 있고, 바디(60)의 제2단부(62)는 피벗핀(63)을 통해 차량도어(5)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는 바디(60)의 제2단부(62)와 인접한 피벗핀(63)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롤러브라켓(64)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바디(60)의 제1단부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바디(60)의 제2단부(62)는 피벗핀(63)을 통해 차량도어(5)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피벗브라켓(68)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차량도어(5)에 고정될 수 있고, 제2피벗브라켓(69)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바디(60)의 제2단부(6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피벗브라켓(68)은 러그(68a)를 가질 수 있고, 제2피벗브라켓(69)은 홈(69a)을 가질 수 있ㅇ으며, 제1피벗브라켓(68)의 러그(68a)가 제2피벗브라켓(69)의 홈(69a)에 삽입될 수 있으며, 피벗핀(63)이 제1피벗브라켓(68)의 러그(68a) 및 제2피벗브라켓(69)를 관통할 수 있다.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피벗핀(63)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예컨대,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는 피벗핀(63)의 중심포인트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가상축선일 수 있고,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차량도어(5)는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 회전축선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은 어퍼 롤러유닛(21)의 바디(60)에 고정될 수 있고, 로어 홀드록(32)은 로어 롤러유닛(22)의 바디(60)에 고정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이 어퍼 롤러유닛(21)의 바디(60)를 제1폐쇄위치(CP1)에서 고정적으로 홀드하고 로어 홀드록(32)이 로어 롤러유닛(22)의 바디(60)를 제1폐쇄위치(CP1)에서 고정적으로 홀드할 때, 차량도어(5)가 어퍼 롤러유닛(21)의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롤러유닛(22)의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는 도어 개구(3)를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CP2) 및 도어 개구(3)를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O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도어(5)의 후방단에는 메인래치(80)가 장착될 수 있고, 차체(1)에는 메인스트라이커(81)가 고정될 수 있으며, 메인래치(80)가 메인스트라이커(81)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 위치할 때, 아웃사이드핸들(6)의 결합조작을 통해 메인래치(80)가 메인스트라이커(81)를 결합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서 록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 위치할 때, 아웃사이드핸들(6)의 해제조작을 통해 메인래치(80)가 메인스트라이커(81)를 해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슬라이딩모드 또는 스윙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에서 홀드되고 메인래치(80)가 메인스트라이커(81)를 해제할 때, 센터 롤러유닛(23)은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차체(1)의 중간부에 장착된 센터 레일(13) 및 센터 레일(13)을 따라 가이드되는 센터롤러유닛(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터 레일(13)은 도어 개구(3)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센터 롤러유닛(23)은 차량도어(5)의 중간부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특히 센터 롤러유닛(23)은 차량도어(5)의 후방단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센터 롤러유닛(23)은 센터 레일(13)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센터 레일(13)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가이드(91, sliding guide) 및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차량의 실내방향을 향해 연장된 스윙가이드(9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가이드(92)는 벤딩부(93)를 통해 슬라이딩가이드(91)에 대해 일정각도로 벤딩될 수 있고, 벤딩부(93)는 일정반경으로 커브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센터 롤러유닛(23)은 롤러브라켓(101) 및 롤러브라켓(1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105, 106)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브라켓(101)은 차량도어(5)의 중간부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롤러(105, 106)들은 센터 레일(13)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롤러(105) 및 중간롤러(105)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사이드롤러(106)가 롤러브라켓(1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중간롤러(105)의 회전축선은 사이드롤러(106)의 회전축선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은 센터 레일(13)의 상부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차량도어(5)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때, 슬라이딩가이드(91)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가이드(91)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이탈됨을 차단하는 스토퍼벽(9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91)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개방된 실외측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스토퍼벽(95)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실외측 개구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스토퍼벽(95)이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와 면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에 스토퍼벽(95)은 사이드롤러(106)들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스토퍼벽(95)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길이 및 벤딩부(93)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스토퍼벽(95)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스토퍼벽(95)이 슬라이딩가이드(91)의 상부 영역 및 벤딩부(93)의 상부 영역을 폐쇄함으로써 도 13과 같이 센터 롤러유닛(23)은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차량의 실외측를 향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윙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때, 스윙가이드(92)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됨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은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94)가 스윙가이드(92)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할 수 있고, 가이드돌기(94)는 스윙가이드(9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스윙궤적(T1)을 따라 제2폐쇄위치(CP2)로부터 제2개방위치(OP2)를 향해 스윙할 때 도 12과 같이 센터 롤러유닛(23)의 중간롤러(105)가 가이드돌기(94)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91)의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 및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은 차량도어(5)의 스윙궤적(T1)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가이드(91)의 축선(X1) 및 스윙가이드(92)의 축선(X2)은 일정각도(a)로 교차할 수 있고, 특히 슬라이딩가이드(91)의 축선(X1) 및 스윙가이드(92)의 축선(X2) 사이의 교차각(a)은 둔각일 수 있고, 이에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은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센터 레일(13)은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에 따라 스윙할 때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로 수용됨을 허용하는 공간(98)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98)은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과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과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 사이에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98)에 의해, 스윙모드에서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로 수용됨이 방해받지 않는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모드에서 메인래치(80)의 오작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차량도어(5) 또는 스윙가이드(92)의 변형 등이 발생할 경우, 슬라이딩모드에서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차량도어(5)가 슬라이딩모드로 용이하게 개폐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슬라이딩모드에서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스토퍼기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스윙가이드(92)는 상부벽(92a),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벽(92b), 바닥벽(92c),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개방된 실외측 개구(92d), 캐비티(92e)를 포함할 수 있다. 캐티비(92e)는 상부벽(92a), 실내측벽(92b), 바닥벽(92c)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캐티비(92e)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스토퍼기구(110)는 슬라이딩모드에서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의 일부영역(상부영역)를 커버함으로써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됨을 차단하고, 스윙모드에서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를 언커버함으로써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가변스토퍼기구(110)는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제1가변스토퍼(120)와, 제1가변스토퍼(12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2가변스토퍼(130)와, 제1가변스토퍼(120)에 가해지는 힘을 제2가변스토퍼(1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동력전달기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1가변스토퍼(120)는 센터 레일(13)의 벤딩부(93)에 인접한 슬라이딩가이드(91) 및 스윙가이드(92)에 부합하도록 커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가변스토퍼(120)는 센터 레일(13)의 벤딩부(93)에 인접한 슬라이딩가이드(91) 및 스윙가이드(9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변스토퍼(120)는 제1상부벽(121)과,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제1실외측벽(123)과,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개방된 제1실외측 개구(125)와,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제1실내측벽(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벽(121)은 센터 레일(13)의 벤딩부(93)에 인접한 슬라이딩가이드(91) 및 스윙가이드(92)에 대응하도록 커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상부벽(121)은 스윙가이드(92)의 상부벽(92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외측벽(123)은 센터 레일(13)의 스토퍼벽(95)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실외측벽(123)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스토퍼벽(95) 및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외측 개구(125)는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에 정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외측 개구(125)는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제1실외측 개구(125)를 통해 스윙가이드(92) 내로 수용되거나 스윙가이드(9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실외측 개구(125)는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실내측벽(126)은 센터 레일(13)의 벤딩부(93)에 인접한 슬라이딩가이드(91) 및 스윙가이드(92)에 대응하도록 커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실내측벽(123)은 스윙가이드(92)의 실내측벽(92b)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래크(127)가 제1실내측벽(126)의 하단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제1래크(127)는 커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래크(127)는 복수의 래크치형을 가질 수 있다.
제1가변스토퍼(120)는 센터 롤러유닛(23)의 사이드롤러(106)와 접촉가능한 터치벽(12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터치벽(124)은 제1상부벽(121)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치벽(124)은 제1상부벽(121)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2가변스토퍼(130)는 제1가변스토퍼(120)에 중첩되고 제1가변스토퍼(12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가변스토퍼(130)는 센터 레일(13)의 벤딩부(93)에 인접한 슬라이딩가이드(91) 및 스윙가이드(92)에 부합하도록 커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가변스토퍼(120)가 이동함에 따라 제2가변스토퍼(130)는 동력전달기구(150)를 통해 제1가변스토퍼(120)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가변스토퍼(130)는 제1가변스토퍼(120)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가변스토퍼(130)는 제2상부벽(131)과,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제2실외측벽(133)과,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개방된 제2실외측 개구(135)와,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제2실내측벽(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상부벽(131)은 센터 레일(13)의 벤딩부(93)에 인접한 슬라이딩가이드(91) 및 스윙가이드(92)에 대응하도록 커브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상부벽(131)은 제1상부벽(121)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상부벽(131)은 제1상부벽(121)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가변스토퍼(130)가 센터 레일(13)의 벤딩부(93)에 인접한 슬라이딩가이드(91) 및 스윙가이드(9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상부벽(131)은 제1상부벽(12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외측벽(133)은 센터 레일(13)의 스토퍼벽(95) 및 제1실외측벽(123)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실외측벽(133)은 제1실외측벽(123)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실외측벽(133)은 제1실외측벽(123) 및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실외측벽(133)은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를 언커버 내지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실외측벽(133)은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제2실외측벽(133)은 실외측 개구(92d)의 상부영역을 언커버 내지 커버할 수 있다.
제2실외측 개구(135)는 제1실외측 개구(125) 및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에 정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제2실외측 개구(135)는 제1실외측 개구(125)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실외측 개구(135)는 제1실외측 개구(125) 및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23과 같이, 제2실외측 개구(135)가 제1실외측 개구(125) 및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에 정렬될 때,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가 언커버되므로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제2실외측 개구(135)를 통해 스윙가이드(92) 내로 수용되거나 스윙가이드(9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실내측벽(136)은 제1실내측벽(126)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실내측벽(136)은 제1실내측벽(12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래크(137)가 제2실내측벽(136)의 하단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제2래크(137)는 커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래크(137)는 복수의 래크치형을 가질 수 있고, 제2래크(137)는 제1래크(127)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동력전달기구(150)는 제1기어(151)와, 제1기어(151)에 동축적으로 연결된 제2기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151)는 제1가변스토퍼(120)의 제1래크(127)와 치합할 수 있고, 제2기어(152)는 제2가변스토퍼(130)의 제2래크(137)와 치합할 수 있다. 제1기어(151) 및 제2기어(152)는 공통축(154)을 통해 브라켓(15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기어(152)는 제1기어(151)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제1기어(151) 및 제2기어(152)는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기어(151)는 부싱(153)을 통해 브라켓(1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브라켓(155)은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기어(151)는 구동기어일 수 있고, 제2기어(152)는 피동기어일 수 있으며, 제1기어(151)의 직경이 제2기어(152)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제2기어(152) 및 제1기어(151) 사이의 기어비는 1:2 또는 1:3 등과 같은 증속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제2기어(152)는 제1기어(151) 보다 2배 또는 3배 정도로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가변스토퍼(120)가 이동할 때 제2가변스토퍼(130)는 제1가변스토퍼(120) 보다 2배 또는 3배 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로 폐쇄됨에 따라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스윙가이드(92)의 캐비티(92e) 내로 수용될 때(도 16의 화살표 CD 방향 참조), 센터 롤러유닛(23)의 사이드롤러(106)가 제1가변스토퍼(120)의 터치벽(124)을 밀어냄으로써 제1가변스토퍼(120)는 스윙가이드(92)의 단부를 향해 전진할 수 있다(도 16의 화살표 LD 방향 참조). 제1가변스토퍼(120)가 스윙가이드(92)의 단부를 향해 전진할 때 제2가변스토퍼(130)는 동력전달기구(150)에 의해 제1가변스토퍼(120)와 함께 스윙가이드(92)의 단부를 향해 전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변스토퍼(120)가 스윙가이드(92)의 단부를 향해 전진할 때 제1가변스토퍼(120)의 제1래크(127)와 치합하는 제1기어(151)가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기어(152)는 제1기어(151)와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152)는 제1기어(151) 보다 2배 또는 3배로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제2가변스토퍼(130)는 제1가변스토퍼(120) 보다 2배 또는 3배로 빠르게 전진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가변스토퍼(130)가 스윙가이드(92)의 단부를 향해 완전히 전진할 때, 제2가변스토퍼(130)의 제2실외측벽(133)이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의 상부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제2가변스토퍼(130)가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의 일부영역(상부영역)을 커버함으로써 제2가변스토퍼(130)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이 스윙가이드(92)로부터 차량의 외측을 향해 분리됨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가변스토퍼(130)가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의 상부영역을 커버할 때, 차량도어(5)는 슬라이딩모드로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스윙가이드(92)로부터 분리됨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가변스토퍼(130)는 동력전달기구(150)에 의해 제1가변스토퍼(120)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는 커버위치(covering position, 도 17 및 도 24 참조) 및 언커버위치(uncovering position, 도 16 및 도 23참조)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24를 참조하면, 커버위치는 제2실외측벽(133)이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의 일부영역(상부영역)을 커버하는 위치일 수 있고, 도 16 및 도 23을 참조하면, 언커버위치는 제2실외측벽(133)이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의 일부영역(상부영역)을 언커버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가변스토퍼(130)가 커버위치에 위치할 때, 센터 롤러유닛(23)은 슬라이딩모드에서 스윙가이드(92) 및 슬라이딩가이드(9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변스토퍼(130)가 언커버위치에 위치할 때, 센터 롤러유닛(23)은 스윙모드에서 스윙모드에서 스윙가이드(92)로부터 분리되거나 스윙가이드(92)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는 편향부재(170)에 의해 언커버위치로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편향부재(170)는 제1가변스토퍼(120)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도 24와 같이, 제1가변스토퍼(120)가 스윙가이드(92)의 단부를 향해 완전히 전진함에 따라 제2가변스토퍼(130)가 커버위치로 이동할 때 편향부재(170)는 인장될 수 있다. 도 23과 같이, 제1가변스토퍼(120)가 스윙가이드(92)의 단부로부터 언커버위치로 이동할 때 편향부재(170)는 압축될 수 있다.
가변스토퍼기구(110)는 제2가변스토퍼(130)가 커버위치에 유지되도록 제2가변스토퍼(130)를 록킹하도록 구성된 록킹레버(160)를 포함할 수 있고, 록킹레버(160)는 스윙가이드(92)의 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록킹레버(160)는 브라켓(163)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브라켓(163)은 차체 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록킹레버(160)는 케이블(165)을 통해 아웃사이드핸들(6)에 연결될 수 있다. 록킹레버(160)는 그 자유단에 제공된 리텐션돌기(161, retention barb)를 가질 수 있고, 제2가변스토퍼(130)의 제2상부벽(131)은 홈(138)을 가질 수 있으며, 록킹레버(160)의 리텐션돌기(161)가 제2가변스토퍼(130)의 홈(138)에 결합됨으로써 제2가변스토퍼(130)는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 개구(92d)를 커버하는 커버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윙모드에서 아웃사이드핸들(6)을 당김에 따라 차량도어(5)가 차량의 외측을 향해 스윙됨과 동시에 케이블(165)이 당겨짐으로써 록킹레버(160)는 상향으로 피벗할 수 있다. 이에 록킹레버(160)의 리텐션돌기(161)가 제2가변스토퍼(130)의 홈(138)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는 편향부재(170)의 편향부재에 의해 언커버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는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는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 벤딩부(93), 및 슬라이딩가이드(91)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는 스틸와이어 등과 같은 복수의 보강재가 매트릭스(합성수지 재질) 내에 내장된 복합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변스토퍼(120) 및 제2가변스토퍼(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리어도어(5)에 적용됨 것으로 예시되고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리어도어 이외에, 프론트도어 등과 같이 다양한 차량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4)에 적용됨을 예시한다. 도 27은 프론트도어(4)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하고, 도 28은 프론트도어(4)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한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어(5)에 모두 적용됨을 예시한다. 도 29는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어(5)가 모두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하고, 도 30은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어(5)가 모두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체 2: 프론트 개구
3: 리어 개구 4: 프론트도어
5: 리어도어 6: 아웃사이드핸들
11: 어퍼 레일 12: 로어 레일
13: 센터 레일 21: 어퍼 롤러유닛
22: 로어 롤러유닛 23: 센터 롤러유닛
31: 어퍼 홀드록 31a: 제1어퍼스트라이커
31b: 제2어퍼스트라이커 32: 로어 홀드록
32a: 제1로어스트라이커 32b: 제2로어스트라이커
40: 선택기 41: 제1스위치
42: 제2스위치 80: 메인래치
81: 메인스트라이커 91: 슬라이딩가이드
92: 스윙가이드 110: 가변스토퍼기구
120: 제1가변스토퍼 121: 제1상부벽
123: 제1실외측벽 125: 제1실외측 개구
126: 제1실내측벽 127: 제1래크
130: 제2가변스토퍼 131: 제2상부벽
133: 제2실외측벽 135: 제2실외측 개구
136: 제2실내측벽 137: 제2래크
150: 동력전달기구 151: 제1기어
152: 제2기어 160: 록킹레버
170: 편향부재

Claims (16)

  1. 차량도어;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상기 차체의 도어개구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가이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로부터 차량의 실내방향을 향해 벤딩된 스윙가이드;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및 상기 스윙가이드를 따라 가이드되는 센터 롤러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모드에서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스윙모드에서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언커버하도록 구성된 가변스토퍼기구;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가변스토퍼와, 상기 제1가변스토퍼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2가변스토퍼와, 상기 제1가변스토퍼 및 상기 제2가변스토퍼 측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스토퍼는 상기 센터 롤러유닛의 롤러와 접촉가능한 터치벽을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가변스토퍼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가변스토퍼는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제1가변스토퍼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스토퍼는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에 정렬가능한 제1실외측 개구 및 제1실외측벽을 가지고,
    상기 제2가변스토퍼는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 및 상기 제1실외측 개구에 정렬가능한 제2실외측 개구 및 제2실외측벽을 가지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스토퍼 및 상기 제2가변스토퍼는 상기 제2실외측벽이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위치 및 상기 제2실외측벽이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를 언커버하는 언커버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스토퍼 및 상기 제2가변스토퍼는 편향부재에 의해 언커버위치로 편향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가변스토퍼의 제2실외측벽이 커버위치에 유지되도록 제2가변스토퍼를 록킹하도록 구성된 록킹레버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스토퍼의 길이는 상기 제1가변스토퍼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실외측 개구는 상기 스윙가이드의 실외측 개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실외측 개구는 상기 제1실외측 개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스토퍼는 제1래크를 가지며, 상기 제2가변스토퍼는 제2래크를 가지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1래크와 치합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래크와 치합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는 단일체를 형성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2기어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래크는 상기 제1래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 및 상기 제1기어 사이의 기어비는 증속비로 이루어지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스토퍼 및 상기 제2가변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및 상기 스윙가이드에 부합하도록 커브진 차량도어 개폐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및 상기 스윙가이드는 센터 레일을 형성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KR1020200121747A 2020-09-21 2020-09-21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20039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47A KR20220039092A (ko) 2020-09-21 2020-09-21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7/306,164 US11572726B2 (en) 2020-09-21 2021-05-03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N202110541611.7A CN114251045A (zh) 2020-09-21 2021-05-18 车门打开和关闭设备
DE102021113149.9A DE102021113149A1 (de) 2020-09-21 2021-05-20 Fahrzeugtüröffnungs- und schliess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47A KR20220039092A (ko) 2020-09-21 2020-09-21 차량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092A true KR20220039092A (ko) 2022-03-29

Family

ID=8047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747A KR20220039092A (ko) 2020-09-21 2020-09-21 차량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72726B2 (ko)
KR (1) KR20220039092A (ko)
CN (1) CN114251045A (ko)
DE (1) DE102021113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6053B2 (ja) * 2016-09-30 2021-02-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ラッチ装置
KR102644311B1 (ko) * 2018-12-12 202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US11808065B2 (en) * 2019-11-07 2023-11-07 Hyundai Motor Company Sliding/swing composite door for vehicle
KR20210057616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102692335B1 (ko) * 2019-12-05 202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1745568B2 (en) * 2019-12-05 2023-09-0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20210073385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3384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EP3859108B1 (en) * 2020-01-31 2024-04-03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Roller assembly for a sliding vehicle door
JP7574676B2 (ja) * 2021-02-03 2024-10-29 株式会社アイシン カバー装置
JP7263418B2 (ja) * 2021-03-12 2023-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構造
JP2023005271A (ja) * 2021-06-28 2023-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US12000186B1 (en) * 2021-10-11 2024-06-04 Zoox, Inc. Three-point door closure mechanism with passive latch
US12104422B1 (en) 2021-10-11 2024-10-01 Zoox, Inc. Multi-carriage door actuator mechanism
KR20230150101A (ko) * 2022-04-21 202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4076B2 (ja) * 2009-08-27 2014-12-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ドア構造
JP6156420B2 (ja) * 2015-03-19 2017-07-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ドア構造
US9637968B2 (en) * 2015-06-03 2017-05-02 Honda Motor Co., Ltd. Center roller assembly for a vehicle slide door
US10518616B2 (en) * 2017-07-31 2019-12-31 Riad M. Houmani Sliding and pivoting door combination assembly for a vehicle
US10494847B1 (en) * 2017-10-10 2019-12-03 Steven Phillip Extendable track cover for a sliding door
KR20210057616A (ko)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0427A1 (en) 2022-03-24
DE102021113149A1 (de) 2022-03-24
US11572726B2 (en) 2023-02-07
CN114251045A (zh)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9092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57616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1781367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11643860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2692335B1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20039093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102681712B1 (ko) 차량도어용 링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1987106B2 (en) Vehicle door check mechanism and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745568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EP3115529B1 (en) Vehicle door look control
US11512515B2 (en) Hold lock mechanism for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150627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US20070138813A1 (en) Hold-open lock structure of sliding door
US20230340829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2727130B1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CN116971678A (zh) 车门打开和关闭装置
US12139942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20230340808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9980050188A (ko) 자동차의 트렁크 및 연료도어 열림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