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508A - 방수막과 이것을 구비하는 방수 부재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방수막과 이것을 구비하는 방수 부재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5508A KR20220005508A KR1020217038165A KR20217038165A KR20220005508A KR 20220005508 A KR20220005508 A KR 20220005508A KR 1020217038165 A KR1020217038165 A KR 1020217038165A KR 20217038165 A KR20217038165 A KR 20217038165A KR 20220005508 A KR20220005508 A KR 202200055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proofing
- membrane
- sound
- less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9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0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2982 microporous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93 chemical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12 dispers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NRUBQQJIBEYMU-UHFFFAOYSA-N do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 SNRUBQQJIBEY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38 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40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8 extruded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4933 n-dodeca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464 silicon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방수막은,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이 5.0dB 이하이고,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이 5.0dB 이하이다. 본 개시의 방수막에 의하면, 소리의 투과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에도 대응 가능하다. 본 개시의 방수 부재는, 상기 본 발명의 방수막과, 상기 방수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수막과, 방수막을 구비하는 방수 부재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는, 소리나 기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를 비롯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휴대 전화, 및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는, 음성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등의 음성 변환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음성 변환부와 외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는, 통상, 개구(외부 통음구)가 마련되어 있고, 음성 변환부는, 당해 개구를 통한 음성 변환부와 외부 사이의 소리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의 해소 등을 목적으로 하는 개구(통기구)가 하우징에 마련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내부로의 물의 침입은 방지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막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상기 개구를 통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특허문헌 1, 2에는, 방수막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PTFE」라 기재함) 다공질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의 방수막은, 외부 통음구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전형례로 하여, 음성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의 다양화 및 소형화가 점점 진행되고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방수막에 있어서의 소리의 투과 영역(통음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가 부득이하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특허문헌 1, 2에서는, 이 점에 대하여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소리의 투과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에도 대응 가능한 방수막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리의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이 5.0dB 이하이고,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이 5.0dB 이하인, 방수막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방수막과,
상기 방수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방수 부재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상기 개구를 통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및/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에 설치된 상기 본 발명의 방수막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의 투과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에도 대응 가능한 방수막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수막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방수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방수막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도 2a의 방수 부재에 있어서의 지지체(2)가 배치된 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막을 전자 기기에 배치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막을 전자 기기에 배치한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방수막에 대한 최대 속도 Vmax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방수막에 대한 통음 특성(삽입 손실)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방수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방수막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도 2a의 방수 부재에 있어서의 지지체(2)가 배치된 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막을 전자 기기에 배치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막을 전자 기기에 배치한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방수막에 대한 최대 속도 Vmax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방수막에 대한 통음 특성(삽입 손실)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수막]
본 발명의 방수막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의 방수막(1)은, 방수막(1)에 있어서의 소리의 투과 영역(통음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이 5.0dB 이하이며, 또한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이 5.0dB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수막(1)에 있어서의 소리의 투과 영역이란, 대상물(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에 방수막(1)을 배치한 상태를 상정하였을 때, 방수막(1)에 있어서 소리가 주로 투과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투과 영역은, 전형적으로는,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방수막(1)을 배치해야 할 표면에 대한 방수막(1)의 접합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접합부(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정할 수 있다. 단, 방수막(1)의 양쪽의 주면이 각각의 상기 배치해야 할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 즉, 방수막(1)의 양쪽의 주면이 각각 접합부를 갖고 있는 경우이며, 한쪽의 주면과 다른 쪽의 주면 사이에서 접합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이 상이할 때는, 작은 쪽의 당해 면적을 투과 영역의 면적으로 한다. 또한,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투과 영역의 형상이 원인 경우, 1.3㎟의 상기 면적은, 원의 직경이 1.3㎜인 투과 영역의 면적에 대응한다.
종래, 방수막의 통음 특성(예를 들어 삽입 손실)은, 방수막을 배치하는 전자 기기가 주로 휴대 전화이며, 전화기로서의 통화 특성의 확보에 중점이 놓여 있었기 때문에, 사람의 발성 영역의 중앙값으로 생각되는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평가가 주로 계속해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한층 더한 축소를 상정한 투과 영역의 면적으로 한 경우에,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통음 특성의 변화가 그다지 보이지 않는 한편, 고음역의 소리, 전형적으로는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통음 특성이 크게 저하되는 경향이 있음이 판명되었다. 음성 기능을 구비하는 근년의 전자 기기에서는, 동화상이나 음악을 고품질로 재생·수록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도 많고, 투과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에도 대응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음역에 있어서의 통음 특성의 확보가 중요해진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막에서는, 상기 한층 더한 축소를 상정한 투과 영역의 면적인 1.3㎟에 있어서,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 및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의 양쪽이, 소정의 값 이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막은, 투과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의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방수막(1)의 삽입 손실(이하, 「삽입 손실 IL1.3/1㎑」라 기재함)은, 4.0dB 이하, 3.5dB 이하, 3.1dB 이하, 2.7dB 이하, 나아가 2.0dB 이하여도 된다. 또한,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의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방수막(1)의 삽입 손실(이하, 「삽입 손실 IL1.3/10㎑」라 기재함)은, 4.5dB 이하, 4.0dB 이하, 3.6dB 이하, 3.0dB 이하, 나아가 2.5dB 이하여도 된다. 방수막(1)은, 상기 삽입 손실 IL1.3/1㎑의 바람직한 범위와, 상기 삽입 손실 IL1.3/10㎑의 바람직한 범위를, 임의의 조합으로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투과 영역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방수막의 통음 특성은, 통상, 저하되지만(삽입 손실은, 통상 증가되지만), 방수막(1)은, 투과 영역을 1.3㎟로부터 더 축소시킨 경우에도 양호한 통음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투과 영역의 면적이 0.79㎟일 때의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방수막(1)의 삽입 손실(이하, 「삽입 손실 IL0.79/1㎑」라 기재함)은, 예를 들어 8.5dB 이하이고, 8.2dB 이하, 6.0dB 이하, 5.1dB 이하, 4.0dB 이하, 나아가 3.0dB 이하여도 된다. 또한, 투과 영역의 면적이 0.79㎟일 때의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방수막(1)의 삽입 손실(이하, 「삽입 손실 IL0.79/10㎑」라 기재함)은, 예를 들어 8.0dB 미만이고, 7.5dB 이하, 7.0dB 이하, 6.5dB 이하, 6.0dB 이하, 5.6dB 이하, 5.0dB 이하, 나아가 4.6dB 이하여도 된다. 방수막(1)은, 상기 삽입 손실 IL0.79/1㎑의 바람직한 범위와, 상기 삽입 손실 IL0.79/10㎑의 바람직한 범위를, 임의의 조합으로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투과 영역의 형상이 원인 경우, 0.79㎟의 상기 면적은, 원의 직경이 1.0㎜인 투과 영역의 면적에 대응한다.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 주파수 200㎐ 이상 10㎑ 이하의 범위의 소리에 대한 방수막(1)의 최대의 삽입 손실 IL1.3/max와 최소의 삽입 손실 IL1.3/min의 차 IL1.3/max-IL1.3/min은, 예를 들어 5.0dB 이하이고, 4.2dB 이하, 4.0dB 이하, 3.0dB 이하, 2.0dB 이하, 1.5dB 이하, 1.0dB 이하, 나아가 0.5dB 이하여도 된다. 또한, 투과 영역의 면적이 0.79㎟일 때, 주파수 200㎐ 이상 10㎑ 이하의 범위의 소리에 대한 방수막(1)의 최대의 삽입 손실 IL0.79/max와 최소의 삽입 손실 IL0.79/min의 차 IL0.79/max-IL0.79/min은, 예를 들어 7.0dB 이하이고, 6.0dB 이하, 5.6dB 이하, 5.0dB 이하, 4.0dB 이하, 3.6dB 이하, 3.0dB 이하, 2.5dB 이하, 2.0dB 이하, 1.0dB 이하, 나아가 0.5dB 이하여도 된다. 주파수 200㎐ 이상 10㎑ 이하의 범위의 소리에 대한 최대의 삽입 손실 ILmax와 ILmin의 차 ILmax-ILmin이 작을수록, 방수막(1)은 넓은 음역에 걸쳐 플랫한 통음 특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 IL1.3/max-IL1.3/min 및/또는 차 IL0.79/max-IL0.79/min이 이들 범위에 있는 방수막(1)은, 투과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가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넓은 음역에 걸쳐 플랫한 통음 특성을 갖고 있고, 이 점에서, 투과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에도 보다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다.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 주파수 100㎐ 내지 10㎑의 소리의 투과 시에 있어서의 방수막(1)의 면외 방향으로의 진동의 최대 속도 Vmax(이하, 간단히 「최대 속도 Vmax」라 기재함)는, 예를 들어 100㎛/초 이상이며, 110㎛/초 이상, 120㎛/초 이상, 200㎛/초 이상, 300㎛/초 이상, 400㎛/초 이상, 500㎛/초 이상, 600㎛/초 이상, 700㎛/초 이상, 나아가 800㎛/초 이상이어도 된다. 최대 속도 Vmax의 상한은, 예를 들어 1300㎛/초 이하이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방수막에 있어서의 고음역의 소리(전형적으로는 주파수 10㎑의 소리)의 투과에는, 방수막에 대한 종래의 평가 기준이었던 주파수 1㎑의 소리, 및 당해 소리를 포함하는 중저음 영역의 소리(전형적으로는 주파수 8㎑ 이하의 소리)의 투과와는 달리, 투과 시에 발생하는 당해 막의 진동 상태가 특히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속도 Vmax가 클수록,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통음 특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최대 속도 Vmax의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방수막(1)에 의하면, 투과 영역의 한층 더한 축소에도 보다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다. 방수막(1)의 최대 속도 Vmax는, 비접촉식의 진동계인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방수막(1)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일본 공업 규격(이하, 「JIS」라 기재함) L1096:2010에 정해진 통기성 측정 A법(프래질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프래질 통기도에 의해 나타내어, 3.0㎤/(㎠·초)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초) 이하, 2.2㎤/(㎠·초) 이하, 2.0㎤/(㎠·초) 이하, 1.8㎤/(㎠·초) 이하, 1.6㎤/(㎠·초) 이하, 1.0㎤/(㎠·초) 이하, 0.8㎤/(㎠·초) 이하, 0.5㎤/(㎠·초) 이하, 나아가 0.3㎤/(㎠·초)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방수막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프래질 통기도에 의해 나타내어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당해 막의 최대 속도 Vmax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투과 영역의 면적이 더 축소된 경우에 있어서도, 고음역에 있어서의 통음 특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방수막(1)의 사이즈가, 프래질형법에 있어서의 시험편의 사이즈(약 200㎜×200㎜)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측정 에어리어의 면적을 제한하는 측정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방수막(1)에 대한 프래질 통기도의 평가가 가능하다. 측정 지그의 일례는, 원하는 측정 에어리어의 면적에 대응한 단면적을 갖는 관통 구멍이 중앙에 형성된 수지판이다. 예를 들어, 1㎜ 또는 이것 미만의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는 관통 구멍이 중앙에 형성된 측정 지그를 사용할 수 있다.
방수막(1)의 내수압은, 예를 들어 80kPa 이상이다. 방수막(1)의 내수압은, 100kPa 이상, 150kPa 이상, 180kPa 이상, 200kPa 이상, 230kPa 이상, 250kPa 이상, 나아가 270kPa 이상이어도 된다. 내수압의 상한은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3000kPa 이하이다. 방수막(1)의 내수압은, 측정 지그를 사용하고, JIS L1092:2009의 내수도 시험 A법(저수압법) 또는 B법(고수압법)에 준거하여,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지그의 일례는, 직경 1㎜의 관통 구멍(원형의 단면을 가짐)이 중앙에 마련된, 직경 47㎜의 스테인리스제 원판이다. 이 원판은, 내수압을 측정할 때에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두께를 갖는다. 이 측정 지그를 사용한 내수압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측정 지그의 관통 구멍의 개구를 덮도록, 측정 지그의 한쪽의 면에 평가 대상인 방수막(1)을 고정한다. 고정은, 내수압의 측정 중, 막의 고정 부분으로부터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행한다. 방수막(1)의 고정에는, 개구의 형상과 일치한 형상을 갖는 통수구가 중심부에 펀칭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는, 통수구의 둘레와 개구의 둘레가 일치하도록 측정 지그와 방수막(1) 사이에 배치하면 된다. 다음에, 방수막(1)을 고정한 측정 지그를, 방수막(1)의 고정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측정 시의 수압 인가면이 되도록 시험 장치에 세트하고, JIS L1092:2009의 내수도 시험 A법(저수압법) 또는 B법(고수압법)에 따라서 내수압을 측정한다. 단, 내수압은, 방수막(1)의 막면의 1개소로부터 물이 나왔을 때의 수압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측정한 내수압을, 방수막(1)의 내수압으로 할 수 있다. 시험 장치에는, JIS L1092:2009에 예시되어 있는 내수도 시험 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측정 지그를 세트 가능한 시험편 설치 구조를 갖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방수막(1)의 면밀도는, 예를 들어 1 내지 30g/㎡이다. 면밀도의 상한은, 20g/㎡ 이하, 15g/㎡ 이하, 10g/㎡ 이하, 나아가 5g/㎡ 이하여도 된다. 면밀도의 하한은, 2g/㎡ 이상이어도 된다. 면밀도는, 방수막(1)의 질량을 면적(주면의 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방수막(1)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내지 30㎛이다. 두께의 상한은, 25㎛ 이하, 20㎛ 이하, 나아가 15㎛ 이하여도 된다. 두께의 하한은, 5㎛ 이상이어도 된다.
방수막(1)은, 상술한 두께 방향의 통기도의 범위, 내수압의 범위, 면밀도의 범위, 및 두께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종류의 범위를 임의의 조합으로 만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방수막(1)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이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단, 방수막(1)을 구성하는 수지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수막(1)의 재료로서는, PTFE가 적합하다. PTFE에 의해 구성되는 막(PTFE막)은, 질량과 강도의 밸런스가 양호하다.
방수막(1)은, 다공질막이어도 된다. PTFE막은, PTFE 입자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압출물 또는 캐스트막을 연신하여 형성한 다공질막(PTFE 다공질막)이어도 된다.
방수막(1)을 배치한 전자 기기가 높은 수압에 노출되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 방수막(1)은, 미다공막 또는 무공막이어도 된다. 미다공막 및 무공막은, 높은 내수압을 가질 수 있음과 함께, 수압에 의한 변형의 정도가 작다. 미다공막은, PTFE에 의해 구성되는 PTFE 미다공막이어도 된다. 무공막은, PTFE에 의해 구성되는 PTFE 무공막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다공막은,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JIS L1096:2010에 정해진 통기성 측정 B법(걸리형법)에 준거하여 구한 공기 투과도(걸리 통기도)에 의해 나타내어, 10초/100mL 이상 1만초/100mL 이하인 막을 의미한다. 미다공막에 있어서의 걸리 통기도의 하한은 20초/100mL 이상, 30초/100mL 이상, 40초/100mL 이상, 50초/100mL 이상, 나아가 70초/100mL 이상이어도 된다. 미다공막에 있어서의 걸리 통기도의 상한은, 5000초/100mL 이하, 1000초/100mL 이하, 나아가 300초/100mL 이하여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공막은,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상기 걸리 통기도에 의해 나타내어 1만초/100mL를 초과하는 막을 의미한다. 다공질막의 두께 방향의 통기도는, 통상, 상기 걸리 통기도에 의해 나타내어, 10초/100mL 미만이다.
또한, 방수막(1)의 사이즈가, 걸리형법에 있어서의 시험편의 사이즈(약 50㎜×50㎜)에 미치지 못한 경우에도, 측정 지그의 사용에 의해, 걸리 통기도의 평가가 가능하다. 측정 지그의 일례는, 관통 구멍(직경 1㎜ 또는 2㎜의 원형의 단면을 가짐)이 중앙에 마련된, 두께 2㎜ 및 직경 47㎜의 폴리카르보네이트제 원판이다. 이 측정 지그를 사용한 걸리 통기도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측정 지그의 관통 구멍의 개구를 덮도록, 측정 지그의 한쪽의 면에 평가 대상인 방수막(1)을 고정한다. 고정은, 걸리 통기도의 측정 중, 개구 및 평가 대상인 방수막(1)의 유효 시험부(고정한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개구와 중복되는 부분)만을 공기가 통과하고, 또한 방수막(1)의 유효 시험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통과를 고정 부분이 저해하지 않도록 행한다. 방수막(1)의 고정에는, 개구의 형상과 일치한 형상을 갖는 통기구가 중심부에 펀칭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는, 통기구의 둘레와 개구의 둘레가 일치하도록 측정 지그와 방수막(1) 사이에 배치하면 된다. 다음에, 방수막(1)을 고정한 측정 지그를, 방수막(1)의 고정면이 측정 시의 공기류의 하류측이 되도록 걸리형 통기성 시험기에 세트하고, 100mL의 공기가 방수막(1)을 통과하는 시간 t1을 측정한다. 다음에, 측정한 시간 t1을, JIS L1096:2010의 통기성 측정 B법(걸리형법)에 정해진 유효 시험 면적 642[㎟]당의 값 t로, 식 t={(t1)×(방수막의 유효 시험부의 면적[㎟])/642 [㎟]}에 의해 환산하고, 얻어진 환산값 t를, 방수막(1)의 걸리 통기도로 할 수 있다. 상기 원판을 측정 지그로서 사용하는 경우, 방수막(1)의 유효 시험부의 면적은, 관통 구멍의 단면의 면적이다. 또한, 상기 시험편의 사이즈를 만족시키는 방수막(1)에 대하여 측정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한 걸리 통기도와, 당해 방수막(1)을 세편화한 후, 측정 지그를 사용하여 측정한 걸리 통기도가 잘 일치하는, 즉, 측정 지그의 사용이 걸리 통기도의 측정값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수중에서의 전자 기기의 사용 또는 장착 등에 의해 하우징의 온도가 저하되었을 때, 하우징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결로의 발생은, 하우징의 내부에 체류하는 수증기의 양을 저감시킴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방수막(1)이 무공막, 예를 들어 PTFE 무공막인 경우, 방수막(1)을 통한 하우징의 내부로의 수증기의 침입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방수막(1)으로서 무공막을 선택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체류하는 수증기의 양을 저감할 수 있어,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방수막(1)을 통한 하우징의 내부로의 수증기의 침입이 없더라도,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의 수증기의 체류를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PC) 등의 흡습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하우징이 구성되는 경우이다. 흡습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구성된 하우징에서는, 하우징 자신이 흡수한 외부의 수증기가, 하우징 내의 열원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로 방출되어, 그대로 체류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체류한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 가능한 방수막(1)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 가능한 방수막(1)의 일례는, 다공질막 또는 미다공막, 예를 들어 PTFE 다공질막 또는 PTFE 미다공막이다. 방수막(1)이 다공질막 또는 미다공막이면, 체류한 수증기를 방수막(1)의 적당한 통기성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막(1)이 미다공막이면, 높은 방수성이 더욱 기대된다.
방수막(1), 예를 들어 PTFE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0.01 내지 1㎛여도 된다. 평균 구멍 직경의 상한은, 0.85㎛ 이하, 0.75㎛ 이하, 0.5㎛ 이하, 0.4㎛ 이하, 0.3㎛ 이하, 나아가 0.2㎛ 이하여도 된다. 방수막(1), 예를 들어 PTFE막의 최대 구멍 직경은, 0.01 내지 3㎛여도 된다. 최대 구멍 직경의 상한은, 1.0㎛ 이하, 0.8㎛ 이하, 0.5㎛ 이하, 나아가 0.25㎛ 이하여도 된다. 방수막(1), 예를 들어 PTFE막에 있어서의 평균 구멍 직경에 대한 최대 구멍 직경의 비는, 2 이하여도 되고, 1.8 이하, 1.6 이하, 1.4 이하, 1.3 이하, 나아가 1.2 이하여도 된다. 평균 구멍 직경에 대한 최대 구멍 직경의 비가 2 이하인 방수막(1)의 막 구조는, 높은 균질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때문에, 투과 영역을 축소한 경우에 있어서도, 개구를 폐쇄하도록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특성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최대 속도 Vmax의 한층 더한 향상이 기대된다. 방수막(1)의 평균 구멍 직경 및 최대 구멍 직경은, ASTM(미국 시험 재료 협회) F316-86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방수막(1), 예를 들어 PTFE막의 기공률은, 1 내지 99%여도 된다. 기공률의 상한은,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0% 이하, 나아가 50% 이하여도 된다. 기공률의 하한은,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나아가 20% 이상이어도 된다. 방수막(1)의 기공률은, 당해 막의 질량, 두께, 면적(주면의 면적) 및 진밀도를 하기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PTFE의 진밀도는 2.18g/㎤이다.
식: 기공률(%)={1-(질량[g]/(두께[cm]×면적[㎠]×진밀도[g/㎤]))}×100
방수막(1), 예를 들어 PTFE막의 비표면적은, 6㎡/g 이상이어도 되고, 10㎡/g 이상, 30㎡/g 이상, 50㎡/g 이상, 나아가 75㎡/g 이상이어도 된다. 비표면적의 상한은, 예를 들어 200㎡/g 이하이다. 비표면적이 8㎡/g 이상인 방수막(1)의 막 구조는, 치밀하면서도 미세한 세공이 전체에 균질하게 분포된 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최대 속도 Vmax의 한층 더한 향상이 기대된다. 방수막(1)의 비표면적은, ASTM F316-86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방수막(1)이 PTFE 다공질막 또는 PTFE 미다공막인 경우, 당해 막(1)은, 무수한 PTFE의 미세 섬유(피브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당해 막(1)은, 복수의 피브릴이 접속된 PTFE의 응집 부분(노드)을 가질 수 있다. 피브릴 및 노드는, 전형적으로는, PTFE의 응집체인 PTFE 시트의 연신에 의해 형성된다. 방수막(1)에 있어서의 평균 피브릴 직경은, 예를 들어 0.2㎛ 이하이고, 0.16㎛ 이하, 0.1㎛ 이하, 나아가 0.075㎛ 이하여도 된다. 평균 피브릴 직경의 하한은, 예를 들어 0.02㎛ 이상이다. 또한, 방수막(1)에 있어서의 평균 노드간 거리는, 예를 들어 10㎛ 이하이고, 7.5㎛ 이하, 5㎛ 이하, 2.5㎛ 이하, 나아가 1.5㎛ 이하여도 된다. 평균 노드간 거리의 하한은, 예를 들어 0.1㎛ 이상이다. 평균 피브릴 직경 및 평균 노드간 거리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등을 사용하여 얻은 방수막(1)의 표면 및/또는 단면에 대한 확대 관찰상의 해석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0개소 이상의 측정 포인트에 있어서 평가한 측정값의 평균값을, 평균 피브릴 직경 및 평균 노드간 거리로 한다.
방수막(1)은 단층의 막이어도, 2 이상의 막의 적층체여도 된다. 방수막(1)은, 단층의 PTFE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2 이상의 PTFE막의 적층체여도 된다.
방수막(1)은 착색된 막이어도 된다. 방수막(1)은, 예를 들어 회색 또는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회색 또는 흑색의 방수막(1)은, 예를 들어 막을 구성하는 재료에 회색 또는 흑색의 착색제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흑색의 착색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이다. 또한, JIS Z8721:1993에 정해진 「무채색의 명도 NV」에 의해 나타내어 1 내지 4의 범위에 있는 색을 「흑색」으로, 5 내지 8의 범위에 있는 색을 「회색」으로, 각각 정할 수 있다.
방수막(1)은, 발수 처리, 발유 처리, 또는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발액 처리는, 방수막(1)에 대하여 발수성 및 발유성의 양쪽의 특성을 부여하는 처리이다. 또한, 방수막(1), 특히 PTFE막을 포함하는 방수막(1)에서는, 그 표면에 대하여, 스퍼터링 처리 등의 물리 처리, 혹은 나트륨 처리 등의 화학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처리면에 있어서의 피점착성, 피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방수막(1)의 형상은,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예를 들어 원(대략 원을 포함함), 타원(대략 타원을 포함함),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이다. 다각형의 모서리는 둥글게 되어 있어도 된다. 단, 방수막(1)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수막(1)은, 실제로 사용되는 형상으로 유통시키는 것도, 띠상의 막의 권회체로서 유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 사용되는 형상으로 유통시키는 경우, 당해 형상을 갖는 방수막(1)을 베이스 필름 상에 1 또는 2 이상 배치한 매엽으로서 유통시켜도 된다.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의 방수막(1)을 배치하는 면은, 점착성을 갖는 면이어도 된다. 권회체인 방수막(1)은, 예를 들어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 가공된 후, 사용된다.
방수막(1)은, 예를 들어 전기 신호와 소리의 변환을 행하는 음성 변환부가 수용되고, 음성 변환부와 외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개구(외부 통음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대하여,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상기 개구를 통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우징 및/또는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수막(1)은, 전형적으로는, 개구와 당해 개구에 대응하는 음성 변환부 사이의 소리의 전달 경로에 배치된다. 개구를 폐색하도록 방수막(1)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개구는, 음성 변환부와 하우징의 외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는, 예를 들어 음성 변환부이다. 음성 변환부가 갖는 통음구를 폐색하도록 방수막(1)을 설치해도 된다. 단, 방수막(1)의 배치의 양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또한, 방수막(1)을 배치할 수 있는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수막(1)의 당해 배치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한 음성 변환부와 외부 사이의 소리의 전달을 허용하면서, 상기 개구를 통한 하우징의 내부 및/또는 음성 변환부로의 외부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방수막(1)의 용도는, 이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음성 변환부는, 전형적으로는, 마이크로폰, 스피커, 그리고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의 양쪽 기능을 갖는 전기 음향 변환기이다.
방수막(1)의 형성 방법의 예를, 방수막(1)이 PTFE막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PTFE 다공질막인 방수막(1)은, 예를 들어 미소성의 PTFE 분말과 액상 윤활제의 혼화물을 압출 및/또는 압연 등의 방법에 의해 시트로 성형하고, 얻어진 미소성의 PTFE 시트로부터의 액상 윤활제의 제거와, PTFE 시트에 대한 연신에 의한 다공질화를 실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연신은, PTFE 시트의 MD 방향(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과, TD 방향(폭 방향)에 대한 연신이 조합된 다단 연신이어도 된다. 미소성의 PTFE 시트를 형성한 후, PTFE의 융점 이상의 분위기 하에서의 당해 시트에 대한 처리를 실시하여 PTFE를 소성해도 되고, 이 경우, 소성된 막인 PTFE 다공질막이 얻어진다. 상기 처리에는, 다공질화를 위한 연신이 포함된다. 액상 윤활제는, PTFE 입자의 표면을 적실 수 있음과 함께, 후에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나프타, 화이트 오일, 유동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소성」이란, PTFE의 성형체에 대하여 PTFE의 융점인 327℃ 이상의 분위기 하에 있어서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PTFE 미다공막인 방수막(1)은, 예를 들어 PTFE 다공질막의 형성을 위해 얻은 상기 미소성의 PTFE 시트로부터 액상 윤활제를 제거하고, 소정의 면내 방향(전형적으로는 MD 방향)으로 당해 시트를 압연한 후, 다른 면내 방향(전형적으로는 TD 방향)으로 미다공화를 위한 연신을 실시하여 형성할 수 있다.
PTFE 무공막인 방수막(1)은, 예를 들어 캐스트법, 스카이브법 등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형성한 PTFE 시트를 압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방수 부재]
본 발명의 방수 부재의 일례를,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방수 부재(11)는, 방수막(1)과, 방수막(1)에 접합된 지지체(2)를 구비한다. 도 2b에는,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도 2a의 방수 부재(11)에 있어서의 지지체(2)가 배치된 측의 면이 도시되어 있다. 방수 부재(11)에서는, 지지체(2)의 접합에 의해 방수막(1)이 보강됨과 함께, 방수 부재(11)로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방수 부재(11)에서는, 지지체(2)를 하우징의 내면이나 음성 변환부의 표면과 같은 방수막(1)이 배치되는 부분에 대한 설치 여유로 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방수막(1)의 형상은, 당해 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원이다. 단, 방수막(1)의 형상이 이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지지체(2)는,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방수막(1)의 주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지지체(2)의 형상은, 구체적으로는, 링 형상이다. 지지체(2)는, 방수막(1)의 상기 주연부에 접합되어 있다. 당해 형태에 의하면, 방수막(1)의 투과 영역의 면적을 가능한 한 확보하면서 방수 부재(1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수 부재(11)에서는,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방수막(1)에 있어서의 지지체(2)와의 접합부(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정해지는 방수 부재(11)의 투과 영역(통음 영역)(4)의 면적이 1.3㎟ 이하여도 되고, 나아가 0.79㎟ 이하여도 된다. 방수막(1)을 구비하는 방수 부재(11)는, 투과 영역(4)의 면적이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고음역의 소리, 예를 들어 10㎑의 소리에 대한 양호한 통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방수 부재(11)는, 투과 영역(4)의 한층 더한 축소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방수막(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투과 영역(4)의 형상이 원인 경우, 1.3㎟ 및 0.79㎟의 면적은, 각각 원의 직경이 1.3㎜ 및 1.0㎜인 투과 영역(4)의 면적에 대응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방수 부재(11)는 1개의 지지체(2)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1개의 지지체(2)는, 방수막(1)의 한쪽의 주면에 접합되어 있다. 방수 부재(11)는 2 이상의 지지체(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방수막(1)의 양쪽 주면에 대하여 각각 지지체(2)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양쪽의 주면간에서 투과 영역(4)의 면적이 다를 때는, 작은 쪽의 당해 면적을 방수 부재(11)의 투과 영역(4)의 면적으로 할 수 있다.
방수 부재(11)는, 방수막(1)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방수막(1)이 가질 수 있는 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체(2)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및 이들의 복합 재료이다.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및 이들의 복합재이다. 금속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과 같은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이다. 지지체(2)는, 수지의 발포체(폼)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체(2)는 양면 점착 테이프여도 된다. 양면 점착 테이프인 지지체(2)를 고정 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배치해야 할 표면에 대하여 방수막(1) 및 방수 부재(11)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방수막(1) 및 방수 부재(11)에 의해 가져와지는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지지체(2)를 구성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는, 공지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기재는, 예를 들어 수지의 필름, 부직포 또는 폼이다. 기재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는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이미드이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각종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방수막(1) 및/또는 상기 배치해야 할 표면에 대한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점착제층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면 점착 테이프는, 열 접착 테이프여도 된다. 양면 점착 테이프는, 기재를 갖지 않는, 무 기재의 양면 점착 테이프여도 된다.
지지체(2)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500㎛이며, 25 내지 200㎛여도 된다. 또한, 방수막(1)의 주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지지체(2)의 폭은, 설치 여유로서의 기능에 주목하면, 0.5 내지 2㎜ 정도여도 된다.
방수막(1)과 지지체(2)의 접합에는, 예를 들어 가열 용착 및 초음파 용착과 같은 각종 용착법;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에 의한 접착;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 등의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인 지지체(2)에서는, 그 점착제층에 의해, 지지체(2)와 방수막(1)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단, 방수막(1)과 지지체(2)를 접합하는 방법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수 부재(11)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와 소리의 변환을 행하는 음성 변환부가 수용되고, 음성 변환부와 외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개구(외부 통음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대하여,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상기 개구를 통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우징 및/또는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수 부재(11)는, 전형적으로는, 개구와 당해 개구에 대응하는 음성 변환부 사이의 소리 전달 경로에 배치된다. 개구를 폐색하도록 방수 부재(11)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개구는, 음성 변환부와 하우징의 외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는, 예를 들어 음성 변환부이다. 음성 변환부가 갖는 통음구를 폐색하도록 방수 부재(11)를 설치해도 된다. 단, 방수 부재(11)의 배치의 양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또한, 방수 부재(11)를 배치할 수 있는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지체(2)가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경우, 방수 부재(11)를 배치해야 할 표면에 대한 당해 부재(11)의 고정에 지지체(2)의 점착제층을 이용해도 된다. 방수 부재(11)의 당해 배치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한 음성 변환부와 외부 사이의 소리의 전달을 허용하면서, 상기 개구를 통한 하우징의 내부 및/또는 음성 변환부로의 외부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방수 부재(11)의 용도는, 이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 기기에 대한 방수막 및/또는 방수 부재의 배치]
전자 기기에 방수막(1)을 배치한 상태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전자 기기의 하우징(51)의 내부에 방수막(1)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51)에는, 음성 변환부인 전기 음향 변환기(53)가 수용됨과 함께, 전기 음향 변환기(53)와 하우징(51)의 외부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개구(외부 통음구)(52)가 마련되어 있다. 전기 음향 변환기(53)는, 그 하나의 표면(56)에 통음구(54)를 갖고 있다. 개구(52)와 통음구(54)는, 하우징(51)의 외부와 전기 음향 변환기(53) 사이에서 소리가 전달 가능한 위치 관계에 있고,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하우징(51)의 내면(55)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각각의 전체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어 있다. 전기 음향 변환기(53)는, 전형적으로는, 통음구(54)로부터 전달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통음구(54)로부터 출력하는 스피커, 혹은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의 양쪽의 기능을 갖는 변환기이다. 전기 음향 변환기(53)는, 미소 기계 시스템(MEMS)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방수막(1)은, 하우징(51)의 개구(52)와 전기 음향 변환기(53)의 통음구(54) 사이의 소리의 전달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수막(1)은, 양면 점착 테이프인 지지체[2(2B)]를 통해 개구(52)를 덮도록 하우징(51)의 내면(55)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방수막(1)은, 양면 점착 테이프인 지지체[2(2A)]를 통해 통음구(54)를 덮도록 전기 음향 변환기(53)의 표면(56)에 접합되어 있다. 방수막(1) 및 지지체(2A, 2B)의 적층체는, 방수 부재(11)이기도 하다. 방수막(1)은, 소리의 투과를 허용하면서, 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방수막(1)의 배치에 의해 도 3의 전자 기기에서는, 개구(52)를 통한 전기 음향 변환기(53)와 하우징(51)의 외부 사이의 소리의 전달이 가능해지면서, 개구(52)를 통한 하우징(51)의 내부 및 전기 음향 변환기(53)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막(1)을 전자 기기에 배치한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예는, 이하의 각 점을 제외하고, 도 3에 도시한 예와 동일하다.
·통음구(58)가 형성된 회로 기판(57)이 하우징(5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전기 음향 변환기(53)는, 회로 기판(57)의 한쪽의 표면(59)에 대하여 소켓(6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개구(52), 통음구(58) 및 통음구(54)는, 하우징(51)의 외부와 전기 음향 변환기(53) 사이에서 소리가 전달 가능한 위치 관계에 있고,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하우징(51)의 내면(55)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각각의 전체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어 있다.
·방수막(1)은, 양면 점착 테이프인 지지체[2(2B)]를 통해 통음구(58)를 덮도록 회로 기판(57)의 상기 한쪽의 표면(59)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방수막(1)은, 양면 점착 테이프인 지지체[2(2A)]를 통해 통음구(54)를 덮도록 전기 음향 변환기(53)의 표면(56)에 접합되어 있다.
·방수막(1)은, 회로 기판(57)이 갖는 부재인 소켓(61)의 개구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5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방수막(1) 및 지지체[2(2A, 2B)]를 구비하는 방수 부재(11)는, 회로 기판(57)이 갖는 부재인 소켓(61)의 개구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57)에 고정되어 있다. 방수막(1) 및/또는 방수 부재(11)는, 회로 기판(57)의 통음구(58)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57)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회로 기판(57)과 하우징(51) 사이에는 시일(60)이 배치되어 있다. 시일(60)은, 예를 들어 지지체(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방수막(1)의 배치에 의해 도 4의 전자 기기에서는, 개구(52)를 통한 전기 음향 변환기(53)와 하우징(51)의 외부 사이의 소리의 전달이 가능해지면서, 개구(52)를 통한 하우징(51)의 내부 및 전기 음향 변환기(53)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기기에 대한 방수 부재의 배치 상태는, 상기 각 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 기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62)이다. 스마트폰(62)의 하우징(51)의 내부에는, 전기 신호와 소리의 변환을 행하는 음성 변환부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51)에는, 외부 통음구인 개구[52(52A)] 및 개구[52(52B)]가 마련되어 있다. 스마트폰(62)은, 방수막(1) 및/또는 방수 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 스마트폰(62)에 있어서의 방수막(1) 및/또는 방수 부재(11)의 배치의 상태는,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대로이다. 단, 당해 배치의 상태는, 개구(52A) 및/또는 개구(52B)와, 각각의 개구(52A, 52B)에 대응하는 음성 변환부 사이의 소리의 전달 경로에 방수막(1)이 배치되고, 이에 의해, 개구(52A) 및/또는 개구(52B)를 통한 각 음성 변환부와 외부 사이의 소리의 전달이 가능해지면서, 개구(52A) 및/또는 개구(52B)를 통한 하우징(51)의 내부 및/또는 각 음성 변환부로의 외부로부터의 물의 침입이 방지되는 한,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수막(1) 및/또는 방수 부재(11)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62)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및 리스트 밴드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액션 카메라 및 방범 카메라를 포함하는 각종 카메라; 휴대 전화 및 스마트폰 등의 통신 기기; 가상 현실(VR) 기기; 확장 현실(AR) 기기; 센서 기기 등이다.
상기 설명한 방수막(1) 및 방수 부재(11)는, 방수막(1)이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는, 기체의 유통을 목적으로 하는 개구(예를 들어, 통기구, 환기구, 압력 조정구 등)가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대하여,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당해 개구를 통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우징 및/또는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방수막(1) 및 방수 부재(11)는, 각각,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면서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막 및 방수 부재로서 기능하고, 당해 기능에 의해,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통한 하우징의 내외의 통기가 가능해지면서, 당해 개구를 통한 하우징의 내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막(1) 및 방수 부재(11)는, 음성 변환부와 직접 조합하지 않고 사용해도 된다.
기체의 유통을 목적으로 하는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유량 센서, 기체 농도 센서(O2 센서)와 같은 센서 기기이다. 또한, 당해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 등의 음성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여도 된다. 이 경우, 당해 개구는, 전형적으로는, 외부 통음구와는 별개로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다. 단, 기체의 유통을 목적으로 하는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수막의 준비)
방수막으로서, 이하의 5종류의 방수막 A, B, C, D 및 E를 준비하였다.
[방수막 A(실시예 1)]
PTFE 미분말(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프론 F-104) 100중량부에 대해, 액상 윤활제(n-도데칸,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에너지제) 2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린더로 압축한 후에 램 압출기로 압출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상 성형체를 얻었다. 이 시트상 성형체를, 액상 윤활제가 포함된 상태에서 금속제 압연롤 사이로 통과시켜, 두께 0.2㎜가 되도록 압연하였다. 그 후, 시트상 성형체를 150℃로 가열함으로써 액상 윤활제를 제거하고, 시트상 성형체를 건조시켰다. 그 후, 시트상 성형체를, 300℃에서 길이 방향으로 2.5배의 배율로 연신하고, 200℃에서 폭 방향으로 20배의 배율로 연신한 후, PTFE의 융점 이상의 온도인 400℃에서 소성하여, 막 두께 15㎛의 PTFE 다공질막인 방수막 A를 얻었다.
[방수막 B(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얻은 두께 0.2㎜의 시트상 성형체(액상 윤활제의 제거 전)를 상온에서 폭 방향으로 4.5배의 배율로 신장시켰다. 다음에, 신장 후의 시트상 성형체를 150℃로 가열함으로써 액상 윤활제를 제거하고, 건조시켰다. 그 후, 시트상 성형체를, 300℃에서 길이 방향으로 2.0배의 배율로 연신하고, 100℃에서 폭 방향으로 20배의 배율로 연신한 후, PTFE의 융점 이상의 온도인 400℃에서 소성하여, 막 두께 6㎛의 PTFE 다공질막인 방수막 B를 얻었다.
[방수막 C(실시예 3)]
PTFE 입자의 분산액(PTFE 입자의 농도 40질량%, PTFE 입자의 평균 입경 0.2㎛, PTFE 100질량부에 대하여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6질량부 함유)에, 불소계 계면 활성제(DIC제, 메가팍 F-142D)를 PTFE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첨가하였다. 다음에,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상기 PTFE 분산액의 도포막(두께 20㎛)을, 띠상의 폴리이미드 기판(두께 125㎛)의 표면에 형성하였다. 도포막은, 폴리이미드 기판을 PTFE 분산액에 침지한 후, 들어올림으로써 형성하였다. 다음에, 기판 및 도포막의 전체를 가열하여, PTFE의 캐스트막을 형성하였다. 가열은, 제1 가열(100℃, 1분)과, 그 후의 제2 가열(390℃, 1분)의 2단계로 하였다. 제1 가열에 의해, 도포막에 포함되는 분산매의 제거가, 제2 가열에 의해, 도포막에 포함되는 PTFE 입자의 결착에 기초하는 캐스트막의 형성이 진행되었다. 상기 침지 및 그 후의 가열을 다시 2회 반복한 후, 형성된 PTFE 캐스트막(두께 25㎛)을 폴리이미드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였다. 다음에, 박리한 캐스트막을 MD 방향(길이 방향)으로 압연하고, 또한 TD 방향(폭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MD 방향의 압연은, 롤 압연에 의해 실시하였다. 압연의 배율(면적 배율)은 2.0배, 온도(롤 온도)는 170℃로 하였다. TD 방향의 연신은, 텐터 연신기에 의해 실시하였다. TD 방향의 연신의 배율은 2.0배, 온도(연신 분위기의 온도)는 300℃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막 두께 10㎛, 면밀도 15g/㎡의 PTFE 미다공막인 방수막 C를 얻었다.
[방수막 D(실시예 4)]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얻은 두께 0.2㎜의 시트상 성형체(액상 윤활제의 제거 전)를 상온에서 폭 방향으로 4.5배의 배율로 신장시켰다. 다음에, 신장 후의 시트상 성형체를 150℃로 가열함으로써 액상 윤활제를 제거하고, 건조시켰다. 그 후, 시트상 성형체를, 300℃에서 길이 방향으로 3.0배의 배율로 연신하고, 100℃에서 폭 방향으로 20배의 배율로 연신한 후, PTFE의 융점 이상의 온도인 400℃에서 소성하여, 막 두께 8㎛의 PTFE 다공질막인 방수막 D를 얻었다.
[방수막 E(비교예)]
액상 윤활제를 제거한 시트상 성형체에 대한 길이 방향의 연신 온도를 380℃, 연신 배율을 4.5배로 하고, 폭 방향의 연신 온도를 330℃, 연신 배율을 10배로 함과 함께, 폭 방향의 연신을 실시한 후의 소성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는 방수막 A와 마찬가지로 하여, 막 두께 25㎛의 PTFE 다공질막인 방수막 E를 얻었다.
(방수막의 특성 평가)
상기 제작한 방수막에 대하여, 이하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기공률]
방수막의 기공률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평균 구멍 직경 및 최대 구멍 직경]
방수막의 평균 구멍 직경 및 최대 구멍 직경은, ASTM F316-86에 준거한 측정이 가능한 Porous Materials Inc.제, Automated perm porometer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구한 평균 구멍 직경 및 최대 구멍 직경으로부터, 평균 구멍 직경에 대한 최대 구멍 직경의 비를 산출하였다.
[비표면적]
방수막의 비표면적은, ASTM F316-86에 준거한 측정이 가능한 Porous Materials Inc.제, Perm-Porometer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평균 피브릴 직경 및 평균 노드간 거리]
방수막의 평균 피브릴 직경 및 평균 노드간 거리는, 평가 대상물인 방수막의 표면을 SEM에 의해 관찰하여 얻은 확대 관찰상(배율 1000 내지 20000배)에 있어서 10개소의 측정 영역(50㎛×50㎛의 정사각형)을 정하고, 각 측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피브릴의 평균 직경, 및 각 측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노드간의 평균 거리를 구한 후, 평균 직경 및 평균 거리의 각각에 대하여 측정 영역간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구하였다.
[두께 방향의 통기성(프래질 통기도)]
방수막의 두께 방향의 통기성은, JIS L1096:2010에 정해진 통기성 측정 A법(프래질형법)에 준거한 상술한 방법에 의해, 프래질 통기도로서 평가하였다.
[내수압]
방수막의 내수압은, 상술한 측정 지그를 사용하여, JIS L1092:2009의 내수도 시험 A법(저수압법) 또는 B법(고수압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최대 속도 Vmax]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의 주파수 100㎐ 내지 10㎑의 소리의 투과 시에 있어서의 방수막의 면외 방향으로의 진동의 최대 속도 Vmax는,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을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평가 대상인 방수막을 직경 5.8㎜의 원형으로 펀칭하여 시험편(71)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시험편(71)의 양쪽의 주면에 대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제, No.57120B)에 의해 구성되는 지지체(72A, 72B)(외경 5.8㎜ 및 내경 1.3㎜의 링 형상, 두께 0.2㎜)를 각각 접합하였다. 시험편(71)에 대한 지지체(72A, 72B)의 접합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의해, 각 지지체(72A, 72B)의 외주와 시험편(71)의 둘레가 일치하도록 실시하였다. 시험편(71)에 있어서의 투과 영역의 형상 및 면적은, 상기 소정의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지지체(72A, 72B)의 접합에 의해, 시험편(71)의 주면에 수직으로 보아 원, 및 1.3㎟가 되었다. 다음에, 전자 기기의 하우징을 본뜬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73)(직경 47㎜의 원형, 두께 1.0㎜) 및 음성 변환부의 하우징을 본뜬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75)(직경 47㎜의 원형, 두께 1.0㎜)를, 지지체(72B)에 있어서의 시험편(71)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 및 지지체(72A)에 있어서의 시험편(71)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각각 접합하였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73, 75)의 중앙에는, 각각 통음구(74, 76)(모두 단면의 형상이 직경 1.0㎜인 원)가 마련되어 있고,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73, 75)는, 시험편(7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통음구(74, 76)의 중심이 시험편(7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시험편(71)에 접합하였다. 또한, 부재끼리를 접합할 때는, 접합하는 양쪽의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 점은, 이 이후에 기재하는 부재끼리의 접합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것과는 별도로, 폭 50㎜, 깊이 60㎜ 및 높이 28㎜의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는 하우징(78)(두께 2.0㎜의 폴리카르보네이트판에 의해 각 벽이 구성)과, 하우징(78)의 저벽의 내면에 적재된 스피커(79)(스타 세이미츠사제, SCC-16A)를 구비하는 시험음 발신 장치(82)를 준비하였다. 시험음 발신 장치(82)의 상벽(81)에는, 통음구(80)(단면의 형상이 직경 2.0㎜의 원)가 마련되어 있고, 스피커(79)는, 상벽(8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통음구(80)의 중심과 스피커(79)의 출력부인 콘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내면에 적재하였다.
다음에, 시험음 발신 장치(82)의 상벽(81)의 외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제, No.57120B)에 의해 구성되는 시일(77)(외경 5.8㎜ 및 내경 1.3㎜의 링 형상, 두께 1.3㎜)을 통해, 시험편(71), 지지체(72A, 72B)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73, 75)의 적층체를 접합하였다. 당해 적층체의 접합은, 시험편(7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시험편(71)의 중심과 시험음 발생 장치(82)의 통음구(8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실시하였다. 상기 접합한 상태에 있어서, 스피커(79)의 표면과 시험편(71)의 거리는 약 21㎜였다.
다음에, 주파수 100㎐ 내지 10㎑의 소리(통음구(80)에 있어서의 음압 레벨 85dB)를, 주파수를 100㎐로부터 상승시키면서 스피커(79)로부터 출력하여 시험편(71)을 투과시킴과 함께,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폴리테크제, NLV-2500)의 레이저 발진/수광기(83)를 통음구(74)의 상방에 고정하고, 레이저(84)를 통음구(74)를 통해 시험편(71)의 상면에 조사하고, 상면에서 반사된 레이저(84)를 레이저 발진/수광기(83)에 의해 수광하였다. 레이저(84)의 조사는, 조사 방향이 시험편(7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실시하였다. 상기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에 의하면, 시험편(71)에 조사하고, 또한 시험편(71)의 상면에서 반사된 레이저(84)를 부속의 해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해석함으로써, 소리의 투과에 의해 발생한 시험편(71)의 면외 방향으로의 진동의 상태(최대 속도 Vmax를 포함함)를 평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방수막의 최대 속도 Vmax를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 환경의 온도는 25±5℃로 하고, 상대 습도는 60±5%로 하였다.
[삽입 손실]
방수막의 삽입 손실은, 전자 기기의 하우징을 본뜬 모의 하우징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최대 속도 Vmax의 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시험편(71) 및 지지체(72A, 72B)의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방수막 A 내지 E에 대하여, 링 형상의 지지체(72A, 72B)의 내경을 1.5㎜ 및 1.0㎜로 변경함으로써, 투과 영역의 면적을 각각 1.8㎟ 및 0.79㎟로 변경한 적층체도 아울러 제작하였다.
다음에, 도 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의 하우징 중에 수용하는 스피커 유닛(85)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음원인 스피커(86)(스타 세이미츠사제, SCC-16A)와, 우레탄 스펀지로 이루어지고, 스피커(86)를 수용함과 함께 스피커로부터의 음성을 불필요하게 확산시키지 않기(평가 대상인 시험편(71)을 통과하지 않고 평가용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기) 위한 충전재(87A, 87B, 87C)를 준비하였다. 충전재(87A)에는, 직경 5㎜의 원형의 단면을 갖는 통음구(88)가 그 두께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충전재(87B)에는, 스피커(8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절취부와, 스피커 케이블(89)을 수용함과 함께 스피커 유닛(85) 외부로 스피커 케이블(89)을 도출하기 위한 절취부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충전재(87C 및 87B)를 겹치고, 충전재(87B)의 절취부에 스피커(86) 및 스피커 케이블(89)을 수용하였다. 다음에, 통음구(88)를 통해 스피커(86)로부터 스피커 유닛(85)의 외부로 음성이 전달되도록 충전재(87A)를 겹쳐, 스피커 유닛(85)을 얻었다(도 7의 (b)).
다음에,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하우징을 본뜬 모의 하우징(91)(폴리스티렌제, 외형 60㎜×50㎜×28㎜, 판 두께 2㎜)의 내부에, 상기 제작한 스피커 유닛(85)을 수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준비한 모의 하우징(91)은, 2개의 부분(91A, 91B)을 포함하고, 부분(91A, 91B)은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다. 부분(91A)에는, 내부에 수용한 스피커 유닛(85)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모의 하우징(91)의 외부로 전달하는 통음구(92)(직경 2㎜의 원형의 단면을 가짐)와, 스피커 케이블(89)을 모의 하우징(91)의 외부로 도출하는 도통 구멍(93)이 마련되어 있다. 부분(91A, 91B)을 서로 끼워 맞춤으로써, 통음구(92) 및 도통 구멍(93) 이외에 개구가 없는 공간이 모의 하우징(91) 내에 형성된다. 제작한 스피커 유닛(85)을 부분(91B) 상에 배치한 후, 부분(91A)과 부분(91B)을 끼워 맞추어, 모의 하우징(91) 내에 스피커 유닛(85)을 수용하였다. 이때, 스피커 유닛(85)의 통음구(88)와 부분(91A)의 통음구(92)를 중첩하여, 양쪽의 통음구(88, 92)를 통해 스피커(86)로부터 모의 하우징(91)의 외부로 음성이 전달되도록 하였다. 스피커 케이블(89)은 도통 구멍(93)으로부터 모의 하우징(91)의 외부로 인출되고, 도통 구멍(93)은 퍼티에 의해 폐색하였다.
다음에,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편(71) 및 지지체(72A, 72B)의 적층체(94)를, 지지체(72A)의 점착제층에 의해, 모의 하우징(91)에 있어서의 통음구(92)가 형성된 표면(95)에 접합하였다. 적층체(94)는, 시험편(71)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시험편(71)의 투과 영역이 통음구(92)를 덮도록, 또한 지지체(72A)가 통음구(92)와 중복되지 않도록 접합하였다.
다음에,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편(71) 및 지지체(72A, 72B)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시험편(71)의 투과 영역을 덮도록, 지지체(72B)의 점착제층에 의해 마이크로폰(96)(Knowles Acoustics사제, SPU0410LR5H)을 접합하였다. 마이크로폰(96)을 접합하였을 때의 스피커(86)와 마이크로폰(96)의 거리는, 22㎜였다. 다음에, 스피커(86) 및 마이크로폰(96)을 음향 평가 장치(B&K사제, Multi-analyzerSystem 3560-B-030)에 접속하고, 평가 방식으로서 SSR(Solid State Response) 모드(시험 신호 20㎐ 내지 20㎑, sweep up)를 선택하여 실행하여, 시험편(71)의 삽입 손실을 평가하였다. 삽입 손실은, 음향 평가 장치로부터 스피커(86)에 입력된 시험 신호와, 마이크로폰(96)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자동적으로 구해진다. 시험편(71)의 삽입 손실을 평가함에 있어서는, 시험편(71)을 제거한 경우의 삽입 손실의 값(블랭크값)을 미리 구해 두었다. 블랭크값은, 주파수 1㎑에 있어서 -24dB, 주파수 10㎑에 있어서 -35dB이었다. 시험편(71)의 삽입 손실은, 음향 평가 장치에서의 측정값으로부터 이 블랭크값을 뺀 값이다. 삽입 손실의 값이 작을수록, 스피커(86)로부터 출력된 소리의 통음 특성이 유지되고 있게 된다.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1 내지 5에 나타낸다.
표 3 내지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인 방수막 A, B, C 및 D에서는, 투과 영역의 면적을 1.8㎟로부터 축소시켜 1.3㎟ 이하로 하였을 때, 비교예인 방수막 E에 비해,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통음 특성의 저하(삽입 손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었다(투과 영역의 면적이 1.8㎟일 때는 큰 차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인 방수막 A, B, C 및 D에서는, 투과 영역의 면적을 1.8㎟로부터 축소시켜 1.3㎟ 이하로 하였을 때, 비교예인 방수막 E에 비해, 주파수 200㎑ 이상 10㎑ 이하의 범위의 소리에 대한 최대의 삽입 손실과 최소의 삽입 손실의 차를 저감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은,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종 카메라; 휴대 전화 및 스마트폰 등의 통신 기기; 및 센서 기기와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 소리의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
주파수 1㎑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이 5.0dB 이하이고,
주파수 10㎑의 소리에 대한 삽입 손실이 5.0dB 이하인, 방수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 주파수 200㎐ 이상 10㎑ 이하의 범위의 소리에 대한 최대의 삽입 손실 IL1.3/max와 최소의 삽입 손실 IL1.3/min의 차 IL1.3/max-IL1.3/min이 5.0dB 이하인, 방수막.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통기도가, JIS L1096:2010에 정해진 통기성 측정 A법(프래질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프래질 통기도에 의해 나타내어, 3.0㎤/(㎠·초) 미만인, 방수막.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일 때, 주파수 100㎐ 내지 10㎑의 소리의 투과 시에 있어서의 면외 방향으로의 진동의 최대 속도 Vmax가 100㎛/초 이상인, 방수막.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을 포함하는, 방수막.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표면적이 6㎡/g 이상인, 방수막.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수막과,
상기 방수막에 접합된 지지체를 구비하는, 방수 부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방수막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방수막의 주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과 함께, 당해 주연부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방향에서 보아, 상기 방수막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체와의 접합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정해지는 상기 방수 부재의 투과 영역의 면적이 1.3㎟ 이하인, 방수 부재. -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상기 개구를 통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및/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부재에 설치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수막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 제9항에 있어서,
전기 신호와 음성의 변환을 행하는 음성 변환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개구가, 상기 음성 변환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086644 | 2019-04-26 | ||
JPJP-P-2019-086644 | 2019-04-26 | ||
PCT/JP2020/017858 WO2020218591A1 (ja) | 2019-04-26 | 2020-04-24 | 防水膜とこれを備える防水部材及び電子機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5508A true KR20220005508A (ko) | 2022-01-13 |
Family
ID=7294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8165A KR20220005508A (ko) | 2019-04-26 | 2020-04-24 | 방수막과 이것을 구비하는 방수 부재 및 전자 기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310931B2 (ko) |
JP (2) | JP6853400B2 (ko) |
KR (1) | KR20220005508A (ko) |
CN (2) | CN118921593A (ko) |
DE (1) | DE112020002143T5 (ko) |
TW (1) | TW202100233A (ko) |
WO (1) | WO202021859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9657A (ko) * | 2019-12-20 | 2021-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기 및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CN114554049B (zh) * | 2022-02-08 | 2024-09-06 | 歌尔科技有限公司 | 电子产品和安防系统 |
DE102022125034A1 (de) | 2022-09-28 | 2024-03-28 |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Walzenlagerungsvorrichtung für ein Auswaschba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5787A (ja) | 1996-12-11 | 1998-06-23 | Nitto Denko Corp |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18019222A (ja) | 2016-07-27 | 2018-02-01 | 日本ゴア株式会社 | 防水通音カバー、防水通音カバー部材および音響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18367A (zh) * | 2009-09-04 | 2012-01-11 | 日东电工株式会社 | 话筒用透声膜以及具备其的话筒用透声膜部件、话筒及具备话筒的电子设备 |
JP2013115531A (ja) | 2011-11-28 | 2013-06-10 | Nitto Denko Corp | 防水通音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通音部材 |
JP6193621B2 (ja) * | 2012-05-31 | 2017-09-06 | 日東電工株式会社 | 音響部品用保護部材及び防水ケース |
JP6118131B2 (ja) * | 2013-02-25 | 2017-04-19 | 日東電工株式会社 | 防水通音膜、通音部材、及び電気機器 |
CN104871554B (zh) * | 2013-08-30 | 2016-07-13 | 日东电工株式会社 | 防水透声膜、以及具备该防水透声膜的防水透声构件、电子设备、电子设备用外壳和防水透声结构 |
US10306352B2 (en) * | 2013-09-27 | 2019-05-2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icrophone having closed cell foam body |
WO2016047140A1 (ja) * | 2014-09-24 | 2016-03-31 | 日東電工株式会社 | 高分子フィルム、防水通音膜、防水通音部材、電子機器、電子機器用ケース、防水通音構造、防水通気膜、防水通気部材、防水通気構造、吸着用シート、吸着ユニットへの作業対象物の吸着方法、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および組成物 |
JP5940634B2 (ja) * | 2014-11-13 | 2016-06-29 | 株式会社巴川製紙所 | 音響透過性材料、並びに、当該材料を用いた建築用途を含む音響調整面構造、マイクロホン用風防、保護用グリル、音響透過性映写スクリーン及びスピーカ |
CN114979850A (zh) * | 2015-11-24 | 2022-08-30 | 日东电工株式会社 | 防水透声膜、防水透声构件以及电子设备 |
-
2020
- 2020-04-24 KR KR1020217038165A patent/KR202200055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4-24 US US16/973,190 patent/US11310931B2/en active Active
- 2020-04-24 WO PCT/JP2020/017858 patent/WO202021859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4-24 DE DE112020002143.2T patent/DE112020002143T5/de active Pending
- 2020-04-24 CN CN202410994148.5A patent/CN118921593A/zh active Pending
- 2020-04-24 CN CN202080030987.5A patent/CN113728657B/zh active Active
- 2020-04-24 JP JP2020077793A patent/JP6853400B2/ja active Active
- 2020-04-27 TW TW109114027A patent/TW202100233A/zh unknown
-
2021
- 2021-03-11 JP JP2021039262A patent/JP2021101558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5787A (ja) | 1996-12-11 | 1998-06-23 | Nitto Denko Corp |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18019222A (ja) | 2016-07-27 | 2018-02-01 | 日本ゴア株式会社 | 防水通音カバー、防水通音カバー部材および音響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20002143T5 (de) | 2022-02-17 |
US11310931B2 (en) | 2022-04-19 |
US20210251095A1 (en) | 2021-08-12 |
CN118921593A (zh) | 2024-11-08 |
JP2021101558A (ja) | 2021-07-08 |
JP6853400B2 (ja) | 2021-03-31 |
CN113728657A (zh) | 2021-11-30 |
TW202100233A (zh) | 2021-01-01 |
WO2020218591A1 (ja) | 2020-10-29 |
CN113728657B (zh) | 2024-08-06 |
JP2020184758A (ja) | 2020-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543065B (zh) | 防水构件和电子设备 | |
CN105706459B (zh) | 防水透声膜和电子设备 | |
JP5872276B2 (ja) | 防水通音膜および電気製品 | |
EP2914015B1 (en) |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film,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er provided with same, electronic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case, and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tructure | |
CN109716784B (zh) | 防水透声盖部、防水透声盖部构件和声学装置 | |
TWI758264B (zh) | 防水透音膜、防水透音材及電子機器 | |
TWI682948B (zh) | 高分子樹脂膜與具備其之透氣膜、透音膜、聲阻器、透氣膜構件、透音膜構件、聲阻器構件及音響機器以及高分子樹脂膜之製造方法 | |
KR20220005508A (ko) | 방수막과 이것을 구비하는 방수 부재 및 전자 기기 | |
JP2016082595A (ja) | 通音膜とそれを備える通音膜部材、ならびにマイクロフォンおよび電子機器 | |
CN110024415B (zh) | 防水透声构件和具有该防水透声构件的电子设备 | |
JP2011078089A (ja) | マイクロフォン用通音膜とそれを備えるマイクロフォン用通音膜部材、マイクロフォンならびにマイクロフォンを備える電子機器 | |
KR102297943B1 (ko) | 방수 부재 및 전자 기기 | |
WO2014080446A1 (ja) | 通音膜、及び通音膜を備えた電子機器 | |
KR20160125449A (ko) | 방수 통음막의 제조 방법, 방수 통음막 및 전자 기기 | |
WO2020218590A1 (ja) | 変換素子部材とこれを備える変換素子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