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373A - Energy storage device - Google Patents
Energy storag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8373A KR20180028373A KR1020170107761A KR20170107761A KR20180028373A KR 20180028373 A KR20180028373 A KR 20180028373A KR 1020170107761 A KR1020170107761 A KR 1020170107761A KR 20170107761 A KR20170107761 A KR 20170107761A KR 20180028373 A KR20180028373 A KR 201800283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itive electrode
- terminal
- electrode
- current collector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title abstract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733 L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1157 LiMB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118 LiM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275 LiMP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868 MSi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FBZPFYRPYOZCQ-UHFFFAOYSA-N [Li].[Al] Chemical compound [Li].[Al] JFBZPFYRPYOZC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81 amorphous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WZCKIBZGMIRSW-UHFFFAOYSA-N lead lithium Chemical compound [Li].[Pb] JWZCKIBZGMIR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90 limb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89 lithium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50 lithium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UIDWHMKSOZZDAV-UHFFFAOYSA-N lithium tin Chemical compound [Li].[Sn] UIDWHMKSOZZD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47 polyanio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7 polyphosphor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6 spin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29 spin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 H01M2/2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01M2/06—
-
- H01M2/08—
-
- H01M2/3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전 소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or element.
축전 소자에 있어서는, 용기 내에 전극체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가 용기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용기와 단자 사이에는 봉지(封止) 부재가 개재하고 있고, 상기 봉지 부재에 의해 단자 주변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In the electric storage device, an electrode body is accommodated in a container, and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are provided through the container.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terminal, and the sealing member secures airtightness around the terminal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그런데, 봉지 부재에 의해 기밀성은 확보되어 있으나, 만일 봉지 부재가 파손되어 버리면, 용기에 있어서의 단자가 관통한 부위로부터 기밀 누출이 생길 우려가 있다. However, although the airtightness is ensured by the sealing member, if the sealing member is broken, airtight leakage may occur from a portion of the container through which the terminal penetrate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기밀 누출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축전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element capable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airtightn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축전 소자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제1 탭부를 가지는 전극체와, 전극체를 수용하는 용기를 포함하고, 제1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집전체 또는 제1 탭부와, 용기는,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요철 구조의 코킹 접합부를 갖는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device including: a body portion; an electrode body having a first tab portion project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a container for housing the electrode body, And the container has a caulking joint portion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protru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집전체 또는 제1 탭부와, 용기가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요철 구조의 코킹 접합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용기를 관통시키지 않더라도 제1 집전체 또는 제1 탭부가 용기에 접속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집전체 또는 제1 탭부와 용기 사이에 있어서는, 봉지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봉지 부재를 이용하여 기밀성을 확보하는 경우와 비교해도, 기밀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first current collector or the first tab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ab portion and the caulking joint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n which the container is project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are provided, The entire or first tab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Therefore, airtightness can be secured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or the first tab portion and the container without providing a sealing member.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of securing the airtightness by using the sealing member, the possibility of airtight leakage can be reduced.
또한, 전극체는,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제2 탭부를 가지고, 축전 소자는 제1 집전체와, 제2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집전체와, 용기에 장착되어, 제1 집전체를 통하여 제1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導電) 부재와, 용기에 장착되어 해당 용기를 관통하고, 제2 집전체를 통하여 제2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단자와, 제2 단자 또는 제2 집전체와 용기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봉지 부재를 포함해도 된다.The electrode body has a second tab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The capacitor element includes a first current collector, a second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ab portion, and a second current collector,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ab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ab portion through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the second terminal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and passing through the container; (2) An insulating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container may be included.
제2 단자 또는 제2 집전체와 용기 사이에는, 절연성 봉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전 부재 측의 극성과, 전극 단자 측의 극성이 용기 상에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insulating seal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or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and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larity on the conductive member side and the polarity on the electrode terminal side from being short-circuited on the container.
또한, 제1 탭부, 도전 부재 및 제1 집전체는 양극이고, 제2 탭부, 제2 단자 및 제2 집전체는 음극이어도 된다.The first tab portion,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tab portio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may be a cathod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극인 제1 탭부 또는 제1 집전체가 용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용기가 양극 전위로 된다. 따라서, 용기가 쉽게 녹지 않게 되어, 장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first tab portion or the first current collector, which is an an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iner, the container becomes the anode potential. Therefore, the container is not easily dissolved, and the stable state can be maintained in the long term.
또한, 용기에 있어서의 코킹 접합부가 제1 단자를 이루고, 도전 부재는 제1 단자에 접속되는 버스 바(bus bar)이어도 된다.Further, the caulking joint portion in the container may constitute the first terminal, and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a bus bar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기에 있어서의 코킹 접합부가, 버스 바가 접속되는 제1 단자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1 단자 전용의 부재를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caulking joint portion of the container is constituted by the first terminal to which the bus bar is connecte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member for exclusive use of the first terminal.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또한, 도전 부재는, 용기에 있어서의 코킹 접합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있어도 된다.Further,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positioned relative to the caulking joint portion in the contain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기에 있어서의 코킹 접합부에 대하여, 도전 부재가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위치 결정 전용의 부위를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도전 부재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conductive member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aulking joint portion of the container, the conductive member can be positioned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 portion dedicated for positioning.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 소자에서의 기밀 누출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irtight leakage in the electrical storage element.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축전 소자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축전 소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와, 양극 집전체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 1에 관한 양극 단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2에 관한 양극 단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3에 관한 덮개체와, 버스 바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 4에 관한 덮개체와, 전극체의 양극 탭부와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5에 관한 덮개체와, 전극체의 양극 탭부와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6에 관한 전극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6에 관한 전극체의 기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6에 관한 전극체의 기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7에 관한 전극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batter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de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unction structure of a lid body and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ulking j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unction structure of a lid body and a bus bar according to Modification 3.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of a lid body according to Modification 4 and a positive electrode tab portion of an electrode body.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of a lid body according to Modification 5 and a positive electrode tab portion of an electrode body.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de body according to a sixth modification.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ode body according to Modification 6. Fig.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ode body according to Modification 6.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de body according to a seventh modified exampl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축전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각 도면은 모식도이며,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batter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each drawing is a schematic diagram and is not necessarily shown strictly.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등은 하나의 예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represen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s, materials, constituent elements, arrangement positions and connection form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constituent elements which are not described in the independent claims which represent the highest concept will be described as arbitrary constituent elements.
먼저,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소자(10)의 전반적인 설명을 행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축전 소자(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축전 소자(1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또한, 도 1 및 이후의 도면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실제 사용 태양에 있어서, Z축 방향과 상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Although the Z-axis direction is described as the up-and-down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subsequent figur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up-and-down direction may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actual use.
축전 소자(10)는 전기를 충전하고, 또한, 전기를 방전할 수 있는 이차전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축전 소자(10)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등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이다. 축전 소자(10)는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등에 적용된다. 그리고, 축전 소자(10)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에는 한정되지 않고,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이외의 이차전지여도 되고, 1차 전지, 커패시터여도 된다.The capacitor element (10) i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electricity and discharging electricity. Specifically, the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전 소자(10)는 용기(100)와, 양극 단자(200)와, 양극 집전체(250)와, 음극 단자(300)와,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와, 음극 제2 봉지 부재(136)와, 음극 집전체(140)와, 전극체(400)를 포함하고 있다.1 and 2, the
용기(100)는, 본체(111)와 덮개체(110)를 포함한다. 본체(111) 및 덮개체(110)의 재질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 용접 가능한 금속이다.The container (100) includes a main body (111) and a cover body (110). The material of the
본체(111)는, 상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통체(筒體)이며, 일단부에 개구를 포함하고, 또한 타단부(他端部)에 바닥을 포함한다. 조립 시에, 용기(100)의 본체(111)에는, 개구를 통하여 전극체(400) 등이 삽입된다.The
본체(111)의 안쪽에는, 전극체(400)를 피복하는 절연 시트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 시트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PPS)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연 시트는, 본체(111)의 내주면(內周面)에 겹쳐 있고, 전극체(400)와 본체(11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An insulating sheet for covering the
본체(111)는 전극체(400), 절연 시트 등을 내부에 수용한 후, 덮개체(110)가 용접되는 것 등에 의해, 내부가 밀봉되어 있다.The inside of the
덮개체(110)는 본체(111)의 개구를 폐쇄하는 판형 부재이다. 덮개체(11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배출 밸브(112), 관통공(113), 음극 팽출부(114), 양극 팽출부(115)가 형성되어 있다.The
가스 배출 밸브(112)는, 용기(100)의 내압이 상승한 경우에 개방됨으로써, 용기(100)의 내부 가스를 방출하는 역할을 갖는다. 관통공(113)은, 음극 단자(300)와 음극 제1 봉지 부재(135)가 관통하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관통공이다.The
음극 팽출부(114)는, 덮개체(110)의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팽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덮개체(110)에 설치되어 있고,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의 위치 결정에 이용된다. 또한, 음극 팽출부(114)의 뒤쪽에는, 오목형의 부분인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의 일부에, 음극 제2 봉지 부재(136)의 걸어맞춤 돌기(137)가 걸어맞추어진다. 이로써, 음극 제2 봉지 부재(136)도 위치 결정되고, 그 상태로 덮개체(110)에 고정된다.The
양극 팽출부(115)는, 덮개체(110)의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팽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극 단자(200)의 위치 결정에 이용된다. 또한, 양극 팽출부(115)는, 양극 집전체(250)가 접합된다.The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덮개체(110)에는, 축전 소자(10)의 제조 시에 전해액을 주액하기 위한 주액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액구는, 전해액의 주액 후에는 봉지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a main liquid port for injecting an electrolytic solution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그리고, 용기(100)에 봉입되는 전해액으로서는, 축전 소자(10)의 성능을 손상시키는 것이 아니면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다양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solution enclosed in the
양극 단자(200)는, 덮개체(110) 및 양극 집전체(250)를 통하여, 전극체(400)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단자(제1 단자)이다. 양극 단자(200)는, 전극체(400)에 축적되어 있는 전기를 축전 소자(10)의 외부 공간으로 도출하고, 또한, 전극체(400)에 전기를 축적하기 위해 축전 소자(10)의 내부 공간에 전기를 도입하기 위한 금속제의 전극 단자이다. 양극 단자(200)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전 부재인 버스 바가 접속되고, 상기 버스 바를 통하여, 다른 축전 소자나 외부의 전자 기기에 접속된다. 양극 단자(20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양극 단자(200)의 외형 형상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관통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 단자(200)의 관통공(210)에 대하여, 덮개체(110)의 양극 팽출부(115)가 삽입되어 있다. 양극 단자(200)의 주위 에지가,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덮개체(110)의 상면에 용접됨으로써, 양극 단자(200)와 덮개체(110)가 접합되어 있다. 즉, 양극 단자(200)는, 용기(100)의 덮개체(110)에 접속된 도전 부재이다.The outer shape of the
양극 집전체(250)는, 전극체(400)와 덮개체(110) 사이에 배치되고, 전극체(400)와 양극 단자(200)를 덮개체(11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제1 집전체)이다. 양극 집전체(25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극 집전체(250)는, 전극체(400)의 양극 탭부(410)(제1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덮개체(110)를 통하여 양극 단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집전체이다. 양극 집전체(250)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positive electrode
음극 단자(300)는 음극 집전체(140)를 통하여, 전극체(400)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단자(제2 단자)이다. 음극 단자(300)는, 전극체(400)에 축적되어 있는 전기를 축전 소자(10)의 외부 공간으로 도출하고, 또한, 전극체(400)에 전기를 축적하기 위해 축전 소자(10)의 내부 공간에 전기를 도입하기 위한 금속제의 전극 단자이다. 음극 단자(300)에는, 도전 부재인 버스 바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버스 바를 통하여, 다른 축전 소자나 외부의 전자 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음극 단자(30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음극 단자(300)에는, 용기(100)와 음극 집전체(140)를 체결하는 체결부(310)가 설치되어 있다.The
체결부(310)는, 음극 단자(30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기둥형의 축 부재(리벳)이며, 음극 집전체(140)의 관통공(1501)에 삽입되어 코킹된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부(310)는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의 관통공(1351)과, 덮개체(110)의 관통공(113)과, 음극 제2 봉지 부재(136)의 관통공(1361)과, 음극 집전체(140)의 관통공(150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로써, 음극 단자(300)와 음극 집전체(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음극 집전체(140)는 음극 단자(300)와,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와, 음극 제2 봉지 부재(136)와 함께, 덮개체(110)에 고정된다.The
그리고, 체결부(310)는, 음극 단자(300)와의 일체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음극 단자(300)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작된 체결부(310)가, 코킹 또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음극 단자(300)에 고정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체결부(310)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음극 단자(300)와 상이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The
음극 제1 봉지 부재(135)는, 덮개체(110)와 음극 단자(300) 사이에 배치된 개스킷(gasket)이다. 음극 제1 봉지 부재(135)는 절연성을 가지고 있고, 음극 단자(300)와 덮개체(110)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음극 제1 봉지 부재(135)는, 예를 들면 PC, PP, PE 또는 PPS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의 상면에는, 음극 단자(300)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의 하면에는, 덮개체(110)의 관통공(113)에 삽입되는 원통부(139)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 오목부(138)의 바닥면에는 원통부(139)를 관통하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관통공(13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의 하면에는, 음극 팽출부(114)에 위쪽으로부터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오목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가 음극 팽출부(114)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음극 제1 봉지 부재(135)가 위치 결정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음극 제2 봉지 부재(136)는, 덮개체(110)와 음극 집전체(140) 사이에 배치된 개스킷이다. 음극 제2 봉지 부재(136)는 절연성을 가지고 있고, 덮개체(110)와 음극 집전체(140)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음극 제2 봉지 부재(136)는, 예를 들면,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와 마찬가지로 PC, PP, PE, 또는 PPS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anode second sealing
음극 제2 봉지 부재(136)의 상면에는, 음극 팽출부(114)의 오목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기(137)가 돌출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137)가 음극 팽출부(114)의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음극 제2 봉지 부재(136)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음극 제2 봉지 부재(136)의 일단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관통공(13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361)에 대하여, 음극 단자(300)의 체결부(310)가 삽입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음극 집전체(140)는, 전극체(400)와 덮개체(110) 사이에 배치되고, 전극체(400)와 음극 단자(3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제2 집전체)이다. 음극 집전체(140)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금속의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극 집전체(140)는, 전극체(400)의 음극 탭부(420)(제2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음극 단자(300)의 체결부(3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집전체다.The anode
음극 집전체(140)는, 판체를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음극 집전체(140)는, 음극 단자(300)의 체결부(310)에 접합되는 제1 접합부(150)와, 전극체(400)의 음극 탭부(420)에 접합되는 제2 접합부(160)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The anode
제1 접합부(150)에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관통공(15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501)에 대하여, 음극 단자(300)의 체결부(310)가 삽입된다. 축전 소자(10)의 조립 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접합부(150)의 관통공(1501)과,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의 관통공(1351)과, 덮개체(110)의 관통공(113)과, 음극 제2 봉지 부재(136)의 관통공(1361)을 연통시켜, 이들에 음극 단자(300)의 체결부(310)를 삽입하여 코킹한다. 이로써, 음극 단자(300)와 음극 집전체(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음극 집전체(140)와, 음극 단자(300)와, 음극 제1 봉지 부재(135)와, 음극 제2 봉지 부재(136)가 덮개체(110)에 고정된다.A circular through
제2 접합부(160)는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에 의해, 전극체(400)의 음극 탭부(420)에 접속되어 있다.The second
다음에, 전극체(4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체(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전극체(400)의 권회 상태를 일부 전개하여 도시하고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전극체(400)는, 전기를 축적할 수 있는 축전 요소(발전 요소)이다. 전극체(400)는 양극(460) 및 음극(450)과, 세퍼레이터(470a 및 470b)가 교대로 적층되고 또한 권회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전극체(400)는 음극(450)과, 세퍼레이터(470a)와, 양극(460)과, 세퍼레이터(470b)가 상기 순서대로 적층되고, 또한,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되도록 권회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The
양극(46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척(長尺) 띠형의 금속박인 양극 기재층의 표면에,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극판이다. 그리고, 양극 활물질층에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로서는, 리튬 이온을 흡장(吸藏) 방출 가능한 양극 활물질이면, 적절하게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로서, LiMPO4, Li2MSiO4, LiMBO3(M은 Fe, Ni, Mn, Co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전이 금속 원소) 등의 폴리음이온 화합물, 망간산리튬 등의 스피넬 화합물, LiMO2(M은 Fe, Ni, Mn, Co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전이 금속 원소) 등의 리튬 전이금속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음극(450)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척 띠형의 금속박인 음극 기재층의 표면에,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극판이다. 그리고, 음극 활물질층에 사용되는 음극 활물질로서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 가능한 음극 활물질이면, 적절하게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 금속, 리튬 합금(리튬-알루미늄, 리튬-납, 리튬-주석, 리튬-알루미늄-주석, 리튬-갈륨, 및 우드 합금 등의 리튬 금속 함유 합금) 외에, 리튬을 흡장·방출 가능한 합금, 탄소 재료 [예를 들면, 흑연, 난(難)흑연화 탄소, 역(易)흑연화 탄소, 저온 소성 탄소, 비정질 카본 등],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산화물(Li4Ti5O12 등), 폴리인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The
세퍼레이터(470a, 470b)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다공성의 시트다. 그리고, 축전 소자(10)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470a, 470b)의 소재로서는, 축전 소자(10)의 성능을 손상시키는 것이 아니면 적절하게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The
양극(460)은, 권회축 방향의 일단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411)를 갖는다. 음극(450)도 마찬가지로, 권회축 방향의 일단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421)를 갖는다. 이들, 복수의 돌출부(411) 및 복수의 돌출부(421)는, 활물질이 도공되지 않고 기재층이 노출된 부분(활물질이 도공되지 않은 부분)이다.The
그리고, 권회축이란, 양극(460) 및 음극(450) 등을 권회할 때의 중심축이 되는 가상적인 축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체(400)의 중심을 통과하는 Z축 방향에 평행한 직선이다.The winding axis is a virtual axis that becomes a central axis when winding the
복수의 돌출부(411)와 복수의 돌출부(421)는, 권회축 방향의 동일 측의 단(도 3에서의 Z축 방향 플러스측의 단)에 배치되고, 양극(460) 및 음극(450)이 적층됨으로써, 전극체(400)의 소정의 위치에서 적층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돌출부(411)는, 양극(460)이 권회에 의해 적층됨으로써, 권회축 방향의 일단에 있어서 주위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적층된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421)는, 음극(450)이 권회에 의해 적층됨으로써, 권회축 방향의 일단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411)가 적층되는 위치와는 다른 주위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적층된다.The plurality of protruding
그 결과, 전극체(400)에는, 복수의 돌출부(421)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된 음극 탭부(420)와, 복수의 돌출부(411)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된 양극 탭부(410)가 형성된다. 양극 탭부(410)는 예를 들면, 적층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모여져, 양극 집전체(250)와 접합된다. 또한, 음극 탭부(420)는 예를 들면, 적층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모여져, 음극 집전체(140)와 접합된다.As a result, the
그리고, 탭부 (410, 420)는, 전극체(400)에 있어서, 전기의 도입 및 도출을 행하는 부분이며, 「리드(부)」, 「집전부」등의 다른 명칭이 붙여지는 경우도 있다. The
여기서, 양극 탭부(410)는, 기재층이 노출된 부분인 돌출부(411)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전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음극 탭부(420)는, 기재층이 노출된 부분인 돌출부(421)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전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으로 된다. 한편, 전극체(400)의 양극 탭부(410) 및 음극 탭부(420)와 상이한 부분은, 기재층에 활물질가 도공된 부분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전에 기여하는 부분으로 된다. 이후, 해당 부분을 본체부(430)라고 한다. 본체부(430)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그 외주면이 만곡된 만곡부(431, 432)로 된다. 또한, 전극체(400)에 있어서의 만곡부(431, 432) 사이의 부분은, 외측면이 평탄한 평탄부(433)로 된다. 상기와 같이, 전극체(400)는, 2개의 만곡부(431, 432) 사이에 평탄부(433)가 배치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Here, since the positive
다음에, 양극 집전체(25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서, 양극 집전체(250)와 덮개체(110)의 접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pecific structure of the positive electrode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110)와, 양극 집전체(250)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IV-IV 절단선을 포함하는 Z-Y 절단면을 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of the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10)에 있어서의 양극 팽출부(115)의 뒤쪽에는, 오목형의 부분인 오목부(1151)가 형성되어 있다. 양극 팽출부(115) 및 오목부(1151)는 표리 일체의 관계이며, 이들은 관통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2 and 4, a
양극 집전체(250)는, 판체를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양극 집전체(250)는, 덮개체(110)에 접합되는 제1 접합부(260)와, 전극체(400)의 양극 탭부(410)에 접합되는 제2 접합부(270)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제1 접합부(260)에는, 덮개체(110)의 오목부(1151)에 끼워맞추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돌출부(26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61)의 뒤쪽에는, 오목형의 부분인 오목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61) 및 오목부(262)는 표리 일체의 관계이며, 이들은 관통되지 않는다. 상기 돌출부(261) 및 오목부(262)는, 덮개체(110)에 클린치 접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형성된 코킹 접합부이며, 클린치 접합 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덮개체(110)의 양극 팽출부(115) 및 오목부(1151)도, 양극 집전체(250)의 일부가 덮개체(110)에 클린치 접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형성된 코킹 접합부이며, 클린치 접합 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클린치 접합 후에 있어서는, 양극 집전체(250)로부터 덮개체(110)를 향하여 돌출된 요철 구조의 코킹 접합부[돌출부(261), 오목부(262), 양극 팽출부(115) 및 오목부(1151)]가 형성된다.A
여기서, 「클린치 접합」이란, 다이(돌출부가 없는 수용측 지그에 상당)를 등받이로 하여 중첩한 판재를 펀치[돌출부를 가지는 압압(押壓)측 지그에 상당]로 국부적으로 압입함으로써, 한쪽의 판재에 다른 쪽의 판재가 끼워들어가도록 소성(塑性) 변형시켜 인터 록을 형성하는 접합 방법이다. 그러므로, 제1 접합부(260)의 돌출부(261)와, 덮개체(110)의 오목부(1151)는, 클린치 접합됨으로써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Here, the "clinch joint" is a technique in which a plate material superimposed with a die (corresponding to a receiving side jig having no projecting portion) as a back is locally press-fitted into a punch (corresponding to a pushing side jig having a projecting portion) And is plastically deformed so as to fit the other plate material into the plate material to form an interlock. Therefore, the projecting
클린치 접합에 의한 코킹 접합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aulking joint by clinch bond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 접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킹 접합부에 있어서, 돌출부(261)는, 제1 접합부(260)와 덮개체(110)와의 접합면(XY 평면에 평행한 면)과 직교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된, 선단이 폐쇄된 원통 형상의 볼록부이다. 그리고, 여기서는, 돌출부(261)로서 선단이 폐쇄된 원통 형상의 볼록부를 예시하였으나, 선단이 폐쇄된 볼록부이면, 돌출부의 형상은 어떠한 모양이라도 된다.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ulking j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n the caulking joint portion, the projecting
또한, 돌출부(261)는, 해당 돌출부(261)의 돌출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261a)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261a)는,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체 주위에 걸쳐 돌출되어 있으나, 상기 전체 주위 중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제1 돌출부(261a)는, 오목부(1151)와 함께 맞물린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261a)와 오목부(1151)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protruding
그리고, 클린치 접합할 때에 있어서는, 미리 덮개체(110)의 클린치 접합 개소의 두께를 다른 개소보다 얇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개소에 대하여 예를 들면, 자리파기 가공(스폿페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박육화(薄肉化)해 둔다. 이로써, 클린치 접합 후에는, 덮개체(110)의 오목부(1151)와, 양극 집전체(250)의 돌출부(261)를 보다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In clinch bonding, it is desirable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clinch joint portion of the covering
제2 접합부(270)는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에 의해, 전극체(400)의 양극 탭부(410)에 접속되어 있다.The second
여기서, 양극 단자(200)의 주위 에지는, 적어도 일부가 레이저 용접에 의해 덮개체(110)의 상면에 용접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10)의 상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레이저광(L1)을, 양극 단자(200)의 주위 에지에 있어서의 덮개체(110)와의 경계 근방에 조사함으로써, 양극 단자(200)와 덮개체(110)를 용접하여 접합하고 있다. 이로써, 양극 단자(200)는, 덮개체(110)를 통하여 양극 집전체(2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Here, at least a part of the peripheral edge of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양극 탭부(4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 집전체(250)와 용기(100)의 덮개체(110)가,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요철 구조의 코킹 접합부[돌출부(261), 오목부(262), 양극 팽출부(115) 및 오목부(1151)]를 가지고 있으므로, 덮개체(110)를 관통시키지 않더라도 양극 집전체(250)가 덮개체(110)에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양극 집전체(250)와 덮개체(110) 사이에 있어서는, 봉지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봉지 부재를 이용하여 기밀성을 확보하는 경우와 비교해도, 기밀 누출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및 음극의 양쪽에 봉지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해도, 기밀 누출이 생길 가능성을 반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ve electrode
또한, 음극 집전체(140)와 덮개체(110) 사이에는, 절연성의 음극 제2 봉지 부재(13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극과 음극이 덮개체(110) 상에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insulating negative electrode second sealing
또한, 덮개체(110)에 있어서도 양극 단자(200) 및 양극 집전체(2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용기(100)가 양극 전위로 된다. 따라서, 양극 단자(200) 이외의 부위에서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용기(100)가 양극 전위로 되어 있으면, 용기(100)가 녹기 어려워져, 장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덮개체(110)에 있어서의 코킹 접합부[양극 팽출부(115)]에 대하여, 양극 단자(200)가 위치 결정되고 있으므로, 위치 결정 전용의 부위를 별도 형성하지 않고도, 양극 단자(200)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Since the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당업자가 생각해내는 각종 변형을 상기 실시형태에 실시한 것도, 혹은, 상기 설명된 복수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구축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The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constituent elements are constructed in combin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변형예 1)(Modified Example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양극 단자(200)가 상하 방향으로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변형예 1에서는, 하단부에 플랜지부(flange portion)를 가지는 양극 단자를 예시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도 6은, 변형예 1에 관한 양극 단자(200A)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은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단자(200A)의 하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20)가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양극 단자(200A)가 플랜지부(220)를 가지고 있으면, 덮개체(110)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레이저광(L2)을, 플랜지부(220)의 외주 에지에 있어서의 덮개체(110)와의 경계 근방에 조사할 수 있다. 이로써, 비스듬히 조사하는 경우와 비교해도 레이저광(L2)에 의한 용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
(변형예 2)(Modified example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양극 단자(200)의 외주 에지만이 덮개체(110)에 용접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변형예 2에서는, 양극 단자의 내주 에지도 용접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only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도 7은, 변형예 2에 관한 양극 단자(200B)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은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단자(200B)의 관통공(210)을 이루는 내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0)가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30)에 의해, 덮개체(110)의 양극 팽출부(115)가 간극없이 관통공(2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30)의 상면과 양극 팽출부(115)의 상면은 면일(面一)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 protruding
상기와 같이, 양극 단자(200B)가 돌출부(230)를 가지고 있으면, 양극 팽출부(115)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레이저광(L3)을, 돌출부(230)의 내주 에지에 있어서의 양극 팽출부(115)와의 경계 근방에 조사할 수 있다. 이로써, 양극 단자(200B)의 외주 에지와 함께, 내주 에지도 덮개체(110)에 용접할 수 있고, 양극 단자(200B)와 덮개체(110)를 보다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리고, 양극 단자(200B)의 내주 에지만을 덮개체(110)에 용접해도 된다.Then, only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변형예 3)(Modification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100)에 접속된 도전 부재의 일례로서 양극 단자(200)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변형예 3에서는, 덮개체 자체가 양극 단자를 이루고, 상기 덮개체에 접속되는 버스 바가 도전 부재로 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도 8은, 변형예 3에 관한 덮개체(110C)와, 버스 바(600)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은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of the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10C)는 코킹 접합부[양극 팽출부(115)]를 포함하는 부위가 양극 단자(200C)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덮개체(110C)에 있어서의 양극 단자(200C)는, 평면에서 볼 때(Z축 방향) 타원형의 팽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극 단자(200C)의 뒷면에는, 오목형의 부분인 오목부(219)가 형성되어 있다. 양극 단자(200C)와 오목부(219)는 표리 일체의 관계이며, 관통하지 않는다. 그리고, 양극 단자(200C)의 중앙에 양극 팽출부(11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극 단자(200C)의 상면에는, 버스 바(600)가 양극 팽출부(115)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a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덮개체(110C)에 있어서의 코킹 접합부[양극 팽출부(115)]가 양극 단자(200C)를 이루고, 양극 단자(200C)에 접속되는 버스 바(600)가 도전 부재이므로, 양극 단자 전용의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ulking joint portion (anode bulging portion 115) in the
(변형예 4)(Variation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양극 집전체(250)와 덮개체(110)가 클린치 접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변형예 4에서는, 양극 집전체를 이용하지 않고, 덮개체와, 전극체의 양극 탭부를 클린치 접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cathode
도 9는, 변형예 4에 관한 덮개체(110D)와, 전극체(400D)의 양극 탭부(410d)와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9는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unction structure between a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10D)의 양극 팽출부(115d)는, 용기(100)의 내부를 향하여,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팽출되어 있다. 또한, 양극 팽출부(115d)의 뒤쪽에는, 오목형의 부분인 오목부(1151d)가 형성되어 있다. 양극 팽출부(115d) 및 오목부(1151d)는 표리 일체의 관계이며, 이들은 관통되지 않는다. 상기 덮개체(110D)의 양극 팽출부(115d) 및 오목부(1151d)는, 양극 탭부(410d)의 일부가 덮개체(110D)에 클린치 접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형성된 코킹 접합부이며, 클린치 접합 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9, the
양극 단자(200D)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하면에 덮개체(110D)의 오목부(1151d)에 삽입되는 돌기(2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90)가 덮개체(110D)의 오목부(1151d)에 삽입됨으로써, 양극 단자(200D)는 위치 결정된다.The
전극체(400D)의 양극 탭부(410d)에는, 덮개체(110D)의 양극 팽출부(115d)가 끼워맞추어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오목부(41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4)의 뒤쪽에는, 돌출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4) 및 돌출부(415)는 표리 일체의 관계이며, 이들은 관통되지 않는다. 상기 오목부(414) 및 돌출부(415)는, 덮개체(110D)에 클린치 접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형성된 코킹 접합부이며, 클린치 접합 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A circular
양극 탭부(410d)의 오목부(414)와 덮개체(110D)의 양극 팽출부(115d)는, 클린치 접합됨으로써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The
또한, 양극 탭부(410d)를 덮개체(110D)에 클린치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을 기인으로 한 전극체(400D)로부터의 금속 분말의 발생 리스크를 억제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ositive
그리고, 양극 탭부(410d)에 덮개체(110D)를 클린치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변형예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10D)가 용기(100)의 안쪽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클린치 접합하는 것이 제조상 바람직하지만, 역방향으로 볼록해져도 된다.When the
또한, 양극 탭부(410d)와 덮개체(110D)를 클린치 접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간 부재를, 양극 탭부(410d)와 덮개체(110D) 사이에 개재시키고 나서, 중간 부재와 함께 클린치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클린치 접합 시의 양극 탭부(410d)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positive
(변형예 5)(Modified Example 5)
변형예 4에서는, 전극체(400D)의 양극 탭부(410d)와 덮개판(110D)만이 클린치 접합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변형예 5에서는, 양극 탭부(410d)와 덮개판(110D)과 함께, 보강 부재(700)도 클린치 접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예 4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Modification 4 exemplifies the case where only the positive
도 10은, 변형예 5에 관한 덮개체(110D)와, 전극체(400D)의 양극 탭부(410d)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체(400D)의 양극 탭부(410d)에 있어서의 덮개체(110D)와는 반대 측의 면에는, 보강 부재(700)가 겹쳐 있다. 상기 보강 부재(700)는, 양극 탭부(410d)와 덮개판(110D)과 함께 클린치 접합됨으로써, 이들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다. 상기 보강 부재(700)는,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극체(400D)의 양극 기재층과 동일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형성된 금속 부재이다.As shown in Fig. 10, the reinforcing
보강 부재(700)에는, 양극 탭부(410d)가 끼워맞추어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오목부(70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01)의 뒤쪽에는, 돌출부(70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01) 및 돌출부(702)는 표리 일체의 관계이며, 이들은 관통되지 않는다. 상기 오목부(701) 및 돌출부(702)는, 덮개체(110D)에 클린치 접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형성된 코킹 접합부이며, 클린치 접합 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본 변형예 5에 있어서는, 코킹 접합부는, 덮개체(110D)의 양극 팽출부(115d) 및 오목부(1151d)와, 양극 탭부(410d)의 오목부(414) 및 돌출부(415)와, 보강 부재(700)의 오목부(701) 및 돌출부(702)를 포함하고 있다.The reinforcing
상기와 같이, 보강 부재(700)가 양극 탭부(410d)에 겹쳐지고, 또한 양극 탭부(410d)와 함께 클린치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보강 부재(700)가 양극 탭부(410d)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보강 부재(700)는, 양극 탭부(410d)의 일부인 극판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변형예 6)(Modified Example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축전 소자(10)가 포함하는 전극체(400)가 권회형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축전 소자(10)는 예를 들면, 평판형 극판을 적층한 적층형 전극체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축전 소자(10)는 예를 들면, 주름상자형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전극체를 포함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본 변형예 6에서는, 적층형 전극체(400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변형예 6에 관한 전극체(400E)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체(400E)는, 극판인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끼워 넣어지도록 층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양극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적층되는 것에 의해 양극 탭부(410e)가 형성되어 있다. 양극 탭부(410e)는, 예를 들면, 적층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모여 있다. 양극 탭부(410e)는, 덮개체(110D)에 대하여 클린치 접합에 의해 접합되고, 양극 단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the sixth modification, the
한편, 각 음극에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적층되는 것에 의해 음극 탭(420e)이 형성되어 있다. 음극 탭부(420e)는 예를 들면, 적층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모여 있다. 음극 탭부(420e)는, 음극 집전체(150)를 통하여 음극 단자(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On the other hand, protrusions are also formed on each of the cathodes, and the
그리고, 주름상자형으로 적층된 전극체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세 형태를 들 수 있다. 제1 적층형 전극체는,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겹친 것이 복수,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2 적층형 전극체는, 양극 및 음극의 한쪽의 극판과, 세퍼레이터를 겹친 것을 주름상자형으로 접어, 그 사이에 다른 쪽의 극판을 삽입함으로써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3 적층형 전극체는, 세퍼레이터를 주름상자형으로 접어, 그 사이에 양극과 음극을 겹쳐 삽입함으로써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Examples of the electrode body laminated in the form of a bellows include the following three types. The first stacked-layer electrode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positive electrodes, the negative electrodes and the separators are stacked. The second stacked-layer electrode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of the electrode plat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laminated with the separator, and the other electrode plate is inserted therebetween. The third stacked-layer electrode body has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or is folded into a bell-shaped box,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주름상자형 이외의 적층형 전극체로서는,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전극체(400G, 400H)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은, 전극체(400G, 400H)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하면도이다.Examples of the laminate type electrode body other than the pleated box type include the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체(400G)는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양극(450g) 및 음극(460g)을 포함하고 있다. 양극(450g)과 음극(460g) 각각의 사이에는 세퍼레이터(470g, 471g)가 협지되어 있다. 세퍼레이터(470g)는, 소정의 매수의 양극(450g) 및 음극(460g)을 협지하면서 권회되고, 최외주의 양극(450g) 및 음극(460g)에 대하여 감겨 있고, 또한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2쌍의 양극(450g) 및 음극(460g)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세퍼레이터(471g)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각 세퍼레이터(471g)는, 세퍼레이터(470g)가 개재되지 않은 양극(450g)과 음극(460g) 사이에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있다. 이로써, 전극체(400G)는 전체로서 적층된 구조로 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최외주의 양극(450g) 및 음극(460g)에 대하여 1회만 세퍼레이터(470g)가 권취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세퍼레이터(470g)가 복수회 권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세퍼레이터(470g)는, 여기서 예시한 것 이외의 양극(450g)과 음극(460g) 사이에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 12, the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체(400H)는,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양극(450h) 및 음극(460h)을 포함하고 있다. 양극(450h)과 음극(460h) 각각의 사이에는 장척의 세퍼레이터(470h)가 협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470h)의 일단부는,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양극(450h)과 음극(460h)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470h)를 일단부로부터 권회한 상태에서, 상기 세퍼레이터(470h)가 나머지의 양극(450h)과 음극(460h)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세퍼레이터(470)는 복수는 양극(450g) 및 음극(460g)의 최외주에 대하여 감겨 있다. 이로써, 전극체(400G)는 전체로서 적층된 구조로 된다.As shown in Fig. 13, the
(변형예 7)(Modification 7)
상기 변형예 6에서는, 클린치 접합되는 양극 측의 탭부가 양극 탭부(410e)의 하나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탭부의 적층 매수가 너무 많으면, 클린치 접합의 확실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클린치 접합되는 양극 측의 탭부를 복수로 분할하여, 개별로 클린치 접합함으로써, 클린치 접합의 확실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본 변형예 7에서는, 양극 측의 탭부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예 6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modified example 6, the case where the tab portion on the anode side to be clinch-bonded is one of the positive
도 14는, 변형예 7에 관한 전극체(400F)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체(400F)에는, 2개의 양극 탭부(410f, 411f)가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있다. 양극 탭부(410f, 411f)는, 덮개체(110D)에 대하여 클린치 접합에 의해 접합되고, 양극 단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여기서, 음극과 세퍼레이터를 무시하고 양극에만 착안하여, 2개의 양극 탭(410f, 411f)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극체(400F)를 이루는 복수의 양극에는, 양극 탭(410f)을 이루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한 복수의 제1 양극과, 양극 탭(420f)을 이루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한 복수의 제2 양극이 있다.Here, a method of forming the two
제1 형성 방법은, 복수의 제1 양극을 연속하여 적층함으로써, 각각의 제1 돌출부를 적층하여 양극 탭(410f)을 형성하고, 복수의 제2 양극을 연속하여 적층함으로써, 각각의 제2 돌출부를 적층하여 양극 탭(411f)을 형성하는 방법이다.In the first forming method, a plurality of first positive electrodes are laminated successively to laminate the first projecting portions to form a
제2 형성 방법은, 제1 양극과 제2 양극을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각각의 제1 돌출부를 적층하여 양극 탭(410f)을 형성하고, 또한 각각의 제2 돌출부를 적층하여 양극 탭(411f)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제1 형성 방법, 제2 형성 방법 중 어느 것인가를 적절하게 채용하여, 2개의 양극 탭(410f, 411f)을 형성하면 된다.In the second forming method,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are alternately laminated to form the
그리고, 변형예 6, 변형예 7에서 예시한 적층형 전극체(400E, 400F)에 대해서도, 양극 탭부(410e, 410f, 411f)를 양극 집전체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양극 집전체와 덮개체를 클린치 접합으로 접합해도 된다.The positive
(다른 변형예)(Other Modifications)
또한, 축전 소자(10)가 포함하는 전극체(400)의 개수는 하나에는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이어도 된다.The number of the
또한, 전극체(400)가 가지는 양극 탭부(410)와 음극 탭부(420)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권회형 전극체(400)에 있어서, 양극 탭부(410)와 음극 탭부(420)가 권회축 방향의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축전 소자(10)가, 적층형 전극체를 포함하는 경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양극 탭부와 음극 탭부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양극 탭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양극 집전체가 배치되고, 음극 탭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음극 집전체나 음극 봉지 부재 등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100)가 양극 전위로 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용기를 음극 전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음극 탭부 또는 음극 집전체와 용기를 클린치 접합한다. 그리고, 양극 측에 있어서는, 양극 단자 또는 양극 집전체와 용기 사이에 절연성 봉지 부재를 배치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접합부(160, 270)가 용접에 의해 전극체(400)의 탭부[양극 탭부(410), 음극 탭부(42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2 접합부와 탭부는 클린치 접합되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secon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100)의 덮개체(110)에 대하여 클린치 접합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용기(100)의 본체(111)에 대하여 클린치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ase where clinch bonding is performed on the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 및 상기 변형예를 임의로 조합하여 구축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re optionally combined.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 등의 축전 소자 등에 적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wer storage device such a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10 : 축전 소자
100 : 용기
110, 110C, 110D : 덮개체
111: 본체
115, 115d : 양극 팽출부 (코킹 접합부)
136 : 음극 제2 봉지 부재(봉지 부재)
140 : 음극 집전체(제2 집전체)
200, 200A, 200B, 200C, 200D : 양극 단자(도전 부재, 제1 단자)
250 : 양극 집전체(제1 집전체)
261, 415, 702 : 돌출부(코킹 접합부)
261a : 돌출부
262, 414, 701, 1151, 1151d :오목부(코킹 접합부)
300 : 음극 단자(제2 단자)
400, 400D, 400G, 400H, 400F : 전극체
410, 410d, 410e, 410f, 411f : 양극 탭부(제1 탭부)
420, 420e : 음극 탭부(제2 탭부)
600 : 버스 바(도전 부재)
700 : 보강 부재10: Capacitor element
100: container
110, 110C, 110D:
111: Body
115, 115d: positive electrode bulging portion (caulking joint portion)
136: negative electrode second sealing member (sealing member)
140: negative current collector (second current collector)
200, 200A, 200B, 200C, 200D: positive terminal (conductive member, first terminal)
250: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first collector)
261, 415, 702: projections (caulking joints)
261a:
262, 414, 701, 1151, 1151d: concave portion (caulking joint portion)
300: negative terminal (second terminal)
400, 400D, 400G, 400H, 400F: Electrode body
410, 410d, 410e, 410f, 411f: positive electrode tab portion (first tab portion)
420, 420e: negative electrode tab portion (second tab portion)
600: bus bar (conductive member)
700: reinforcing member
Claims (5)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집전체 또는 상기 제1 탭부와, 상기용기는,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요철 구조의 코킹 접합부를 가지는,
축전 소자. An electrode body having a body portion and a first tab portion project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And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body,
A first current collector or first tab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ab portion, and a second tab portion having a caulking joint portion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protru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Charging device.
상기 전극체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제2 탭부를 가지고,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제1 집전체;
상기 제2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집전체;
상기 용기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집전체를 통하여 상기 제1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
상기 용기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를 관통하고, 상기 제2 집전체를 통하여 상기 제2 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또는 상기 제2 집전체와 상기 용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봉지 부재를 포함하는,
축전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body has a second tab portion project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charge-
The first collector;
A second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ab portion;
A conductive member mounted on the contain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ab portion through the first current collector;
A second terminal mounted on the container and penetrating the contain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ab through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And
And an insulating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or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and the container,
Charging device.
상기 제1 탭부, 상기 도전 부재 및 상기 제1 집전체는 양극이며,
상기 제2 탭부,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2 집전체는 음극인,
축전 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tab portion,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are positive electrodes,
Wherein the second tab portio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are negative electrodes,
Charging device.
상기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코킹 접합부가 제1 단자를 이루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제1 단자에 접속되는 버스 바(bus bar)인,
축전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aulking joint portion in the container constitutes a first terminal,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is a bus bar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harging device.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코킹 접합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는, 축전 소자.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aulking joint portion in th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75661 | 2016-09-08 | ||
JP2016175661 | 2016-09-08 | ||
JP2017159108A JP2018046000A (en) | 2016-09-08 | 2017-08-22 | Power storage element |
JPJP-P-2017-159108 | 2017-08-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8373A true KR20180028373A (en) | 2018-03-16 |
Family
ID=6169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7761A KR20180028373A (en) | 2016-09-08 | 2017-08-25 | Energy storage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18046000A (en) |
KR (1) | KR20180028373A (e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8709A (en) * | 1999-06-03 | 2000-12-15 | Toshiba Corp | Battery and its manufacture |
JP5418809B2 (en) * | 2008-10-16 | 2014-02-19 | 株式会社Gsユアサ |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5679272B2 (en) * | 2010-08-30 | 2015-03-04 |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 Battery cover with electrode terminal and sealed battery |
CN102479972B (en) * | 2010-11-30 | 2015-09-02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
JP5609610B2 (en) * | 2010-12-10 | 2014-10-22 | 株式会社Gsユアサ | battery |
US8748034B2 (en) * | 2011-04-14 | 2014-06-10 | Gs Yuasa International Ltd. |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including one of projecting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lid plate |
JP6048080B2 (en) * | 2011-11-29 | 2016-12-21 | 株式会社Gsユアサ | Electricity storage element |
JP5862237B2 (en) * | 2011-11-29 | 2016-02-16 | 株式会社Gsユアサ | Electricity storage element |
-
2017
- 2017-08-22 JP JP2017159108A patent/JP2018046000A/en active Pending
- 2017-08-25 KR KR1020170107761A patent/KR20180028373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046000A (en) | 2018-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36288A1 (en) |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 production method | |
JP6582500B2 (en) | Electricity storage element | |
EP2254176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CN108028343B (en) | Electric storage element | |
JP6701211B2 (en) | Electric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storage element | |
US10637035B2 (en) | Energy storage device | |
CN108701802B (en) |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nergy storage device | |
US20200006719A1 (en) | Energy storage device | |
KR101821488B1 (en) | Battery | |
JP2018147832A (en) | Power storage element | |
JP6701210B2 (en) | Electric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storage element | |
US20200395577A1 (en) | Energy storage device | |
US11600889B2 (en) | Energy storage device | |
JP6094880B2 (en) | Power storage device | |
US10516152B2 (en) | Energy storage device | |
US10601019B2 (en) | Energy storage device | |
JP2018101568A (en) | Squar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13033660A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80028373A (en) | Energy storage device | |
WO2023063329A1 (en) | Power storage element | |
JP2019169331A (en) | Power storage element | |
JP7346856B2 (en) | Energy storage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2023035555A (en) | Power storage element | |
JP2019117720A (en) | Power storage el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