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197A - 스테이터 및 모터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및 모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1197A KR20180021197A KR1020187003353A KR20187003353A KR20180021197A KR 20180021197 A KR20180021197 A KR 20180021197A KR 1020187003353 A KR1020187003353 A KR 1020187003353A KR 20187003353 A KR20187003353 A KR 20187003353A KR 20180021197 A KR20180021197 A KR 201800211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ing
- radial direction
- extending
- umbrella
- circumferenti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스테이터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티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복수의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를 개재하여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구성되는 코일을 구비한다. 인슐레이터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통부와, 통부의 지름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엄브렐라부와, 통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벽부를 갖는다. 벽부의 선단면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져 있고, 지름 방향에 있어서 엄브렐라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통부에 가까워진다. 인슐레이터는 엄브렐라부의 둘레 방향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코어백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테이터 및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티스에 감긴 코일을 갖는 모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상기와 같은 모터에 있어서는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도선을 티스에 권회해서 코일을 구성한다. 그러나, 도선을 티스에 권회할 때에 도선의 권취 시작의 단부는 움직이기 쉬워, 티스에 감긴 1번째 권취의 도선이 움직일 우려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1번째 권취의 도선 위에서 도선을 더 권회하면 1번째 권취의 도선을 고정할 수 있고, 1번째 권취의 도선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이너 로터에 있어서의 티스의 선단측 등, 이웃하는 티스끼리의 둘레 방향의 간격이 좁은 위치로부터 도선을 감기 시작할 경우에는 도선을 겹쳐서 권회할 스페이스가 확보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도선을 겹쳐서 권회해서 1번째 권취의 도선을 고정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스테이터, 및 그러한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스테이터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상기 티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복수의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통부와, 상기 통부의 지름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엄브렐라부와, 상기 통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벽부를 갖고, 상기 벽부의 선단면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져 있고,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엄브렐라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통부에 가까워지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엄브렐라부의 둘레 방향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코어백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로터를 구비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스테이터 및 모터에 있어서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인슐레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인슐레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J)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도 1의 상측을 단지 「상측」이라고 부르고, 하측을 단지 「하측」이라고 부른다. 또한, 상하 방향은 실제의 기기에 장착되었을 때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중심축(J)에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을 단지 「지름 방향」이라고 부르며,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단지 「둘레 방향」이라고 부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엄밀하게 축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축 방향에 대하여 45°미만의 범위에서 기운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엄밀하게 지름 방향, 즉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지름 방향에 대하여 45°미만의 범위에서 기운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0)는, 예를 들면 이너 로터형의 모터이다. 모터(10)는 각 부품을 수용 가능한 하우징(20)과, 로터(30)와, 통 형상의 스테이터(40)와, 베어링 홀더(50)와, 하우징(20)에 유지되는 하부 베어링(60)과, 베어링 홀더(50)에 유지되는 상부 베어링(61)과,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와,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와, 단자(92A, 92B)를 구비한다.
로터(30)는 중심축(J)을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31)와, 제 1 로터 코어(33A)와, 제 2 로터 코어(33B)와, 제 3 로터 코어(33C)와, 제 1 마그넷(34A)과, 제 2 마그넷(34B)과, 제 3 마그넷(34C)을 갖는다. 샤프트(31)는 하부 베어링(60) 및 상부 베어링(61)에 의해 중심축(J)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30)는 스테이터(40)의 내측에 있어서 스테이터(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 1 로터 코어(33A), 제 2 로터 코어(33B), 및 제 3 로터 코어(33C)는 통 형상이다. 제 1 로터 코어(33A)와, 제 2 로터 코어(33B)와, 제 3 로터 코어(33C)는 축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배열된다. 제 1 로터 코어(33A)의 내측면, 제 2 로터 코어(33B)의 내측면, 및 제 3 로터 코어(33C)의 내측면은, 예를 들면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다. 제 1 로터 코어(33A), 제 2 로터 코어(33B), 및 제 3 로터 코어(33C)에, 예를 들면 압입 등에 의해 끼워맞추어져서 고정된다. 또한, 제 1 로터 코어(33A), 제 2 로터 코어(33B), 및 제 3 로터 코어(33C)는 다른 부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샤프트(31)에 고정되어도 좋다.
제 1 마그넷(34A), 제 2 마그넷(34B), 및 제 3 마그넷(34C)은, 예를 들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제 1 마그넷(34A)은 제 1 로터 코어(33A)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 2 마그넷(34B)은 제 2 로터 코어(33B)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 3 마그넷(34C)은 제 3 로터 코어(33C)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 1 마그넷(34A), 제 2 마그넷(34B), 및 제 3 마그넷(34C)은 각각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된다. 또한, 제 1 마그넷(34A), 제 2 마그넷(34B), 및 제 3 마그넷(34C)은 각각 단일 부재라도 된다. 이 경우, 제 1 마그넷(34A), 제 2 마그넷(34B), 및 제 3 마그넷(34C)은, 예를 들면 원환 형상이다.
스테이터(40)는 로터(30)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테이터(40)는 로터(30)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40)는 스테이터 코어(40a)와, 복수의 코일(43)과, 복수의 인슐레이터(44)를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40a)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 강판이 적층되어서 구성된다. 스테이터 코어(40a)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41)과, 코어백(41)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42)를 갖는다. 즉, 스테이터(40)는 코어백(41)과 티스(42)를 구비한다.
코어백(41)은, 예를 들면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한 원환 형상이다. 코어백(41)의 외주면은 하우징(20)의 내주면에 예를 들면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티스(42)는 코어백(41)의 내측면에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티스(42)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코일(43)은 인슐레이터(44)를 개재해서 티스(42)에 권회된 도전선(43a)으로 구성된다. 코일(43)은 각 티스(42)에 배치된다. 코일(43)은 도전선(43a)의 단부인 코일단(43b)을 갖는다. 코일단(43b)은 코일(43)의 티스(42)에 권회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인슐레이터(44)의 적어도 일부는 티스(42)와 코일(43) 사이에 배치된다. 인슐레이터(44)는 티스(4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는 대략 원통 형상이다.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는 스테이터(4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는 중성점 버스바(90)와, 중성점 버스바(90)를 유지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하측 버스바 홀더(71)를 갖는다. 즉, 모터(10)는 중성점 버스바(90)와 하측 버스바 홀더(71)를 구비한다.
하측 버스바 홀더(71)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하측 버스바 홀더(71)는 인슐레이터(44)에 고정된다. 중성점 버스바(90)는 코일(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성점 버스바(90)는 코일단(43b)과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중성점 버스바(90)는 스테이터(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중성점 버스바(90)는 복수의 코일단(43b)을 중성점으로 해서 연결된다.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는 대략 원통 형상이다.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는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는 상용 버스바(91)와, 상용 버스바(91)를 유지하는 상측 버스바 홀더(81)를 갖는다. 즉, 모터(10)는 상용 버스바(91)와 상측 버스바 홀더(81)를 구비한다.
상측 버스바 홀더(81)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상측 버스바 홀더(81)는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상용 버스바(91)는 코일(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 버스바(91)는 코일단(43b)과 접속된다. 상용 버스바(91)는 단자(92A, 92B)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상용 버스바(91)는 스테이터(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92A, 92B)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단자(92A, 92B)의 상측의 단부는 하우징(20)의 상측의 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단자(92A, 92B)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과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스(42)는 코어백(41)의 내측면에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a)와, 연장부(42a)의 선단으로부터 둘레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는 선단부(42b)를 갖는다. 티스(42)의 수는 9개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44)는 지름 방향 양측으로 개구되는 통 형상이다. 각 인슐레이터(44)는 각각 각 티스(42)에 장착된다. 인슐레이터(44)는 통부(46)와, 엄브렐라부(47)와, 판부(45)와, 벽부(48a, 48b)와, 적어도 1개의 돌출부(49)를 갖는다.
통부(46)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46)의 내측에는 연장부(42a)가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46)에는 도전선(43a)이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코일(43)이 배치된다.
통부 외측면(46a, 46b)은 통부(46)의 둘레 방향 양측의 외측면이다. 통부 외측면(46a, 46b)은 티스(42)를 향해서 오목한 복수의 홈부(46c)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46c)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홈부(46c)는 통부 외측면(46a, 46b)의 상단으로부터 통부 외측면(46a, 46b)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복수의 홈부(46c)는 지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홈부(46c) 중에서 가장 엄브렐라부(47)에 가까운 제 1 홈부(46d)는 통부 외측면(46a, 46b)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복수의 홈부(46c) 중에서 가장 엄브렐라부(47)로부터 먼 홈부(46c)는 통부 외측면(46a)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홈부(46c) 내에는 통부(46)에 권회된 도전선(43a)의 일부가 배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홈부(46c)의 평면으로 볼 때의 외형은 대략 반원호 형상이다. 홈부(46c)의 평면으로 볼 때의 외형의 곡률은, 예를 들면 도전선(43a)의 단면형상의 곡률과 같다. 그 때문에, 홈부(46c) 내에 도전선(43a)을 안정되게 유지하기 쉽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엄브렐라부(47)는 통부(46)의 지름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엄브렐라부(47)는 통부(46)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축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엄브렐라부(47)의 지름 방향으로 본 형상은 직사각형 환상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엄브렐라부(47)는 선단부(42b)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또한, 엄브렐라부(47)의 외형은 상술한 형상 이외의 형상이라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45)는 통부(46)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양측 및 축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판부(45)의 지름 방향으로 본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 환상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엄브렐라부(47) 및 판부(45)에 의해서 코일(43)이 지름 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판부(45)의 외형은 상술한 형상 이외의 형상이라도 된다.
벽부(48a)는, 통부(46)의 둘레 방향 일방측의 외측면인 통부 외측면(46a)으로부터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돌출한다. 벽부(48a)는 제 1 홈부(46d)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제 1 홈부(46d)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벽부(48a)와 엄브렐라부(47) 사이에 배치된다. 벽부(48a)는 제 1 홈부(46d)와 인접한다.
벽부(48a)의 선단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엄브렐라부(47)의 둘레 방향 일방측의 단부보다 통부(46)측에 배치된다. 벽부 선단면(48c)은 벽부(48a)의 선단면이다. 벽부 선단면(48c)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져 있고, 지름 방향에 있어서 엄브렐라부(47)측(즉,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통부(46)에 가까워진다. 벽부 선단면(48c)은 티스(42)측으로 오목한 곡면이다.
통부 외측면(46b)은 통부(46)의 둘레 방향 타방측의 외측면이다. 벽부(48b)는 통부 외측면(46b)으로부터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돌출한다. 벽부(48b)의 그 밖의 구성은 벽부(48a)의 구성과 같다.
도전선(43a)은 통부(46)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권회된다. 즉, 코일(43)(도전선(43a))의 권취 시작의 위치는, 예를 들면 통부(46)에 있어서의 엄브렐라부(47)측의 단부이다. 코일(43)의 권취 시작의 코일단은 1번째 권취(C1)의 둘레 방향 일방측에 설정된다. 바꿔 말하면, 코일(43)을 구성하는 도전선(43a)은 통부(46)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감기기 시작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도전선(43a)은 6번 권취된다. 도전선(43a)의 1번째 권취(C1)는 제 1 홈부(46d)를 따라서 통부(46)에 권회된다. 도전선(43a)의 2번째 권취(C2)는 벽부 선단면(48c)을 따라 벽부(48a, 48b)에 권회된다. 2번째 권취(C2)는 1번째 권취(C1)와 접촉한다.
도전선(43a)의 3번째 권취(C3), 4번째 권취(C4), 5번째 권취(C5), 및 6번째 권취(C6)는 벽부(48a, 48b)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4개의 홈부(46c)를 따라서, 각각 순서대로 통부(46)에 권회된다.
벽부(48a, 48b)에 권회된 2번째 권취(C2)는 도전선(43a)이 조여짐으로써 벽부 선단면(48c)에 압박된다. 벽부 선단면(48c)은 경사지기 때문에 2번째 권취(C2)는 벽부 선단면(48c)에 압박됨으로써 지름 방향 안쪽 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도 5의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째 권취(C2)는 지름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도전선(43a)(도 5에서는 1번째 권취(C1))에, 지름 방향 안쪽 방향에 대하여 통부(46)측으로 기운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2번째 권취(C2)의 지름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도전선(43a)에는 2번째 권취(C2)에 의해 통부(46)에 압박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진다. 그 결과, 2번째 권취(C2)의 지름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도전선(43a)을, 2번째 권취(C2)에 의해 통부(46)측으로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슐레이터(44)를 개재해서 티스(42)에 권회된 도전선(43a)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벽부(48a, 48b)와 엄브렐라부(47) 사이에 제 1 홈부(46d)가 배치된다. 그 때문에, 벽부(48a, 48b)의 지름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도전선(43a)을 제 1 홈부(46d)에 배치되는 1번째 권취(C1)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43)의 권취 시작의 코일단이 설정되는 1번째 권취(C1)가 제 1 홈부(46d)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벽부(48a, 48b)는 제 1 홈부(46d)의 지름 방향 외측에 인접한다. 그 때문에, 2번째 권취(C2)는 1번째 권취(C1)와 접촉하고, 1번째 권취(C1)를 통부(46)측에 압박한다. 이것에 의해, 1번째 권취(C1)가 제 1 홈부(46d)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슐레이터(44)를 개재해서 티스(42)에 권회된 1번째 권취(C1)가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코일(43)의 권취 시작의 코일단은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티스(42)에 코일(43)이 권회된 후에 권취 시작의 코일단을 버스바와 접합하는 작업 등을 행하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벽부(48a, 48b)에 권회된 도전선(43a)(즉, 2번째 권취(C2))에 의해서 권취 시작의 코일단을 갖는 1번째 권취(C1)를 고정함으로써 권취 시작의 코일단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시작의 코일단을 버스바와 접합하는 작업 등을 행하기 쉽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부 선단면(48c)은 곡면이기 때문에 벽부(48a, 48b)에 권회된 2번째 권취(C2)를 벽부 선단면(48c)에 대하여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2번째 권취(C2)가 벽부(48a, 48b)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2번째 권취(C2)에 의해서 1번째 권취(C1)를 압박함으로써 1번째 권취(C1)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1번째 권취(C1)가 제 1 홈부(46d)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모터(10)가 이너 로터형의 모터일 경우, 티스(42)는 코어백(41)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지름 방향 내측의 위치일수록 이웃하는 티스(42)끼리의 둘레 방향의 간극은 좁아진다. 권취 시작의 코일단을 갖는 1번째 권취(C1)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 도전선(43a)를 겹쳐서 감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에 있어서는 티스(42)끼리의 둘레 방향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티스(42)에 도전선(43a)을 겹쳐서 감는 것이 곤란하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 도전선(43a)을 겹쳐서 감지 않고 코일(43)의 권취 시작의 코일단을 갖는 1번째 권취(C1)를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49)는 엄브렐라부(47)의 둘레 방향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코어백(41)측을 향해서 돌출한다. 즉, 돌출부(49)는 통부(46)에 대하여 벽부(48a)가 배치되는 측과 같은 측에 배치된다.
2번째 권취(C2)에 의해 1번째 권취(C1)가 압박될 경우, 2번째 권취(C2)가 벽부(48a, 48b)에 대하여 조여지는 힘의 크기, 또는 2번째 권취(C2)와 1번째 권취(C1)의 접촉의 방법에 따라서는, 2번째 권취(C2)에 의해서 1번째 권취(C1)가 제 1 홈부(46d)로부터 압출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돌출부(49)가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홈부(46d)로부터 압출된 1번째 권취(C1)를 돌출부(49)에 의해 받아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1번째 권취(C1)가 제 1 홈부(46d)로부터 압출되었을 경우라도 1번째 권취(C1)가 통부(46)로부터 벗어나서 코일(43)의 권취 시작의 코일단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돌출부(49)가 코어백(41)측을 향해서 돌출된다,란 돌출부(49)의 선단부가 돌출부(49)와 코어백(41)의 접속부보다 코어백(41)에 가까운 것을 포함한다.
돌출부(49)에 의해 받아내어진 1번째 권취(C1)는, 예를 들면 2번째 권취(C2)와 돌출부(49)에 의하여 지름 방향으로 협지되어 고정된다.
돌출부(49)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홈부(46d)와 둘레 방향으로 겹친다. 그 때문에, 제 1 홈부(46d)로부터 압출된 1번째 권취(C1)를 돌출부(49)에 의해 받아내기 쉽다. 이것에 의해, 1번째 권취(C1)가 통부(46)로부터 벗어나서 코일(43)의 권취 시작의 코일단이 움직이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돌출부(49)의 선단과 2번째 권취(C2) 사이의 거리는 도전선(43a)의 직경보다 작다. 그 때문에, 돌출부(49)와 2번째 권취(C2) 사이로부터 1번째 권취(C1)가 통부(46)와 멀어지는 측으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1번째 권취(C1)가 티스(42)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돌출부(49)의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은 삼각형상이다. 돌출부(49)의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원형상이여도, 반타원형상이여도, 다각형상이여도 좋다. 돌출부 내측면(49a)은 돌출부(49)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통부(46)를 향하는 면(둘레 방향 타방측의 면)이며,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오목한 곡면이다. 그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번째 권취(C1)가 제 1 홈부(46d)로부터 압출되어서 돌출부(49)에 의해 받아내어질 경우에, 1번째 권취(C1)를 돌출부 내측면(49a)에 의해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1번째 권취(C1)가 제 1 홈부(46d)로부터 압출되었을 경우라도 1번째 권취(C1)를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9)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49)의 상단은 통부(46)의 상단인 통부 상면(46e)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돌출부(49)의 하단은 통부 상면(46e)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통부(46)에 권회되는 1번째 권취(C1)를 돌출부(49)에 의해서 보다 받아내기 쉽다.
돌출부(49)의 상단은 축 방향에 있어서 엄브렐라부(47)의 상단과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돌출부(49)의 하단은 축 방향에 있어서 통부(46)의 상단과 통부(46)의 하단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44)는 상부 피스(44b)와 하부 피스(44c)를 포함한다. 상부 피스(44b)와 하부 피스(44c)는 서로 별도의 부재이다. 상부 피스(44b)는 인슐레이터(44)의 상부이다. 하부 피스(44c)는 인슐레이터(44)의 하부이다. 돌출부(49)는 상부 피스(44b)에만 형성된다. 인슐레이터(44)는, 예를 들면 단일의 부재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인슐레이터(44)에 있어서 벽부(48a) 및 돌출부(49)의 각각은 통부(46)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같은 측에 배치된다. 즉, 모든 티스(42)에 있어서 벽부(48a) 및 돌출부(49)의 각각은 통부(46)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같은 측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각 티스(42)에 대하여 코일(43)을 같은 권취 방법으로 감았을 경우에, 어느 티스(42)에 있어서나 1번째 권취(C1)를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1번째 권취(C1)가 티스(42)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벽부(48a, 48b)에 권회되는 도전선(43a)은 몇번째 권취라도 좋다. 벽부(48a, 48b)에 권회되는 도전선(43a)은, 예를 들면 3번째 권취(C3)∼6권째(C6)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이 경우, 1번째 권취(C1)는 벽부(48a, 48b)에 권회된 몇번째 권취인가의 도전선(43a)에 의해 압박되어 고정된다.
벽부(48a)와 벽부(48b)는 반드시 양쪽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벽부(48a)만 형성되어도 좋다. 벽부 선단면(48c)은 전체가 경사져 있어도 좋다. 벽부 선단면(48c)은 평탄면이라도 좋다.
돌출부(49)는 1개의 엄브렐라부(47)에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돌출부(49)는, 예를 들면 엄브렐라부(47)의 둘레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코일(43)을 티스(42)의 둘레 방향의 어느 측에서 감기 시작한 경우에도 1번째 권취(C1)가 티스(42)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면 모터(10)가 아우터 로터형의 모터라도 된다.
돌출부(49)는 엄브렐라부(47)의 상단으로부터 엄브렐라부(47)의 하단까지 연장되어도 좋다. 돌출부 내측면(49a)은 평탄면이어도 좋다.
로터(30)에 있어서의 로터 코어의 수는 1개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각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당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10 : 모터 30 : 로터
40 : 스테이터 41 : 코어백
42 : 티스 43 : 코일
43a : 도전선 44 : 인슐레이터
46 : 통부 46a : 통부 외측면
46c : 홈부 46d : 제 1 홈부
47 : 엄브렐라부 48a, 48b : 벽부
48c : 벽부 선단면 49 : 돌출부
J : 중심축
40 : 스테이터 41 : 코어백
42 : 티스 43 : 코일
43a : 도전선 44 : 인슐레이터
46 : 통부 46a : 통부 외측면
46c : 홈부 46d : 제 1 홈부
47 : 엄브렐라부 48a, 48b : 벽부
48c : 벽부 선단면 49 : 돌출부
J : 중심축
Claims (10)
-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상기 티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복수의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통부와,
상기 통부의 지름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엄브렐라부와,
상기 통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벽부를 갖고,
상기 벽부의 선단면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져 있고,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엄브렐라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통부에 가까워지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엄브렐라부의 둘레 방향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코어백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스테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외측면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티스를 향해서 오목한 복수의 홈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홈부는 지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홈부 중에서 가장 상기 엄브렐라부에 가까운 제 1 홈부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벽부와 상기 엄브렐라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홈부와 둘레 방향으로 겹치는 스테이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선단면은 상기 티스측으로 오목한 곡면인 스테이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티스에 있어서 상기 벽부 및 상기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통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같은 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통부의 상단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단은 상기 통부의 상단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부를 향하는 면은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오목한 곡면인 스테이터.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는 상기 코어백의 내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테이터.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권취 시작의 위치는 상기 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엄브렐라부측의 단부인 스테이터.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로터를 구비하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58393 | 2015-08-10 | ||
JPJP-P-2015-158393 | 2015-08-10 | ||
PCT/JP2016/073185 WO2017026411A1 (ja) | 2015-08-10 | 2016-08-05 |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1197A true KR20180021197A (ko) | 2018-02-28 |
KR101999618B1 KR101999618B1 (ko) | 2019-07-12 |
Family
ID=5798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3353A KR101999618B1 (ko) | 2015-08-10 | 2016-08-05 | 스테이터 및 모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498185B2 (ko) |
JP (1) | JP6885333B2 (ko) |
KR (1) | KR101999618B1 (ko) |
CN (1) | CN107925293B (ko) |
DE (1) | DE112016003644T5 (ko) |
WO (1) | WO201702641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21565A1 (ja) * | 2017-06-02 | 2018-12-06 | デンソートリム株式会社 |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
CN109428423B (zh) * | 2017-08-22 | 2020-09-25 | 马渊马达株式会社 | 定子及其制造方法、马达及其制造方法、绕线方法 |
CN110971053B (zh) * | 2018-09-28 | 2022-05-17 | 日本电产伺服有限公司 | 电动机 |
JP7394396B2 (ja) * | 2018-12-13 | 2023-12-0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ステ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 |
JP2020124076A (ja) * | 2019-01-31 | 2020-08-13 | 日本電産株式会社 |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送風装置 |
JP2020137177A (ja) * | 2019-02-14 | 2020-08-31 | 日本電産株式会社 | ステータ |
JP7194625B2 (ja) * | 2019-03-27 | 2022-12-22 | 株式会社山田製作所 | モータ用ステータ |
JP7194624B2 (ja) * | 2019-03-27 | 2022-12-22 | 株式会社山田製作所 | インシュレータ |
DE102019207330A1 (de) * | 2019-05-20 | 2020-11-26 | Audi Ag | Bauteil für eine Elektromaschine |
JP2021057986A (ja) * | 2019-09-30 | 2021-04-08 | 日本電産株式会社 |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
DE102020200516A1 (de) | 2020-01-17 | 2021-07-2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Isoliermaskeneinheit, Verfahren zum Bewickeln eines Grundkörpers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nd elektrische Maschi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21904A (ja) * | 2011-06-13 | 2013-01-31 | Nippon Densan Corp |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
JP2013247696A (ja) * | 2012-05-23 | 2013-12-09 | Jtekt Corp | 回転電機 |
JP2014180191A (ja) | 2013-02-18 | 2014-09-25 | Nidec Techno Motor Corp | モータ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4605A (ja) * | 1997-04-24 | 1998-11-13 | Toshiba Corp | 直流モータ |
JP3575987B2 (ja) | 1998-05-08 | 2004-10-13 |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 電動機の固定子 |
JP3952290B2 (ja) * | 2002-09-06 | 2007-08-01 | ヤマハモーター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回転電気機器の電機子及びその巻線方法 |
JP4826718B2 (ja) * | 2004-07-27 | 2011-11-30 | 日本電産株式会社 | モータ用の電機子およびモータ |
DE102006021903A1 (de) * | 2006-05-11 | 2007-11-22 | Zf Friedrichshafen Ag | Wickelkörper für eine Spule einer elektrischen Maschine |
DE102008033604B4 (de) * | 2008-07-17 | 2011-04-07 | Sew-Eurodrive Gmbh & Co. Kg | Elektromotor |
JP2011259614A (ja) * | 2010-06-09 | 2011-12-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回転電機の固定子 |
-
2016
- 2016-08-05 JP JP2017534422A patent/JP6885333B2/ja active Active
- 2016-08-05 DE DE112016003644.2T patent/DE112016003644T5/de active Pending
- 2016-08-05 KR KR1020187003353A patent/KR10199961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05 CN CN201680046915.3A patent/CN107925293B/zh active Active
- 2016-08-05 US US15/751,186 patent/US10498185B2/en active Active
- 2016-08-05 WO PCT/JP2016/073185 patent/WO201702641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21904A (ja) * | 2011-06-13 | 2013-01-31 | Nippon Densan Corp |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
JP2013247696A (ja) * | 2012-05-23 | 2013-12-09 | Jtekt Corp | 回転電機 |
JP2014180191A (ja) | 2013-02-18 | 2014-09-25 | Nidec Techno Motor Corp | モー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6003644T5 (de) | 2018-05-09 |
WO2017026411A1 (ja) | 2017-02-16 |
CN107925293B (zh) | 2019-12-24 |
JP6885333B2 (ja) | 2021-06-16 |
US20180233983A1 (en) | 2018-08-16 |
US10498185B2 (en) | 2019-12-03 |
JPWO2017026411A1 (ja) | 2018-06-21 |
CN107925293A (zh) | 2018-04-17 |
KR101999618B1 (ko) | 2019-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9618B1 (ko) | 스테이터 및 모터 | |
US8508088B2 (en) | Wiring component for motor coil | |
KR101959115B1 (ko) | 스테이터 조립 방법 및 스테이터 조립 장치 | |
JP5652004B2 (ja) | 配電構造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993624B1 (ko) | 모터 | |
US7598637B2 (en) | Sta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 |
US8067866B2 (en) | Central electricity distribution membe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 |
US20160149454A1 (en) | Motor | |
KR20180023002A (ko) | 모터 | |
EP3358715B1 (en) | Stator, motor, and pump device | |
US10483819B2 (en) | Stator assembly for motor | |
EP3176915A1 (en) | Stator for electric motor | |
US10840656B2 (en) | Bus bar unit and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the same | |
KR20210134941A (ko) | 전기 기계를 위한 상호 연결 조립체 및 스테이터 | |
US20190260255A1 (en) | Rotating electric machine | |
US9887601B2 (en) | Stator of rotary electric machine | |
CN111628593B (zh) | 定子、定子组件、电能与机械能的转换器 | |
JP5818771B2 (ja) | 回転電機のステータ | |
US8432082B2 (en) | Armature and motor | |
CN107302274B (zh) | 电动机的定子 | |
JP2016019377A (ja) | 電動機用ステータ | |
WO2020080548A1 (ja) | モータ | |
JP2018013426A (ja) | レゾルバ | |
JP7205453B2 (ja) | ステータ、ステータアッセンブリ、電気エネルギーと力学的エネルギーとの変換器 | |
JP2020145915A (ja) | ステータ、ステータアッセンブリ、電気エネルギーと力学的エネルギーとの変換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