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749A - Lift apparatus - Google Patents
Lif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42749A KR20170142749A KR1020160076772A KR20160076772A KR20170142749A KR 20170142749 A KR20170142749 A KR 20170142749A KR 1020160076772 A KR1020160076772 A KR 1020160076772A KR 20160076772 A KR20160076772 A KR 20160076772A KR 20170142749 A KR20170142749 A KR 201701427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ing
- elevating member
- lifting
- driving unit
- ext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 또는 건축 자재를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device that can be used to transport an operator or building material.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이동과 시멘트나 강철빔과 같은 건축 자재 등의 신속한 공급을 위하여 골조가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건축물의 외벽에 승강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 장치의 설치로 인하여,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At the construction site, the lif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mpleted or completed structure in order to move the worker and to supply the building materials such as cement or steel beams promptly. Since the elevating device is installed, the work can be carried out conveniently and quickly,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건설용 승강 장치는 수직프레임에 하나의 캐리어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구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승강 장치를 고층 건축물에 설치하여 캐리어를 운행하면, 운행시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므로 캐리어의 이송 효율과 함께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a conventional general construction elevating apparatus, one carrier is generally installed on a vertical frame so as to be able to be elevated and driven. Therefore, when the elev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high-rise building and the carrier is operated,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takes a long tim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carrier is lowered along with the efficiency of the carr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이송 효율이 증가할 수 있게 한 승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of workers and building material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부 층간 간격이 상이한 건축물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승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vating apparatus which can be used even in a structure in which some interlayer spacing is differ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강 장치는 건축물로부터 이격되어 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된 제1 승강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제2 승강 부재,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 상기 제1 승강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 모두 또는 상기 제1 승강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ing apparatus comprising 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a building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ground, a first elevating member coupled to the guide member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A second lifting member coupled to the guide member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lifting member and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first lifting member, At least one connecting unit for connecting the elevating member, at least one connecting unit provided to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controlling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to elevate or descend along the guide member A first driving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nd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It includes units.
이때,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제1 연장 부재,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 부재와 대응되는 제2 연장 부재, 상기 제1 연장 부재 또는 상기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의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연장 부재 또는 상기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걸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extend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ifting member toward the second lifting member, a second extend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ifting member toward the second lifting member, A first extending member, a second exten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ing member, a hold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one of the first extending member and the second extending member, And a latch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one side surface and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이때,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걸쇠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걸쇠 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ember for rotating the latch member such that the latch member is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fixing member.
이때,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는 이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which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상기 이격 유닛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지지 부재 및 탄성 변형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ing unit is formed to have a height, and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and supported by a support member formed on one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ift member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ift member,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ift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on the other of the upper sides of the two lifting members to elastically support the supporting member.
이때,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제2 구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members can be lifted and lower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동시에 승강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제2 구동 유닛 모두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both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to operate when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simultaneously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건축물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층들 각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경우, 상기 제2 승강 부재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구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승강 부재가 일정 거리 상승되도록 상기 제1 구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located in two adjacent layers in the building, the second elevating member 2 driving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such that the first elevating member is elev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는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1회 운송량이 종래의 승강 장치와 비교하여 2배 정도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가 한번에 다량의 건축 자재를 이동하여 더욱 빠르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켜서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one-time transporting amount can be increased by about two time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levating device. Accordingly, since 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a large amount of building material at one time and perform the construction more quickly,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건축물에서 주차장 층, 로비층 및 상업층은 다른 일반 주거용 층이나 사무용 층에 비해 높이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는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각각 분리되어 서로 인접한 층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에 다양한 높이차의 층들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각각의 측에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And, it is general that the parking lot floor, the lobby floor and the commercial floor in the building are different in height than the other general residential floor or office floor. Th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in adjacent layers. Therefore, even if layers of various height differences are formed in the building,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on each sid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는 건축 자재의 이송이 집중되는 경우,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동시에 이동되면서 한번에 많은 인원의 작업자들을 각각의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Further, when the conveying of the building material is concentrated, 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a large number of workers at one time to each layer while simultaneously moving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그리고, 작업자나 건축 자재의 이송이 여유로운 경우에는, 제1 승강 부재로부터 제2 승강 부재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제1 승강 부재 하나만 운행함으로써, 승강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worker or the building material is smoothly conveye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can be quickly separated from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only one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s can be operat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ed in the elev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에서 연결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어부,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이동되어 제2 승강 부재가 특정 층에 도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승강 부재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1 승강 부재가 특정 측의 바로 위층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unit extracted from 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the first drive unit, and the second drive unit.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moved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rives at a specific layer.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separated.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is moved to a layer immediately above a specific sid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elevating member is stationary;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elem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nly representati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only the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between other parts.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가이드 부재(110), 제1 승강 부재(120), 제2 승강 부재(130), 연결 유닛(130), 제1 구동 유닛(150) 및 제2 구동 유닛(160)을 포함한다.1 and 2, the
가이드 부재(110)는 건축물로부터 이격되어 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110)는 일례로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The
제1 승강 부재(120)는 가이드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재(110)에 결합된다.The first elevating
제2 승강 부재(130)는 가이드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재(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승강 부재(130)는 제1 승강 부재(120) 아래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승강 부재(120)와 함께 승강된다.The
이와 같은 제1 승강 부재(120) 또는 제2 승강 부재(130)의 내부에는 조작 버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 버튼은 작업자가 조작함에 따라,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가 승강되게 하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조작 버튼은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제1 승강 부재(120) 또는 제2 승강 부재(130) 모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작업자의 다중 입력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고자 제1 승강 부재(120)에만 조작 버튼을 설치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elevating
그리고,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에는 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게 하며, 출입 공간을 폐쇄할 수도 있다.A do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이와 같은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에 설치될 수 있는 제어 박스 및 동작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은 일반적인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trol box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first elevating
연결 유닛(130)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를 연결한다. 연결 유닛(130)에 의하여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안정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동시에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연결 유닛(13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제1 구동 유닛(150)은 제1 승강 부재(120)에 설치되어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 모두 또는 제1 승강 부재(120)가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1 구동 유닛(150)은 제1 승강 부재(120)만 승강시킬 수도 있고,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 모두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The
이를 위한 제1 구동 유닛(150)은 일례로 모터(미도시)와 피니언 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 피니언 기어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와 피니언 기어는 서로 감속기에 의해 연결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The
또한, 구동 유닛(150)은 제1 승강 부재(120)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미도시)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는 일반적인 승강 장치에 포함된 브레이크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riving
한편, 랙 기어가 가이드 부재(1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랙 기어와 맞물리면서 제1 승강 부재(120)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다만, 구동 유닛(150)이 반드시 모터와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랙 기어가 가이드 부재(110)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구동 유닛(150)은 제1 승강 부재(120)가 승강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rack gea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전술한 제1 구동 유닛(150)은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구동 유닛(150)이 제1 승강 부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두 개의 제1 구동 유닛(150)이 제1 승강 부재(120)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제1 구동 유닛(15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 모두를 승강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개수인 것이 승강 장치(100)의 원활한 동작에 유리할 수 있다.The
제2 구동 유닛(160)은 제2 승강 부재(130)에 설치되어 제2 승강 부재(130)의 승강을 제어한다. 제2 구동 유닛(160)은 제2 승강 부재(130)가 승강되게 하거나, 제2 승강 부재(130)의 승강을 제동하여 제2 승강 부재(130)에 가이드 부재의 특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160)은 앞서 설명한 제1 구동 유닛(150)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와 같은 제1 구동 유닛(150) 및 제2 구동 유닛(160)에 의해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가 승강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process of raising and lowering the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에서 연결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unit extracted from 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유닛(130)은 일례로 제1 연장 부재(131), 제2 연장 부재(132), 고정 부재(133) 및 걸쇠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제1 연장 부재(131)는 제1 승강 부재(120)의 하측으로부터 제2 승강 부재(1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extending
제2 연장 부재(132)는 제2 승강 부재(130)의 상측으로부터 제2 승강 부재(1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제1 연장 부재(131)와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1 연장 부재(131)의 개수는 제2 연장 부재(132)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2 연장 부재(132)의 자유단은 제1 연장 부재(131)의 자유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ding
고정 부재(133)는 제1 연장 부재(131) 또는 제2 연장 부재(132)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고정 부재(133)의 형상은 일례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걸쇠 부재(134)가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 무방할 수 있다.The fixing
앞서 설명한 제1 연장 부재(131)와 제2 연장 부재(132)의 형상은 일례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33)가 제1 연장 부재(131)에 형성된 경우, 고정 부재(133)는 제1 연장 부재(13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 부재(133)가 제1 연장 부재(131)에 형성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The shape of the
걸쇠 부재(134)는 제1 연장 부재(131) 또는 제2 연장 부재(132)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걸쇠 부재(134)는 고정 부재(133)에 결합된다. The
예를 들어, 걸쇠 부재(134)가 제2 연장 부재(1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경우, 걸쇠 부재(134)는 제2 연장 부재(132)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걸쇠 부재(134)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고정 부재(133)와 체결되거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atching
제1 승강 부재(120)에 형성된 제1 연장 부재(131)와 제2 승강 부재(130)에 형성된 제2 연장 부재(132)가 서로 밀착되면, 작업자가 걸쇠 부재(134)를 고정 부재(133)에 걸어서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을 실시할 수 있다.The first extending
한편, 연결 유닛(130)은 동력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동력 부재는 걸쇠 부재(134)가 고정 부재(133)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도록 걸쇠 부재(13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동력 부재의 제어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박스(미도시)에서 자동으로 실시될 수 있다.The power member rotates the
이와 다르게, 작업자가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동력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동력 부재는 일례로 회전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모터에 의하여 걸쇠 부재(134)를 회전 시키는 구조는 일례로 회전 모터의 회전축에 걸쇠 부재(134)를 고정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member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The power member for this purpose may be, for example, a rotary motor. For example, the latching
이와 같이 연결 유닛(130)이 동력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연결 유닛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됨으로써, 연결 유닛(130)의 해제 작업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 해제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the connecting
한편, 도 2로 되돌아가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이격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elevating
이격 유닛(140)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한다.The
이를 위한 이격 유닛(140)은 일례로 지지 부재(141)와, 탄성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ng
지지 부재(141)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승강 부재(120)의 하측 및 제2 승강 부재(130)의 상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부재(141)의 형상은 일례로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지지 부재(141)에서 후술할 탄성 부재(142)와 접촉되는 부분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탄성 부재(142)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The
탄성 부재(142)는 탄성 변형 되도록 형성되어 제1 승강 부재(120)의 하측 및 제2 승강 부재(130)의 상측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지지 부재(141)를 탄성 지지한다. 이를 위한 탄성 부재(142)는 일례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142)가 제1 승강 부재(120)에 형성된 경우, 탄성 부재(142)의 상단이 제1 승강 부재(120)의 하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전술한 이격 유닛(140)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층들에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격 유닛(140)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 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에서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 방법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를 서로 밀착시키면 이격 유닛(140)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러고 나서, 작업자가 걸쇠 부재(134)와 고정 부재(133)를 연결시킴으로써,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 method of the first elevating
도 4는 제어부, 제1 구동 유닛 및 제2 구동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the first drive unit, and the second drive uni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levating
제어부(170)는 제1 승강 부재(120, 도 1 참조)와 제2 승강 부재(130, 도 1 참조)가 승강될 수 있도록 제1 구동 유닛(150)과 제2 구동 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전술한 조작버튼(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버튼(B)을 조작하면, 제어부(170)는 조작버튼(B)에 기설정된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구동 유닛(150)과 제2 구동 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가 제어부(170)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operating the elevating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이동되어 제2 승강 부재가 특정 층에 도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moved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rives at a specific layer;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 도 4 참조)는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가이드 부재(110)를 따라서 동시에 승강되는 경우, 제1 구동 유닛(150)과 제2 구동 유닛(160) 모두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5, when the first elevating
이에 따라,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이 충분한 동력에 의해 신속하게 승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가 고층 건축물에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이동하기를 원하는 층으로 승강 장치(100)가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elevating
여기서, 제어부(170, 도 4 참조)가 제1 구동 유닛(150)과 제2 구동 유닛(160) 모두를 동작시켜서 제2 승강 부재(130)는 특정 층(F1)에 도착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170 (see FIG. 4) operates both the
도 6은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2 승강 부재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1 승강 부재가 특정 층의 바로 위층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separate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is moved to a layer immediately above the specific layer in a state where the second elevating member is stopped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 도 4 참조)는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건축물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층(F1, F2)들 각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경우, 제2 승강 부재(13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구동 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한다.6 and 7, the control unit 170 (see FIG. 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elevating
즉, 제2 구동 유닛(160)은 브레이크를 활성화시켜서 제2 승강 부재(130)가 특정 층(F1)에 정지한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170, 도 4 참조)는 제1 승강 부재(120)가 일정 거리 상승되도록 제1 구동 유닛(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8은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도 8을 참조하면, 제1 승강 부재(120)가 제1 구동 유닛(150)에 의해 하강하여 제2 승강 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연결 유닛(130, 도 2참조)을 직접 체결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작업자가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전술한 동력 부재를 동작시켜서 연결 유닛(130, 도 2참조)이 자동으로 체결되게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elevating
이후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다른 층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승강 부재(120) 또는 제2 승강 부재(130)에서 작업자들의 탑승 및 건축 자재가 적재가 진행될 수 있다.The first elevat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1회 운송량이 종래의 승강 장치와 비교하여 2배 정도 증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100)가 한 번에 다량의 건축 자재를 이동하여 더욱 빠르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켜서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elevating
한편, 건축물에서 주차장 층, 로비층 및 상업층은 다른 일반 주거용 층이나 사무용 층에 비해 높이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각각 분리되어 서로 인접한 층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에 다양한 높이차의 층들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각각의 측에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building, it is general that the parking lot floor, the lobby floor and the commercial floor are different in height from the other ordinary residential floor or office floor. The elevatin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건축 자재의 이송이 집중되는 경우,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동시에 이동되면서 한번에 많은 인원의 작업자들을 각각의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yance of building materials is concentrated, the elevating
그리고, 작업자나 건축 자재의 이송이 여유로운 경우에는, 제1 승강 부재(120)로부터 제2 승강 부재(130)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제1 승강 부재(120) 하나만 운행함으로써, 승강 장치(10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worker or the building material is smoothly conveyed, the second eleva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scope.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승강 장치
110: 가이드 부재
120: 제1 승강 부재
130: 제2 승강 부재
130: 연결 유닛
131: 제1 연장 부재
132: 제2 연장 부재
133: 고정 부재
134: 걸쇠 부재
140: 이격 유닛
141: 지지 부재
142: 탄성 부재
150: 제1 구동 유닛
160: 제2 구동 유닛
170: 제어부100: lifting device 110: guide member
120: first elevating member 130: second elevating member
130: connection unit 131: first extension member
132: second extension member 133: fixing member
134: Clasp member 140: Spacer unit
141: support member 142: elastic member
150: first driving unit 160: second driving unit
170:
Claims (8)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된 제1 승강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제2 승강 부재;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
상기 제1 승강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 모두 또는 상기 제1 승강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A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building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 first elevating member coupled to the guide member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A second lifting member coupled to the guide member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ifting member and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first lifting member;
At least one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t least one first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controlling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or the first elevating member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member; And
And a second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nd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제1 연장 부재;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 부재와 대응되는 제2 연장 부재;
상기 제1 연장 부재 또는 상기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의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연장 부재 또는 상기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걸쇠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unit includes:
A first extension member exten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first lift member toward the second lift member;
A second extend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ifting member toward the second lifting member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ing member;
A fixing member protru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one of the first extending member and the second extending member; And
And an engag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member or the second extend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걸쇠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걸쇠 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승강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power member for rotating said latch member such that said latch member is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said holding member.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는 이격 유닛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parating unit formed between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to separate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이격 유닛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지지 부재; 및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pacing un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med on one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so as to have a height; And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and formed on the other one of a lower side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an upper side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supporting member.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제2 구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such that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can be elevated and lower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동시에 승강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제2 구동 유닛 모두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승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d controls both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to be operated when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simultaneously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건축물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층들 각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경우, 상기 제2 승강 부재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구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승강 부재가 일정 거리 상승되도록 상기 제1 구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positioned in two adjacent layers in the building, the second elevating member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is stopp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such that the first elevating member is elev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6772A KR101910994B1 (en) | 2016-06-20 | 2016-06-20 | Lif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6772A KR101910994B1 (en) | 2016-06-20 | 2016-06-20 | Lift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2749A true KR20170142749A (en) | 2017-12-28 |
KR101910994B1 KR101910994B1 (en) | 2018-10-23 |
Family
ID=6093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6772A KR101910994B1 (en) | 2016-06-20 | 2016-06-20 | Lif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099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721A (en) * | 2018-02-28 | 2019-09-0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lifting system for structural 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6951A (en) * | 1992-11-27 | 1994-06-03 | Takenaka Komuten Co Ltd | Multistoried elevator device |
JP2000313578A (en) * | 1999-04-30 | 2000-11-14 | Sanoyas Hishino Meisho Corp | Elevator for construction |
JP2001226048A (en) * | 2000-02-15 | 2001-08-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system |
JP2007055799A (en) * | 2005-08-26 | 2007-03-08 | Toshiba Elevator Co Ltd | Double-deck elevator with inter-story adjustment function |
KR20080090240A (en) * | 2007-04-02 | 2008-10-08 | 최성식 | System for intelligent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6
- 2016-06-20 KR KR1020160076772A patent/KR10191099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6951A (en) * | 1992-11-27 | 1994-06-03 | Takenaka Komuten Co Ltd | Multistoried elevator device |
JP2000313578A (en) * | 1999-04-30 | 2000-11-14 | Sanoyas Hishino Meisho Corp | Elevator for construction |
JP2001226048A (en) * | 2000-02-15 | 2001-08-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system |
JP2007055799A (en) * | 2005-08-26 | 2007-03-08 | Toshiba Elevator Co Ltd | Double-deck elevator with inter-story adjustment function |
KR20080090240A (en) * | 2007-04-02 | 2008-10-08 | 최성식 | System for intelligent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721A (en) * | 2018-02-28 | 2019-09-0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lifting system for structural 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0994B1 (en) | 2018-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6842B1 (en) | Inter―floor transport facility | |
KR102572057B1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JP2013203494A (en) | Article storage facility | |
JP6095939B2 (en) | Pallet feeding device,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provided with the same, control method for pallet feeding device, and repair method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 |
JP6593287B2 (en)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JP2008144544A (en) | Working device in mechanical parking device and its working method | |
KR101910994B1 (en) | Lift apparatus | |
KR20170003422U (en) | Hoist apparatus for mounting window frame | |
KR101910993B1 (en) | Lift apparatus | |
JP4520454B2 (en) | Cargo elevator for building components | |
KR101504235B1 (en) | Lift apparatus for construction | |
KR20160086573A (en) | Crane | |
JP2016014296A (en) | Getting-on/off deck device for elevator type parking lot facility and elevator type parking lot facility having the same device | |
KR20080040838A (en) | Eurofoam lifting machine for apartment | |
CN106142603A (en) | Automatic tire demounting device | |
KR101467108B1 (en) | Multi function gondola | |
JP6249567B2 (en) | Fork-type parking device and its entry and exit methods | |
KR20220008993A (en) | Cargo carrying aids in elevators | |
JP7330620B2 (en) | Conveyor | |
US20200391978A1 (en) | Elevator | |
JPH07101510A (en) | Vertical transport device | |
JP6740811B2 (en) | Vanning/devanning equipment | |
KR200378514Y1 (en) | Elevator for construction work | |
JP7483313B2 (en) | Material handling system | |
JP2019156558A (en) | Carrier unit and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