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0571A - 전방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전방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571A
KR20170070571A KR1020150178254A KR20150178254A KR20170070571A KR 20170070571 A KR20170070571 A KR 20170070571A KR 1020150178254 A KR1020150178254 A KR 1020150178254A KR 20150178254 A KR20150178254 A KR 20150178254A KR 20170070571 A KR20170070571 A KR 20170070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joint
width direction
along
front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676B1 (ko
Inventor
김희주
한윤경
차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676B1/ko
Priority to US15/191,980 priority patent/US10086881B2/en
Priority to CN201610581540.2A priority patent/CN106864596B/zh
Priority to DE102016118326.1A priority patent/DE102016118326A1/de
Publication of KR2017007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방 차체 구조가 개시된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에 배치되는 프런트 필러 멤버;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보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방에 배치된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및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및 상기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의 선단부들이 결합되는 조인트를 포함하여 강건한 전방 차체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방 차체 구조{Front vehicle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전방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이스 프레임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전방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차체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여 엔진 룸을 형성하는 골격 구조로서, 엔진 룸의 전방을 형성하고 쿨링 모듈과 헤드 램프 등이 장착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과, 엔진 룸의 좌우 양측부를 형성하고 현가장치가 장착됨과 더불어 차륜이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프론트 펜더 에이프런 멤버, 엔진 룸의 후방에 위치되어 승객실과 엔진 룸을 구획짓는 대시 패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엔진 룸의 하부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가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강화시키고, 엔진 룸에 설치되는 엔진과 트랜스 밋션 뿐만 아니라 현가장치 등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해 서브 프레임이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결합된다.
한편, 이른바 고성능 차량은, 차량의 주행 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체의 경량을 도모하고 있고, 차체의 경량화를 위해 스틸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스페이스 프레임들을 서로 결합시켜 차체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스페이스 프레임 차체에서 프런트 필러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 및 카울 멤버를 보다 강건하게 연결하여, 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R&H 성능과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런트 필러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 및 카울 멤버가 하나의 조인트를 통해 보다 강건하게 연결되어, 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R&H 성능과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전방 차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에 배치되는 프런트 필러 멤버;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보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방에 배치된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및 상기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의 선단부들이 결합되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및 상기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의 선단부들이 상기 조인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좌우 양측의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연결하는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상기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및 상기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들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다각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바디; 및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길이 방향 전방부에 형성되고 수평면과 수직벽으로 이루어진 후드 힌지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 힌지 마운팅부에 후드 힌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에 벽면 형태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마운팅홀이 구비된 도어 힌지 마운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힌지 마운팅부에 도어 힌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외측면에 상기 도어 힌지 마운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마운팅홀이 구비된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에 카울 크로스 바아가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마운팅홀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들이 방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는 차량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의 선단부가 상기 제1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가 상기 조인트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의 내측면과 상기 조인트 바디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중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중 단면은 3개의 4각 형상의 단면들이 서로 인접한 격벽을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바디의 상기 후드 힌지 마운팅부 아래에는 다수개의 방사형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힌지 마운팅부에는 마운팅 보스가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에는 조립 보스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 보스에는 조립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카울 크로스 바아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카울 크로스 바아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는 조립 볼트를 통해, 차량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의하면, 프런트 필러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 및 카울 멤버가 압출재로 압출 성형된 하나의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강성의 증대로 보강부재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의 중량과 부품수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차체의 비틀림 강성도 증대되어 차량의 R&H 성능 주행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방 차체의 강성 증대로 차량의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차량의 전복 사고 발생시에도 승객실의 강건한 버팀으로 탑승객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다.
압출 공법으로 제작된 프런트 필러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 및 카울 멤버와,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된 조인트가 서로 적절히 형합하여 결합됨에 따라 차체 멤버들과 조인트의 결합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작 비용이 높은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되는 조인트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전방 차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방 차체의 중량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후방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현가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 및 그 보강멤버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에 프런트 필러 멤버와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에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와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및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가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에 후드 힌지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에 도어 힌지가 장착된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조인트에 카울 크로스 바아가 체결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제2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제3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 및 대시 크로스 보강멤버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와 제4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제4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의 제4조인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와,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 및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는 하부에 배치되고,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는 중앙에 배치되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론트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1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중앙 부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센터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1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후방 부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대시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5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범퍼 빔(4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후방 부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대시 센터 크로스 보강멤버(5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와 대시 센터 크로스 보강멤버(51)는 차량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2개의 경사 보강멤버(2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경사 보강멤버(21)는 각각 대시 센터 크로스 보강멤버(51)의 대체로 길이 방향(차량의 폭 방향)의 중앙 부위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좌우 양측의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는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벌어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가 차량의 전방 스몰 오버랩 충돌 사고 발생시에 충격 에너지를 적절히 흡수해서 저감할 수 있으므로,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2개의 프론트 필러 멤버(4)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론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3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후방 선단부는 좌우 양측의 프론트 필러 멤버(4)에 제1조인트(6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제1조인트(60)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52)의 양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우 양측의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부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카울 패널(53)은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52)와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32)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와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 및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는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보강패널(7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와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대체로 중앙 부위에서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론트 사이드 보강멤버(8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가 센터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12)와 연결되는 연결 부위에는 제2조인트(62)가 결합될 수 있고,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가 대시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50)와 연결되는 연결 부위에는 제3조인트(64)가 결합될 수 있으며,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에는 제4조인트(66)가 결합될 수 있고,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에는 제5조인트(68)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조인트(60) 내지 제5조인트(68)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로 다이캐스팅 공법을 통해 제작될 수 있고, 각 멤버들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공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조인트(62)와 제3조인트(64)에는 현가 아암을 구성하는 로워 아암(90)의 양단부가 각각 체결되어 지지되고, 제4조인트(66)에는 현가 아암을 구성하는 어퍼 아암(92)의 양단부가 각각 체결되어 지지되며, 제4조인트(66)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차체의 모멘트 거동을 제어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아(94)가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4조인트(66)와 제5조인트(68)는 쇽 업소버 장착 보강멤버(1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현가 장치를 구성하는 쇽 업소버(96)의 상부는 제5조인트(68)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참조부호 110은 도시되지 않은 차륜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디스크이고, 120은 차륜을 조향하기 위한 너클이며, 너클(120)에 로워 아암(90)과 어퍼 아암(92)이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조인트(62)는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와 센터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12)에 결합될 수 있고, 제3조인트(64)는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와 대시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조인트(60)에는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런트 필러 멤버(4),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52) 및,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15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와, 프런트 필러 멤버(4),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52) 및,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150)가 한 곳에 모여서 제1조인트(60)를 통해 서로 강건하게 연결됨에 따라 전방 차체 구조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조인트(60)는 다각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바디(62)와, 조인트 바디(62)의 차량의 길이 방향 전방부에 형성되고 대체로 수평면과 수직벽으로 이루어진 후드 힌지 마운팅부(64), 조인트 바디(62)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622)에 벽면 형태로 형성되고 2개의 마운팅홀(660)이 구비된 도어 힌지 마운팅부(66), 상기 외측면(622)에 도어 힌지 마운팅부(66)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2개의 마운팅홀(680)이 구비된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마운팅홀(680)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682)들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624)에는 조인트 바디(62)의 강성을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626)들이 방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보강리브(606)들은 강성 증대 이외에도 제1조인트(60)로 입력되는 하중을 적절히 지지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조인트 바디(62)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는 차량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결합홈(628)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15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선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W)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150)가 제3조인트 바디(60)의 조인트 바디(62) 내부로 삽입되어 용접으로 결합됨에 결합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조인트 바디(62)의 내측면(624)에는 제2결합홈(629)이 형성되어, 프런트 필러 멤버(4)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단부가 삽입되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W)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 필러 멤버(4)가 제3조인트 바디(60)의 조인트 바디(62) 내부로 삽입되어 용접으로 결합됨에 결합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3)도 조인트 바디(62)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에 프런트 필러 멤버(4)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40)에 밀착되어, 프런트 필러 멤버(4)의 내측면(40)과 조인트 바디(62)에 각각 용접(W)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50)는 다중 단면을 가지도록 압출재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다중 단면은 3개의 4각 형상의 단면들이 서로 인접한 격벽을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후드 힌지 마운팅부(64)에는 후드 힌지(160)가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후드 힌지 마운팅부(64)에는 조립 너트(625)가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후드 힌지 마운팅부(64)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조인트 바디(62)의 후드 힌지 마운팅부(64) 아래에는 다수개의 방사형 보강리브(6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보강리브(623)로 후드 힌지 마운팅부(64)를 보강함으로써, 별도의 보강부재나 보강 구조물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도어 힌지 마운팅부(66)에는 도어 힌지(170)가 안착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어 힌지 마운팅부(66)의 마운팅홀(660) 주변으로 마운팅 보스(627)가 프런트 필러 멤버(4) 내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조립 너트(625)가 마운팅 보스(627)에 삽입되어 용접으로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보강부재나 보강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도어 힌지(170)를 장착하여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68)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카울 크로스 바아(180)가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68)의 마운팅홀(680)에는 조립 보스(68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조립 보스(684)에는 조립 볼트(686)가 삽입되어 카울 크로스 바아(18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카울 크로스 바아(180)에는 플랜지(182)가 구비되어, 플랜지(182)를 관통하는 조립 볼트(686)를 통해, 차량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을 연장되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190)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에 카울 크로스 바아(180)와 조립 보스(684) 사이에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190)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보강부재나 보강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카울 크로스 바아(180)를 장착하여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도 26 참조하면, 제2조인트(62)는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한 제2조인트 바디(622), 이 제2조인트 바디(622)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624), 이 제2조인트 바디(622)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626)(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624)에는 프론트 사이드 보강멤버(80)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625)가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부 플랜지(624)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12)에 2군데에서 체결되는 2개의 연장 보스(6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인트 바디(622)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체결홀(628)을 구비한 2개의 체결 보스(629)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로워 아암(90)의 일단이 2개의 체결홀(628)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체결 보스(629)를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각 체결 보스(629)를 제2조인트 바디(622)에 연결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다수개의 방사형 리브(623)가 제2조인트 바디(622)에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3조인트(64)는,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한 제3조인트 바디(642), 이 제3조인트 바디(642)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644), 이 제3조인트 바디(642)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1)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646)(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조인트 바디(642)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차량의 높이 방향을 상부에 배치된 상부 연장 플랜지(645)와, 제3조인트 바디(642)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차량의 높이 방향을 하부에 배치된 하부 연장 플랜지(6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연장 플랜지(645)와 하부 연장 플랜지(647) 사이에는 대시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5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649)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조인트 바디(642)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체결홀(648)을 구비한 2개의 체결 보스(643)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로워 아암(90)의 타단이 2개의 체결홀(628)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체결 보스(623)를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각 체결 보스(623)를 제3조인트 바디(642)에 연결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다수개의 방사형 리브(641)가 제3조인트 바디(642)에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대시 센터 크로스 보강멤버(51)는 리어 사이드 보강멤버(130)를 통해 프론트 필러 멤버(4)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는 리어 사이드 로워 보강멤버(140)를 통해 대시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4조인트(66)는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에 장착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부는 프론트 사이드 보강멤버(80)와 결합되며, 후방부는 리어 사이드 보강멤버(130) 및 리어 사이드 로워 보강멤버(14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쇽 업소버 장착 보강멤버(100)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를 참조하면,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는 상하로 배치된 2중 폐단면(22)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2중 폐단면(22)을 형성하는 상부벽(23)과 중앙벽(24) 및 하부벽(25)의 일부는 절단되어, 제4조인트(66)가 절개된 부위를 커버하는 형태로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와 결합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제4조인트(66)는,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한 제4조인트 바디(662), 이 제4조인트 바디(662)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664), 이 제4조인트 바디(662)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2)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6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조인트 바디(662)의 길이 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 부위에는 쇽 업소버 장착 보강멤버(1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661)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결합홈(661)을 기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에는 어퍼 아암(92)의 일단이 체결되는 2개의 체결홀(663)을 가진 2개의 체결 보스(665)가 돌출해서 형성되며, 결합홈(661)을 기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에도 어퍼 아암(92)의 타단이 체결되는 2개의 체결홀(663)을 가진 2개의 체결 보스(665)가 돌출해서 형성되며, 2개의 체결 보스(663)는 다수개의 방사형 보강리브(667)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되게 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666)에는 프론트 사이드 보강멤버(80)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 플랜지(668)와, 리어 사이드 로워 보강멤버(14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 플랜지(669)가 구비되며, 제4조인트 바디(662)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단부에는 리어 사이드 보강멤버(1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결합 플랜지(67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플랜지(666)에는 스태빌라이저 바아(94)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671)과, 스태빌라이저 바아(94)를 도시되지 않은 마운팅 브래킷으로 하부 플랜지(666)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67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 플랜지(668)와 제2결합 플랜지(669) 및 제3결합 플랜지(67)는 각각 대체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프론트 로워 사이드 멤버
2: 프론트 어퍼 사이드 멤버
3: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4: 프론트 필러 멤버
11: 프론트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
12: 센터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
21: 경사 보강멤버
31: 프론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32: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40: 범퍼 빔
50: 대시 로워 크로스 보강멤버
51: 대시 센터 크로스 보강멤버
52: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53: 카울 패널
60: 제1조인트
62: 제2조인트
64: 제3조인트
66: 제4조인트
68: 제5조인트
70: 보강패널
80: 프론트 사이드 보강멤버
90: 로워 아암
92: 어퍼 아암
94: 스태빌라이저 바아
96: 쇽 업소버
100: 쇽 업소버 장착 보강멤버
130: 리어 사이드 보강멤버
140: 리어 사이드 로워 보강멤버
150: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160: 도어 힌지
170: 후드 힌지
180: 카울 크로스 바아
190: 사이드 아웃터 패널

Claims (18)

  1.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에 배치되는 프런트 필러 멤버;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보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방에 배치된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및 상기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의 선단부들이 결합되는 조인트;
    를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및 상기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의 선단부들이 상기 조인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좌우 양측의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연결하는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 상기 카울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 및 상기 리어 어퍼 크로스 보강멤버들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다각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바디; 및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길이 방향 전방부에 형성되고 수평면과 수직벽으로 이루어진 후드 힌지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 힌지 마운팅부에 후드 힌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에 벽면 형태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마운팅홀이 구비된 도어 힌지 마운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힌지 마운팅부에 도어 힌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외측면에 상기 도어 힌지 마운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마운팅홀이 구비된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에 카울 크로스 바아가 체결되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마운팅홀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들이 방사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는 차량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의 선단부가 상기 제1결합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바디의 차량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가 상기 조인트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의 내측면과 상기 조인트 바디에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필러 어퍼 멤버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중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단면은 3개의 4각 형상의 단면들이 서로 인접한 격벽을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바디의 상기 후드 힌지 마운팅부 아래에는 다수개의 방사형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 마운팅부에는 마운팅 보스가 상기 프런트 필러 멤버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 바아 마운팅부에는 조립 보스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 보스에는 조립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카울 크로스 바아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 바아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는 조립 볼트를 통해, 차량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차체 구조.
KR1020150178254A 2015-12-14 2015-12-14 전방 차체 구조 KR10178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54A KR101786676B1 (ko) 2015-12-14 2015-12-14 전방 차체 구조
US15/191,980 US10086881B2 (en) 2015-12-14 2016-06-24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CN201610581540.2A CN106864596B (zh) 2015-12-14 2016-07-21 前车身结构
DE102016118326.1A DE102016118326A1 (de) 2015-12-14 2016-09-28 Vorderer-Fahrzeugkörper-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54A KR101786676B1 (ko) 2015-12-14 2015-12-14 전방 차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571A true KR20170070571A (ko) 2017-06-22
KR101786676B1 KR101786676B1 (ko) 2017-10-18

Family

ID=5877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54A KR101786676B1 (ko) 2015-12-14 2015-12-14 전방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6881B2 (ko)
KR (1) KR101786676B1 (ko)
CN (1) CN106864596B (ko)
DE (1) DE1020161183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53A (ko) * 2018-11-23 2020-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7179B2 (ja) * 2017-07-06 2019-07-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KR102371242B1 (ko) * 2017-08-09 2022-03-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차체 보강구조
CN109895861B (zh) * 2017-12-08 2023-11-17 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前围骨架
JP6930407B2 (ja) * 2017-12-11 2021-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7056302B2 (ja) * 2018-03-27 2022-04-1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EP3686090B1 (en) * 2019-01-23 2022-03-09 Volvo Car Corporation Reinforcement arrangement
JP7077242B2 (ja) * 2019-01-25 2022-05-3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JP7172746B2 (ja) * 2019-03-06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搭載構造
CN111891224B (zh) * 2020-07-06 2022-04-12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前机舱结构和具有它的车辆
JP7440454B2 (ja) * 2021-04-09 2024-0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のサスペンション
KR20230168868A (ko) * 2022-06-08 2023-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차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821A (en) * 1975-06-24 1977-01-08 Nissan Motor Co Ltd Car body construction
US4573734A (en) * 1984-12-10 1986-03-04 Gass Gene C Unisocket construction for front compartment of a unitized automobile body
US5052742A (en) * 1989-06-30 1991-10-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wlside joint structure for use with vehicle
US5458393A (en) * 1993-08-11 1995-10-17 Alumax Extrusions, Inc. Space frame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ame
US6302478B1 (en) * 1997-10-16 2001-10-16 Cosma International Inc. Hydroformed space frame joints therefor
JP4144340B2 (ja) * 2002-12-05 2008-09-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MXPA04000445A (es) * 2003-01-16 2004-11-12 Dana Corp Nodo de aluminio fundido para conectar miembros de bastidor de vehiculos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JP3917965B2 (ja) * 2003-08-26 2007-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前部構造
US7066533B2 (en) * 2004-06-03 2006-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bular front end structure for automobil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80028103A (ko) 2006-09-26 2008-03-31 주식회사화신 복합 공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알루미늄 서브프레임
US7810876B2 (en) * 2007-01-11 2010-10-12 Ford Motor Company Vehicle having a rear end body structure
JP5332129B2 (ja) 2007-03-30 2013-11-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前部のフレーム構造
JP5966280B2 (ja) * 2011-08-29 2016-08-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トラットタワー補強構造
KR101323622B1 (ko) 2011-12-28 2013-11-08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JP5692210B2 (ja) * 2012-12-07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KR102008678B1 (ko) 2013-12-04 2019-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체 프레임 유닛
CN106536336B (zh) * 2014-05-16 2019-04-12 迪根特技术公司 用于载具底盘的模块化成形节点及其使用方法
KR101534751B1 (ko) * 2014-09-30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충돌 대응 차체보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53A (ko) * 2018-11-23 2020-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64596A (zh) 2017-06-20
US10086881B2 (en) 2018-10-02
CN106864596B (zh) 2020-07-28
DE102016118326A1 (de) 2017-06-14
KR101786676B1 (ko) 2017-10-18
US20170166259A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676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786673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755461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713724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703596B1 (ko) 전방 차체 구조
JP6791045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448747B1 (ko) 전방 차체 구조
JP6579167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101518925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2322265B1 (ko) 전기 자동차용 프레임
KR102440606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5922471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12166740A (ja) 車両前部構造
US9855974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237124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6052231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4905675B2 (ja) 車両前部の車体構造
JP202106620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1786702B1 (ko) 전방 차체 구조
KR20130027247A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09184403A (ja) 車体前部構造
JP2019177828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5026136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KR101786657B1 (ko) 전방 차체 연결구조
JP6696444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