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326A - Fixing Holder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Fixing Holder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5326A KR20170055326A KR1020150158362A KR20150158362A KR20170055326A KR 20170055326 A KR20170055326 A KR 20170055326A KR 1020150158362 A KR1020150158362 A KR 1020150158362A KR 20150158362 A KR20150158362 A KR 20150158362A KR 20170055326 A KR20170055326 A KR 201700553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mandible
- mandibular
- fixing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성장(劣成長)하여 작은 크기를 가지는 하악골을 골 신장 기구(Distraction device)를 이용하여 신장시킬 때,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턱뼈 신장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fixing a mandible hold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recording medium,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drel holder having a small size, A mandrel extension device fixation holder including a fracture end guide capable of fixing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in such a manner that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can be extended in a precise position when it is extended, a mandrel extension device fixation holder not including a fracture end guide, Media and jawbone extension device holder holder.
악안면 기형 환자 중에서는 상악골 혹은 하악골의 양측 또는 편측이 비정상적으로 열성장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특히 반안면 왜소증(hemifacial microsomia) 등과 같은 선천성 기형 환자나 입술 입천장 갈림증(구순구개열, cleft lip & palate)과 같은 선천성 기형에 성장 장애가 겹쳐진 경우에 턱뼈의 열성장은 심하게 발생한다.Among patients with craniofacial anomalies, both sides of the maxilla or mandible or one side may exhibit abnormal thermal growth. Especially, when the congenital anomalies such as hemifacial microsomia and congenital anomalies such as cleft lip & palat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heat field of the jaw is very severe.
여러 악안면 기형 중 상기 열성장을 보이는 상악골과 하악골의 외과적 치료법으로서 골신장술이 있다. 이 치료법은 열성장 하악골 혹은 상악골 길이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골절단을 하고 신장장치를 이용하여 매일 조금씩 뼈를 늘려나가는 방법이다. 이때 턱뼈가 늘어나는 신장 방향이 아주 중요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얼굴과 교합 등의 치료 결과가 좌우된다.Among the various facial deformities, there is osteogenesis as a surgical treatment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ones showing the above thermal growth. This treatment is a way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mandible or maxilla by thermally growing the bone with a small amount of bone every day using a stretching device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maxilla. At this time,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jawbone is very important, and proper treatment of the face and occlusion depends on it.
상악골과 하악골 등 턱뼈를 위한 턱뼈 신장장치(Distraction device for jaw bone)는 구강외 신장장치와 구강내 신장장치로 대별할 수 있다. 구강외 신장장치는 턱뼈 신장장치가 얼굴 밖으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밖에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장치로, 장착의 간단함, 조작의 용이성, 신장 방향 조절 가능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불편하고 얼굴에 영구적인 흉터를 남길 가능성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Distraction device for jaw bone for maxilla and mandible etc. can be divided into extracorporeal extension device and intraoral extension device. The extracorporeal elongation device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to expose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from the face and adjusts it from the outside. It has the advantages of simple installation, easy operation, and adjustable extension direction. However, it is inconvenient for social lif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leaving scarring.
한편, 구강내 신장장치는 턱뼈 신장장치가 구강 내에 장착되는 장치로, 최근 구강외 장치의 단점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내 신장장치도 조절부분이 구강 내에 있기 때문에 저작 활동의 불편감, 신장 방향 조절의 어려움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raoral oral elongation device is a device in which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is mounted in the oral cavity, and is recently widely used because of the disadvantages of the oral external device. However, since the control part of the intraoral device is in the oral cavity, problems such as discomfort in chewing activity and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extension may occur.
이러한 구강내 신장장치를 이용한 턱뼈 신장술에서 골 신장 방향은 골 신장 장치의 설치에 의해 결정되는 골 신장 장치의 위치나 각도 등에 의해 거의 모두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턱뼈 신장술에서 방향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는 이유는 잘못된 치료 계획 수립이나, 수술 과정에서의 장치 고정 위치와 방향 설정의 잘못 등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악골이나 하악골이 잘못된 위치로 늘어나면서 얼굴의 형태 이상이 초래되고 동시에 부정교합 등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direction of osseous extension in the jawbone renal technique using the intraoral extension device is almost all determined by the position and the angle of the osseous stretching device determin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osseointegration device. In general, the direction of the jawbone can not be properly controlled because of erroneous treatment planning, erroneous positioning of the device and orientation setting in the surgical procedure. In this case, the maxilla and mandible are extended to the wrong position, resulting in abnormal shape of the face and at the same time functional problems such as malocclusion may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열성장 되어 작고, 후방에 위치한 하악골을 턱뼈 신장술용 장치를 이용하여 신장시킬 때, 정확한 방향을 가지면서 정확한 위치에 턱뼈 신장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ing a small, posteriorly placed mandible using a device for jawbone extension, which is thermally grown and has a precise orientation and can fix a jawbone extension device at a precise position, A device holder holder, a mandrel holder holder without a fracture end guide, a method of making the holder holder, a recording medium, and a mandrel holder holder holder hold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료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성장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후방에 위치하는 하악골을 턱뼈 신장술 장치를 이용하여 신장시킬 때, 정확한 방향을 가지고 정확한 위치에 턱뼈 신장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하악골장장치 고정홀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reat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reat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ndible, A mandible holder fixation holder including a fracture end guide capable of fixing the extension device, a mandrel extension device fixation holder not including a fracture end gu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recording medium,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fixation holder holder for a mandible extension device It has its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은: a)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D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b)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부위 3D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 c) 상기 융합이미지에서 교정부위 하악을 절단하고 하악골 신장장치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d) 상기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이후 고정웨이퍼, 연결부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로 이루어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형상을 생성하는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 및 e) 생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조하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ation holder for a mandible, comprising the steps of: (a) generating an image file of a skull 3D image file and a teeth region 3D image file of a patient; b) a fused image generating step (S120) of fusing the 3D image of the skull and the 3D image of the tooth part to generate a fused image; c) a mounting position and a direction selecting step (S130) for cutting the orthodontic mandible in the fusion image and selec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 which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and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ing holder are to be mounted; d) a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for generating a shape of the mandible holding device fixing holder made up of the fixed wafer, the connecting part, and the mandible holding device fixing part after the mounting position and direction selection step (S130); And e) a fixture holder manufacturing step (S150) of manufacturing a fixation holder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using the generated fixture holder fixture shap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위치 선정단계(S130)는: 절단된 하악골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단계(S131);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수행 후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2); 및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sition selecting step (S130) includes: a calibration simulation step (S131) of positioning the severed mandible in a position to be a calibration target; A step (S132) of selec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stretching device after performing the calibration simulation step; And a step (S133) of selec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ing por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hold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내부면을 구비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S14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includes: a step of forming a fixed holder shape, which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section (S141) for generating a shape of a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section for fixing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와 고정웨이퍼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의 형상을 생성하는 연결부 생성단계(S14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generating step (S142) of generating a shape of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fixed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of the mandible elongating device.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융합이미지의 상악과 하악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상악과 하악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웨이퍼의 형상을 융합이미지에 생성하는 고정웨이퍼 설정단계(S14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may include: a fixed wafer setting step (S143) of creating a shape of a fixed wafer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fusion image and capable of simultaneously fixing the upper and lower jaws, ); ≪ / RTI >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고정웨이퍼의 상부면에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를 형성시키고, 고정웨이퍼의 하부면에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를 형성시키는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may include: forming an upper tooth facing portion having an engra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eeth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wafer, (S144) for forming a tooth-facing portion that forms a mandible tooth facing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a tooth shape.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교정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 형상을 생성하는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S14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may include a cutting guide forming step (S145) of creating a shape of a cutting guide portion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utting line cutting the orthodontic mandible .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고정웨이퍼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may include the steps of: generating a shape of a maxillary bone-retaining device fixing portion, which is mounted by a connecting portion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the fixed wafer, and fix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xillary bone- May further comprise a step S14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는 CAD/CAM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Rapid Prototyping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holder manufacturing step (S15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rapid prototyping device based on data using CAD / CAM technology.
본 발명은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는: 상악과 하악 치아 사이에 장착되어, 상악과 하악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며, 상악골과 하악골 치아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웨이퍼; 상기 고정웨이퍼의 일측부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고정웨이퍼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fixture holder for a mandible extension devic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holder for a mandible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rein the fixation holder for a mandible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wafer mounted between the teeth, fixed by an engagement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nd configured to surround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wafer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s the fixed wafer and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portion to each other; And a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part mounted on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and fixing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웨이퍼의 상부면에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웨이퍼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wafer is formed with an upper teeth facing surface having a dentition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eeth of the upper teeth and teeth,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xed wafer is provided with teeth A mandible tooth facing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는, 임의의 한 연결부와 또 다른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여 각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dibular stretching device fixing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spective connecting parts by connecting any one connecting part and another connect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는, 고정웨이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dibular stretching device fixing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plate-shaped cutting guide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utting lin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fixed wafer and cutting the orthodontic mandible .
본 발명은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S100) for manufacturing a fixture hold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발명은 또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모니터; 및 상기 컴퓨터의 산술 처리부에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형상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하는 3D 프린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holder holder for a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which comprises: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der holder for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S100) Performing computer and monitor; And a 3D printer, which is controlled by shape data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holder holder in the arithmetic processing part of the computer, to manufacture the mandible holder holder fixation hold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 3D 이미지를 활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합의 정확성과 수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image of the skull and the 3D image of the subject can be used to fix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holde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accuracy of the occlus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은, 하악골 신장장치를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특정구조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어, 종래의 턱뼈 신장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된 수술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older for fixing a mandib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manufacture a holder for fixing a mandible in a specific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mandible in a correct position an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markably improved accuracy and reliability as well as to perform operations quickly and quickly, which can shorten the operation time and achieve a significantly improved surgical resu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착위치 선정단계를 세부적인 단계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를 세부적인 단계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대상 환자를 CT(computerized tomography) 촬영하여 얻은 두개골 및 상악골, 하악골의 3차원 모델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부위 3D 이미지를 융합한 융합이미지에 가상의 상악 절단선과 가상의 하악 절단선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악 절단선과 하악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가이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여기에는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대상 환자의 융합이미지에서 치료하려는 하악골을 절단하고, 잘려진 하악골 골편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은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수행 후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는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한 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0은 하악골 신장장치의 고정부와 고정웨이퍼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의 형상을 생성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1은 융합이미지의 상악과 하악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상악과 하악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웨이퍼를 융합이미지에 형성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하악골 신장장치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대상환자의 융합이미지에 하악골 신장장치와 함께 최종적으로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4는 대상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의 형상을 본 따 만든 모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가이드를 장착하여 수술 전 검토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장착하여 수술 전 검토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ation devic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mounting position selecting step shown in FIG. 1 in detail.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in detail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skull,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obtained by CT (computerized tomography)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virtual maxillotomy line and a virtual mandible cut line in a fusion image obtained by fusing a 3D image of a skull and a 3D image of a tooth part of a subject.
6 is a view showing a cutting guid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cutting line and the mandible cutting line shown in FIG. This may further include a maxillary extension device fixation.
FIG. 7 is a drawing showing a simulation simulation of cutting a mandible to be treated in a fusion image of a patient and placing the cut mandible in a position to be a calibration target.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are selected after performing the simulation simulation step.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ape and shape of the fixation device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are formed afte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xtension device fixation portion of the fixation device of the mandibular extension device are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mandibular extension device.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ape of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xed portion of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and the fixed wafer is created.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ed wafer,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maxilla of the fusion image and the mandible and can fix the maxilla and mandible at the same time, is formed in the fusion image.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is omitted in FIG. 11.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older for fixing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nally attached to the fusion image of the subject together with the mandibular extension device.
Fig. 14 is a view showing a model made from the shape of the maxillary and mandible of the subject.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tting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del shown in FIG. 14 to perform preoperative examina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fixing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del shown in FIG. 14 to perform preoperative examina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or fixing the mandible elon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or fixing the mandible elongation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or fixing the mandible elongation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on "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종래 기술에 따른 턱뼈 신장장치는 대상 환자의 하악골을 절단한 후 적절한 위치에 하악골의 성장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턱뼈 신장장치는 수술하는 사람의 숙련도에만 의존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방향으로 턱뼈 신장장치를 장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보다 정확한 시술을 위해 3차원 프린팅으로 제작한 두개골 및 턱뼈 모델을 이용하여 정밀도를 높이는 방안이 사용되어 왔으나, 치아 교합에 대한 고려가 어렵고 여기서 임시 설치한 신장장치를 환자에게 직접 설치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방법이 적당하지 못하여 실제 시술에 활용이 어려웠다.The jawbone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un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growth direction of the mandible at a proper position after cutting the mandible of the subject. However, since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unted only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can not be mounted in an accurate position and in an accurate direction. In order to perform more precise procedures, it has been used to increase the accuracy by using the 3D-printed skull and jaw mod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ooth occlusion, It wa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actual operation.
특히, 시술시 턱뼈 신장장치를 하악골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방향으로 장착하는데 애로가 따르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도 또한 떨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during the procedure of attaching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to the mandible during the procedure, it takes a long time to mount it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correct direction, and it takes considerable time and accuracy.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는 도 13,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턱뼈 신장장치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방향을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효율적으로 시술을 진행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 정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S. 13, 18 and 19, the holder for fixing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as a guide for fixing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at an accurate position in a form of wrapp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In addition, since it can accurately grasp the direction of the holder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the practitioner can efficiently perform the procedure, shortening the procedure time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은, 최근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3차원 프린터 등의 Rapid Prototyping 장비의 기술 발달에 따라 고안된 발명으로서, 종래의 수작업 석고 모형 수술이 디지털 모형 수술로 대체되는 방식이면서도 장치를 직접 위치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그 적용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ation holder for a mand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in accordance with recent developments of rapid prototyping equipment such as computer software and a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is a method in which a conventional manual plaster model operation is replaced with a digital model operation The device can be directly fixed in position, which makes it more applicable.
본 발명은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 3차원 이미지를 융합시킨 융합이미지로부터 이동시킬 상악골 혹은 하악골을 절단시킨 후, 프로그램 상의 3차원 이동, 회전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술 방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고,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the maxillary or mandible to be moved from a fused image obtained by f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a skull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of a tooth, and then simulate an accurate operation method using functions such as three-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ation holder holder for a mandible, which can perform accurate and reliable procedures.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과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methods for manufacturing a fixation holder for a mandible and a mandrel fixation holder.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holder for a mandible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도 4 및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D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두개골 3D 이미지(11)와 치아부위 3D 이미지(12)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10)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ogether with FIGS. 4 and 5,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holder for a mandibl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3D image file of a skull of a subject and an image file (S120) for generating a fusion image (10) by fusing the skull 3D image (11) and the tooth part 3D image (12).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n image file generation step (S110) of generating a skull three-dimensional image file and a tooth-portion three-dimensional image file of a subject patient includes generating a skull three-dimensional image file and generating a three- .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두개골이나 안면골에 대한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을 변환시키는 과정이 수행되며,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3차원 스캐너로 환자의 치아 석고 모형을 스캔하거나, 3차원 스캐너를 구강에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스캔하여 치아 형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generating a skull three-dimensional image file, a process of converting a CT (computed tomography) image to a skull or a facial bone is generally performed. In the step of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file of a tooth region, It may be necessary to scan the tooth plaster model of the patient or to scan the tooth shape data by directly inserting the 3D scanner into the oral cavity.
다음 단계로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120)가 수행되며, 이러한 작업은 일반적인 CAD/CAM(computer aided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the next step, a fusion image is generated by fus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skull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tooth region (S120). This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 general computer aided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have.
다음 단계로 융합이미지(10)에서 교정부위 하악골(14)을 절단하고 하악골 신장장치(3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가 수행된다.A mounting position and a direction selection step S130 for cutting the
본 발명의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는 도 5에 나타낸 골절단선(21, 22)을 그어 하악골을 프로그램 상에서 절단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이상적인 교정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놓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3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이다.The mounting position and direction selection step (S1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cutting the mandibular bones by programmably cutting the
수술 시뮬레이션 단계를 통해 턱뼈 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이 확정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로 턱뼈 신장장치(30)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봉(30)을 턱뼈 신장장치의 위치에 대체해 표시한다.Whe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are determined through the operation simulation step, as shown in Fig. 9, the
이후,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웨이퍼(110), 연결부(12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의 형상을 생성하는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전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이 단계도 CAD/CAM(computer aided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9 to 12, a fixed holder shape (not shown) for creating the shape of the mandible retention
마지막으로 생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를 제조하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가 수행되며, 이때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제조는 Rapid prototyping 장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xture holder (S150) for manufacturing the
이하에서는 앞서 간략하게 설명된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를 세분화한 도 2의 흐름도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unting position and direction selection step (S130) briefly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of FIG. 2 and FIGS. 5 to 9.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는 도 2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하악골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단계(S131),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수행 후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2) 및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low chart of FIG. 2, the mounting position and direction selection step (S130) includes a calibration simulation step (S131) in which the cut mandible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o be a calibration target, a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le (S132), and a step (S133) of selec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part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holder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
도 5에는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부위 3D 이미지를 융합한 융합이미지에 가상의 상악 절단선과 가상의 하악 절단선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합이미지(10)에 수술 교정부위 상악골(13)과 하악골(14)을 절단할 수 있는 가상의 상악 절단선(21)과 가상의 하악 절단선(22)을 표시할 수 있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virtual maxillotomy line and a virtual mandible cut line in a fusion image obtained by fusing a 3D image of a skull and a 3D image of a tooth part of a subject patient. 5, a fictitious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상악 절단선과 하악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가이드를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하악절단선(2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단가이드(53)가 형성된 절단가이드(50)를 융합이미지(10)에 형성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단가이드(50)는 웨이퍼(51), 연결부(52) 및 절단가이드판(53)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단계를 통해 생성된 절단가이드(50) 형상 데이터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와 함께 제작되어 실제 수술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절단가이드(50)의 웨이퍼(51), 연결부(52) 및 절단가이드판(53)의 형상 데이터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의 형상 데이터 생성방법과 동일하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cutting guid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cutting line and the mandible cutting line shown in FIG. 5, and may further include a maxillary-bone extension device fixing portion. A cutting
또한,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41, 52)를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50)는 고정웨이퍼의 일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51)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 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 Further, it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the maxillary-bone-growth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에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5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언급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20)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 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5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도 7에는 대상 환자의 융합이미지에서 치료하려는 하악골을 절단하고, 잘려진 하악골 골편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하악골 골편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단계(S131)가 수행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2)가 수행될 수 있다. FIG. 7 is a view showing a calibration simulation image in which a mandible to be treated is cut in a fusion image of a subject and a cut mandible bone fragment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o be a correction target. As shown in FIG. 7, after a calibration simulation step (S131) is performed in which a cut mandible piece is placed at a position to be a calibration target,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are selected Step S132 may be performed.
이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한 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시킬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9,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mandibular extension device fixation portion of the mandibular extension device fixation holder are selec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xtension device, and then the shape of the mandibular extension device fixation portion is created .
이때, 도 9에 도시된 가이드봉(31)은 하악골 신장장치(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대체해 표시한다. At this time, the
이하에서는 앞서 간략하게 설명된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를 세분화한 도 3의 흐름도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briefly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of FIG. 3 and FIGS. 9 to 12.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S141), 연결부 생성단계(S142), 고정웨이퍼 설정단계(S143),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 및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S14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3,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includes a mandrel stretching device fixing portion generating step S141, a connecting portion generating step S142, a fixed wafer setting step S143, S144), and a cutting guide portion generation step (S145).
구체적으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S1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내부면을 구비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step of forming the mandibular elongate fixation unit S141 is carried out by attaching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연결부 생성단계(S1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와 고정웨이퍼(11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12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경우에 따라서, 임의의 한 연결부와 또 다른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여 각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creating step S142 is a step of creating the shape of the connecting
고정웨이퍼 설정단계(S14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합이미지의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상악골(13)과 하악골(14)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웨이퍼(110)의 형상을 융합이미지(10)에 생성하는 단계이다. The fixed wafer setting step S143 is a step of setting the fixed wafer between the
이때,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를 통해, 고정웨이퍼(110)의 상부면에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111)를 형성하고, 고정웨이퍼(110)의 하부면에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upper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는,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고정웨이퍼(110)가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로서,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를 생략하고 상악골(13)과 하악골(14)의 치열을 일부 감싸 덮을 수 있는 구조의 형상을 고정웨이퍼(1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시킬 수 있다. The step of forming the tooth facing portion S144 is a step performed to stably fix the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31)을 제거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의 최종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12, the
이렇게 완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환자의 두개골 융합이미지에 장착된 후, 이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completed
한편,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를 통해 제조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장착되어 수술 전 검토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ndible
구체적으로, 도 14에는 대상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의 형상을 본 따 만든 모형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가이드를 장착하여 수술 전 검토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장착하여 수술 전 검토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14 is a view showing a model based on the shape of the maxillary and mandibles of the subject, FIG. 15 is a view showing a model of the model shown in FIG. 14,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fixing the mandibular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del shown in FIG. 14 to perform the pre-operation examination.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에 의해 제작된 절단가이드(5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모형에 장착되어 수술 전 검토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utting
더 나아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에 실제 수술 시 적용할 하악골 신장장치를 장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의 구조를 대상 환자의 골격에 대응되도록 절곡시키거나 변형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to be applied in actual operation may be mounted on the mandible
도 1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에 의해 제조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dible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고정웨이퍼(110), 연결부(12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17, the mandrel
구체적으로, 고정웨이퍼(110)는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장착되어, 상악골(13)과 하악골(14)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며,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ed
또한, 연결부(120)는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부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고정웨이퍼(110)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또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는 연결부(1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dibular elongation
경우에 따라서, 고정웨이퍼(110)의 상부면에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111)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웨이퍼(110)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10)는, 임의의 한 연결부와 또 다른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여 각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1)를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the mandible holding
도 18 및 도 19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8 and 19 show a perspective view of a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ation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mandibular augmen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axillary and mandibular
구체적으로,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는 고정웨이퍼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51)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axilla extension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에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언급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20)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는 절단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dibular elon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utting
구체적으로, 절단가이드부(140)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고정웨이퍼(110)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위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utting
절단가이드부(140)의 형성 개수는 하악골 절단 수량과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number of the cutting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에 절단가이드부(14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언급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교정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140) 형상을 생성하는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S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utting
한편, 고정웨이퍼(110)는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상악골(13)과 하악골(14)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과 하악의 일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x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하악골 신장장치(30) 및 상악골 신장장치(40)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내부면을 구비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와 상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 및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를 구비함으로써, 하악골 신장장치(30) 및 상악골신장장치(30)를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andible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악골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은, 상악골신장장치 및 하악골 신장장치를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특정구조의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어, 종래의 턱뼈 신장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된 수술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der for fixing a maxillary and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holder for fixing a jawbone extension device having a specific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elongation devices in a precise position an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significantly improved accuracy and reliability a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and to perform the operation quickly and quickly, thereby shortening the operation time and achieving a significantly improved surgical result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manufacturing a mandible holder fixing holder.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모니터;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하는 3차원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uter and a monitor for perform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method (S100) for preparing a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ation holder. And a control processor for controll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for producing a holder for fixing the mandible in accordance with the mandrel extension device holder holder shape data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andrel holder device holder holder manufacturing method. A holder manufacturing apparatus can be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는, 턱뼈 신장장치를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특정구조의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어, 종래의 턱뼈 신장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된 수술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The device for manufacturing a holder holder for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anufacture a holder for holding a jawbone extension device having a specific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jawbone extension device in an accurate position and direction and has remarkably improved accuracy compared to a conventional jawbone extension operation And reliability can be ensured, and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quickly. As a result, the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surgical result with significantly improved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대상 환자의 융합이미지
11: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12: 대상 환자의 하악골 및 치아부위 3D 이미지
13: 상악골
14: 하악골
21: 상악골 절단선
22: 하악골 절단선
30: 하악골 신장장치
31: 가이드봉
40: 상악골신장장치
41: 가이드봉
50: 절단가이드
51: 웨이퍼
52: 연결부
53: 절단가이드판
100: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10: 고정웨이퍼
111: 상악치아대면부
112: 하악치아대면부
120: 연결부
121: 지지대
130: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140: 절단가이드부
150: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
151: 연결부
S100: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S110: 이미지파일 생성단계
S120: 융합이미지 생성단계
S130: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
S131: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S132: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
S133: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
S140: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
S141: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
S142: 연결부 생성단계
S143: 고정웨이퍼 설정단계
S144: 치아대면부 형성단계
S145: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
S146: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S150: 고정홀더 제조단계10: Fusion image of the patient
11: 3D image of the skull of the target patient
12: 3D image of mandible and tooth region of patient
13: Maxilla
14: mandible
21: Maxillary cutting line
22: mandible cutting line
30: Mandibular Kidney Device
31: guide rod
40: Maxillary kidney device
41: guide rod
50: Cutting guide
51: wafer
52:
53: Cutting guide plate
100: mandible extension device holder
110: fixed wafer
111: maxillary tooth facing portion
112: mandible tooth face portion
120: Connection
121: Support
130: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ing portion
140: Cutting guide portion
150: maxilla extension device fixation unit
151: Connection
S100: How to make a holder for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S110: Image file creation step
S120: Fused image generation step
S130: Mounting position and direction selection step
S131: Calibration simulation step
S132: Selecting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S133: Step of selec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ing part
S140: Fixed holder shape creation step
S141: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ation step
S142:
S143: Fixed wafer setting step
S144: step of forming tooth-facing part
S145: Cutting guide portion generation step
S146: Step of creating the shape of the maxilla extension device fixation part
S150: Fixed holder manufacturing step
Claims (16)
a)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D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b) 두개골 3D 이미지(11)와 치아부위 3D 이미지(12)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10)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
c) 상기 융합이미지(10)에서 수술할 하악골(14)을 절단하고 하악골 신장장치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d) 상기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이후 고정웨이퍼(110), 연결부(12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의 형상을 생성하는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 및
e) 생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를 제조하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A method (S100) for manufacturing a fixation holder for a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a) generating an image file of a skull 3D image file of a subject patient and a 3D image file of a tooth part (S110);
b) a fused image generation step (S120) of fusing the skull 3D image (11) and the tooth part 3D image (12) to generate a fused image (10);
c) a mounting position and direction selection step S130 for cutting the mandible 14 to be operated on in the fusion image 10 and selecting a position and direction in which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and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fixing holder 100 are to be mounted;
d) a fixed holder shape (not shown) for creating the shape of the mandible retention device fixing holder 100 comprising the fixed wafer 110,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mandibular expanding device fixing portion 130 after the mounting position and direction selection step S130 Generating step S140; And
e) a fixture holder manufacturing step (S150) of manufacturing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holder holder 100 by using the generated mandrel extension device holder holder shape data;
Wherein the fixation holder is attached to the mandrel.
상기 장착위치 선정단계(S130)는:
절단된 하악골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단계(S131);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수행 후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2); 및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sition selection step (S130) includes:
A calibration simulation step (S131) of positioning the severed mandible in a position to be a calibration target;
A step (S132) of selec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stretching device after performing the calibration simulation step; And
A step (S133) of selec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ation unit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fixation hold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상기 연결부(1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내부면을 구비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의 형상을 생성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S1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includes:
A mandibular elongation device mounted on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20 and having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A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portion generating step (S141) for generating a shape of the fixing portion (130);
Wherein the fixation holder is attached to the mandrel.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와 고정웨이퍼(11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120)의 형상을 생성하는 연결부 생성단계(S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reating step (S142) of creating a shape of a connecting portion (120) for connecting the mandible elongating device fixing portion (130) and the fixed wafer (110) to each other;
Wherein the fixation holder is attached to the mandrel.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융합이미지의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상악골(13)과 하악골(14)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웨이퍼(110)의 형상을 융합이미지(10)에 생성하는 고정웨이퍼 설정단계(S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includes:
A fixed wafer 110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maxilla 13 and mandible 14 of the fusion image and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fixing the maxilla 13 and the mandible 14 to the fusion image 10 Wafer setting step S143;
Wherein the fixation holder is attached to the mandrel.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고정웨이퍼(110)의 상부면에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111)를 형성시키고, 고정웨이퍼(110)의 하부면에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112)를 형성시키는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include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wafer 110 is formed with an upper tooth facing portion 111 having a dentition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tooth shape of the upper teeth and the upper teeth of the upper wafer 1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wafer 110, A tooth facing part forming step (S144) for forming a mandible tooth facing part (112) having a corresponding intaglio structure shape;
Wherein the fixation holder is attached to the mandrel.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교정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140) 형상을 생성하는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S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includes a cutting guide forming step S145 for creating a shape of a cutting guide part 140 of a plate-like structu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utting line for cutting the orthodontic mandible;
Wherein the fixation holder is attached to the mandrel.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20)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holder shape generating step (S140)
A step S146 of forming the shape of the maxilla extension device fixing part 150 mounted by the connection part 120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one side of the fixed wafer 110 and fix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xillary bone extension devic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는 CAD/CAM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Rapid Prototyping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holder manufacturing step (S150) is performed using a rapid prototyping device based on data using CAD / CAM technology.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장착되어,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며,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웨이퍼(110);
상기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부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고정웨이퍼(110)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120); 및
상기 연결부(1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A mandible retention device fixture holder (100)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S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capable of fixing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in the correct position and direction to the jawbone,
A fixed wafer W mounted between the maxilla 13 and the mandible 14 and fixed by the engagement of the teeth of the maxilla 13 and the mandible 14 and enclosing the teeth of the maxilla 13 and the mandible 14 110);
A connecting portion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wafer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ing the fixed wafer 110 and the mandible elongating device fixing portion 130 to each other; And
A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fixing part 130 mount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20 and fixing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mandibular elongating device;
And a fixation device for fixing the fixation device to the mandible.
상기 고정웨이퍼(110)의 상부면에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웨이퍼(110)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wafer 110 is formed with an upper teeth facing portion 111 having an intaglio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ooth shape of the upper teeth,
Wherein a lower surface of the fixed wafer (110) is formed with a mandible-tooth facing portion (112) having a negative-angled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dentition and a tooth shape of the mandible.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10)는, 임의의 한 연결부와 또 다른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여 각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ndible retention device fixing holder (110)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base (121) for connecting any one connection part and another connection part to support each connection part.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고정웨이퍼(110)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위 하악을 잘라내는 절단선(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ndrel stretching device fixing holder 100 further includes a plate-shaped cutting guide portion 14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line 22 that extends in one direction from the fixed wafer 110 and cuts the mandibular condyle portion Wherein the fixation holder comprises: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고정웨이퍼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51)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fixing holder 100 is mounted by a connection part 151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the fixed wafer and is provided with a maxillary-lower extension device fixing part 150 for fix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xillary bon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ortion of the mandrel.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S100) for preparing a mandible holder for a mandible hold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상기 컴퓨터의 산술 처리부에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형상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하는 3D 프린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A computer and a monitor for perform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andible holding device holder (S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A 3D printer which is controlled by shape data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fixing holder in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of the computer to manufacture a holder for fixing the mandible extension device;
Wherein the fixture holder is attached to the mandr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362A KR101749592B1 (en) | 2015-11-11 | 2015-11-11 | Fixing Holder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362A KR101749592B1 (en) | 2015-11-11 | 2015-11-11 | Fixing Holder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5326A true KR20170055326A (en) | 2017-05-19 |
KR101749592B1 KR101749592B1 (en) | 2017-06-21 |
Family
ID=5904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8362A KR101749592B1 (en) | 2015-11-11 | 2015-11-11 | Fixing Holder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959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60350A1 (en) * | 2018-09-21 | 2020-03-26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Bone elongation device for three-dimensional customizable bone elonga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fully customizable bone elongation device |
KR20200036094A (en) * | 2018-09-21 | 2020-04-0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Fully Customized 3D Distractor for Jaw or Skeletal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Distractor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6292B1 (en) * | 2018-09-21 | 2020-08-2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Partially Customized 3D Distractor for Jaw or Skeletal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Distractor Therefo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09610B1 (en) | 2006-12-21 | 2011-03-22 | Amato Craniofacial Engineering, LLC | Computer-aided system of orthopedic surgery |
AU2012202977B2 (en) | 2011-05-23 | 2016-02-11 | Coceancig, Paul Lloyd G. | A distractor device and a method for distracting a jaw bone |
KR101501447B1 (en) * | 2013-10-31 | 2015-03-1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axillofacial Surgical Y-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5
- 2015-11-11 KR KR1020150158362A patent/KR101749592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60350A1 (en) * | 2018-09-21 | 2020-03-26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Bone elongation device for three-dimensional customizable bone elonga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fully customizable bone elongation device |
KR20200036094A (en) * | 2018-09-21 | 2020-04-0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Fully Customized 3D Distractor for Jaw or Skeletal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Distractor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9592B1 (en) | 2017-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1447B1 (en) | Maxillofacial Surgical Y-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EP2849667B1 (en) | Method of surgical planning | |
KR101252277B1 (en) | Imaginary over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al treatment | |
KR101478009B1 (en) | Maxillofacial Surgical Cutting Guide Tem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ang et al. | Verification of the usability of a navigation method in dental implant surgery: in vitro comparison with the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 template method | |
WO2003037204A1 (en) | Medical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3-dimensional image display in the medical simulation apparatus | |
KR101719576B1 (en) | Bimaxillary Orthognathic Y-spli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EP3308711A1 (en) | Image correction design system and method for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
KR20130075305A (en) | Simulation method, recorder and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 |
RU2698047C1 (en) | Method for installation of orthodontic apparatus, template and orthodontic apparatus | |
KR101749595B1 (en) | Patient Specific Fixation Apparatus for Jaw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KR20100092753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wafer | |
KR101749592B1 (en) | Fixing Holder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KR20160033564A (en) | CAD-CAM based Maxillary Template for Orthognathic Surgery | |
Lee et al. | Keyhole system: A computer-assisted designed and computer-assisted manufactured maxillomandibular complex repositioner in orthognathic surgery | |
KR102146278B1 (en) | Fully Customized 3D Distractor for Jaw or Skeletal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Distractor Therefor | |
KR102180559B1 (en) | Customized Surgical Guide for Mandibular Chi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Lee et al. | Precision of a CAD/CAM–engineered surgical template based on a facebow for orthognathic surgery: an experiment with a rapid prototyping maxillary model | |
CN110623715A (en) | Digital guide plate for stretching and osteogenesis of mandi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714767B1 (en) | Application Device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KR102146292B1 (en) | Partially Customized 3D Distractor for Jaw or Skeletal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Distractor Therefor | |
KR101363417B1 (en) | Jig of Fixing Bilateral Bone of Mandibula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06081747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bite splint | |
KR101778790B1 (en) | Surgical Guide for Zygomatic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KR100852572B1 (en) | A dental medical instru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