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01173A -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173A
KR20170001173A KR1020150090795A KR20150090795A KR20170001173A KR 20170001173 A KR20170001173 A KR 20170001173A KR 1020150090795 A KR1020150090795 A KR 1020150090795A KR 20150090795 A KR20150090795 A KR 20150090795A KR 20170001173 A KR20170001173 A KR 20170001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atch
type mobile
pattern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윤
장형태
정원석
정재우
추정훈
신민경
최진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173A/ko
Priority to US15/739,869 priority patent/US10623885B2/en
Priority to PCT/KR2015/007476 priority patent/WO2016208802A1/ko
Publication of KR2017000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는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와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연결 패턴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출력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WATCH-TYPE MOBILE TERMINAL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사람들이 항상 차고 다니는 시계에 전자 기능, 통신 기능, 멀티 미디어 기능 등이 부가된 것으로서,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아 향후 폭발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상용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운드 패턴이나 진동 패턴 등과 같은 연결 패턴을 통해 손쉽게 주변 단말기와 페어링될 수 있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는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와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연결 패턴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출력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연결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출력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운드 패턴에는 상기 페어링의 인증을 위한 페어링 요청 코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요청 코드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음향 신호 구간들 각각에 삽입된 복수의 단위 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패턴을 출력하면서, 상기 페어링의 진행 과정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통해 페어링된 경우,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진동 패턴을 통해 페어링된 경우, 상기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패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사운드 설정 및 알람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패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특정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된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을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된 상기 사운드 패턴 또는 상기 진동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운드 패턴이나 진동 패턴 등과 같은 연결 패턴을 통해 사용자의 추가 입력 없이 주변 단말기와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 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페어링 요청 신호로 인식될 수 있는 사운드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페어링 요청 신호로 인식될 수 있는 진동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사운드 패턴을 출력하여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패턴을 획득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통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페어링된 기기들 상에서 연결 패턴의 종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이 실행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의 기능 설정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카메라 촬영을 통해 연결된 경우, 수행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 패턴에 따라 각 단말기가 특정 사용자 모드로 전환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해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다른 이동 단말기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다른 이동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다른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ㅇ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4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 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 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송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 혹은 Evolved Node B로 명칭 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송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실내와 같이 위성 신호의 음영 지대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정확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GPS 방식의 측위를 보상하기 위해, WPS (WiFi Positioning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AP와 접속 중인 이동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위치 측위 서버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되거나, 무선 AP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접속 중인 무선 AP와 대응되는 무선 A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 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위 과정에서 이동형 AP나 불법 MAC 주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무선 AP를 측위 과정에서 제거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RSSI 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무선 AP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Cell-ID 방식, 핑거 프린트 방식, 삼각 측량 방식 및 랜드마크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Cell-I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수집한 주변의 무선 AP 정보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무선 AP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구현이 단순하고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위치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선 AP의 설치 밀도가 낮으면 측위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핑거프린트 방식은 서비스 지역에서 참조위치를 선정하여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 세기 정보를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핑거프린트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전파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삼각 측량 방식은 적어도 세 개의 무선 AP의 좌표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이다. 이동 단말기와 무선 AP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신호 세기를 거리 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Time of Arrival, ToA),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신호가 전달되는 각도(Angle of Arrival, Ao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랜드마크 방식은 위치를 알고 있는 랜드마크 발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열거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를 통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됨으로써,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에 접속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선 AP의 개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타원 형상, 사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151)의 형상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151)의 조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구비하는 본체(201) 및 본체(2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20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도 1의 터치 스크린(151)에 대응될 수 있다.
본체(2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 케이스(201a) 및 제2 케이스(2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201)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의 윈도우(251a)는 제1 케이스(2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2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201)에는 음향 출력부(252), 카메라(221), 마이크로폰(222), 사용자 입력부(2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2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3)의 기능은 도 1에서 설명된 사용자 입력부(123)의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밴드(2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2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02)는 본체(2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2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202)에는 파스너(fastener; 2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2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2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 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페어링 모드로 진입시킨다(S101). 일 실시 예에서 페어링 모드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들과 연결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페어링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들과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다. 페어링은 단말기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온 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페어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페어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페어링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연결 패턴을 출력하고(S103), 출력된 연결 패턴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된다(S105). 연결 패턴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300)에 페어링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패턴일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300)는 도 1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패턴은 사운드 패턴일 수 있다. 사운드 패턴은 일정 재생 구간을 갖는 노래, 벨소리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페어링 모드로 진입된 경우, 사운드 패턴을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15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페어링 요청 코드가 삽입된 사운드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페어링 요청 코드는 단말기들 간의 페어링을 위한 숫자 형태의 코드일 수 있다. 사운드 패턴에 대해 이하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페어링 요청 신호로 인식될 수 있는 사운드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300)와 페어링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운드 패턴(310)을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152)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운드 패턴(310)에는 페어링 요청 코드(426531)가 삽입될 수 있다. 페어링 요청 코드는 페어링의 인증을 위한 수단으로 사운디 패턴(310)에 삽입될 수 있다. 페어링 요청 코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코드들 각각은 사운드 패턴(3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음향 신호 구간들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각 단위 코드는 각 음향 신호 구간의 세기 또는 길이에 대응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이라는 단위 코드는 <도>음에 맵핑될 수 있고, 2라는 단위코드는 <레>음에 맵핑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패턴(310)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운드 패턴(310)에 삽입된 페어링 요청 코드(426351)을 추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사운드 패턴(310)에 삽입된 페어링 요청 코드가 기 설정된 페어링 요청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 페어링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동일한 멜로디라 하더라도 페어링 요청 코드가 삽입되지 않으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페어링 요청 코드가 사운드 패턴(310)에 삽입됨에 따라 보안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연결 패턴은 진동 패턴일 수 있다. 진동 패턴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특정 세기의 진동이 발생되는 패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페어링 모드로 진입된 경우, 진동 패턴을 출력하도록 햅틱 모듈(153)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페어링 요청 신호로 인식될 수 있는 진동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페어링을 위한 제1 타입의 진동 패턴 및 제2 타입의 진동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각 진동 패턴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 축이고, 세로 축은 진동의 세기를 나태는 진동 세기 축일 수 있다. 각 타입의 진동 패턴은 일정 시간 주기로, 진동 세기가 달라지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제1 타입의 진동 패턴 및 제2 타입의 진동 패턴 각각이 기 설정된 진동 패턴인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연결 패턴은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일 수 있다. 음성 명령어는 <HI LG> 등과 같은 기 설정된 음성 명령어일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는 마이크로폰(122)을 통해 동일한 음성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고, 동일한 음성 명령어를 수신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는 서로 페어링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연결 패턴은 사운드 패턴 및 진동 패턴이 조합된 패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연결 패턴을 출력하면서,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이 진행되고 있는 정도를 보여주는 페어링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해 표시한다(S107).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시계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된 크로노 그래프 상에 페어링 진행 과정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시계 화면 상에 페어링 진행 과정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페어링 진행 과정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페어링 대상인 이동 단말기(300) 상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연결 패턴이 기 설정된 연결 패턴인지를 확인하고(S109), 기 설정된 연결 패턴으로 확인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 페어링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S111). 이동 단말기(300)는 기 설정된 연결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기 설정된 연결 패턴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연결 패턴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기 설정된 연결 패턴과 출력된 연결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 페어링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페어링 완료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300)와 페어링된다(S113).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 각각은 페어링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페어링 완료 알림을 출력한다(S114).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 각각은 페어링에 따른 복수의 항목들을 표시하고(S115), 복수의 항목들 중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17).
단계 S101 내지 S117을 이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사운드 패턴을 출력하여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251)는 전원이 온 된 후, 웰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251)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시계의 용도로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시계 용도 탭(301) 및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휴대폰에 연결하여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페어링 탭(303)을 표시할 수 있다. 페어링 탭(303)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사운드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시계 화면을 표시하면서, 크로노 그래프(305) 상에 페어링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게이지(306)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게이지(306)는 사운드 패턴이 지속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올라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페어링 대상인 이동 단말기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 더 가깝게 다가올수록 게이지(306)가 더 빨리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시계 화면 상에 사용자로 하여금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를 페어링의 대상이 되는 이동 단말기로 가깝게 가져가도록 유도하는 텍스트(place close to your phone)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페어링 진행 과정은 시계 화면의 초침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페어링 탭(303)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사운드 패턴을 출력할 수 있고, 시계 화면의 초침을 통해 페어링 진행 과정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계 화면의 시침과 분침은 12시를 나타내도록 고정되어 있고, 초침만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페어링이 진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의 화면 밝기를 점차 밝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화면이 현재 시간을 나태내도록 시침, 분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번에는 이동 단말기(300)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패턴을 획득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패턴을 획득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사운드 패턴을 획득하기 전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를 보여준다. 이동 단말기(3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을 위한 와치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도 7a는 와치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른 초기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된 사운드 패턴을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180)는 시계 화면을 표시하면서, 크로노 그래프(305) 상에 페어링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게이지(306)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3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페어링 진행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동 단말기(30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페어링 진행 과정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180)는 획득된 사운드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페어링 완료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180)는 페어링 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항목들(321 내지 326)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항목들(321 내지 326)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251) 상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 내지 도 8c를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진동 패턴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기 전의 디스플레이부(251)의 화면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이동 단말기(300)와의 연결을 유도하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의 화면 상에 <다음>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페어링을 위해 기 설정된 진동 패턴을 출력하도록 햅틱 모듈(153)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출력하는 진동 패턴을 획득하도록 이동 단말기(300)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 가져다 대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 이동 단말기(300)를 가져다 대는 동작 만으로, 2개의 단말기를 페어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300) 위에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올려져 있는 경우, 진동 패턴을 통해 연결 가능하다.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지 않고 있고, 이동 단말기(300) 위에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에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진 동 패턴을 출력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300)는 출력된 진동 패턴을 획득하여, 기 저장된 진동 패턴으로 파악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통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통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Hi LG! connect>라는 음성 명령어를 발화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 각각은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명령어가 페어링을 위해 기 설정된 음성 명령어인 경우,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는 음성 명령어를 페어링을 위한 트리거로 인식하고, 페어링 요청 신호를 주고 받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주위에는 이동 단말기(300) 이외에 다른 이동 단말기들(300_1, 300_2)도 위치할 수 있다. 각 단말기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여 음성 명령어의 세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통한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주위에 배치된 단말기 간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음성 명령어를 수신한 단말기들 중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고, 음성 명령어의 세기가 가장 큰 2개의 단말기 즉,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가 서로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b를 설명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 각각은 <Hi LG! connect>라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음성 명령어가 페어링을 위해 기 설정된 음성 명령어인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 각각은 페어링 대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 각각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을 터치하라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페어링을 위해 음성 명령어에 추가적인 사용자의 입력을 더 수신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이 서로 연결되기 위한 추가 입력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특정 제스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또는 각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 감지된 경우, 또한,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페어링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 각각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Hi LG disconnect)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음성 명령어가 연결 해제를 위한 명령어인 경우, 페어링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는 서로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페어링된 경우, 각 단말기에는 페어링의 기초가 된 연결 패턴의 종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페어링된 기기들 상에서 연결 패턴의 종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이 실행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사운드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사운드 패턴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251) 및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151) 중 하나 이상은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재생 제어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이동 단말기(300) 상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진동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특정 패턴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운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251) 및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151) 중 하나 이상은 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하루 동안 사용자의 걸음 수, 목표 걸음 수 등을 제공하는 운동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예시에 불과하다. 사용자는 특정 연결 패턴에 대응하여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특정 연결 패턴을 통해 페어링된 경우, 각 단말기는 특정 연결 패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의 연결 패턴에 따라 각 단말기의 기능 설정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의 기능 설정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사운드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사운드 패턴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각 단말기의 사운드 설정 및 알람 설정 중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사운드 패턴을 통해 연결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호 신호 수신 시 벨소리를 출력하고, 수신된 모든 알람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사운드 패턴을 통해 연결된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람을 출력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알람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b를 설명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진동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진동 패턴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각 단말기의 사운드 설정 및 알람 설정 중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진동 패턴을 통해 연결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호 신호 수신 시 무음으로 설정되고, 수신된 모든 알람들 중 중요 알람만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00)는 알람에 대한 업데이트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알람 주기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3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를 촬영하여 서로 페어링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300)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촬영을 통해 페어링 된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표시하는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거나,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카메라 촬영을 통해 연결된 경우, 수행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촬영 모드로 동작하여 디스플레이부(251)의 프리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리뷰 화면에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영상(10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영상(101)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101)이 기 저장된 영상과 일치하는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촬영을 통해 서로 페어링된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표시하는 화면을 그대로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보고 있던 화면을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의 연결 패턴에 따라 각 단말기가 특정 사용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 패턴에 따라 각 단말기가 특정 사용자 모드로 전환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사운드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사운드 패턴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각 단말기의 동작 모드는 특정 사용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사운드 패턴을 통해 연결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는 및 이동 단말기(300)는 사용자 A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모드에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는 사용자 A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A/B/C)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홈 화면에 표시하고, 사운드 설정이 진동으로 설정되며, 화면이 82%의 밝기로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b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진동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진동 패턴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각 단말기의 동작 모드는 특정 사용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진동 패턴을 통해 연결된 경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는 및 이동 단말기(300)는 사용자 B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모드에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300)는 사용자 B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D/E)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홈 화면에 표시하고, 사운드 설정이 멜로디로 설정되며, 화면이 100%의 밝기로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충전량이 기 설정된 충전량 이하인지 확인하고(S119), 충전량이 기 설정된 충전량 이하인 경우, 이동 단말기(300)에 페어링 해제 요청을 전송한다(S121).
페어링 해제 요청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300)는 페어링이 해제된다(S123).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300)와 페어링을 해제하거나, 주기적으로 페어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21 및 S123을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해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충전량이 20% 미만일 경우, 충전량이 부족함을 알리고, 세이브 모드로의 진입을 유도하는 메시지 창(50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세이브 모드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모드로, 이동 단말기(300)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거나, 이동 단말기(300)와 주기적으로 페어링되는 모드일 수 있다. 세이브 모드로의 진입을 요청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가 수신하는 알람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알람 확인 버튼(503) 및 페어링 해제 버튼(505)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알람 확인 버튼(503)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20분)로 이동 단말기(300)와 페어링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알람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주기적으로 이동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알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페어링 해제 버튼(505)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300)와 페어링을 해제하고, 시계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 화면에는 이동 단말기(300)와 페어링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 충전기가 연결된 경우, 세이브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300)와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연결 패턴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출력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 중 어느 하나인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패턴에는 상기 페어링의 인증을 위한 페어링 요청 코드가 삽입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요청 코드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음향 신호 구간들 각각에 삽입된 복수의 단위 코들을 포함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패턴을 출력하면서, 상기 페어링의 진행 과정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통해 페어링된 경우,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진동 패턴을 통해 페어링된 경우, 상기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패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사운드 설정 및 알람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패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특정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모드로 전환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9.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연결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출력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 중 어느 하나인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패턴에는 상기 페어링의 인증을 위한 페어링 요청 코드가 삽입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요청 코드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음향 신호 구간들 각각에 삽입된 복수의 단위 코들을 포함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을 출력하면서, 상기 페어링의 진행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통해 페어링된 경우,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진동 패턴을 통해 페어링된 경우, 상기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사운드 설정 및 알람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특정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7.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된 사운드 패턴 또는 진동 패턴을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된 상기 사운드 패턴 또는 상기 진동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패턴에 삽입된 상기 페어링의 인증을 위한 페어링 요청 코드가 기 설정된 코드인 경우,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패턴을 획득하면서, 상기 페어링의 진행 과정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된 경우, 상기 연결 패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090795A 2015-06-25 2015-06-25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01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95A KR20170001173A (ko) 2015-06-25 2015-06-25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5/739,869 US10623885B2 (en) 2015-06-25 2015-07-17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KR2015/007476 WO2016208802A1 (ko) 2015-06-25 2015-07-17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95A KR20170001173A (ko) 2015-06-25 2015-06-25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73A true KR20170001173A (ko) 2017-01-04

Family

ID=5758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95A KR20170001173A (ko) 2015-06-25 2015-06-25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23885B2 (ko)
KR (1) KR20170001173A (ko)
WO (1) WO20162088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85B1 (ko) * 2017-07-31 2018-07-11 허경욱 스마트폰 제어용 리모콘 프로토콜 방법
KR20180093650A (ko) * 2017-02-14 2018-08-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0005B2 (en) 2012-08-07 2015-01-06 Sonos, Inc. Acoustic signatures in a playback system
WO2015026933A2 (en) 2013-08-21 2015-02-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n hvac controller
US10379808B1 (en) * 2015-09-29 2019-08-13 Amazon Technologies, Inc. Audio associating of computing devices
US10642233B2 (en) * 2016-01-04 2020-05-05 Ademco Inc. Device enrollment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ided by audio input
US10172168B2 (en) 2016-02-05 2019-01-01 Lg Electronics Inc. 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US9947316B2 (en) 2016-02-22 2018-04-17 Sonos, Inc. Voice control of a media playback system
US10264030B2 (en) 2016-02-22 2019-04-16 Sonos, Inc. Networked microphone device control
US9811314B2 (en) 2016-02-22 2017-11-07 Sonos, Inc. Metadata exchange involving a networked playback system and a networked microphone system
US9965247B2 (en) 2016-02-22 2018-05-08 Sonos, Inc. Voice controlled media playback system based on user profile
US10097919B2 (en) 2016-02-22 2018-10-09 Sonos, Inc. Music service selection
US10095470B2 (en) 2016-02-22 2018-10-09 Sonos, Inc. Audio response playback
US9978390B2 (en) 2016-06-09 2018-05-22 Sonos, Inc. Dynamic player selection for audio signal processing
US10134399B2 (en) 2016-07-15 2018-11-20 Sonos, Inc. Contextualization of voice inputs
US10152969B2 (en) 2016-07-15 2018-12-11 Sonos, Inc. Voice detection by multiple devices
US10115400B2 (en) 2016-08-05 2018-10-30 Sonos, Inc. Multiple voice services
US9942678B1 (en) 2016-09-27 2018-04-10 Sonos, Inc.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US9743204B1 (en) 2016-09-30 2017-08-22 Sonos, Inc. Multi-orientation playback device microphones
US10181323B2 (en) 2016-10-19 2019-01-15 Sonos, Inc. Arbitration-based voice recognition
US11183181B2 (en) 2017-03-2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multiple voice services
US10432614B2 (en) * 2017-05-16 2019-10-01 Apple Inc. Techniques for verifying user intent and securely configuring computing devices
US10475449B2 (en) 2017-08-07 2019-11-12 Sonos, Inc. Wake-word detection suppression
US10762752B1 (en) 2017-09-06 2020-09-01 Apple Inc. Tactile notifications for electronic devices
US10048930B1 (en) 2017-09-08 2018-08-14 Sonos, Inc. Dynamic comput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US11297451B2 (en) * 2017-09-18 2022-04-05 Sonova Ag Pairing infor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446165B2 (en) 2017-09-27 2019-10-15 Sonos, Inc. Robust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coustic echo cancellation during audio playback
US10482868B2 (en) 2017-09-28 2019-11-19 Sonos, Inc. Multi-channel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10051366B1 (en) 2017-09-28 2018-08-14 Sonos, Inc. Three-dimensional beam forming with a microphone array
US10621981B2 (en) 2017-09-28 2020-04-14 Sonos, Inc. Tone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466962B2 (en) 2017-09-29 2019-11-05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voice assistance
US10524046B2 (en) 2017-12-06 2019-12-31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880650B2 (en) 2017-12-10 2020-12-29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s with automatic do not disturb actuation capabilities
US10818290B2 (en) 2017-12-11 2020-10-27 Sonos, Inc. Home graph
WO2019152722A1 (en) 2018-01-31 2019-08-08 Sonos, Inc. Device designation of playback and network microphone device arrangements
US11175880B2 (en) 2018-05-10 2021-11-1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ssisted media content selection
US10847178B2 (en) 2018-05-18 2020-11-24 Sonos, Inc.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US10959029B2 (en) 2018-05-25 2021-03-23 Sonos, Inc. Determining and adapting to changes in microphone performance of playback devices
US10782651B2 (en) * 2018-06-03 2020-09-22 Apple Inc. Image capture to provide advanced features for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US10681460B2 (en) 2018-06-28 2020-06-09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with voice assistant services
US10812150B2 (en) * 2018-08-19 2020-10-20 International Forte Group LLC First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facilitating a proximity based interaction with a seco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461710B1 (en) 2018-08-28 2019-10-29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maximum volume setting
US11076035B2 (en) 2018-08-28 2021-07-27 Sonos, Inc. Do not disturb feature for audio notifications
US10878811B2 (en) 2018-09-14 2020-12-29 Sonos, Inc.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deactivating wake-word engines
US10587430B1 (en) * 2018-09-14 2020-03-10 Sonos, Inc.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based on sound codes
US11024331B2 (en) 2018-09-21 2021-06-01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using sound metadata
US10811015B2 (en) 2018-09-25 2020-10-20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based on selected voice assistant service
US11100923B2 (en) 2018-09-28 2021-08-24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ake word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s
US10692518B2 (en) 2018-09-29 2020-06-23 Sonos, Inc.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via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11899519B2 (en) 2018-10-23 2024-02-13 Sonos, Inc. Multiple stage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processing load
EP3654249A1 (en) 2018-11-15 2020-05-20 Snips Dilated convolutions and gating for efficient keyword spotting
US11183183B2 (en) 2018-12-0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media playback systems having multiple voice assistant services
US11132989B2 (en) 2018-12-13 2021-09-28 Sonos, Inc. Networked microphon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localized arbitration
US10602268B1 (en) 2018-12-20 2020-03-24 Sonos, Inc. Optimization of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ing noise classification
US11315556B2 (en) 2019-02-08 2022-04-26 Sono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by transmitting sound data associated with a wake word to an appropriate device for identification
US10867604B2 (en) 2019-02-08 2020-12-15 Sono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US11120794B2 (en) 2019-05-03 2021-09-14 Sonos, Inc. Voice assistant persistence across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11361756B2 (en) 2019-06-12 2022-06-14 Sonos, Inc. Conditional wake word eventing based on environment
US10586540B1 (en) 2019-06-12 2020-03-10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conditioning
US11200894B2 (en) 2019-06-12 2021-12-14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eventing
US11138975B2 (en) 2019-07-31 2021-10-05 Sonos, Inc.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US10871943B1 (en) 2019-07-31 2020-12-22 Sonos, Inc. Noise classification for event detection
US11138969B2 (en) 2019-07-31 2021-10-05 Sonos, Inc.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US11189286B2 (en) 2019-10-22 2021-11-30 Sonos, Inc. VAS toggle based on device orientation
US11200900B2 (en) 2019-12-20 2021-12-14 Sonos, Inc. Offline voice control
US11562740B2 (en) 2020-01-07 2023-01-24 Sonos, Inc. Voice verification for media playback
US11556307B2 (en) 2020-01-31 2023-01-17 Sonos, Inc. Local voice data processing
US11308958B2 (en) 2020-02-07 2022-04-19 Sonos, Inc. Localized wakeword verification
US11727919B2 (en) 2020-05-20 2023-08-15 Sonos, Inc. Memory allocation for keyword spotting engines
US11482224B2 (en) 2020-05-20 2022-10-25 Sonos, Inc. Command keywords with input detection windowing
US11308962B2 (en) 2020-05-20 2022-04-19 Sonos, Inc. Input detection windowing
US11204975B1 (en) * 2020-08-10 2021-12-21 Coupang Corp. Program interface remote management and provisioning
US11698771B2 (en) 2020-08-25 2023-07-11 Sonos, Inc. Vocal guidance engines for playback devices
US11984123B2 (en) 2020-11-12 2024-05-14 Sonos, Inc. Network device interaction by range
US11551700B2 (en) 2021-01-25 2023-01-10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efficient keyword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0656B2 (en) * 2008-06-26 2012-05-01 Microsoft Corporation Wearable electromyography-based controllers for human-computer interface
US8260261B2 (en) * 2009-08-31 2012-09-04 Qualcomm Incorporated Securing pairing verification of devices with minimal user interfaces
US20110217950A1 (en) 2010-03-05 2011-09-08 Alan Kozlay Apparatus & method to improve pairing security in Bluetooth™ headsets & earbuds
US20140206289A1 (en) * 2011-06-10 2014-07-24 Aliphcom Data-capable band management in an integrated application and network communication data environment
KR20140058996A (ko) * 2012-11-07 2014-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외부 장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9477313B2 (en) * 2012-11-20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outward-facing sensor of device
US20140256260A1 (en) * 2013-03-07 2014-09-11 Bose Corporation Wireless Device Pairing
CN105519005B (zh) * 2013-07-24 2019-06-18 五十三股份有限公司 用于认证无线连接的装置、方法和系统
KR102246742B1 (ko) * 2015-04-17 2021-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어링 대상을 식별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650A (ko) * 2017-02-14 2018-08-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KR101877285B1 (ko) * 2017-07-31 2018-07-11 허경욱 스마트폰 제어용 리모콘 프로토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7944A1 (en) 2018-12-20
US10623885B2 (en) 2020-04-14
WO2016208802A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1173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48990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474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39377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EP3489771B1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KR20160119966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20170030980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207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18146A (ko) 홈 게이트 웨이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06537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44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67393A (ko) 푸쉬 서비스 제어장치
KR201600762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170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912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6234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KR201700834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76172B1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KR20170016248A (ko)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가이드 방법
KR201600604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9292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20160139499A (ko) 이동 단말기
KR101692455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82317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02030B1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