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2458A - 다기능 복합 가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복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458A
KR20150102458A KR1020140024345A KR20140024345A KR20150102458A KR 20150102458 A KR20150102458 A KR 20150102458A KR 1020140024345 A KR1020140024345 A KR 1020140024345A KR 20140024345 A KR20140024345 A KR 20140024345A KR 20150102458 A KR20150102458 A KR 20150102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using unit
bed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이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복 filed Critical 이상복
Priority to KR102014002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458A/ko
Publication of KR2015010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9/00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가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가구는 제1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1수납유닛;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수직방향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제1수납유닛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2수납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용도를 갖는 다수의 수납유닛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설치공간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구를 배치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공간활용의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수납유닛을 수직방향의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일체형 가구로 제작하면, 설치공간에 따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복합 가구{Multifunctional complex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수납유닛을 수직방향의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자의 실정에 맞게 설치면적과 용도를 선택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안에서 사용되는 책상, 책장, 침대, 옷장 등의 가구는 서로 독립적인 제품으로 제작되고, 각 가구마다 소정의 설치면적이 요구된다.
그런데 아이들 방과 같이 비교적 좁은 공간에는 필요한 가구를 모두 설치하기 어렵고, 필요한 가구를 모두 설치하면 가용공간의 축소로 인해 사용자의 생활에 큰 불편이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한정된 실내공간에 다양한 가구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2이상의 가구를 일체화시킨 복합 가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책상과 책장을 일체로 제작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 책상, 침대 등을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데 특허문헌 1의 복합 가구는 다양한 기능의 가구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전체적인 설치면적을 크게 줄인 효과는 있으나, 일단 설치된 이후에는 개별 가구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다른 용도의 가구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설치면적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너무 좁은 실내에는 사용할 수 없고, 반대로 너무 넓은 실내에는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실내공간의 크기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00957호(2005.11.09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용도의 가구를 복합적으로 구성하되 사용자가 설치공간의 크기나 용도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복합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1수납유닛;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수직방향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제1수납유닛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2수납유닛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가구는, 상기 제3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수직방향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제2수납유닛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가구에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수납유닛은 사각의 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2수납유닛의 제1모서리가 상기 제1수납유닛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수납유닛에서 상기 제1모서리의 대각선쪽에 위치하는 제2모서리가 상기 제3수납유닛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가구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수납유닛은, 내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걸이봉을 포함하는 옷장과, 내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선반과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책상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책상일체형 책장과. 내부에 침대가 수납되고 상기 침대가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침대수납장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가구에서, 상기 제1수납유닛의 세로방향 길이는 상기 제2수납유닛과 상기 제3수납유닛의 세로방향 길이를 합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가구에서, 상기 제1수납유닛은 내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걸이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납유닛의 상기 제2수납공간은 횡방향의 수직격벽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공간에는 다수의 선반과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책상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공간에는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침대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정면의 제1공간과 반대쪽의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폭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선반과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책상용 플레이트; 상기 제2공간에 수납되며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침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침대; 상기 침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1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1수납유닛과,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수직방향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제1수납유닛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2수납유닛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침대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수납유닛과 상기 제2수납유닛의 외측벽에 형성된 다수의 디딤발판을 구비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를 포함하는 다기능 이층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구는, 다양한 용도를 갖는 다수의 수납유닛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설치공간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구를 배치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공간활용의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수납유닛을 수직방향의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일체형 가구로 제작하면, 설치공간에 따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에서 제1수납유닛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2수납유닛의 책상용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에서 제1 내지 제3수납유닛이 모두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제3수납유닛의 침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제1수납유닛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1 내지 제3수납유닛이 모두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제3수납유닛의 침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제2수납유닛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침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모든 수납유닛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를 방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100)는 도 1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수납유닛(110)과, 수직방향의 제1힌지(171)에 의해 제1수납유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수납유닛(120)과, 수직방향의 제2힌지(172)에 의해 제2수납유닛(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3수납유닛(13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은 적어도 측판, 후판, 천정판 및 바닥판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는 각 수납유닛(110,120,130)의 수납공간이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용도에 따라서는 수납공간이 위쪽 또는 다른 방향으로 개구될 수도 있다. 또한 수납공간이 개구된 부분에 도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1힌지(171)는 제1수납유닛(110)의 측벽 일단과 제2수납유닛(120)의 측벽 일단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2힌지(171)는 제2수납유닛(120)의 측벽 타단과 제3수납유닛(130)의 측벽 일단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이 모두 사각의 평면을 갖는다면, 제1수납유닛(110)의 일측 모서리와 제2수납유닛(120)의 일측 모서리를 제1힌지(171)로 결합하고, 제2수납유닛(120)은 일측 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에 있는 타측 모서리를 제3수납유닛(130)의 모서리에 제2힌지(172)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합 가구(100)가 모두 접힌 상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각 힌지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더 많은 수납유닛(130)이 연결된 경우에는 각 힌지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힌지(171,172)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을 병풍처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결합하면, 접은 상태에서 복합 가구(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좁은 방에도 충분히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의 각각의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100)는 제2 및 제3수납유닛(120,130)의 세로방향(펼쳐진 상태에서 정면과 배면을 향하는 방향)의 길이를 합한 것이 제1수납유닛(110)의 세로방향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1수납유닛(110)을 회전시켰을 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및 제3수납유닛(120,130)의 세로면과 제1수납유닛(110)의 세로면이 일치하게 되어 컴팩트한 구성을 통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은 제1수납유닛(110)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넓은 수납공간이 요구되는 옷장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며, 제1수납유닛(110)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거나 모든 수납유닛이 동일한 용도인 경우에는 이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2 및 제3수납유닛(120,130)의 세로방향 길이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용도에 따라서는 제2 및 제3수납유닛(120,130)의 세로방향 길이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은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수납유닛(110)은 옷을 수납하는 용도이고, 제2수납유닛(120)은 책을 수납하는 용도이며, 제3수납유닛(130)은 침대를 수납하는 용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의 구체적인 용도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제1수납유닛(110)을 제1힌지(171)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수납유닛(110)은 옷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옷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의 내부에 횡방향(폭방향)의 걸이봉(112)이 설치되며, 수납공간의 하부에는 서랍장(114)이 설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서랍장(114)이 생략될 수도 있고, 서랍장(114)을 더 많이 설치하고 걸이봉(112)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제1수납유닛(110)의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수납유닛(120)은 책상일체형 책장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의 사이에 다수의 선반(122)이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양 측벽의 사이에는 책상용 플레이트(1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책상용 플레이트(124)의 양 측단은 횡방향(폭방향)의 회전축에 의해 제2수납유닛(120)의 양 측벽에 결합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책상용 플레이트(124)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책상으로 사용된다. 책상용 플레이트(124)가 전방으로 회전한 이후에 수평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제2수납유닛(120)의 내벽에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납유닛(120)이 반드시 책상 일체형 책장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단순히 다수의 선반이 설치된 책장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분에 서랍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의 상태는 제3수납유닛(130)이 아직 접혀 있는 상태이며, 제2수납유닛(120)의 후방에 위치한 제3수납유닛(130)을 제2힌지(172)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30)이 모두 전방을 향한 상태로 펼쳐지게 된다.
제3수납유닛(130)은 침대수납장으로 사용되며.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의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침대(132)가 수납된다. 침대(130)는 하단 부근이 횡방향(폭방향)의 회전축에 의해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수납된 침대(132)을 앞으로 당겨 내리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진다.
도면에는 침대(132)를 당겨 내렸을 때 방바닥에 접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침대(132)가 결합되는 회전축의 높이를 달리하여 침대(130)의 위치를 높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침대(130)의 하부에 기둥이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비교적 무거운 침대(132)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내리거나 올릴 수 있도록 침대(132)와 제3수납유닛(130)의 사이에 압축 또는 신장된 상태에서 위치 유지력을 발휘하는 가스스프링(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침대(132)가 세워진 상태에서 앞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제3수납유닛(130)의 적어도 일 측벽에 침대(13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수단은 제3수납유닛(130)의 적어도 일 측벽에 설치된 제1결합구와 침대(132)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구와 체결되는 제2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는 예를 들어 걸쇠와 고리일 수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100)는 힌지(171,172)의 결합위치 또는 수납유닛(110,120,130)간의 결합순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과 같이 제1수납유닛(110)의 측면 후단에 제1힌지(171)를 통해 제3수납유닛(130)의 일 측면을 결합하고, 제3수납유닛(130)의 타 측면을 제2힌지(172)를 통해 제2수납유닛(130)의 측면 일단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의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제1수납유닛(110)을 제1힌지(17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어 옷장으로 사용되는 제1수납유닛(110)만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전방에 위치하는 제2수납유닛(120)을 제2힌지(172)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이 모두 회전된 상태가 되며, 가운데 위치하는 제3수납유닛(130)에서 침대(132)를 앞으로 당겨 내리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2 및 제3수납유닛(120,130)의 순서는 도 4의 경우와는 반대가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171,172)의 결합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가구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편의와 가구배치의 자유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각 수납유닛(110,120,130)을 연결하는 힌지(171,172)가 분해 조립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1 내지 제3수납유닛(110,120,13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납유닛(110,120,130)은 다른 수납유닛과 결합되지 않고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수납유닛(120)과 제3수납유닛(130)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및 제3수납유닛(120,130)을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옷장역할을 하는 제1수납유닛(110)에 힌지(171)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의 길이가 제1수납유닛(110)과 비슷한 제2수납유닛(120')을 결합하되, 제2수납유닛(120')이 책상일체형 책상의 기능과 침대수납장의 기능을 모두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2수납유닛(120')의 수납공간을 폭방향의 수직격벽을 이용하여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으로 구획하고, 전방공간에는 책상일체형 책상을 설치하고 후방공간에는 침대수납장을 설치하면 된다. 책상일체형 책상의 구성과 침대수납장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2수납유닛(120')은 앞서 설명한 제2수납유닛(120)의 후면과 제3수납유닛(130)의 후면을 결합시킨 상태와 유사하다.
도 10의 상태에서 힌지(171)를 중심으로 제2수납유닛(120')을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대(132)가 나타나게 되고, 침대(132)를 당겨 내리면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은 자녀 방과 같이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는 매우 유용하다. 특히, 접혀진 상태에서도 책상일체형 책장이 전방으로 항상 노출되므로 아이들이 공부하거나 활동하는 시간에는 실내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의 구성을 갖는 복합 가구(100)에서 힌지(171)를 사용하지 않고, 제1수납유닛(110)과 제2수납유닛(120')을 분리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가구를 배치할 수 있어 공간활용의 자유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달리 제2수납유닛(120')의 침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고, 제2수납유닛(120')을 제1수납유닛(110)의 측방에 배치할 수도 있는 등 설치면적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수납유닛(110)의 세로방향 길이가 다른 수납유닛보다 큰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세로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4개의 수납유닛(210,220,230,240)을 제1 내지 제3힌지(271,272,273)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합 가구(200)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힌지(271,272,27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지그재그로 교번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결합하면 모든 수납유닛(210,220,230,240)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풍처럼 펼칠 수 있다.
도 14에는 제1 및 제2수납유닛(210,220)이 모두 책상일체형 책장이고, 제3 및 제4수납유닛(230,240)이 모두 침대수납장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각각 다른 수납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복합 가구(100)를 운반하는 중에 각 수납유닛(110,120,130)이 힌지(171,17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인접한 수납유닛과 벌어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서로 인접하는 수납유닛에서 힌지로 결합되지 않은 부분에 서로 대응하는 잠금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지 않거나 운반할 때 잠금수단을 체결해두면 수납유닛이 벌어지지 않게 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100,20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층 침대와 한 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5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좁은 방의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유닛(110,120,130) 중 일부만을 펼쳐서 사용하고, 보다 넓은 방에서는 모든 수납유닛(110,120,130)을 펼쳐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기숙사 등에서 2층 침대와 한 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침대의 하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가구(100,200)를 설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구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2층 침대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유닛의 외측면에 다수의 디딤발판을 부착하여 침대를 오르내리는 계단으로 활용할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200: 복합 가구 110: 제1수납유닛
112: 걸이봉 114: 서랍장
120: 제2수납유닛 122: 선반
124: 책상 130: 제3수납유닛
132: 침대 171: 제1힌지
172: 제2힌지

Claims (8)

  1. 제1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1수납유닛;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수직방향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제1수납유닛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2수납유닛
    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수직방향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제2수납유닛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수납유닛은 사각의 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2수납유닛의 제1모서리가 상기 제1수납유닛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수납유닛에서 상기 제1모서리의 대각선쪽에 위치하는 제2모서리가 상기 제3수납유닛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수납유닛은,
    내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걸이봉을 포함하는 옷장과,
    내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선반과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책상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책상일체형 책장과.
    내부에 침대가 수납되고 상기 침대가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침대수납장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유닛의 세로방향 길이는 상기 제2수납유닛과 상기 제3수납유닛의 세로방향 길이를 합한 것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유닛은 내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걸이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납유닛의 상기 제2수납공간은 폭방향의 수직격벽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공간에는 다수의 선반과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책상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공간에는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침대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
  7. 수납공간을 정면의 제1공간과 반대쪽의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폭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선반과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책상용 플레이트;
    상기 제2공간에 수납되며 폭방향의 회전축에 결합된 침대
    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
  8.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침대
    상기 침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1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1수납유닛과,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이 수직방향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제1수납유닛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2수납유닛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침대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수납유닛과 상기 제2수납유닛의 외측벽에 형성된 다수의 디딤발판을 구비하는 다기능 복합 가구
    를 포함하는 다기능 이층 침대
KR1020140024345A 2014-02-28 2014-02-28 다기능 복합 가구 KR20150102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345A KR20150102458A (ko) 2014-02-28 2014-02-28 다기능 복합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345A KR20150102458A (ko) 2014-02-28 2014-02-28 다기능 복합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58A true KR20150102458A (ko) 2015-09-07

Family

ID=5424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345A KR20150102458A (ko) 2014-02-28 2014-02-28 다기능 복합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4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4656A (zh) * 2018-06-07 2018-08-31 中山市趣家智能家具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家具
KR20190139400A (ko) * 2018-06-08 2019-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4656A (zh) * 2018-06-07 2018-08-31 中山市趣家智能家具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家具
KR20190139400A (ko) * 2018-06-08 2019-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29520A (ko) * 2018-06-08 2022-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37611A (ko) * 2018-06-08 202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37612A (ko) * 2018-06-08 202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54079A (ko) * 2018-06-08 202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9750B2 (en)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KR101715597B1 (ko) 복합형 가구
US11147386B2 (en) Modular hidden bed cabinet
US20150123527A1 (en) Collapsible Wardrobe and Method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KR101771079B1 (ko) 수납장이 구비된 접이식 매트리스
CN104223831A (zh) 一种柜体式组合床
CA2978802C (en) Folding bed and filing cabinet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CN104510194A (zh) 一种6s学生公寓多功能家具
KR101460583B1 (ko) 시스템 가구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KR200377719Y1 (ko) 침대와 옷장을 일체로 구비한 조합형 책상
KR101770280B1 (ko) 접이식 매트리스 수납장
KR102474167B1 (ko) 블록 조립식 가구
JP3382650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CN204908598U (zh) 多功能客厅组合柜
KR200463104Y1 (ko) 책장이 결합된 책상
CN104095434A (zh) 一种节省空间的组合床
JP2005143587A (ja) 収納家具
KR20140000265U (ko) 시스템 가구의 코너 도어
CN218738099U (zh) 一种组合式家具
JP3187878U (ja) 隔壁ユニット
JP3233114U (ja) 折りたたみデスク
KR101866383B1 (ko) 접이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