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94929A -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929A
KR20140094929A KR1020130007598A KR20130007598A KR20140094929A KR 20140094929 A KR20140094929 A KR 20140094929A KR 1020130007598 A KR1020130007598 A KR 1020130007598A KR 20130007598 A KR20130007598 A KR 20130007598A KR 20140094929 A KR20140094929 A KR 2014009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hermocouple
molten steel
temperature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영
김병찬
김동식
임기범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929A/ko
Publication of KR2014009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4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 B22D11/142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for curved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4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 B22D11/143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for horizont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로서, 상기 주형의 주형본체에 삽입되는 열전대; 상기 주형본체를 감싸는 주형외피로부터 상기 주형본체의 내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열전대가 관통하는 내측 통공을 가진 결합부재; 및 상기 주형외피의 내측 상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열전대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LD IN CONTINUOUS CASTER}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냉각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열전대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강산업의 발전에 따라, 최종제품의 형상에 가까운 중간소재를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다양한 연속주조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개량된 연속주조기(continuous caster)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기는 래들, 턴디쉬, 주형, 냉각장치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강 및 정련공정을 통해 원하고자 하는 합금성분이 맞추어진 용강은 래들(ladle)을 통해 턴디쉬(tundish)로 이송된다. 턴디쉬에서 각 주형(mold)으로 분배된 용강은 주형을 포함한 냉각장치를 통과하여 응고되며, 이를 통해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주편이 연속적으로 생산된다.
특히, 주형은 용강의 초기냉각을 통해 주편의 고유 형상을 만들어주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주형에서의 냉각은 주편 응고과정의 첫 단계로서, 이때 형성되는 초기 응고구간의 품위는 주편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주편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주형의 부위별 냉각효율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먼저 주형과 용강 간의 열전달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슬래브(slab), 블룸(bloom) 등의 주형과는 달리, 형상의 특이성으로 인해 각 면별 주형의 두께가 다른 빔 블랭크(beam blank)형 주형에서는 주형의 부위별 냉각효율 제어가 특히 중요하다.
한편, 주형으로 주입되는 용강은 매우 고온이기 때문에, 용강 자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주형 내부 탕면에 대한 안정화와 조업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연속적인 측온에 제약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주형에 측온설비(온도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주형은 용강이 주형의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왕복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측온설비를 주형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빔 블랭크형 주형에서는 각 부위별로 두께가 다르고, 특히 웹(web)부에서는 주형이 매우 두껍기 때문에 측온설비의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연속주조기에 있어서 고온의 용강을 냉각하고 주편의 고유 형상을 결정하는 주형의 열전달 제어를 위하여, 주형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온도 측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용 주형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빔 블랭크형 주형에도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한 경제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로서, 상기 주형의 주형본체에 삽입되는 열전대; 상기 주형본체를 감싸는 주형외피로부터 상기 주형본체의 내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열전대가 관통하는 내측 통공을 가진 결합부재; 및 상기 주형외피의 내측 상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열전대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빔 블랭크(beam blank)형 주형이며, 상기 열전대는 상기 빔 블랭크형 주형의 웹(web)부, 필렛(fillet)부, 플랜지(flange)부, 및 측(side)부 중 2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는 상기 주형외피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는 상기 주형본체의 용강접촉면 직하까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주형본체와 주형외피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열전대 고정부재와 접하는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주조기용 주형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 온도 측정장치는 빔 블랭크 주형에도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며, 경제성과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온도 측정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주형의 온도 측정이 가능함으로써, 주형의 냉각효율 분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다수개의 온도 측정장치를 이용할 경우 주형의 부위별 온도 측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주형 전체의 냉각효율 분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속주조기에 사용되는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온도 측정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세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온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주형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속주조기에 사용되는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에 사용되는 설비인 연속주조기는 수직형(vertical type), 수평형(horizontal type), 및 만곡형(curved type)으로 구별되며, 이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1a, 도 1b, 및 도 1c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이외에도 스트립 캐스팅 등 다양한 연속주조기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 칭하는 “연속주조기”는 이들 다양한 연속주조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참고로, 연속주조공정은 융점(melting point) 이상으로 가열되어 용융된 금속을 주형에 주입하여 냉각시킴으로서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주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통칭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주조기(10)는 래들(100), 턴디쉬(200), 및 주형(300)을 포함하며, 이들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2차 냉각대, 인발롤, 절단기 및 기타 부대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래들(100)은 제강 및 정련공정을 통해 원하고자 하는 합금성분이 맞추어진 용강(molten steel)(M)을 연속주조기(10)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용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스틸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구리 등의 용융 금속을 총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턴디쉬(200)는 래들(100)을 통해 이송된 용강(M)을 받아 주형(300)으로 공급하는 용기이다. 래들(100)의 용강(M)을 턴디쉬(200)에 받아둠으로써, 래들(100)에서 주형(300)으로 용강(M)을 공급되는 도중에 래들(100) 내의 용강(M)이 모두 소진되었을 때 주형(300)으로의 용강(M)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턴디쉬(200) 상부에는 래들 터렛(ladle turret)이 위치하여, 한 쌍의 래들(100)로부터 번갈아가며 용강(M)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주형(M)으로 용강(M)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턴디쉬(200)로 공급된 용강(M)은 일정시간 턴디쉬(200)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용강(M) 성분의 재분배, 및 내부 개재물의 부상분리 제거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턴디쉬(200)의 하부에는 용강(M)을 주형(300)으로 공급하는 침지노즐(210)이 설치되어 있다. 침지노즐(210)의 직경을 변화시키는 등의 제어를 통하여 주형(300)으로 공급되는 용강(M)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침지노즐(210)의 제어를 통해 주형(300)으로 공급되는 용강(M)의 속도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연속주조기(10)의 주조속도가 조절된다.
주형(300)은 턴디쉬(200)로부터 공급받은 용강(M)을 1차적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통해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주편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주형(300)은 일반적으로 구리합금으로 제작되며, 용강(M)의 냉각을 위해 내부에 냉각수로가 형성된다. 냉각수로의 형성을 위해 구리관을 이용하는 방식, 구리 블록 내에 유동관을 형성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형(300)은 그 구조에 따라 일반적으로 튜브형(bube type)과 플레이트형(plate type)으로 구분된다. 튜브형 주형은 빌렛(billet)이나 블룸(bloom)과 같은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형상의 주물을 생산할 때 사용되며, 상하와 좌우면이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체형 주형이다. 도 2의 (a)와 (b)는 각각 빌렛형 주형 및 블룸형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그에 반해, 플레이트형 주형은 슬래브(slab)나 빔 블랭크와 같은 주물을 생산할 때 사용되며, 주형의 상하와 좌우면이 각각 판으로 구성되는 분리형(조립형) 주형이다. 이들 분리된 사면의 판을 조립하여 하나의 주형으로 제작된다. 도 2의 (c)와 (d)는 각각 슬래브형 주형 및 빔 블랭크형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특히,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블랭크형 주형(300)은 H형 강의 제조에 사용되며, 좌우측에 위치하며 두께가 일정한 두 개의 플레이트와, 상하측에 위치하며 중심부가 두꺼운 형태의 두 개의 플레이트, 총 4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하측에 위치한 두 개의 플레이트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웹(web)부(301), 주변부에 위치한 두께가 얇은 곳을 플랜지(flange)부(303), 웹부(301)와 플랜지부(303)를 이어주는 부분을 필렛(fillet)부(302)라 칭한다. 또한, 좌우측에 위치한 두께가 일정한 플레이트를 측(side)부(304)라 칭한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주형(300)은 용강(M)이 주형의 벽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 운동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주형(300)은 도시되지 않은 오실레이터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주형(300)에서 1차 냉각된 용강(M)은 그 외측부터 응고가 되어 스트랜드(strand)(S)를 형성한다. 이는 용강(M)의 중심보다는 그 외측에서 외부로의 열전달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주형(30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스트랜드(S)가 차지하는 영역이 커져 마침내 원하는 형태의 주편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도 1b에는 수평형 연속주조기(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b의 수평형 연속주조기(10)에서는 래들 및 턴디쉬 대신에 보온로(holding furnace)(4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보온로(400) 내에서 용강(M)이 일정온도로 보관된다. 보온로(400)에서 토출된 용강(M)은 주형(300) 및 2차 냉각기(500)를 거쳐 주편으로 제조된다.
다음으로, 도 1c에는 만곡형 연속주조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역시, 도 1a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c의 만곡형 연속주조기(10)에서는 래들(100), 턴디쉬(200), 및 주형(300)을 차례로 거친 용강(M)이 지지롤(support roll)(600)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한다. 지지롤(600)은 주형(300)에 의해 1차 냉각된 용강(M)의 응고각이 변형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지지롤(600) 사이에는 스프레이(700)가 설치되며, 이 스프레이(700)로부터 분사된 냉각수에 의해 용강(M)이 2차 냉각된다. 용강(M)의 응고는 대부분 스프레이(700)에 의한 2차 냉각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속주조기(10)에서 주형(300)은 주편 응고과정의 첫단계로서, 주형(300)에서 이루어지는 초기 응고구간의 품위는 주편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를 위해 주형(300)의 냉각효율 제어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빔 블랭크형 주형(300)에서는 동일한 주형에서도 두께 편차로 인한 냉각효율의 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형 주형(300)의 웹부(301), 필렛부(302), 플랜지부(303), 및 측부(304)에 각각 온도 측정장치(1000a; 1000b, 1000c, 1000d)를 설치할 수 있다. 온도 측정장치(1000)를 통한 온도분석을 통하여 주형(300)의 냉각효율 평가와 소재 냉각을 최적화할 수 있다.
특히, 빔 블랭크형 주형(300)의 필렛부(302)는 주편의 두께 변화 구간으로서, 주형(300)의 중심부인 웹부(301)와 필렛부(302)에서의 냉각효율을 적정화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웹부(301)와 필렛부(302)는 냉각조건의 차에 따른 표면 품질의 민감도가 높은 부위로 알려져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온도 측정장치(10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온도 측정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세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1000)는 주형(300)의 주조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주형(300) 벽면의 온도 편차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주형(300)은 주형본체(310)와 이 주형본체(310)를 감싸는 주형외피(320)로 이루어진다. 주형본체(310)는 예컨대 구리로 제조될 수 있고, 주형외피(320)는 예컨대 철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재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형본체(310)에는 냉각수로(W)가 설치될 수 있으며, 주형본체(310)와 주형외피(320)가 접하는 부분에는 냉각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패드(P)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측정장치(1000)는 열전대(1100), 결합부재(1200), 및 열전대 고정부재(1300)를 포함한다.
열전대(1100)는 주형본체(31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열전대(1100)는 주형본체(310) 및 주형외피(320)에 연장 가공된 열전대 삽입구(311)에 밀착 삽입될 수 있다. 이 열전대 삽입구(311)는 주형외피(320)의 표면으로부터 주형본체(310)의 내부의 일지점까지 형성된다. 열전대 삽입구(311)는 주형(300)의 두께를 고려하여 특수 홀 가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열전대(1100)가 삽입되는 최소 구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대(1100)는 주형외피(320)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열전대(1100)는 주형본체(310)의 용강접촉면 직하까지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서 용강접촉면은 도면의 좌측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열전대(1100)의 위치 구성을 통해 주형본체(310)가 용강(M)에 의해 온도 변화하는 양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주형(300)은 빔 블랭크(beam blank)형 주형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전대(1100)는 빔 블랭크형 주형의 웹부, 필렛부, 플랜지부, 및 측부 중 2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께 편차가 큰 빔 블랭크형 주형의 온도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냉각효율 적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결합부재(1200)는 주형외피(320)로부터 주형본체(310)의 내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열전대(1100)가 관통하는 내측 통공(1210)을 가진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통공(1210)은 열전대 삽입구(311)와 그대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결합부재(1200)의 외측 단부는 주형외피(320)의 표면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즉, 주형외피(3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위치하며, 결합부재(1200)의 내측단부는 주형외피(320)와 주형본체(310)의 접촉면으로부터 주형본체(310) 쪽으로 더 깊은 지점에 위치한다.
결합부재(1200)의 외측면에는 주형본체(310)와 주형외피(3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200)는 내측면을 통해 열전대(1100)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그 외측면을 통해 주형본체(310)와 주형외피(320)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열전대 고정부재(1300)는 주형외피(320)의 내측 상부에 있어서 결합부재(1200)와 열전대(1100) 사이에 설치된다.
열전대 고정부재(1300)의 외측 단부는 주형외피(3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열전대 고정부재(1300)의 내측 단부는 주형외피(320) 내의 일지점에 위치한다.
열전대 고정부재(130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열전대 고정부재(1300)와 접하는 결합부재(1200)의 내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결합부재(1200)와 열전대 고정부재(1300)의 접촉면에서, 결합부재(1200)에는 암나사 가공이 되며, 열전대 고정부재(1300)에는 수나사 가공이 된다. 이를 통해 열전대 고정부재(1300)는 내측면을 통해 열전대(1100)를 견고히 고정시키고, 그 외측면을 통해 결합부재(1200)에 견고히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주조기용 주형(300)은 용강(M)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 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결합부재(1200)와 열전대 고정부재(1300)의 구성을 통해 주형(30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열전대(1100)가 주형(3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빔 블랭크 주형과 같이 측온부위별 주형의 두께 편차가 크거나, 주형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손쉽게 열전대(11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제로 빔 블랭크형 주형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온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주형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실험에서는 주형의 주조방향을 따라 온도 측정장치를 복수로 설치하여, 부위별 주형벽면의 온도편차를 확인하였다.
도 5에서는 연속주조기의 공정 조건 중 대표적인 인자인 주조속도에 따른 주형의 온도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용강 탕면, 즉 주형본체의 용강접촉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주형의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데, 주조속도가 클 경우 용강으로부터 주형으로의 열전달량은 작은 반면에, 주형 내에서의 온도 편차는 더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는 빔 블랭크형 주형의 각 부위에서의 온도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주조속도는 0.80 내지 0.82m/min으로 하여 매 초단위로 주형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의 (a)는 빔 블랭크형 주형의 웹부에 설치한 온도 측정장치의 측온 결과이며, 도 6의 (b)는 빔 블랭크형 주형의 측부에 설치한 온도 측정장치의 측온 결과이다. 각 그래프에서 용강 탕면, 즉 주형본체의 용강접촉면으로부터의 거리(도면에서 120, 350, 508, 666mm로 각각 표시)에 따른 주형의 온도를 알 수 있다. 도 6의 (a)와 (b)를 비교하면, 주형의 두께가 큰 웹부에서 용강 탕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온도 편차가 더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부위별 온도를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 추이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부위별 측온 결과를 종합함으로써 주형 전체의 냉각효율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최적화된 냉각 제어를 통해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로서,
    상기 주형의 주형본체에 삽입되는 열전대;
    상기 주형본체를 감싸는 주형외피로부터 상기 주형본체의 내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열전대가 관통하는 내측 통공을 가진 결합부재; 및
    상기 주형외피의 내측 상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열전대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대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빔 블랭크(beam blank)형 주형이며, 상기 열전대는 상기 빔 블랭크형 주형의 웹(web)부, 필렛(fillet)부, 플랜지(flange)부, 및 측(side)부 중 2곳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는 상기 주형외피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는 상기 주형본체의 용강접촉면 직하까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주형본체와 주형외피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열전대 고정부재와 접하는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KR1020130007598A 2013-01-23 2013-01-23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KR20140094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98A KR20140094929A (ko) 2013-01-23 2013-01-23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98A KR20140094929A (ko) 2013-01-23 2013-01-23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929A true KR20140094929A (ko) 2014-07-31

Family

ID=5174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598A KR20140094929A (ko) 2013-01-23 2013-01-23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4507A (zh) * 2019-04-16 2019-07-23 清华大学 基于测温单元定位的砂型铸造精确测温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4507A (zh) * 2019-04-16 2019-07-23 清华大学 基于测温单元定位的砂型铸造精确测温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0248B2 (en) Method for predicting degree of contamination of molten steel during ladle exchange
ITUD990002A1 (it) Dispositivo per colata continua ad alta velocita' e relativoprocedimento
KR20140094929A (ko)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
KR20120110584A (ko) 박슬라브용 몰드의 냉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9318A (ko) 연속주조 시 강의 품질 제어 방법
KR101224982B1 (ko) 이강종 연속주조시 강종 예측방법
KR101344897B1 (ko) 연속주조시 판재의 품질 예측장치 및 그 방법
KR101368351B1 (ko) 연속주조 시 응고쉘 두께 예측 방법
KR101388071B1 (ko) 연속주조용 몰드의 냉각 방법
KR101246193B1 (ko) 이강종 연속주조시 강종 예측방법
KR101159598B1 (ko) 몰드 파우더 점도 추정 방법
JP2019126811A (ja) 鋳片の中心固相率の測定方法
KR101400040B1 (ko) 턴디쉬의 용강온도 유지방법
KR101400047B1 (ko) 극저탄소강 주조 제어방법
KR20130099334A (ko) 고품질 주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368352B1 (ko) 주조 온도 제어방법
KR20130088290A (ko) 연속주조 시 강의 품질 예측 방법
KR101388075B1 (ko) 연속 주조 시 다중 분사 노즐의 비수 분포 산출 방법
KR101344902B1 (ko) 강 품질 제어방법
KR19990055365A (ko) 전자기장을 이용한 연속주조용 몰드
JP2018044820A (ja) 溶融層厚みの測定装置、測定方法及び鋼の製造方法
CN108367343B (zh) 用于执行连续铸造机的终止操作的设备和方法
KR101377484B1 (ko) 용강의 탄소픽업량 예측방법
KR101400036B1 (ko) 고청정강 주편의 선별 방법
KR20130088303A (ko) 고품질 주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