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83217A -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217A
KR20120083217A KR1020117030988A KR20117030988A KR20120083217A KR 20120083217 A KR20120083217 A KR 20120083217A KR 1020117030988 A KR1020117030988 A KR 1020117030988A KR 20117030988 A KR20117030988 A KR 20117030988A KR 20120083217 A KR20120083217 A KR 20120083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p
substrate
organic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416B1 (ko
Inventor
군터 쉬미드
알비드 훈즈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8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10/88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8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적어도 2 개의 이중층을 갖는 봉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가 기술된다. 또한, 층 시퀀스가 봉지화되는 전자 소자 제조 방법이 기술된다.

Description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독일 특허출원 10 2009 023350.4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공개 내용은 참조로 도입된다.
전자 소자의 유효 수명은 특히 공기 중 산소 및 습기에 대한 상기 소자의 차폐력에 의존하는데, 상기 소자는 종종 반응 물질, 예컨대 부식에 취약한 기 또는 흡습성 층(hydroscopic layers)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전자적으로 여기된 유기 분자는 전자 소자의 구동 시 산소 또는 수분과 용이하게 반응할 수 있고, 이는 소자의 유효 수명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차폐력을 갖는 전자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전자 소자에 의해 해결된다. 개선된 차폐력을 갖는 소자의 다른 실시예 및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은 다른 청구항에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소자가 제공되고, 상기 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갖는 층시퀀스(layer-sequence), 및 상기 층시퀀스 및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과 함께 층시퀀스를 완전히 둘러싸는 봉지부를 제공한다. 봉지부는 적어도 2 개의 이중층을 포함하고, 이 때 이중층은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은 2차원 구조를 갖는 유기 단분자층이다. 2차원 구조는 비정질일 수 있다.
즉, 각각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이중층들로 구성되는 층 시스템이 제공되고, 제 1 층 및 제 2 층은 교번적으로 포개어져 배치되어, 조밀한 봉지부가 제조된다. 봉지부의 최외각 층은 제 1 층 또는 제 2 층일 수 있고, 층시퀀스에 인접한 봉지부의 층은 제 1 층 또는 제 2 층일 수 있고, 층시퀀스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봉지부의 층은 봉지부의 제 1 층 또는 제 2 층일 수 있다. 봉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층시퀀스를 공기 중 산소 및 습기로부터 차폐하여, 공기 중 산소 및/또는 습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층시퀀스 내의 층을 보호한다. 이를 통해, 상기 층들의 유효수명이 길어지고 및 그로 인해 전자 소자의 유효수명이 길어진다.
제 1 층은 0.5 내지 5 nm의 범위에서 선택된 길이를 갖는 선형 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선형 분자의 길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봉지부의 이중층의 제 1 층이 제공되며, 상기 제 1 층은 0.5 내지 5 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제 1 층의 두께는 1 내지 3 nm일 수 있다.
선형 분자는 제 1 말단기, 중간기 및 제 2 말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말단기는 예컨대 앵커기(anchor group)일 수 있고, 제 2 말단기는 예컨대 헤드기(head group)일 수 있다. 제 1 말단기 및 제 2 말단기의 적합한 선택에 의해,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에 또는 다른 이중층의 제 2 층에 양호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말단기 및 제 2 말단기가 적합하게 선택되면, 각각의 말단기들이 상호간 양호하게 결합하여, 제 1 층은 고밀도를 가지고, 따라서 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을 갖는다.
말단에서 제 1 말단기를 갖는 이러한 선형 분자는 표면에서 자기조립 단분자층(self-assembling monolayers: SAM)을 형성할 수 있다. 단분자층은 조기조립형 단층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한 선형 분자로 구성되는 제 1 층은 제 2 층과 예컨대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제 2 층의 표면에 양호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 2 층의 표면에 결합하는 것은 자발적이고 지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기 단분자층에 2차원 구조가 발생하여, 매우 조밀한 제 1 층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매우 얇은 유전체가 제조될 수 있고, 유전체는 누설 전류 경로를 포함하지 않거나 아주 적게 포함하며, 이는 높은 항복 전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분자층은 예컨대 물 또는 산소와 같은 더 큰 분자에 대해 불투과성이거나, 거의 투과성이 아니다. 예컨대 핀홀과 같은 제 2 층 내의 결함은 제 1 층의 선형 분자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상기 결함은 10 nm 미만의 크기를 갖는다. 제 1 층이 단분자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봉지부의 총 두께는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어서, 물질 비용뿐만 아니라 공정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선형 분자의 중간기는 분자 사슬일 수 있고, 선형 알킬(alkyl), 선형 불소화 알킬,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폴리에틸렌디아민(polyethylene diamine)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중간기는 제 1 층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필요 시 절연성 지방족계 또는 전기 전도성 공액(conjugated) 이중 결합이 중간기로서 선택된다.
선형 알킬은 2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10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불소화 알킬은 2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10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2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킬은 제 2 말단기로서 아릴기(aryl group)를 포함할 수 있고, 아릴기는 pi-pi 상호작용의 형성에 의해 선형 분자들 상호간 그리고 인접한 제 2 층과 관련하여 안정화된다. 아릴기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치환기는 불소화되거나/불소화되고 불포화된 알킬기, 할로겐 또는 S-, N- 또는 P-함유한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제 1 층의 제조를 위해 다양한 선형 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말단기는 하이드록사믹산(hydroxamic acid), 옥심(oxime), 이소니트릴(isonitrile), 포스핀(phosphine), R1- Si(R2) -R3, O = C-R4, O = P(R5)-R6 및 O= S(R7) =O 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서, R1, R2, R3은 H, Cl, Br, I, OH, O-알킬기, 벤질기(benzyl group) 및 불포화된 알케닐기(alkenyl group)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 R2, R3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다. 또한, R4는 H, Cl, Br, I, OH, OSiRiR2R3, O-알킬기, 벤질기 및 불포화된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R5 및 R6은 H, Cl, Br, I, OH, O-알킬기, 벤질기 및 불포화된 알케닐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R7은 Cl, Br, I, OH, O-알킬기, 벤질기 및 불포화된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특성을 갖는 제 1 층의 예시적 선형 분자는 화학식 1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모든 R1 내지 R7을 위해, 알킬기가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및 이들의 분지된 상동물(homologous) 및 분지된 더 큰 상동물일 수 있음이 해당된다. R4는 R1, R2, R3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H만을 포함하는 OSiRiR2R3 일 수 있다. 제 1 말단기 O=P(R5)-R6은 인접한 제 2 층 및/또는 인접한 제 1 말단기와 특히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말단기는 제 1 말단기,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 치환된 아릴기, 치환된 방향족,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치환된 이종방향족 및 치환되지 않은 이종방향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말단기는 푸란(furan), 티오펜(thiophene), 피롤(pyrrole), 옥사졸(oxazole), 티아졸(thiazole), 이미다졸(imidazole), 이소옥사졸(isoxazole), 이소티아졸(isothiazole), 피라졸(pyrazole), 벤조[b]푸란, 벤조[b]티오펜, 인돌(indole), 2H-이소인돌(isoindole), 벤조티아졸(benzothiazole), 피리딘(pyridine), 피라진(pyrazine), 피리미딘(pyrimidine), 피릴륨(pyrylium), α-피론, γ-피론, 퀴놀린(quinoline), 이소-퀴놀린(isoquinoline), 비피리딘(bipyridine) 및 각각의 유도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제 2 말단기는 화학식 2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02
제 2 말단기는 직접적으로 또는 이종원자들 O, S, N, P를 거쳐 중간기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C-C-이중 결합 또는 C-C-3중 결합에 의한 결합도 가능하다. 제 2 말단기는 제 1 말단기의 성분을 갖는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말단기는 메틸기일 수 있거나, 카르복실기로 산화된 메틸기일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제 2 층은 제 1 층에 양호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 2 층은 금속, 금속 합금, 금속산화물 및 폴리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은 예컨대 비반응성(non-reactive) 또는 자가 부동태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고, 예컨대 Al, Cr, Ni, Fe, Ag, 스테인레스 스틸, AlMg3 및 다른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금속산화물은 예컨대 SiO2 또는 Al2O3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또한 인듐주석산화물(ITO) 또는 아연산화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폴리머는 예컨대 파릴렌, 아크릴레이트 또는 노보락(novolac)일 수 있다. 폴리머를 제 2 층으로서 사용하면, 제 2 층의 표면에 OH-기 밀도가 높을 수 있어, 인접한 제 1 층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높은 OH 밀도는 예컨대 적어도 각각의 제 10 모노머 단위(monomer unit)에서 OH-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오-하이드록시-스티롤 또는 폴리비닐알콜은 높은 OH 밀도를 갖는다. 층시퀀스 및 기판 상에 각각 하나의 제 2 층을 포함한 복수 개의 이중층들이 배치되면, 개별 제 2 층들을 위해 다양한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제 2 층은 5 nm 내지 1 ㎛의 범위로부터 선택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두께는 50 내지 1 ㎛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 2 층의 두께가 두껍게 선택될수록 제 2 층은 더 조밀해진다. 따라서 밀봉형의 조밀한 제 2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층이 금속층으로서 형성되면, 제 2 층은 핀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홀은 금속 원자의 부가적 증착에 의해 닫힐 수 없는데, 상기 핀홀은 새로 증착된 금속 원자에 의해 습윤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 1 층의 증착은, 상기 제 1 층 상의 금속이 금속 원자 상에서보다 더 불량하게 습윤되면, 표면 에너지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핀홀은 우선 제 1 층의 물질 및 이후 다른 금속 원자들로 닫히고, 종합적으로 하나의 얇고 조밀한 층시퀀스가 생성된다.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이중층이 제공되는데, 제 1 층뿐만 아니라 제 2 층도 얇은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 소자의 조밀한 박막 봉지부가 제공된다. 박막 봉지부는 최대 30 개의 이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의 제 1 말단기와 제 2 층 사이 및/또는 제 1 층의 제 2 말단기와 제 2 층 사이에 화학적 결합 및/또는 착물 결합 및/또는 반데르 발스(van der waals)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중층의 개별층 사이에 안정적인 결합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은 하나의 조밀한 봉지부를 형성한다.
봉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3 층은 물 분자 및 산소 분자와 결합한다. 상기 결합은 화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중층들의 봉지 특성을 향상시킨다. 제 3 층을 위한 물질로서 예컨대 Ca, Mg, Yb, Ba 또는 Sr이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 층은 이중층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소자의 층시퀀스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유기 자기저항(magnetoresistive) 소자, 무기 자기저항 소자, 전기변색(electrochromic) 표시 소자, 유기 태양전지, 무기 태양전지, 유기 포토다이오드, 무기 포토다이오드, 유기 센서, 무기 센서 및 표면 탄성파 필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자기저항 소자는 GMR 효과 또는 TMR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변색 표시 소자는 픽셀화되거나 분절화될 수 있다. 예컨대, 도체판 상에 본딩된 Si칩은 밀봉적으로 조밀하게, 전술한 이중층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층시퀀스를 기판 상에 배치하는 단계, B) 적어도 2 개의 이중층을 포함하는 봉지부를 상기 기판 및 층시퀀스 상에 배치하여 상기 층시퀀스가 상기 기판 및 봉지부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B1) 제 1 층을 적층하는 단계, B2) 제 2 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층은 2차원 구조를 갖는 유기 단분자층으로 제조된다. 단계 B1) 및 B2)는 적어도 2 회 교번적으로 반복됨으로써, 각각 하나의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이중층이 제조된다. 따라서, 산소 및/또는 습기에 민감한 층시퀀스를 봉지화 위해 이용되며,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단계 B2)에서, 제 2 층을 위한 물질은 기상 증착, 스퍼터링, 프린팅 및 무전해 금속화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 1 층을 위한 물질로서 금속, 금속 합금, 금속산화물 및 폴리머가 선택될 수 있다. 폴리머는 기체상 또는 액체상으로부터 적용될 수 있고, O2 -플라즈마에 의해 개질될 수 있어, 표면에 높은 OH-기 밀도를 제공한다.
단계 B1)에서, 제 1 층을 위한 물질은 기체상 또는 용액으로부터 적용될 수 있다. 제 1 층을 위한 물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말단기, 중간기 및 제 2 말단기를 갖는 선형 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층을 위한 물질이 단계 B1)에서 용액으로부터 적용되면, 이어서 단계 B2)에서 온도 처리 및/또는 노광 단계가 실시될 수 있는데, 이는 제 1 층이 제 2 층에 결합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제 2 층에 결합되지 않은 제 1 층의 잔여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이 실시된다.
제 1 층의 물질이 용액으로 적용되면, 상기 물질은 용제 또는 용제 혼합물 내에서 0.0001 mol/l 내지 1 mol/l의 농도로 용해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용제는 예컨대 펜탄(pentane), 헥산(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벤졸(benzol), 톨루올(toluol), 크실롤(xylol), 크레졸(cresol), 테트랄린(tetralin) 및 데칼린(decalin)과 같은 탄화수소, 예컨대 디클로르메탄(dichlormeth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carbon tetrachloride), 트리클로르에틸렌(trichlorethylene), 클로르벤졸, 디클로르벤졸(dichlorbenzol)과 같은 염소화된 탄화수소, 예컨대 메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 에테르 또는 예컨대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디페닐에테르(diphenyl ether), 테트라하이드로포란(tetrahydroforan), 디옥산(dioxane)과 같은 고리형 에테르, 예컨대 초산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 디메틸포름아니드(dimethylformanide),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N-메틸피롤리디논(methylpyrrolidinone), γ-부티롤악톤(butyrolactone) 및 시클로헥사논(cyklohexanone)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단계 B1)에서, 제 1 층을 위한 물질이 기체상으로부터 적용되면, 제 1 층의 물질은 희석화되거나 희석화되지 않은 채로 진공 수용부로부터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기체상에서 1 %의 비율을 갖는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희석화 없는 물질의 비율은 기체상에서 100 %이다. 제 1 층의 물질의 희석화를 위해 예컨대 He, Ne, Ar, Kr 또는 Xe와 같은 희가스가 역할하거나 N2와 같은 비활성 가스가 역할한다. 증착을 위해, 제 1 층을 위한 물질의, 기화가 용이한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증착 동안의 압력은 10-8 내지 1000 mbar일 수 있고, 온도는 200 ℃일 수 있다. 증착은 예컨대 0.1분 내지 1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증착에 이어서, 제 1 층의 잔여 물질은 펌프로 배출하거나, 가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반응 실란은 기체상으로 물이 유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고, 실란의 자유 Cl-말단은 중합한다.
단계 B2)에서,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 화학적 결합 및/또는 착물 결합 및/또는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이중층 상에 제 2 이중층이 증착되면, 제 1 이중층의 제 2 층과 제 2 이중층의 제 1 층 사이에 마찬가지로 화학적 결합 및/또는 착물 결합 및/또는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층의 제조 시 제 2 층에 결함이 생성되어 제 2 층이 부분 영역으로 존재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부분 영역들은 그 위에 증착되는, 바로 다음의 이중층의 제 1 층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제 1 층의 선형 분자는 제 2 층에 대해 수직으로 임의적으로 정렬됨으로써, 결함에서 제 1 층의 선형 분자는 제 2 층의 부분 영역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층의 조밀도가 얻어질 수 있고, 신뢰성 있는 봉지부가 제조될 수 있다.
단계 B1)과 B2)의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단계 A)에서 배치된 층시퀀스 상에 우선 제 1 층이, 이후에 제 2 층이 증착될 수 있거나, 또는 우선 제 2 층이 그리고 이후에 제 1 층이 증착될 수 있다. 우선 단계 B1)가 실시되면, 즉 우선 제 1 층이 층 시퀀스 상에 증착되면, 상기 층시퀀스에서 예컨대 금속그룹과 같은 그룹이 존재해야 하는데, 상기 그룹은 제 1 층이 층시퀀스 상에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계 B)에서 최종적으로 실시된 단계는 단계 B1) 또는 B2)일 수 있다. 이후의 방법 단계에서 봉지부상에 부가적 층 또는 부재가 적층되면, 예컨대 단계 B)는 단계 B1)으로, 즉 제 1 층의 적층 단계로 종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층은 부착 증진제로서 역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는 봉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이중층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결함을 포함하는 다른 이중층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 1 층의 표면상의 물방울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5는 제 1 층의 표면상에서 접촉각 측정에 대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은 층시퀀스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층시퀀스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는 전자 소자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기판(10)상에 층시퀀스(20)가 적층된다. 예컨대, 6 개의 층을 포함하는 층시퀀스(20)가 도시되고, 층시퀀스 내에 더 많거나 더 적은 층이 있을 수 있다.
층시퀀스 내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기능층, 예컨대 복사 방출층이다. 또한, 층시퀀스(20) 내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산소 및/또는 공기 중 습기에 대해 민감하다.
층시퀀스(20) 및 기판(10)상에 2 개의 이중층(30)이 배치되어, 층시퀀스(20)는 기판(10) 및 이중층(30)으로부터 완전히 둘러싸인다. 이중층(30)은 각각 제 1 층(31) 및 제 2 층(32)을 포함하고, 이러한 층들은 교번적으로 서로 포개어져 배치된다. 도 1에는 예컨대 2 개의 이중층(30)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중층(30)의 수는 더 많게 선택될 수 있다.
이중층(30)은 예컨대 기체상으로부터 층시퀀스(20) 상에 증착될 수 있다. 기판은 희석화되거나 희석화되지 않은 증기를 포함하는 진공 수용부에서 0.1 내지 10분 동안 해당 화합물에 노출될 수 있다. 압력은 예컨대 10-8 내지 1000 mbar이다. 온도는 20 ℃ 내지 300 ℃의 범위일 수 있고, 예컨대 200 ℃ 미만일 수 있다. 제 1 층뿐만 아니라 제 2 층도 동일한 진공 수용부 내에 증착될 수 있다. 제 1 층을 위한 물질로서 포스포닉산, 카르본산 또는 설폰산기가 제 1 말단기로서 선택되면, 이들의 에스테르 또는 용이하게 기화될 수 있는 다른 반응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층시퀀스 상에 우선 제 1 층이 증착될 수 있거나, 우선 제 2 층이 증착될 수 있다. 우선 제 1 층이 증착되면, 층시퀀스 상에는 상기 제 1 층이 결합할 수 있는 그룹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그룹은 예컨대 금속 그룹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봉지부의 외부층은 제 1 층 또는 제 2 층일 수 있다. 상기 외부층이 제 1 층이면, 제 1 층은 예컨대 다른 적층될 부재 또는 층을 위한 부착 촉진제로서 역할할 수 있다. 도 1에는 예컨대 층시퀀스 상에 제 1 층(31)이 적용되어 있으며, 봉지부는 제 2 층(32)으로 닫힌다.
도 2는 이중층(30)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 1 층(31) 및 제 2 층(32)은 여기서 확대되어,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자들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도시된다. 이를 위한 물질로서 전술한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제 1 층(31)은 제 1 말단기(31a), 중간기(31b) 및 제 2 말단기(31c)를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제 1 말단기(31a)는 제 2 층(32)과 함께, 화학적 결합, 착물 결합 또는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층 및 제 2 층(31, 32)은 상호간 조밀하게 결합된다. 제 2 말단기(31c)는 후속하는 다른 이중층(30)의 제 2 층(32)과 함께 마찬가지로 하나의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 2 말단기(31c)는 상호간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어, 제 2 층이 조밀하게 형성된다. 중간기(31b)도, 상기 중간기가 상호간에 개별 분자들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1 층(31)의 선형 분자들은 2차원 구조로 제 2 층(32)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조밀한 이중층(30)이 형성된다.
도 3은 이중층(30)의 개략적 측면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 2 층(32), 예컨대 금속층 내에는 결함, 예컨대 핀홀이 존재한다. 결함은 제 1 층(31)의 선형 분자들이 제 2 층(32)의 부분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층(32)을 밀폐함으로써 채워진다. 따라서, 제 2 층(32)의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은 제 1 층의 적층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폐쇄 기전은 제 2 층 내의 결함을 위해 기능하며, 상기 결함은 10 nm 미만인 것이 특히 양호하다. 핀홀이 더 클 경우, 복수의 이중층 증착이 요구된다.
도 4는 제 1 층(31)의 표면상의 물방울(40)의 사진을 도시한다. 물방울(40)이 제 1 층(31)에 대해 큰 접촉각(θ)을 형성한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는 제 1 층의 표면의 강한 소수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점은 이중층(30)의 양호한 차폐 특성을 야기한다. 상기 이중층은 제 1 층을 포함한다.
상기 사진을 위해, AlMg3 소재이면서 15 mm x 25 mm의 크기 및 0.5 mm의 두께를 갖는 기판은 N-메틸피롤리돈(methylpyrrolidone)으로 세정되었고, 이후 아세톤 및 이소프로판올로 탈지되었다. 나트륨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sodium hydrogen carbonate)의 수용성 용액에서, 자가 부동태화에 의해 생성되는 자연 산화물층은, 기판이 캐소드로서 접속됨으로써, 즉 환원 세정 방법의 선택에 의해, 전류 150 mA 및 8 내지 10 V일 때 제거되었다. 이어서, 기판은 이소프로판올(100 ml) 내의 옥타데실포스포닉산(octadecylphosphonic acid)(100 mg) 용액에서 30분 동안 담그어졌다. 이소프로판올로 세척되고, 이후에 질소스트림 내에서 건조한 후, 표면은 옥타데실포스포닉산의 단층으로 밀봉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표면상의 물방울(40)은 120°의 범위에서 접촉각을 보여준다.
전술한 예는 다른 알루미늄합금물 또는 순수한 알루미늄으로 실시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물 대신, 구리, 니켈 또는 티타늄은 유사한 방식으로 코팅될 수 있다. 옥타데실포스포닉산 대신, 헥실포스포닉산(hexylphosphonic acid) 또는 데실포스포닉산(decylphosphonic acid)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말단기로서 포스포닉산 대신, 트리클로로실일기(trichlorosilyl group)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톨루올이 용제로서 사용되고, 예컨대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분위기에서 작업된다.
전술한 예를 위해, 도 5는 각각의 표면상에서 측정된 접촉각(θ)을 일괄하여 도시한다. 제 2 층으로서 각각 AlMg3이 사용되었다. 제 1 층에서 선형 분자의 중간기의 길이는 16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 즉 헥실, 데실 또는 옥타데실이다. 제 1 말단기로서 포스포닉산- 또는 트리클로로실일기가 사용된다. 접촉각(θ)의 측정을 위해, 물(40), 헥사데칸(41), 에틸렌글리콜(42)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43)라는 매질이 사용된다. 제 1 층의 물질은 헥산포스포닉산(A), 데칸포스포닉산(B), 옥타데칸포스포닉산(C), 헥산트리클로르실란(D), 데칸트리클로르실란(E) 및 옥타데칸트리클로르실란(F)이다. 접촉각(θ)은 도(degree)로 제공된다.
접촉각(θ)이 클수록, 이중층(30)의 소수 특성이 더 크다. 제 1 말단기(말단기 A, B, C)로서 포스포닉산 분자를 포함하는 분자는 가장 조밀한 제 1 층을 형성한다. 제 1 말단기(말단기 D, E, F)로서 트리클로로실일기의 경우, 가장 긴 분자로서의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은 제 1 말단기로서 포스포닉산을 포함한 분자보다 약간 더 작은 접촉각(θ)을 제공한다. 이로써, 옥타데실포스포닉산이 이중층(30) 내에서 특히 바람직한 특성을 보여준다는 결론을 얻는다. 제 1 말단기로서 트리클로로실일기를 포함하는 선형 분자도 마찬가지로 기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기판(10)상의 층시퀀스(20)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하고, 층시퀀스는 상기에 기술된 이중층(30)에 의해 봉지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층시퀀스는 애노드(21), 정공 수송층(22), 기능층으로서 유기 방출층(23), 전자 수송층(24) 및 캐소드(25)를 포함한다. 예컨대, 층시퀀스 내에 Ca 또는 LiF로 이루어진 전자 주입층도 존재할 수 있다. 전자 주입층은 전자 수송층과 캐소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미도시). 기판(10)은 예컨대 유리 기판일 수 있고, 애노드는 인듐주석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캐소드는 금속 캐소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층시퀀스(20)는 연속적인 기상 증착 공정에 의해 증착 및 구조화될 수 있어서, 예컨대 OLED가 제조된다. OLED의 제조 시, 최종적으로 120 nm 두께의 알루미늄 캐소드가 기상 증착된다. 이중층(30)으로 이루어진 봉지부의 증착을 위해, 기판(10)은 상기 기판(10)상의 층시퀀스(20)와 함께 진공 챔버 내로 삽입된다. 이 때, 기판(10)은 1 mbar일 때 80 ℃로 가열된다. 도시된 진공 챔버 안으로, 캐리어 가스로서의 질소를 통해 옥타데실포스포닉산 디에틸에스테르가 10분 동안 유입된다. 이후, 진공 챔버는, 잔여의 옥타데실포스포닉산 디에틸에스테르를 제거하기 위해, 다시 5 x 10-6 mbar 미만으로 배기된다. 알루미늄 소스의 증가에 따라, 100 nm의 알루미늄이 기화에 의해 증착된다.
제 1 층(31) 및 제 2 층(32)의 증착 공정은 예컨대 4 회 더 반복될 수 있다. 이중층(30)의 증착은 알루미늄 캐소드의 증착과 동일한 진공 챔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옥타데실포스포닉산 디에틸에스테르의 증착은 실온에서 실시하며, 증착 시간은 2분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옥타데실포스포닉산 디메틸에스테르는 별도의 소스로부터 기화될 수 있다.
순수한 알루미늄 대신, 또한 합금물 AlMg3이 기상 증착될 수 있다. 기상 증착 공정 대신 스퍼터링 공정이 사용된다. 이중층(30) 내의 제 2 층은 Ca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전자 소자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여기서 기판(10) 상에 애노드(21), 유기층(26) 및 캐소드(25)가 패터닝되어 적층된다. 또한, 여기에는 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전압(V)이 어떻게 인가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애노드(21) 및 캐소드(25)에 전압(V)이 인가되어, 전류(i)가 흐른다. 상기 소자는 예컨대 OMR 층시퀀스일 수 있다.
층시퀀스는 기판(10) 상에 연속적인 기상 증착 공정에 의해 증착되거나 구조화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20 nm 내지 2 ㎛, 예컨대 120 nm 두께의 알루미늄 캐소드가 기상 증착될 수 있다. 층시퀀스의 봉지화는 도 6의 층시퀀스와 관련하여 설명된 봉지화와 유사하게 실시된다.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는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은 다른 형성 방식도 허용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Claims (15)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한 층시퀀스; 및
    상기 층시퀀스 및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과 함께 상기 층시퀀스를 완전히 둘러싸는 봉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부는 적어도 2 개의 이중층을 포함하고,
    이중층은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은 2차원 구조를 갖는 유기 단분자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0.5 내지 5 nm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길이를 갖는 선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분자의 길이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분자는 제 1 말단기, 중간기 및 제 2 말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는 선형 알킬, 선형 불소화 알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말단기는 하이드록삼산, 옥심, 이소니트릴, 포스핀, R1-Si(R2)-R3, O=C-R4, O=P(R5)-R6 및 O=S(R7)=O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1, R2 및 R3은 H, Cl, Br, I, OH, O-알킬기, 벤질기 및 불포화된 알케닐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 R2, R3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고,
    R4는 H, Cl, Br, I, OH, OSiR1R2R3, O-알킬기, 벤질기 및 불포화된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되고,
    R5 및 R6은 H, Cl, Br, I, OH, O-알킬기, 벤질기 및 불포화된 알케닐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7은 Cl, Br, I, OH, O-알킬기, 벤질기 및 불포화된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말단기는 상기 제 1 말단기,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 치환된 아릴기, 치환된 방향족,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치환된 이종방향족 및 치환되지 않은 이종방향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금속, 금속 합금, 금속산화물 및 폴리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5 nm 내지 1 ㎛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과 제 1 말단기 사이 및/또는 상기 제 2 층과 제 2 말단기 사이에 화학적 결합 및/또는 착물 결합 및/또는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물 분자 및 산소 분자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시퀀스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유기 자기저항 소자, 무기 자기저항 소자, 전기변색 표시 소자, 유기 태양전지, 무기 태양전지, 유기 포토다이오드, 무기 포토다이오드, 유기 센서, 무기 센서 및 표면 탄성파 필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12. 전자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하는 층시퀀스를 기판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층시퀀스가 상기 기판 및 봉지부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상기 기판 및 층시퀀스 상에 적어도 2 개의 이중층을 포함하는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B1) 제 1 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B2) 제 2 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이 2차원 구조를 갖는 유기 단분자층으로 제조되고,
    상기 단계 B1) 및 B2)는 교번적으로 적어도 2 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1)에서, 상기 제 1 층을 위한 물질은 기체상 또는 용액으로부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2)에서, 상기 제 2 층을 위한 물질은 기상 증착, 스퍼터링, 프린팅 및 무전해 금속화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제조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2)에서,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 화학적 결합 및/또는 착물 결합 및/또는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제조 방법.
KR1020117030988A 2009-05-29 2010-05-28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689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3350A DE102009023350A1 (de) 2009-05-29 2009-05-29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nischen Bauelements
DE102009023350.4 2009-05-29
PCT/EP2010/057482 WO2010136591A1 (de) 2009-05-29 2010-05-28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nischen bau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217A true KR20120083217A (ko) 2012-07-25
KR101689416B1 KR101689416B1 (ko) 2016-12-23

Family

ID=4227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988A KR101689416B1 (ko) 2009-05-29 2010-05-28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03042B2 (ko)
EP (1) EP2436057B8 (ko)
JP (1) JP5693568B2 (ko)
KR (1) KR101689416B1 (ko)
CN (1) CN102449797B (ko)
DE (1) DE102009023350A1 (ko)
WO (1) WO20101365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734A (ko) * 2013-12-09 2015-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709A (ko) * 2015-07-31 2017-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20082203A (ko) * 2020-12-10 2022-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 단분자 박막을 이용하는 유무기 다층 박막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3350A1 (de) 2009-05-29 2010-12-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nischen Bauelements
EP2727164A1 (de) * 2011-06-30 2014-05-0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kapselungsstruktur für ein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m verkapseln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s
KR20140133121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기저항소자, 이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센싱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기저항소자의 제조 방법.
JP6318695B2 (ja) * 2014-02-25 2018-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US9780334B2 (en) * 2014-03-12 2017-10-03 Panasonic Corporation Organic EL device having a hygroscopic layer
DE102015108736A1 (de) 2015-06-02 2016-12-0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CN104835920A (zh) * 2015-06-03 2015-08-12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封装方法以及封装结构
KR102414017B1 (ko) * 2015-10-27 2022-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34468B (zh) * 2017-08-18 2018-09-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透明顯示裝置
CN109411417B (zh) * 2017-08-18 2020-09-1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电子组件封装体以及显示面板
US10396256B2 (en) 2017-08-18 2019-08-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device package
CN109166898A (zh) * 2018-09-04 2019-01-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的制作方法
CN109192705B (zh) * 2018-09-12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集成电路封装结构及封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08A (ko) * 2002-11-04 2004-05-12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5166655A (ja) * 2003-12-01 200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発光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60090692A (ko) * 2003-10-03 2006-08-14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el 소자용 투명 밀봉재
KR100777853B1 (ko) * 2003-06-20 2007-11-28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자기-조립 단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화합물, 층 구조물,층 구조물을 갖는 반도체 구성요소, 및 층 구조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071A (ja) 1991-11-29 1993-06-18 Toyota Motor Corp 薄膜エレクトロルミネツ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US5352485A (en) * 1993-04-08 1994-10-04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ynthesis of metal oxide thin films
JPH07192867A (ja) 1993-12-27 1995-07-28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素子
JP2000068047A (ja) 1998-08-20 2000-03-03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有機el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100475849B1 (ko) 2002-04-17 2005-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습식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엔캡슐레이션 박막을 갖춘유기 전기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39448A (ja) 2002-07-03 2004-02-05 Sony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電子機器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AT412094B (de) * 2003-05-13 2004-09-27 Austria Tech & System Tech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rohlingen zur herstellung von gedruckten leiterplatten (pcb)
US7132680B2 (en) * 2003-06-09 2006-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based on polymerizable self-assembled monolayers
DE10328810B4 (de) 2003-06-20 2005-10-20 Infineon Technologies Ag Syntheseverfahren für eine Verbindung zur Bildung einer selbstorganisierenden Monolage, Verbindung zur Bildung einer selbstorganisierenden Monolage und eine Schichtstruktur für ein Halbleiterbauelement
JP2005100815A (ja) * 2003-09-25 2005-04-14 Kyocera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5216677A (ja) 2004-01-29 2005-08-11 Sharp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DE102004009600B4 (de) 2004-02-27 2008-04-03 Qimonda Ag Selbstorganisierende organische Dielektrikumsschichten auf der Basis von Phosphonsäure-Derivaten
DE102004022603A1 (de) 2004-05-07 2005-12-15 Infineon Technologies Ag Ultradünne Dielektrika und deren Anwendung in organischen Feldeffekt-Transistoren
DE102004025423B4 (de) 2004-05-24 2008-03-06 Qimonda Ag Dünnfilm-Feldeffekt-Transistor mit Gate-Dielektrikum aus organischem 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7749881B2 (en) * 2005-05-18 2010-07-06 Intermolecular, Inc. Formation of a masking layer on a dielectric region to facilitate formation of a capping layer on electrically conductive regions separated by the dielectric region
US7309658B2 (en) * 2004-11-22 2007-12-18 Intermolecular, Inc. Molecular self-assembly in substrate processing
US20070020451A1 (en) * 2005-07-20 2007-0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isture barrier coatings
CN100585819C (zh) * 2006-03-03 2010-01-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布线部件、金属部件、半导体装置、以及它们的制造方法
KR20070113672A (ko) 2006-05-25 2007-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el소자 및 유기전자소자
JP5135775B2 (ja) 2006-11-22 2013-02-0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素子
TW200830565A (en) * 2007-01-10 2008-07-16 Ritek Corp Organic solar cell
DE102009023350A1 (de) 2009-05-29 2010-12-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nischen Bauele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08A (ko) * 2002-11-04 2004-05-12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7853B1 (ko) * 2003-06-20 2007-11-28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자기-조립 단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화합물, 층 구조물,층 구조물을 갖는 반도체 구성요소, 및 층 구조물 제조방법
KR20060090692A (ko) * 2003-10-03 2006-08-14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el 소자용 투명 밀봉재
JP2005166655A (ja) * 2003-12-01 200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発光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734A (ko) * 2013-12-09 2015-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709A (ko) * 2015-07-31 2017-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20082203A (ko) * 2020-12-10 2022-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 단분자 박막을 이용하는 유무기 다층 박막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6057B1 (de) 2013-10-02
CN102449797B (zh) 2014-08-06
JP2012528435A (ja) 2012-11-12
CN102449797A (zh) 2012-05-09
WO2010136591A1 (de) 2010-12-02
DE102009023350A1 (de) 2010-12-02
US20120193816A1 (en) 2012-08-02
EP2436057B8 (de) 2013-11-27
KR101689416B1 (ko) 2016-12-23
EP2436057A1 (de) 2012-04-04
US9203042B2 (en) 2015-12-01
JP5693568B2 (ja)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416B1 (ko)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Tian et al. Improved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inverted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fulleropyrrolidine layers
Bade et al. Fully printed halide perovskite light-emitting diodes with silver nanowire electrodes
KR101813171B1 (ko) 가스차단성 박막,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iang et al. Amazing stable open-circuit voltage in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AgAl alloy electrode
Huang et al. Interface engineering of perovskite solar cells with multifunctional polymer interlayer toward improved performance and stability
WO2013168553A1 (ja) 半導体装置用基板、半導体装置、調光型照明装置、自己発光表示装置、太陽電池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Lee et al. A printable organic electron transport layer for low‐temperature‐processed, hysteresis‐free, and stable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JP6984546B2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796065B2 (ja) 有機薄膜積層体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Gao et al. Porous Organic Cage Induced Spontaneous Restructuring of Buried Interface Toward High‐Performance Perovskite Photovoltaic
KR101106173B1 (ko) 유기태양전지용 다층박막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Geng et al. High luminance and stability of perovskite 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via ZnBr2 passivation and an ultrathin Al2O3 barrier with improved carrier balance and ion diffusive inhibition
WO2012106119A1 (en) Photovoltaic cells
Liu et al. Bulk heterojunction-assisted grain growth for controllable and highly crystalline perovskite films
Sun et al. Enhanced photovoltage and stability of perovskite photovoltaics enabled by a cyclohexylmethylammonium iodide-based 2D perovskite passivation layer
Wang et al. Vacuum-controlled growth of CsPbI2Br for highly efficient and stable all-inorganic perovskite solar cells
TWI393283B (zh) 有機光電元件
Li et al. Fabrication of highly luminescent quasi two-dimensional CsPbBr3 perovskite films in high humidity air for light-emitting diodes
WO2023038050A1 (ja) 光電変換素子及び化合物
Kumar et al. Fusible Low Work Function Top Electrode for Vacuum-Free Perovskite Light-Emitting Diode Application: Role of OH-Terminated Sn Atoms at the Alloy Surface
WO2022250795A2 (en) Perovskite solar cells with self-assembled monolayers
Kumar et al. Organic-inorganic nanoparticle composite as an electron injection/hole blocking layer 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or large area lighting applications
Li et al. Boosting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inverted perovskite solar cells by using a carbolong derivative to modulate the cathode interface
JP201053742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